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327A -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327A
KR20140069327A KR1020147011623A KR20147011623A KR20140069327A KR 20140069327 A KR20140069327 A KR 20140069327A KR 1020147011623 A KR1020147011623 A KR 1020147011623A KR 20147011623 A KR20147011623 A KR 20147011623A KR 20140069327 A KR20140069327 A KR 2014006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omagnetic relay
permanent magnet
metal pl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000B1 (ko
Inventor
가즈오 구보노
다카시 유바
요이치 하세가와
다쿠지 무라코시
준야 세키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꾸 호우진 시즈오까 다이가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꾸 호우진 시즈오까 다이가꾸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접근/이격하는 제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접점;과, 상기 접점의 외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방향 및 제 2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극성 방향을 가지는 영구 자석;과, 상기 접점에 통전되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상기 영구 자석에 근거하여 작용하는 로렌츠 힘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향하는 비자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 릴레이{AN 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자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릴레이는, 예를 들어, 가정용, 산업용 및 자동차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특허 문헌 1 에 기재되는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전기 회로상 전류의 통전/차단을 접점 개폐에 의해 행하고 있다. 이러한 개폐를 행하는 접점을 구성하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가동 접점의 고정 접점에 대한 접근/이격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서로 이격할 때 또는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접근할 때에 있어, 전압이 최소아크전압보다 커지거나 또는 전류가 최소아크전류보다 커지는 경우에 아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개공보 특개2012-89484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아크가 전류와 동일한 자기적 성질을 가짐을 이용하여, 접점 근방에 위치하는 자석의 자속에 근거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전자기력 (로렌츠 힘) 을 아크에 작용시켜, 그 방향을 휘게 하고 편향시켜 날려 버림으로써 아크를 제거하는 기술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아크를 편향시켜 늘임으로써 차단 성능을 높이는 점을 고려할 때, 전자기 릴레이의 외형 치수가 작아지는 만큼 아크를 늘이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져서, 아크의 제거 효과 향상과 소형화를 충분히 양립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외형 치수에 관계없이 아크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접점과 당해 고정 접점에 대해 접근/이격하는 제1 및 제2 방향에 변위 가능한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과, 당해 접점의 외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극성 방향을 가지는 영구 자석과, 상기 접점에 통전되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상기 영구 자석에 근거하여 작용하는 로렌츠 힘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향하는 비자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폐 성능을 높이고, 아크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단면도이다 .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비자성체의 양태와 박스형 부품과의 고정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 비자성체와 접점 간 거리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아크차단시간의 정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의 아크 제거 양태의 상세를, 영구 자석을 향하는 방향에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 비자성체와 접점 간 거리와, 아크차단시간과의 상관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의 아크 제거 양태를 관련 기술과의 비교에 근거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개략과 일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자기 릴레이
2 고정 접점
3 가동 접점
4 영구 자석
5 금속판 (비자성체)
6 플러스 단자
7 마이너스 단자
8 가동부
9 축심
10 압접 스프링
11 하우징
12 복귀 스프링
13 E 링 (고정구)
14 가동 철심
15 요크
16 코일 전선
17 배리어
18 요크
21 전자기 릴레이
22 고정 접점
23 가동 접점
23A 가동 암
24 영구 자석
25 금속판 (비자성체)
26 플러스 단자
27 마이너스 단자
100 접점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일부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과 이격 (분리) 하는 방향에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일부를, 영구 자석에 향하는 방향에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 는, 고정 접점(2)과, 고정 접점(2)에 대하여 접근/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접점(3)을 포함한다.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점(3)은 원주형이고, 접점(100)을 구성한다. 접점 (100) 에서 전류는 방향 I (도 1 의 지면 뒤쪽으로 향하는 방향)로 흐른다.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점(3) 은, 방향 I 로 서로 대향하면서 나란히 배치된다. 방향 I는 가동 접점 (3) 이 고정 접점 (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일치한다.
