KR20140069900A -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 Google Patents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900A
KR20140069900A KR1020120137752A KR20120137752A KR20140069900A KR 20140069900 A KR20140069900 A KR 20140069900A KR 1020120137752 A KR1020120137752 A KR 1020120137752A KR 20120137752 A KR20120137752 A KR 20120137752A KR 20140069900 A KR20140069900 A KR 2014006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ase film
electrode
adhesive tap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929B1 (ko
Inventor
조은미
Original Assignee
조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미 filed Critical 조은미
Priority to KR102012013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9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전지의 전극 제조과정에서 전단과 후단의 전극 기재를 연속적으로 이어주기 위하여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더라도 전극 가공 공정 도중 접착제가 전극에 누출되어 불량의 원인이 되거나, 전극 기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였을 때 접착테이프에 인접하여 권취된 전극 부분에 접착제가 누출됨으로써 전극이 훼손되어 폐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박판 형태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Adhesive Tape For Connecting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본 발명은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전지의 전극 제조과정에서 전단과 후단의 전극 기재를 연속적으로 이어주기 위하여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더라도 전극 가공 공정 도중 접착제가 전극에 누출됨으로써 불량의 원인이 되거나, 전극 기재를 롤 형태로 권취하였을 때 접착테이프에 인접하여 권취된 전극 부분에 접착제가 누출됨으로써 전극이 훼손되어 폐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전지는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는 1차전지와는 달리 전류와 물질 사이의 산화·환원과정이 여러 번 반복 가능한 충전 물질을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로의 변환이 한번 일어난 후에도 다시 충전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재충전식 전지이다.
현재 휴대용 전화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 소형 전자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2차전지는 활물질층이 형성된 양전극 기재와 음전극 기재를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하여 전지 하우징에 삽입한 후 이 하우징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양극과 음극을 연결했을 때 전해액의 분자들과 활물질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2차전지는 양극이나 음극 혹은 전해액을 어떤 물질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및 리튬 설파 전지 등이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각형, 원통형, 박판형 등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2차전지의 전극은 전극 기재 롤에서 공급되는 전극 기재의 양면 또는 일면에 일정 두께로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고착시키고, 활물질층이 형성된 전극 기재는 80~150℃의 온도로 가열된 롤에 의해서 가압 처리하여 기본적인 전극 구조체로 형성되어 권취 롤에 권취되며, 이후 소정의 과정을 더 거친 후 2차전지의 조립 공정에 사용되게 된다.
이때, 2차전지의 전극을 롤 형태로 가공할 때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전단의 전극 기재 롤 끝단과 후단의 전극 기재 롤 시작단의 이음 작업을 하게 되는데, 보통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이음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전극 기재 롤의 이음 작업을 행하는 경우 접착테이프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가열이나 가압 등 여러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열이나 압력에 의하여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외측으로 누출되어 2차전지의 전극을 제조하는 데 불량의 원인이 되거나, 이음 작업 후 전극 기재를 롤 형태로 말았을 때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전극 기재에 인접하여 권취된 전극 기재 부분에 접착제가 누출되어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에서 한 바퀴 권취된 전극 기재 또는 그 이상 권취된 전극 기재가 훼손되어 폐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누출된 접착제가 프레스나 롤 등 각종 가공장치에도 부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공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청소나 정비를 빈번하게 행할 수밖에 없어서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전극 기재 롤의 이음 작업을 행하고 필요한 가공 공정을 거쳐 전극 구조체로 형성되어 권취 롤에 권취하는 경우, 종래의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로 이음 작업이 행하여진 부분의 양단을 절단하여 나누게 되는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누출된 영역까지 확장하여 절단하여 폐기하게 되므로 전극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전극 기재 롤을 이어주는 경우, 차후 가공 공정을 거친 후 권취 롤에 권취하는 과정에서 이음 작업이 행하여진 부분의 양단을 절단하는 데 있어서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여 일일이 작업자가 확인하고 처리하여야 했으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차전지의 전극 제조공정에 있어서 전단과 후단의 전극 기재 롤을 이음 작업하는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더라도 접착테이프에 도포된 접착제가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아 2차전지의 전극 제조에 불량의 원인을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누출로 인하여 가공장치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아 잦은 청소나 정비로 인하여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2차전지의 전극 제조공정에 있어서 전단과 후단의 전극 기재 롤을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로 이음 작업을 행하고 필요한 전극 가공 공정을 거친 후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경우에 센서를 이용하여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화된 공정으로 절단 작업을 행하여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는, 박판 형태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10~200㎛ 정도가 적당하며,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이미드(P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전체 좌우 넓이와 대비하여 50~99% 넓이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 중심부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접착제가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아울러 상기 접착층의 두께가 5~50㎛ 정도를 이루도록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에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점착제를 