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473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8473A KR20140068473A KR1020120136003A KR20120136003A KR20140068473A KR 20140068473 A KR20140068473 A KR 20140068473A KR 1020120136003 A KR1020120136003 A KR 1020120136003A KR 20120136003 A KR20120136003 A KR 20120136003A KR 20140068473 A KR20140068473 A KR 201400684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auxiliary
- tray
- main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홀이 형성되는 구조물(Structure),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의 홀에 삽입되는 트레이(Tray)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몰드(Main Mold),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메인 몰드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보조 몰드(Auxiliary Mold) 및 상기 메인 몰드와 상기 보조 몰드를 연결하는 몰드 연결부(Mold 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홀이 형성되는 구조물(Structure),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의 홀에 삽입되는 트레이(Tray)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몰드(Main Mold),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메인 몰드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보조 몰드(Auxiliary Mold) 및 상기 메인 몰드와 상기 보조 몰드를 연결하는 몰드 연결부(Mold 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키기 위해 가입자 식별 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Tray)의 구조를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홀이 형성되는 구조물(Structure),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의 홀에 삽입되는 트레이(Tray)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몰드(Main Mold),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메인 몰드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보조 몰드(Auxiliary Mold) 및 상기 메인 몰드와 상기 보조 몰드를 연결하는 몰드 연결부(Mold 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몰드와 상기 보조 몰드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몰드의 길이는 상기 메인 몰드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몰드 연결부는 탄력성을 갖고, 상기 몰드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 몰드 및 상기 보조 몰드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연결부는 상기 보조 몰드와 중첩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메인 몰드와 중첩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식별 모듈을 단속하는 심 커버(SIM Cover),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Rod) 및 상기 로드에 가해진 힘을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의 일측 끝단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로드의 타측 끝단은 상기 힘 전달부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상기 보조 몰드와 상기 트레이 프레임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되는 커버(Cover),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ircuit Board) 및 배터리(Battery) 및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홀에 삽입되는 트레이(Tray)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및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몰드(Mold)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메인 부분(Main Portion),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메인 부분과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 부분에 연결되는 보조 부분(Auxiliary Portion), 상기 메인 부분과 상기 보조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Groove) 및 상기 보조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을 단속하는 심 커버(SIM Cover),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Rod) 및 상기 로드에 가해진 힘을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의 일측 끝단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로드의 타측 끝단은 상기 힘 전달부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트레이(Tray)의 몰드(Mold)의 특정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식별 모듈이 안착된 트레이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식별 모듈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 내지 도 20은 식별 모듈이 장착되는 트레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20은 식별 모듈이 장착되는 트레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디스플레이부(151)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측면커버(210, Side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측면커버(21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면커버(210)의 내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보드(Driving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51)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소정의 구동신호(Driving Signal)를 공급하기 위한 드라이브 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측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기판(Substrate)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판을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이라 칭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안착되는 트레이(Tray, 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5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220, Back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커버(220)는 측면커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22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사이에는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후면커버(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310)에는 회로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로기판(300)은 제어부(Controller)라 칭할 수 있다. 아울러, 회로기판(300)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로기판(300)에는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400)가 배치될 수 있다.
측면커버(210)에는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11)에 트레이(500)가 삽입되어 커넥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식별 모듈(390)이 장착되는 트레이(500)는 측면커버(210)의 홀(211)을 관통하여 커넥터(4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별 모듈(390)이 커넥터(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트레이(500)에 대응되는 홀(211)이 측면커버(210)에 형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인접한 소정의 구조물(Structure)에 트레이(500)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소정의 구조물은 측면커버(210)에 해당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 배치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기판(60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60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기판(500)에는 터치 센싱을 위한 전극 및 근접 센싱을 위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 3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회로기판(300)과 배터리(270)가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경우를 개시하고 있으나, 회로기판(300) 및/또는 배터리(270)는 프레임(310)이 아닌 다른 구조물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측면커버(210)와 후면커버(220)를 포함하고, 트레이(500)에 대응되는 홀(211)이 측면커버(210)에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윈도우 기판(600), 디스플레이부(151) 및 커버(200,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200)는 앞선 도 3에서 설명한 측면커버(210)와 후면커버(220)를 통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0)는 통합커버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커넥터(400)가 배치되는 회로기판(300)과 배터리(270)는 커버(2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200)에는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200)에 형성된 홀(201)에 트레이(500)가 삽입되고, 아울러 트레이(500)는 커넥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식별 모듈(390)이 장착되는 트레이(500)는 커버(200)의 홀(201)을 관통하여 커넥터(4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별 모듈(390)이 커넥터(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홀(201)이 형성되는 구조물은 커버(2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윈도우 기판(600), 디스플레이부(151) 및 커버(20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5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앞선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임의로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방식이 아닌, 미리 장착된 배터리(270)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임베디드 방식(Embedded Type)일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임의로 배터리(270)를 교환하기가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임베디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식별 모듈의 탈부착을 위해 트레이(5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은 임베디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임의로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탈부착 방식에서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20은 가입자 식별 모듈이 장착되는 트레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살펴보면, 트레이(500)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520), 메인 몰드(Main Mold, 510), 보조 몰드(Auxiliary Mold, 511), 몰드 연결부(Mold Connector, 5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프레임(520)은 식별 모듈을 안착시키고 구속시킬 수 있다.