전자기 릴레이(1)는 또한 영구 자석(4) 을 포함한다. 영구 자석(4)은, 도 1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N극 과 S극을 가진다. N극에서 S극으로의 방향 및 S극에서 N극으로의 방향은 영구 자석(4)의 극성 방향이고, 도 1 에서 쌍방향 화살표 NS로 나타낸다. 접점(100)에서 아크에 작용하는 로렌츠 힘의 방향은, 도 1에 화살표 R로 나타낸다. 영구 자석(4)은 그 자성 방향 NS 이 방향 I 및 방향 R 에 수직이 되도록, 접점(100) 의 외주측 측방에 배치된다. 즉, 자성 방향 NS 은 가동 접점 (3) 의 고정 접점 (2) 에 대한 접근/이격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전자기 릴레이(1)는 또한 평판형 금속판 (5) (비자성체) 을 포함한다. 금속판 (5) 은 자성 방향 NS 과 방향 I 모두에 수직인 방향 R에 수직으로, 접점 (100) 의 측방에 배치된다. 금속판 (5) 은 접점(100) 에 통전되는 직류 전류에 있어, 영구 자석(4) 에 따라 작용하는 로렌츠 힘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향한다. 도 1은 접점 (100) 에 있어, 고정 접점 (2) 으로부터 가동 접점 (3) 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100) 의 +극을 구성하는 고정 접점 (2) 과, -극을 구성하는 가동 접점(3) 을 병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영구 자석(4) 의 N 극 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보면, 아크 방전 AI은 가동 접점 (3) 으로부터 고정 접점 (2) 으로 실을 거는 것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아크 방전 AI (간단히 “아크” 라고도 함) 이란, 고정 접점(2) 과 가동 접점(3) 의 사이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E과 임의의 저항 (R1)이 접속되어 폐회로를 이루어 전기적 부하가 걸리는 상태에서, 고정 접점(2)의 표면과 가동 접점(3)의 표면 사이의 공극, 즉, 갭을 통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에 시작되는 것이며, 고정 접점(2)의 표면과 아크 방전 AI 과의 경계 부분 및 가동 접점(3) 의 표면과 아크 방전 AI 과의 경계 부분, 즉 양극 다리 부분과 음극 다리 부분에서 고정 접점(2) 의 표면과 가동 접점(3) 의 표면이 각각 가열된다. 양극 다리 부분은 전자 충격, 음극 다리 부분은 이온 충격에 의해 가열된다. 양극과 음극은 아크 방전 AI 으로부터의 열전도 및 방사에 의해서도 가열된다. 이와 같은 양극과 음극 양쪽에서의 가열은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재료의 증발을 초래하여,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점(3) 양쪽의 소모가 증가한다.
이에, 실시예1 의 전자기 릴레이(1)에서는, 접점(100)의 내구성 향상 및 차단성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비자성체와 영구자석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발생된 아크 방전 AI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실시예 1 의 전자기 릴레이(1) 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가동 철심과 축심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전자기 릴레이(1)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 릴레이(1)는 플런저 타입이고, 축심에 대해 접점이 한 쌍 존재하는 원 프롬 엑스 타입이다. 즉, 전자기 릴레이(1)는,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접점(100)을 가진다. 도 3에서는, 좌측의 접점(100)인 고정 접점(2)이 플러스 단자(6)에 접속되고, 우측의 접점(100)인 고정 접점(2)이 마이너스 단자(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도 3에서 좌측 접점(100)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조합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점(3) 의 위치는, 도 3 에서의 우측 접점 (100)에서는 반대가 된다.
좌우 한 쌍의 접점(100) 각각의 가동 접점(3)은 직육면체 모양의 가동부(8)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가동부(8)는 압접 스프링 (10)을 통해 축심(9)에 연결되어 있다. 축심(9) 에 있어 도 3 에 도시된 상단부는, 플러스 단자 (6) 및 마이너스 단자(7) 를 고정하는 하우징(11)에 복귀 스프링 (12) 및 E 링 (13)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축심(9) 에 있어 도 3 에 도시된 하단부는, 가동 철심(14)이 가지는 바닥 있는 구멍부에 축심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 철심(14)의 외주측에는 링 모양의 요크(15)가 배치되고, 요크(15)의 외주 측에는 코일 전선(16)이 감겨서 배치된다. 코일 전선(16)의 외주측에는 전자기 차폐를 목적으로 하는 배리어(17)가 배치되고, 요크(15)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하단부와 코일 전선(16)을 지지하면서 밖에서 감싸며 하우징(11)에 적절하게 접합되는 바닥 뚜껑 모양의 요크(18)가 배치된다.