각각 도포하는 것도 좋은데, 상기 점착제는 50~2000g/25㎜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상기 베이스필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을 더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과 상기 접착층의 상면 사이에는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색상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컬러인쇄층을 더 형성하여 절단 작업시 센서로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실리콘수지가 코팅된 후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실리콘경화수지층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베이스필름 하면의 전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만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이나 가압 등 여러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열이나 압력에 의하여 접착제가 베이스필름의 외측으로 누출되어 2차전지의 전극에 불량을 일으키거나 가공 장치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전극 기재 롤에 이음작업을 행하고 필요한 전극 가공 공정을 거친 후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경우에 접착제가 외측으로 누출된 것을 고려하여 접착테이프의 좌우 외측 영역까지 확장하여 절단할 필요가 없이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만 절단하거나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접착테이프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부분을 절단할 수 있어 전극 기재 롤에서 절단되어 폐기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전극 기재 롤에 이음작업을 행하고 필요한 전극 가공 공정을 거친 후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경우에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여 센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일이 작업자가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확인하여 절단 작업을 행하지 않더라도 자동화된 공정으로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인식하여 절단 작업을 행하여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는 박판 형태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100)과,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형성된 컬러인쇄층(400)과,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200)과,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이형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여러 가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계열의 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2차전지 전극 제조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마찰 등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2차전지의 전극 제조에 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매우 크므로 금속 계열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필름(100)을 제조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필름(100)이 2차전지 제조공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연신폴리프로필렌(OPP) 또는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필름(100)을 제조하는 것이 가공성이나 내구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두께는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2차전지 전극 제조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0~200㎛의 범위에서 부드러운 재질의 베이스필름(100)인 경우에는 두껍게,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베이스필름(100)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는 센서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색상이 코팅되어 있는 컬러인쇄층(400)이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되는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색상 센서 등 특정한 색상을 감지하여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이면 어떤 것이든 족하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하는데, 적외선 센서를 채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컬러인쇄층(400)에 코팅되는 색상은 백색이나 녹색을 주로 사용하게 되고, 백색이 포함되어 있는 녹색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백색이 포함되어 있는 녹색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먼저 백색을 상기 베이스필름(100) 상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에 다시 녹색을 도포하여 2중으로 코팅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상기 컬러인쇄층(400)을 형성함으로써 전극 기재(10)에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연속적으로 필요한 가공 공정을 수행한 후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하여 절단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 센서에 의하여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인식하여 절단 작업이 행하여지도록 자동화 제조 공정을 갖추어 생산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컬러인쇄층(400)을 센서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투명 재질이나 반투명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하면에는 접착제(210)를 도포하여 접착층(200)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중심부에만 접착제(210)를 도포하여 접착층(200)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비워두고 중심부에만 접착제(210)를 도포함으로써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전극 기재(10)에 부착한 채로 여러 가지 가공 작업 중 가열이나 가압에 의하여 접착제(210)가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좌우 외측으로 누출되어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컬러인쇄층(100)에 도포되는 접착제(210)의 두께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상기 접착층(200)의 두께를 5~50㎛ 정도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접착층(200)이 형성되는 좌우 넓이는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좌우 전체 넓이와 비교하여 50~99%가 되도록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하면에 상기 접착제(210)를 도포하여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하면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0.5~25%의 여백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준다.
즉, 만약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넓이가 10㎝라고 하면 상기 접착제(210)는 5~9.9㎝의 넓이로 도포될 수 있으며, 좌우측에는 각각 0.5~25㎜의 여백공간이 형성되게 될 것이다.