트레이 프레임(520)에 안착되는 식별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 혹은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식별 모듈은 사용자 식별 모듈(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및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트레이 프레임(520)은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미도시)와의 용이한 연결을 위한 제 1 고리(First Hook, 521)와 제 2 고리(Second Hook, 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리(521)와 제 2 고리(522)는 제 1 방향(DR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몰드(510)는 트레이 프레이(520)에 연결될 수 있다. 반면에, 보조 몰드(511)는 트레이 프레임(52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방향(DR1)과 교차(혹은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메인 몰드(510)는 트레이 프레임(520)과 중첩(Overlap)할 수 있고, 보조 몰드(511)는 트레이 프레임(520)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몰드 연결부(530)는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경우와 같이,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의 후면에서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를 연결할 수 있다. 몰드 연결부(530)는 탄력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방향(DR1)으로 메인 몰드(510)의 길이(W1)는 보조 몰드(511)의 길이(W2)보다 더 길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제 2 방향(DR2)으로 메인 몰드(510) 및/또는 보조 몰드(511)의 두께(T1)는 몰드 연결부(530)의 두께(T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몰드 연결부(530)는 보조 몰드(511)와 중첩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532), 메인 몰드(510)와 중첩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531) 및 제 1 부분(532)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연결부(530)의 제 1 부분(532)은 보조 몰드(511)와 연결되고, 제 2 부분(531)은 메인 몰드(5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532)과 보조 몰드(511)의 사이 및 제 2 부분(531)과 메인 몰드(510)의 사이에는 각각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부분(532)과 보조 몰드(511)는 및 제 2 부분(531)과 메인 몰드(510)는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를 살펴보면, 몰드 연결부(530)의 제 1 부분(532)과 제 2 부분(531)의 사이에는 개구부(Opening, 5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536)는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의 경계 부분에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몰드 연결부(530)의 개구부(536)를 통해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의 양쪽 끝단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몰드 연결부(530)에서 개구부(536)가 형성된 영역의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으로의 폭(S3, S4)은 제 1 부분(532)의 폭(S2) 및 제 2 부분(531)의 폭(S1)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 3 방향(DR3)은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과 교차(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몰드 연결부(530)는 보조 몰드(511)에 대응되는 제 1 부분(532), 메인 몰드(510)에 대응되는 제 2 부분(531), 제 1 부분(532)과 제 2 부분(531)을 연결하는 제 3 부분(534)과 제 4 부분(5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부분(534)과 제 4 부분(535)은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의 경계부분에 위치하며 메인 몰드(510) 및 보조 몰드(511)와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으로 제 3 부분(534)의 폭(S3) 및 제 4 부분(535)의 폭(S4)은 제 1 부분(532)의 폭(S2) 및 제 2 부분(531)의 폭(S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몰드(511)의 움직임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몰드 연결부(53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몰드 연결부(530)는 보조 몰드(511)에 대응되는 제 1 부분(532), 메인 몰드(510)에 대응되는 제 2 부분(531), 제 1 부분(532)과 제 2 부분(531)을 연결하는 제 5 부분(53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부분(537)은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의 경계부분에 위치하며 메인 몰드(510) 및 보조 몰드(511)와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으로 제 5 부분(537)의 폭(S5)은 제 1 부분(532)의 폭(S2) 및 제 2 부분(531)의 폭(S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가입자 식별 모듈(SI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400)는 베이스부(Base Portion, 410), 심 커버(SIM Cover, 420), 로드(Rod, 430) 및 힘 전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10)는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단자(41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410)는 로드(430) 및/또는 힘 전달부(44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410)는 로드(430)가 장착되는 홈(Groove, 412)을 포함하고, 힘 전달부(440)가 배치되는 돌출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430)는 베이스부(410)에 마련된 홈(412)에 제 2 방향(DR2)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430)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기둥부(433), 기둥부(433)의 제 1 끝단에 위치하는 머리부(431), 기둥부(433)의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에 위치하는 받침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힘 전달부(440)는 제 1 다리(442), 제 1 다리(44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다리(443), 제 1 다리(442)와 제 2 다리(443)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홀(4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410)에 마련된 돌출부(413)는 힘 전달부(440)의 회전홀(44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힘 전달부(440)는 돌출부(41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다.