전자기 릴레이(1)는 한 쌍의 금속판(5)을 포함한다. 금속판(5)은,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은 등의 강자성체가 아닌, 비자성체 중 어느 것 또는 그것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금속판(5)의 형상은, 도 1, 도 2 의 개념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로렌츠 힘에 의해 날려지는 아크 방전 AI이 금속판(5)의 표면에서 늘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도 4(a)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100)의 접촉면을, 가동 접점(3)의 고정 접점(2)에 대한 접근/이격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으로부터 밖에서 덮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서는, 이러한 밖에서 덮는 형태의 일례로서 U자 기둥 형태가 채택되어 있다. 하우징(11) 은 이러한 U자 기둥 모양의 금속판(5) 이 수납되어 압입 고정가능한 한 쌍의 오목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각 오목부(11a)는 대응하는 접점(100)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U자 기둥 모양의 금속판(5)을 가동 접점(3)이 고정 접점(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에서 (도 4(a) 도시 기준 위쪽에서) 압입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한 쌍의 금속판(5)은, 도 4(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오목부(11a)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도 4(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 릴레이(1)는 한 쌍의 평판형 영구자석(4)을 구비하고, 하우징(11)은 영구자석(4)이 수납되어 압입 고정 가능한 오목부(11b)를 더 구비한다. 한 쌍의 영구 자석(4)은 각각 대응하는 오목부(11b)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박스형 부품인 하우징 (11) 내부의 공간은, 진공화하거나 또는 가스 주입을 실시하지 않는다.
코일 전선(16)은 도 3 에 도시되지 않은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단자부에 여자(勵磁)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12)의 탄성력에 따라 축심(9) 및 가동 철심(14)이 도 3 도시 기준 아랫쪽으로 가압되어,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점(3)으로 구성되는 접점(100)의 열림 상태로의 전환 또는 유지가 이루어진다. 단자부에 여자전류가 인가되면, 코일 전선(16) 및 요크 (15,18)에서 발생하는 가동 철심(14)을 도 3 도시 기준 위쪽으로 흡인하는 힘에 의해, 축심(9) 및 가동부(8)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3)은 고정 접점(2)에 접촉하게 되어 닫힘 상태로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폐회로에서의 전압 V와 전류 I 를 접점(100) 에서의 아크 차단 전후에 측정하면, 도 5에서의 파형이 된다. 전류 I는 차단 초기에 계단 모양으로 하강한 후, 2 밀리세컨드 정도 동안 조금씩 감소했다가, 그 후 급격히 감소하며, 전압 V는 차단 초기에 계단 모양으로 상승한 후, 2 밀리세컨드 정도 동안 조금씩 증가했다가, 그 후 급격히 증가하여 소정값에 도달한다.
전자기 릴레이(1)의 접점(100)에서의 아크 차단시간 T은, 전류 I 가 계단 모양으로 하강한 후 전압 V가 최종적으로 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이 아크 차단시간 T이 짧을수록, 아크 방전 AI 의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각 접점(100)을 구성하는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점(3)의 금속판(5) 과의 거리,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아크 방전 AI이 날려지는 방향에서의 거리 D와 아크 차단시간 T과의 관계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D 의 감소에 대해 아크 차단시간 T이 조금씩 감소하는 형태를 이룬다.
로렌츠 힘에 의해 날려지는 아크 방전 AI을 보다 효과적으로 금속판(5)에 충돌시킴에 있어서는, 거리 D가 짧은 것이 충돌 에너지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거리 D를 너무 작게 설정하면, 각 접점(100)에 있어 고정 접점(2)의 측면 또는 가동 접점(3)의 측면과 금속판(5) 과의 사이에서, 도 6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역방향 Ω 자형으로 아크 방전 AI을 늘이는데에 필요한 틈새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고정 접점(2)의 측면이 실질적으로는 플러스 단자(6) 또는 마이너스 단자(7) 인데, 플러스 단자(6) 또는 마이너스 단자(7) 에, 예를 들어 철 계통의 강자성체가 포함된 경우에는, 아크 방전 AI이 플러스 단자(6) 또는 마이너스 단자(7) 에 진입해 버릴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금속판(5)의 표면에 따르게 한 아크 방전 AI 의 접점 (100)과 금속판(5) 사이에서의 늘어남이 충분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전자기 릴레이(1)에 있어 도 7 에 나타내는 특성을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거리 D를 최소값 1mm 보다 큰 값, 예를 들어 1.5mm 정도 (소정의 범위) 로 설정한다.