대체로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넓이가 10㎝정도인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210)를 9㎝정도의 넓이로 도포하여 좌우측에 각각 5㎜정도의 여백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접착제(210)가 도포되는 넓이는 전극 기재를 단단하게 이어줄 수 있는 최소한의 넓이를 채택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200)을 형성하는 접착제(210)로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음 작업한 전극 기재(10)가 여러 가지 가공 작업 도중에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떨어져 분리되지 않도록 높은 점착력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접착층(200)의 하부에는 상기 이형지(300)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이형지(300)의 상면에는 실리콘 수지 등이 코팅되어 있어 상기 접착층(200)의 접착제(210)와 완전히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전극 기재(10)의 이음작업 시 상기 이형지(300)를 떼어내고 붙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이형지(300)는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필름(100)과 접착층(2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형지(300) 대신 이형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는 OPP롤테이프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형지(300)나 이형필름이 없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컬러인쇄층(400) 하면의 접착제(210)가 도포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을 아무 처리도 하지 않고 비워 둘 수도 있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에 점착제(220)를 부가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접착층(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220)는 상기 접착제(210)보다 점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 반응시킨 아크릴계 고분자를 주체로 하는 아크릴 계열의 점착제(220)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상기 점착제(220)는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전극 기재(10)에 부착하였을 때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좌우측 가장자리의 상기 점착제(220)가 도포된 부분은 차후 다시 용이하게 떨어짐으로써 전극이 손상되어 폐기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리무버블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전극 기재(10)에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필요한 가공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는 상기 베이스필름(100)과 컬러인쇄층(400)이 전극 기재(10)에 단단히 점착되어 상기 접착제(210)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다가, 전극 기재(10)에서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필름(100)과 컬러인쇄층(400)의 좌우 외측을 기준으로 절단하지 않고 가장자리 내측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절단되고 전극 기재(10)에 남은 상기 베이스필름(100)과 컬러인쇄층(400)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전극 기재(10)에 손상을 가하거나 상기 점착제(220)가 잔류하지 않고 깨끗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점착제(220)는 초기 점착력은 어느 정도 높지만 차후 궁극적인 점착력은 낮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50~2000g/25㎜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는 아크릴 계열의 점착제를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접착층(200)이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210)의 도포 두께와 동일한 5~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사용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단의 전극 기재(10) 끝단과 후단의 전극 기재(10)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접착층(200) 하단의 상기 이형지(300)를 제거한 후 상기 접착층(200)이 전단과 후단의 전극기재에 골고루 걸쳐 위치할 수 있도록 잘 부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착층(200)을 상기 컬러인쇄층(400) 하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중심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도중이나 부착 후 전극 기재(10)를 가공하는 도중에 가열이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200)을 이루는 접착제(210)가 외측으로 누출되어 전극 기재(10)나 가공 장치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극 기재(10)의 상면이나 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겠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나중에 절단 작업을 무리 없이 수행하기 위해서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전단의 전극 기재(10)와 후단의 전극 기재(10)를 이음 작업한 후 필요한 가공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가공 공정이 끝난 후 다시 전단의 전극 기재(10)와 후단의 전극 기재(10)를 분리하는 절단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데, 상기 컬러인쇄층(400) 하면 전체에 상기 접착층(20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누출된 접착제(210)을 고려하여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좌우 가장자리 외측(예를 들면, 도 3에서 A-A'선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야 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전극 기재(10) 부분도 함께 절단하거나, 롤 형태로 권취되어 인접하고 있는 전극 기재(10)에도 손상이 발생한 경우는 한 바퀴 또는 그 이상 권취된 전극 기재(10) 전부를 절단하여 폐기하게 되어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에서 상기 접착제(210)가 도포되지 않은 상기 베이스필름(100)과 컬러인쇄층(400)의 좌우 가장자리 내측(예를 들면, 도 3에서 C-C'선과 D-D'선)을 기준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낭비되는 전극 기재(10)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상기 점착제(220)가 도포되어 있더라도 절단 작업 후 무리 없이 남아있는 베이스필름(100)을 제거하여 전극 기재를 사용하거나 폐기되어 낭비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는 센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컬러인쇄층(40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극 기재(10)의 여러 가지 가공 공정에 연속하여 절단 작업도 자동화 공정의 일환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는 박판 형태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100)과,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형성된 실리콘경화수지층(500)과,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형성된 컬러인쇄층(400)과,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200)과,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이형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경화수지층(500)은 상기 베이스필름(100)을 보호하고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로 인한 전극 기재(10)의 오염이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리콘경화수지층(500)은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상면에 실리콘수지를 