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765A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765A
KR20140067765A KR1020120135432A KR20120135432A KR20140067765A KR 20140067765 A KR20140067765 A KR 20140067765A KR 1020120135432 A KR1020120135432 A KR 1020120135432A KR 20120135432 A KR20120135432 A KR 20120135432A KR 20140067765 A KR20140067765 A KR 2014006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image
behavior patte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778B1 (ko
Inventor
김형록
백승민
손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촬영된 시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시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행동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과의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Home network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댁내의 다양한 가전 기기들의 수요가 증대되고, 인터넷 접속과 데이터 공유를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이 활발해 지며 댁내 멀티미디어 단말기들과 가전기기들간의 결합 등에 관한 홈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란 댁내에 존재하는 2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댁내에서 사용되는 홈 네트워크는 PC를 중심으로 여러 주변 장치들을 연결하고 인터넷 사용을 공유하는 PC네트워크와 비디오, TV등과 같은 AV제품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AV네트워크,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백색 가전과 에너지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리빙 네트워크가 있다.
홈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및 전화선, 전력석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각 가전 기기의 제어 및 상호 제어 기능에 대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가전기기의 연동 및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각 가전기기들의 다양한 기능 구현에 따라 일부 한정적인 기능만을 구현하거나, 사용자 중심의 기능 적용에는 다소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기기와 사용자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홈 네트워크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적용한 댁내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전 기기 및 다양한 장치들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촬영된 시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시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행동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과의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 및 행동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및 행동패턴 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동패턴에 부합하도록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및 행동패턴에 따른 서비스 및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잇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적용된 댁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패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패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적용된 댁내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게이트웨이(10),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100)를 포함한다.
홈 게이트웨이(10)는 인터넷(20) 또는 광역 서비스 네트워크와 댁내 디지털 정보기기(100)간의 연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P주소 관리를 위한 내장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며 공중망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과 같은 복수의 서비스를 댁내 전체에 지원하게 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10)는 인터넷(2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여 댁내의 디지털 정보기기(100)들이 외부 인터넷 망(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정보 기기(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티브이(110), 냉장고(120), 냉난방기(130), 컴퓨터(140) 로봇청소기(150)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 내용 및 조작자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 및 각 디지털 정보기기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기기(10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사용자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에 각 위치에 존재하는 디지털 정보 기기(100)들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로 촬영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촬영 및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댁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100) 중 티브이(1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외의 디지털 정보 기기(100)들은 그 기능적 특징에 따른 기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가전 기기들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능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100) 중 티브이(110)는 카메라부(111), 센서부(112), 표시부(113), 입력부(114))), 통신부(115), 저장부(116) 및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1)는 상기 티브이(110)가 위치한 공간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촬영 및 인식을 위한 것으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113)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111)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상태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17) 및 저장부(116)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12)는 상기 디지털 가전 기기에 따라 해당 기능에 요구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브이(110)의 경우 사용자 접근에 의한 감지를 위한 접근센서를 포함하거나 화면의 터치를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112)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관전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센서부(112)에서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촬영 대상의 존재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센서 신호를 제어부(117)로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부(111)에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디지털 가전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티브이(110)의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11)에서 촬영된 사용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디지털 가전 기기(100)들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영상과 생활 패턴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14)는 사용자가 티브이(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14)는 키패드, 스위치, 터치패드, 조그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등록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댁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디지털 가전 기기들에 대한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통신부(115)는 티브이(110)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디지털 가전 기기(100)들간의 네트워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5)는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가전 기기(100) 및 인터넷과 연결되어 각 기기에서 획득 및 촬영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행동패턴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5)는 센서부(112)에서 감지되고, 상기 카메라부(111)를 통하여 사용자 촬영이 이루지는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경우 제어부(117)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디지털 가전 기기들에게 사용자 촬영 요청을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디지털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16)는 제어부(117)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댁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호 공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6)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제어부(117)의 제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하거나,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통상적으로 티브이(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17)는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디지털 가전 기기(100)들에게 데이터 공유 및 처리 요청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통신부(115)를 통하여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7)는 카메라부(111) 및 센서부(112)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저장부(116)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7)는 카메라부(111)에서 촬영되거나 다른 가전기기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부(116)에 기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행동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에 부합한 서비스 및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분석된 행동패턴에 따라 이상 행동패턴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가전 기기(110)는 댁내에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지털 가전기기들과 연결되고, 각 디지털 가전 기기에서 감지 및 촬영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행동 패턴에 따른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패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패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에서 역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디지털 가전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예로써 티브이 및 로봇 청소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동작 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지털 가전 기기의 동작 흐름과 유사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가전 기기(100)의 센서부(112)는 상기 디지털 가전 기기(100)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면(S402) 상기 감지된 사용자를 카메라부(111)에서 촬영한다.