실시예 1 의 전자기 릴레이(1) 에 의하면, 상술한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가지는 영구 자석(4)과 비자성체의 금속판(5)을 각 접점(100) 근방에 구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각 접점(100)의 개폐에 따라 고정 접점(2)과 가동 접점(3) 사이의 갭에 발생 하는 아크 방전 AI이 로렌츠 힘에 의해 날려 버려짐에 있어서, 금속판(5)을 로렌츠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호 모양의 아크 방전 AI을,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5)의 표면을 따라 늘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금속판(5)을 평판형으로 하고 있다.
즉, 실시예 1 의 전자기 릴레이(1) 에서는, 각 접점(100)에 있어 고정 접점(2)과 가동 접점(3)의 사이에서 가동 접점(3)의 고정 접점(2) 에 대한 접근/이격시 발생하는 아크 방전 AI을, 영구 자석(4) 이 발생시키는 자속과 아크 방전 AI 에 의해 발생하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근거하는 전자기력 (로렌츠 힘) 에 의해 접점(100) 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편향시켜 날려 버리고, 날려 버려진 아크 방전 AI을 금속판(5) (비자성체) 에 대해 충돌시킬 수 있다. 이 충돌에 의해, 아크 방전 AI을 금속판(5)의 면방향으로 늘여서, 아크 방전 AI 의 열에너지를 비자성체에 흡수시키고 아크 방전 AI 의 고정 접점(2) 과 가동 접점(3) 사이의 연장 거리를 가능한 한 길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아크 방전 AI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로렌츠 힘에 의해 아크 방전 AI이 날려지는 방향으로 금속판(5)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 방전 AI은 원호 형상을 이루어 단순히 직경 방향으로 팽창하는 형태가 되나, 비자성체인 금속판(5)이 설치됨으로써,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5) 내부에 아크 방전 AI이 진입하지 않고 표면에서 연장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서 금속판(5)에 의해 아크 방전 AI 의 열에너지가 흡수되고, 또한 아크 방전 AI 의 공간 내 연장 거리를 길게 하여 아크 방전 AI 의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의 금속판(5)은, 아크 방전 AI 이 하우징 (11) 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하우징 (11) 이 아크 방전 AI 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하우징(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손상에 따른 가스의 발생도 방지하여 각 접점(100) 의 접촉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스형 부품으로서의 하우징(11)의 손상을 방지하여 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11) 내부의 공간에 대해서는 진공화 또는 가스 주입을 행하지 않음으로 인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아크 방전 AI을 늘여서 열에너지를 낮추고 차단 성능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공간을, 금속판(5) 의 설치에 의해 필요한 최소한으로 하여, 하우징(11) 나아가 전자기 릴레이(1)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기 릴레이의 외형 치수에 관계없이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의 전자기 릴레이 (1) 에서는, 케이스를 이루는 박스형 부품으로서의 하우징(11)에 영구 자석(4)과 금속판(5)을 압입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영구 자석(4)과 금속판(5)이 하우징(11)에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미리 매설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후자의 성형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영구 자석(4)과 금속판(5)의 하우징(11)에의 고정을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하나의 공정에서 행할 수 있어서, 조립 용이성과 제조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을 플런저 타입의 전자기 릴레이에 적용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암 타입(힌지 타입)의 전자기 릴레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암 타입의 전자기 릴레이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실시예 2 의 전자기 릴레이(21)의 개략을 나타내고, 도 9 (b)는 전자기 릴레이(2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전자기 릴레이(21)는, 암 타입이면서 원 프롬 에이 타입의 전자기 릴레이에 본 발명을 적용한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100)을 구성하는 고정 접점(22)과 가동 접점(23)은 가동 접점(23)의 고정 접점(22)에 대한 접근/이격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영구 자석(24)은 가동 접점(23)을 지지하는 가동 암(23A)의 지지점에서 끝점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비자성체의 금속판(25)은, 가동 접점(23)의 고정 접점(22)에 대한 접근/이격방향으로 흐르는 아크 방전 AI 에 영구 자석(24)의 자성력에 의해 로렌츠 힘이 작용하여 날려지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여기에서는 영구 자석(24)보다 가동 암(23A)의 지지점 쪽에 배치된다. 가동 암(23A)은 플러스 단자(26)에 접속되고, 고정 접점(22)은 마이너스 단자(27)에 접속된다.