심 커버(420)는 베이스부(410)에 연결되어 식별 모듈이 이탈하지 않도록 단속할 수 있다.
심 커버(420)는 식별 모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식별 모듈이 물리적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제 1 이탈 방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심 커버(420)는 식별 모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식별 모듈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제 1 위치 결정부(422) 및 제 2 위치 결정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베이스부(410)와 심 커버(420)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커넥터(400)에 트레이(500)가 삽입되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로드(430)의 머리부(431)는 몰드 연결부(530)의 돌출부(533)에 대응되고, 로드(430)의 받침부(432)는 힘 전달부(440)의 제 1 다리(442)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힘 전달부(440)의 제 2 다리(443)는 트레이 프레임(520)에 대응될 수 있다.
힘 전달부(440)는 로드(430)에 가해진 힘을 트레이 프레임(52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몰드 연결부(530)는 탄력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3의 경우와 같이, 보조 몰드(511)가 몰드 연결부(530)에 의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 몰드(511)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보조 몰드(511)에 연결된 몰드 연결부(530)의 돌출부(533)가 로드(43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의 (B)의 경우와 같이, 로드(430)가 힘 전달부(44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힘 전달부(440)는 회전홀(44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힘 전달부(440)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 프레임(520)이 제 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보조 몰드(511)에 가해진 압력이 몰드 연결부(530)의 돌출부(533), 로드(430), 힘 전달부(440)를 거쳐 트레이 프레임(52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 프레임(52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500)를 용이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트레이(500)를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시키기 위해, 도 15의 경우와 같이,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2 방향(DR2)으로 보조 몰드(511)의 두께(D2)는 메인 몰드(510)의 두께(D1)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용이하게 보조 몰드(511)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서 트레이(500)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몰드 연결부(530)가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를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메인 몰드(510)와 보조 몰드(51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살펴보면, 트레이(500)에 포함된 몰드(600)는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메인 부분(Main Portion, 610), 제 1 방향(DR1)으로 메인 부분(610)과 인접하도록 메인 부분(610)에 연결되는 보조 부분(Auxiliary Portion,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몰드(600)의 제 1 면(First Surface, FS)과 제 2 면(Second Surface, SS)에는 각각 메인 부분(610)과 보조 부분(620)의 사이에서 홈(Groove, 63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몰드(600)에서 메인 부분(610)의 두께 및 보조 부분(620)의 두께는 메인 부분(610)과 보조 부분(620) 사이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부분(620)에 형성된 돌출부(621)가 로드에 용이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아울러, 몰드(600)는 보조 부분(620)으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부분(610)은 앞선 메인 몰드(510)에 대응되고, 보조 몰드(511)는 보조 부분(6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몰드(600)의 제 1 면(FS)과 제 2 면(SS) 중 어느 하나에는 메인 부분(610)과 보조 부분(620)의 사이에서 홈(6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보조 부분(620)에 형성된 돌출부(621)가 로드에 용이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보조 부분(620)에 돌출부(720)를 포함하는 추가 부분(Additional Portion, 70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720)를 포함하는 추가부분(700)은 몰드(600)의 보조부분(620)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추가부분(700)은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기반부(710)와 기반부(710)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72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로드(4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는 다른 비교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례가 도 20에 개시되어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비교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엣는 트레이의 메인몰드(510)만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트레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핀(Fin, 810) 등의 뾰족한 부분을 포함하는 기구물을 측면커버(210)(혹은 커버(200)에 형성된 홀(800)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면, 도시하지 않은 로드가 핀(810)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레이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비교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트레이를 탈착시키기 위해 핀(810) 등의 또 다른 구조물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트레이의 탈부착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핀(810) 등의 다른 구조물의 사용에 따른 제조단가의 상승이 유발될 수 있다.