상기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기초하여 제어부(117)는 저장부(116)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저장부(116)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안면 영상, 사용자의 아이디 등과 같은 기본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7)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 대한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6) 즉, 제어부(117)는 상기 카메라부(111)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도는 이미지의 상태 및 기 등록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영상과의 비교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카메라부(111)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 대한 신뢰도 확인 결과 기준 신뢰도 이상의 영상이 획득되지 않은 경우 제2 디지털 가전 기기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 및 통신부(115)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제2디지털 가전 기기의 예로는 이동이 용이한 이동 로봇 청소기로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봇 청소기는 이동이 용이하여 고정된 카메라가 아닌 다양한 각도 또는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한 위치에 존재하는 제1 디지털 가전 기기가 위치한 곳으로 상기 제2디지털 가전 기기를 이동하여 사용자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디지털 가전 기기는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편의 및 홈 네트워크 구성 상태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제어부(117)는 제1 디지털 가전 기기에서 사용자 영상이 획득되지 않으면 제2 디지털 가전 기기에 사용자 촬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408) 상기 제2 디지털 가전 기기로부터 촬영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410)
제어부(117)는 상기 제1 디지털 가전 기기 또는 제2디지털 가전 기기에서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기초하여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을 확인한다.(S412)
제어부(117)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및 그에 따른 행동패턴을 학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414)
상기 저장부(116)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ID)와 해당 사용자가 특정 날짜 및 시간에 위치한 곳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한 곳에서 사용자를 촬영한 디지털 가전 기기 및 상기 가전 기기에 대한 조작 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행동패턴 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 누적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누적된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한 공간 및 그에 대응되는 비율이 산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도 6은 소정 기간 동안 누적된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를 기초하여 특정 요일(시점)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어부(117)는 상기 카메라부(111)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부(116)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사용자 행동패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416)
제어부(117)는 예를 들어 사용자 ID AAA를 가진 사용자가 현재 시점(예를 들어, 일요일 오전 10시)에 거실에 존재하는 티브이에 포함되는 카메라에서 사용자가 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17)는 상기 사용자 행동패턴 조건에 부합한 정보가 획득되었으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해당 가전 기기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418) 즉,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티브이에 포함된 카메라에서 사용자가 해당 시점에 전원을 온 하도록 하는 행동패턴이 확인되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실의 티브이를 온하게 된다.
반면, 제어부(117)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한 위치정보와 시점 정보가 기 저장된 행동패턴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알람 또는 사용자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가전 기기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기 저장된 행동패턴 정보에 속하는 위치에서 감지되지 않거나 그 외의 특정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범위 내의 디지털 가전 기기에서 알람을 발생하거나 행동패턴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촬영된 시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시점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행동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지털 기기들과의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이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 미만이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디지털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지털 기기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가능한 디지털 기기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디지털 기기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 패턴 정보를 소정 기간 수집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기간 동안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디지털 가전기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 동안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 저장된 행동패턴 정보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로 알람을 발생하는
    디지털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로부터 주기적으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기기
  8.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 및 행동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및 행동패턴 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행동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영상이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영상이 기준 신뢰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및 행동패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영상의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 미만이면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영상 촬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35432A 2012-11-27 2012-11-27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432A KR102007778B1 (ko) 2012-11-27 2012-11-27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432A KR102007778B1 (ko) 2012-11-27 2012-11-27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765A true KR20140067765A (ko) 2014-06-05
KR102007778B1 KR102007778B1 (ko) 2019-08-06

Family

ID=5112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432A KR102007778B1 (ko) 2012-11-27 2012-11-27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027A (ko) * 2013-08-26 2015-03-06 주식회사 케이티 마루와 연결된 홈 게이트웨이의 청소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이동 청소 로봇
KR20180032358A (ko) * 2016-09-22 2018-03-30 (주)아씨오 홈 서비스 시스템
KR20190017267A (ko) * 2017-08-10 2019-0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607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124785A (ko) * 2011-05-04 2012-11-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607A (ko) * 2010-12-16 201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124785A (ko) * 2011-05-04 2012-11-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027A (ko) * 2013-08-26 2015-03-06 주식회사 케이티 마루와 연결된 홈 게이트웨이의 청소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이동 청소 로봇
KR20180032358A (ko) * 2016-09-22 2018-03-30 (주)아씨오 홈 서비스 시스템
KR20190017267A (ko) * 2017-08-10 2019-0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78B1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958B2 (en)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60335981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wearable device
US99782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JP5866551B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US9742582B2 (en) House monitoring system
JP2012124545A (ja) 操作制御装置
CN104460329A (zh) 智能设备连接方法及装置
WO2016079887A1 (en) Monitoring system
CN105635207A (zh) 运行状态检测方法和装置
KR20140137080A (ko) 무선 리모컨 기능을 갖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20160030382A (ko) 스트림 미디어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866538B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KR10200777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358064A (zh) 控制电视机的方法及设备
CN106406132A (zh) 设备控制方法和设备控制系统
KR20170034066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661905B2 (ja) 操作制御装置
KR101434173B1 (ko) 홈네트워크 단말기의 가상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13207520A (ja) 制御装置
JPH11284617A (ja) ネットワーク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のグループ化方法
JP2016100889A (ja) 宅内監視システム及び宅内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