또한, 전자기 릴레이(21)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이루는 박스형 부품으로서의 하우징과, 가동 암(23A)을 구동하는 코일 전선 및 요크로 구성되는 구동부에 대해서는, 실시예 1 의 플런저 타입의 전자기 릴레이(1)와 기능적으로는 동등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 의 전자기 릴레이(21)는 암 타입이고, 접점(100)에 대해, 가동 접점(23)의 고정 접점(22)에 대한 접근/이격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밖에서 덮는 형태로 금속판(25)을 배치하는 것은, 가동 암(23a)의 요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판(25)은 평판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2의 전자기 릴레이(21)에서도, 고정 접점(22)과 가동 접점(23) 사이에서 접근/이격시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 AI을, 영구 자석(24) 에서 발생하는 자속 및 아크 방전 AI 에 의해 발생하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 로렌츠 힘에 의해, 접점(10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편향시켜 날려 버리고, 날려진 아크 방전 AI을 금속판(25)에 충돌시킬 수 있다. 이 충돌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크 방전 AI을 금속판(25)의 면방향으로 늘여서, 아크 방전 AI 의 열에너지를 비자성체에 흡수시켜 아크 방전 AI을 약화시키고, 아크 방전 AI 의 고정 접점(22)과 가동 접점(23) 사이의 연장 거리를 가능한 한 길게 함으로써 열에너지를 감소시키고, 보다 신속하게 아크 방전 AI을 제거할 수 있다. 하우징의 보호 효과, 소형화 효과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에서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을 가할 수 있다.

Claims (5)

  1.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접근/이격하는 제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접점;과,
    상기 접점의 외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방향 및 제 2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극성 방향을 가지는 영구 자석;과,
    상기 접점에 통전되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상기 영구 자석에 근거하여 작용하는 로렌츠 힘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향하는 비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의 형상이 평판형 또는 상기 접점을 밖에서 덮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와 상기 접점 사이의 거리를, 당해 거리와 상기 접점의 차단 시간 사이의 특성에 근거하여 소정 범위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를 이루는 박스형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형 부품의 복수의 오목부에 상기 영구 자석 및 상기 제한판을 각각 압입함으로써, 상기 박스형 부품에 상기 영구 자석 및 상기 제한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부품 내부의 공간에 대하여는 진공화 또는 가스 주입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KR1020147011623A 2012-09-21 2013-09-11 전자기 릴레이 KR101631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8953 2012-09-21
JP2012208953A JP5946382B2 (ja) 2012-09-21 2012-09-21 電磁継電器
PCT/JP2013/074513 WO2014045963A1 (ja) 2012-09-21 2013-09-11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327A true KR20140069327A (ko) 2014-06-09
KR101631000B1 KR101631000B1 (ko) 2016-06-15

Family

ID=5034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623A KR101631000B1 (ko) 2012-09-21 2013-09-11 전자기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0872B2 (ko)
EP (1) EP2763153B1 (ko)
JP (1) JP5946382B2 (ko)
KR (1) KR101631000B1 (ko)
CN (1) CN103907169B (ko)
WO (1) WO20140459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902A (ko) * 2016-10-05 2018-04-13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098A1 (ja) * 2013-06-28 2014-12-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JP6202943B2 (ja) * 2013-08-26 2017-09-2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265657B2 (ja) * 2013-08-26 2018-01-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EP3086351B1 (de) * 2015-04-22 2017-08-30 Ellenberger & Poensgen GmbH Leistungsrelais für ein fahrzeug
KR101943365B1 (ko) * 2015-10-14 2019-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102531475B1 (ko) * 2016-02-02 2023-05-11 엘에스일렉트릭(주) 릴레이
JP6536472B2 (ja) * 2016-04-28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JP6995337B2 (ja) * 2017-08-04 2022-01-14 松川精密股▲ふん▼有限公司 継電器
KR20210025959A (ko) *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2023013760A (ja) * 2021-07-16 2023-01-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リレー
TWI772120B (zh) * 2021-07-23 2022-07-21 松川精密股份有限公司 電磁繼電器
KR20230075641A (ko) 2021-11-23 2023-05-31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유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429A (en) * 1998-08-26 2000-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ingle pole relay switch