반면에,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핀(810) 등의 다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보조 몰드(511)(혹은 보조부분(620))에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면 용이하게 트레이를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홀이 형성되는 구조물(Structure);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의 홀에 삽입되는 트레이(Tray);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몰드(Main Mold);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메인 몰드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보조 몰드(Auxiliary Mold); 및
상기 메인 몰드와 상기 보조 몰드를 연결하는 몰드 연결부(Mold Connecto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몰드와 상기 보조 몰드는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몰드의 길이는 상기 메인 몰드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몰드 연결부는 탄력성을 갖고,
상기 몰드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 몰드 및 상기 보조 몰드의 두께보다 얇은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연결부는
상기 보조 몰드와 중첩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메인 몰드와 중첩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식별 모듈을 단속하는 심 커버(SIM Cover);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Rod); 및
상기 로드에 가해진 힘을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 끝단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로드의 타측 끝단은 상기 힘 전달부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상기 보조 몰드와 상기 트레이 프레임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 -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되는 커버(Cover);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ircuit Board) 및 배터리(Battery); 및
식별 모듈(Identification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홀에 삽입되는 트레이(Tray);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프레임(Tray Frame); 및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몰드(Mold);
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메인 부분(Main Portion);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메인 부분과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 부분에 연결되는 보조 부분(Auxiliary Portion);
상기 메인 부분과 상기 보조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Groove); 및
상기 보조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식별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을 단속하는 심 커버(SIM Cover);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심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Rod); 및
상기 로드에 가해진 힘을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 끝단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기 로드의 타측 끝단은 상기 힘 전달부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6003A KR102018375B1 (ko) | 2012-11-28 | 2012-11-28 | 이동통신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6003A KR102018375B1 (ko) | 2012-11-28 | 2012-11-28 | 이동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8473A true KR20140068473A (ko) | 2014-06-09 |
KR102018375B1 KR102018375B1 (ko) | 2019-11-04 |
Family
ID=5112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6003A KR102018375B1 (ko) | 2012-11-28 | 2012-11-28 | 이동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83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76120A (zh) * | 2016-05-09 | 2018-12-21 | 夏普株式会社 | 便携终端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9881A (ja) * | 2004-10-21 | 2006-05-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蓋付きイジェクト装置および蓋付きイジェクト装置を搭載した携帯端末 |
KR20070107376A (ko) * | 2006-05-03 | 2007-11-0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메모리카드 착탈장치 |
-
2012
- 2012-11-28 KR KR1020120136003A patent/KR1020183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9881A (ja) * | 2004-10-21 | 2006-05-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蓋付きイジェクト装置および蓋付きイジェクト装置を搭載した携帯端末 |
KR20070107376A (ko) * | 2006-05-03 | 2007-11-0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메모리카드 착탈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76120A (zh) * | 2016-05-09 | 2018-12-21 | 夏普株式会社 | 便携终端 |
CN109076120B (zh) * | 2016-05-09 | 2021-01-01 | 夏普株式会社 | 便携终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8375B1 (ko) | 2019-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57333B2 (en) | Electronic device | |
EP3112977B1 (en) | Mobile terminal with means for dissipating heat from display driver | |
US10491728B2 (en) |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 |
US10775849B2 (en) | Flexib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9189028B2 (en) | Portable computer-communicator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 |
KR101396615B1 (ko) | 부품 조립체 | |
US10558833B2 (en) |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MX2010011083A (es) | Dispositivo electronico portatil con alojamiento para dos piezas. | |
US9507380B2 (en) | Assembly for attaching a lens to a housing | |
EP2515198B1 (en) | Slidable mobile terminal | |
EP3699724B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 |
KR20120034673A (ko) | 다중 배향용 장치 | |
KR20200095738A (ko) |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340622B2 (en) |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20100197342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KR20140073098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140068473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97617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200037953A (ko) | 도전성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도전성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
KR10196989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140057052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130106090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140063925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80491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02008B1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