코팅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필름(100) 하면에 위치한 상기 컬러인쇄층(400)이 센서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두께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연신폴리프로필렌(OPP) 또는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주의하여야 할 것은 상기 베이스필름(100)의 하면에 상기 컬러인쇄층(400)이 형성되므로 센서에 의하여 상기 컬러인쇄층(400)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필름(100)은 최대한 투명한 성질을 가지도록 제조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접착층(200)과 이형지(300)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접착층(20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러인쇄층(400)의 중심부에는 접착제(210)가 도포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점착제(220)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3(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의 사용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와 유사한 내용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전극 기재
100 - 베이스필름 200 - 접착층
210 - 접착제 220 - 점착제
300 - 이형지 400 - 컬러인쇄층
500 - 실리콘경화수지층

Claims (12)

  1. 박판 형태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1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이미드(PI)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전체 좌우 넓이와 대비하여 50~99% 넓이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 중심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점착제가 각각 더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의 점착력은 50~2000g/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필름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면과 상기 접착층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며,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색상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컬러인쇄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며, 실리콘수지가 코팅된 후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실리콘경화수지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KR1020120137752A 2012-11-30 2012-11-30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KR10143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52A KR101438929B1 (ko) 2012-11-30 2012-11-30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52A KR101438929B1 (ko) 2012-11-30 2012-11-30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00A true KR20140069900A (ko) 2014-06-10
KR101438929B1 KR101438929B1 (ko) 2014-09-05

Family

ID=5112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52A KR101438929B1 (ko) 2012-11-30 2012-11-30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9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21A1 (ko) * 2014-05-23 2015-11-26 조은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CN109428109A (zh) * 2017-09-05 2019-03-05 住友化学株式会社 二次电池用电极组件及二次电池用电极组件的制造方法
US20200127246A1 (en) * 2017-11-23 2020-04-23 Lg Chem,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O2022097913A1 (ko) 2020-11-06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시트 연결방법 및 전극 시트
KR20230066855A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합권취 전극의 롤맵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475B1 (ko) * 1998-07-09 2000-09-15 이효범 접착 사용이 편리한 양면점착 테이프
KR100819183B1 (ko) * 2007-10-19 2008-04-03 주식회사 코엠 리튬 이온전지 전극판에 테이프를 양면에 부착하여이음하는 이음장치 및 방법
JP5289007B2 (ja) 2008-11-20 2013-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マスキング用粘着シートおよびテープならびに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KR101292722B1 (ko) * 2011-02-24 2013-08-01 주식회사 영우 감압성 점착테이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21A1 (ko) * 2014-05-23 2015-11-26 조은미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US10184071B2 (en) 2014-05-23 2019-01-22 Eun Mi JO Adhesive tape for connecting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CN109428109A (zh) * 2017-09-05 2019-03-05 住友化学株式会社 二次电池用电极组件及二次电池用电极组件的制造方法
CN109428109B (zh) * 2017-09-05 2023-07-04 住友化学株式会社 二次电池用电极组件及二次电池用电极组件的制造方法
US20200127246A1 (en) * 2017-11-23 2020-04-23 Lg Chem,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O2022097913A1 (ko) 2020-11-06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시트 연결방법 및 전극 시트
KR20220061715A (ko)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시트 연결방법 및 전극 시트
KR20230066855A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합권취 전극의 롤맵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929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020B1 (ko) 테이프 부착 자동화 장치
KR101438929B1 (ko) 2차전지 전극 연결용 접착테이프
WO2016197382A1 (zh) 二次电池电芯
CN107643246B (zh) 一种热敏胶带发泡力的检测方法
US10249909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99227A (ja) 電池用粘着テープ
KR20160019314A (ko) 커브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6292321B2 (ja) 二次電池の電極接続用接着テープ
CN109888186B (zh) 薄型锂离子电池的极片装配定位方法
KR20110107528A (ko) 불연속적인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지팩 보호용 라벨 및 이를 이용한 전지팩의 라벨 접착 방법
KR101330880B1 (ko) 2차전지용 전극의 불량부분 식별용 라벨
CN110911761B (zh) 叠片电芯的制作方法和系统
US20190074550A1 (en)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KR101221009B1 (ko) 전극체의 상면 테이핑 장치 및 상면 테이핑 방법
KR101300105B1 (ko) 절곡부 눈금이 형성된 전지팩 보호용 라벨 및 이를 이용한 전지팩
CN108878987B (zh) 二次电池及用于制造该二次电池的设备和方法
JP2012531023A (ja) 薄型電池を製造する方法
KR20220025500A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
CN214753841U (zh) 一种极耳槽位用胶纸及含该槽位的极片
KR101965830B1 (ko) 롤 프레스 및 롤 프레스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313324B1 (ko) 위치 어긋남을 저감한 전지팩 보호용 외장 필름
CN113764767A (zh) 易于电芯卷绕体拆解的贴胶结构
EP3425717B1 (en) Lamination device
CN205974353U (zh) 一种单面超轻剥离pet离型膜
KR101951435B1 (ko) 자동화 클램핑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