US6700466B1 (en) * 1999-10-14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or
US20110181381A1 (en) * 2010-01-26 2011-07-28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JP2012089484A (ja) 2010-10-15 2012-05-1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電磁開閉器
EP2639804A1 (en) * 2012-03-15 2013-09-18 Omron Corporation Sealed contac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6808B2 (ja) * 1992-07-02 2000-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US5583328A (en) * 1992-07-02 1996-12-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igh voltage switch including U-shaped, slitted stationary contact assembly with arc extinguishing/magnetic blowout features
JP3321963B2 (ja) * 1994-02-22 2002-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US20020018332A1 (en) * 2000-07-04 2002-02-14 Matthias Kroeker Arrangement having a contact element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other contact element
JP3778081B2 (ja) * 2001-12-25 2006-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消弧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用開閉器
JP2004311389A (ja) * 2003-02-21 2004-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JP2005026182A (ja) * 2003-07-02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JP2007305468A (ja)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US7982564B2 (en) * 2008-06-30 2011-07-19 Remy Technologies, Llc Starter solenoid with vibration resistant features
US8354906B2 (en) * 2008-09-05 2013-01-15 Anden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WO2011147458A1 (en) * 2010-05-28 2011-12-01 Abb Research Ltd A dc switching device
JP5806562B2 (ja) * 2011-01-12 2015-11-10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684650B2 (ja) * 2011-05-19 2015-03-18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991848B2 (ja) * 2012-04-27 2016-09-1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継電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429A (en) * 1998-08-26 2000-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ingle pole relay switch
US6700466B1 (en) * 1999-10-14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or
US20110181381A1 (en) * 2010-01-26 2011-07-28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JP2012089484A (ja) 2010-10-15 2012-05-1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電磁開閉器
EP2639804A1 (en) * 2012-03-15 2013-09-18 Omron Corporation Sealed contac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902A (ko) * 2016-10-05 2018-04-13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US10658141B2 (en) 2016-10-05 2020-05-19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3153B1 (en) 2016-06-15
CN103907169B (zh) 2016-10-12
US9330872B2 (en) 2016-05-03
US20140232489A1 (en) 2014-08-21
KR101631000B1 (ko) 2016-06-15
CN103907169A (zh) 2014-07-02
EP2763153A4 (en) 2015-05-27
JP5946382B2 (ja) 2016-07-06
EP2763153A1 (en) 2014-08-06
WO2014045963A1 (ja) 2014-03-27
JP2014063675A (ja)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000B1 (ko) 전자기 릴레이
KR101354405B1 (ko) 전자계전기 및 전자계전기의 제조방법
JP5560058B2 (ja) 電磁継電器
JP5918424B2 (ja) 電磁接触器
EP2975626B1 (en) Magnetic switch
US20160300673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6455171B2 (ja) 電磁接触器
JP5738209B2 (ja) 電磁継電器
JP2016012505A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US9679725B2 (en) Magnetic switch
JP5549642B2 (ja) 継電器
CA3006729A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lot motor therefor
US11404231B2 (en) Contact poin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11387063B2 (en) Contact poin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JP2012199123A (ja) リレー装置
JP5890112B2 (ja) 電磁継電器
JP5727871B2 (ja) 電磁継電器
JP4544172B2 (ja) 電磁継電器
CN110911234B (zh) 触点机构及使用该触点机构的电磁接触器
JP7357193B2 (ja) 電磁継電器
US20230326696A1 (en) Contact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relay
CN220856452U (zh) 接触器触头结构和接触器
EP4333016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JP2019096563A (ja)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WO2021215525A1 (ja) アーク拘束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