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267A -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267A
KR20190017267A KR1020170101836A KR20170101836A KR20190017267A KR 20190017267 A KR20190017267 A KR 20190017267A KR 1020170101836 A KR1020170101836 A KR 1020170101836A KR 20170101836 A KR20170101836 A KR 20170101836A KR 20190017267 A KR20190017267 A KR 2019001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me
user
event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284B1 (ko
Inventor
류한영
김영미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2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하는 연결장치, 상기 연결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연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정보를 수집하고, 소정 주기 동안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정보를 기초로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벤트 발생시 알림메시지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MESTIC APPLIAN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 홈 네트워크가 구축된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사용자는 집안에 위치해 있지 않더라도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홈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제품별 전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1인 가구 및 고령화 시대가 가속화 되면서, 가족과 떨어져 혼자 생할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홀로 생활하는 사람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거나 모니터링해야 될 필요가 있으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순히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를 켜거나 끄는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인해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닌 타인이 가전제품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보호자가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41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6154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원격에서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상태 및 댁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제공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하는 연결장치, 상기 연결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연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정보를 수집하고, 소정 주기 동안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정보를 기초로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벤트 발생시 알림메시지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는, 복수의 가전기기간의 사용순서정보 및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패턴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간의 사용순서정보를 비교하거나,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도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순서정보 및 상기 사용시간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연결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생성 횟수 또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간의 시간 간격을 분석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의 통신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 중 상기 알림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복수의 연결장치와 통신하여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수신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알림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연결된 연결장치가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정보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정보를 기초로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알림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의 통신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 중 알림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전기기에서 상기 알림메시지가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 및 대상의 댁내에 대한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원격에 위치한 다른 댁내의 가전기기에서 해당 이벤트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1)은, 연결장치(100), 무선 AP(200), 사용자 단말(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연결장치(100)는 종래의 전기 플러그에 센싱 모듈, 정보 처리 모듈 및 통신 모듈이 부가된 스마트 플러그 또는 스마트 콘센트(멀티탭)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연결장치(100)는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상용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가전기기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100)는 전류 감지 센서로 구현된 센싱 모듈을 통해 연결장치(100)와 연결된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사용량을 측정하며, 정보 처리 모듈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연결장치(1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생성된 사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AP(200)는 댁내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연결장치(100)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AP(200)는 댁내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특정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AP(200)는 복수의 연결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연결장치(100)와 무선 AP(200)를 연결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AP(20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네트워크에 연결장치(100)를 등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댁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원격으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AP(200)와 연결된 연결장치의 종류(목록)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300)은 댁내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의 목록을 화상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복수의 가전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생성된 제어신호를 무선 AP(200)를 통해 제어하고자 할 가전기기와 연결된 연결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서로 다른 댁내에 배치된 무선 AP(200)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무선 AP(200)로부터 사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수집된 사용정보를 무선 AP(200)별로, 다시 말해 사용자별로 구분하며, 사용자별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400)는 생성된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40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4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400)는 통신부(410), 패턴정보 생성부(420) 및 이벤트 관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무선 AP(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무선 AP(200)로부터 사용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410)는 후술하는 이벤트 관리부(430)에 의해 생성된 알림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무선 AP(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특정 무선 AP(200)로 전달할 수 있다.
패턴정보 생성부(420)는 특정 무선 AP(2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사용정보를 기초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정보는 특정 무선 AP(200)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가전기기에 대한 동작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가전기기의 작동여부(온/오프 상태)와 전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턴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댁내 가전기기들의 사용 패턴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패턴정보는 특정 무선 AP(200)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들간의 사용순서정보 및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정보 생성부(420)는 에어컨에 대한 사용정보와 안방 조명에 대한 사용정보를 기초로 에어컨과 안방 조명의 사용 순서 및 사용시간에 대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정보 생성부(420)는 에어컨에 대한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에어컨을 오후 7시에 작동시킨 후 오후 8시에 정지시켰음을 확인하고, 안방 조명에 대한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안방 조명을 오후 7시 30분에 작동시킨 후 오후 7시 40분에 종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정보 생성부(420)는 '오후 7시 에어컨 작동-오후 7시 30분 안방 조명 작동-오후 7시 40분 안방 조명 소등-오후 8시 에어컨 정지'에 대한 플로우가 반영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430)는 패턴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패턴정보를 미리 저장되거나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정보는 댁내에 거주하며, 댁내 가전기기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제1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로 정의되며, 댁내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댁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제2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430)는 패턴정보 및 기준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간의 사용순서정보를 비교하거나,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벤트 관리부(430)는 패턴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관리부(430)는 사용순서정보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1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댁내에서 가전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이벤트 관리부(430)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로 댁내에 다른 사람이 존재한다는 알림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관리부(430)는 패턴정보의 사용순서정보가 제1 가전기기 턴온, 제2 가전기기 턴온, 제3 가전기기 턴온, 제1 가전기기 턴오프이고, 기준정보의 사용순서정보가 제1 가전기기 턴온, 제2 가전기기 턴온, 제4 가전기기 턴온, 제1 가전기기 턴오프인 경우, 유사도를 3/4=0.75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 0.6인 경우, 이벤트 관리부(430)는 사용순서정보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이벤트 관리부(430)는 산출된 유사도가 0.6 미만인 경우, 다른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벤트 관리부(430)는 사용시간정보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구간을 벗어난 경우,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해야 될 필요가 있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벤트 관리부(430)는 전기장판에 대한 사용시간정보를 분석하여, 전기장판이 현재 1시간째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정보에 포함된 사용시간정보가 30분인 경우, 패턴정보와 기준정보간의 유사도는 0.5 또는 2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임계구간이 0.6이상 1.4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유사도는 임계구간을 벗어나 있으므로, 이벤트 관리부(430)는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관리부(430)는 전기장판이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전기장판을 끄도록 유도하는 알림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관리부(430)는 이벤트가 발생한 빈도 및 발생된 이벤트간의 시간 간격을 분석하여 이벤트 정보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관리부(430)는 소정 시간구간 동안 생성된 이벤트 정보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관리부(430)는 소정 시간구간 동안 생성된 이벤트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설정개수 이상인 경우, 댁내에 긴급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벤트 관리부(43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설정개수 이상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비상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함께 참조하여 예를 들면, 이벤트 관리부(430)는 다른 사용자가 댁내에서 가전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이벤트 정보의 생성 개수가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해야 될 필요가 있는 상황에 대한 이벤트 정보의 생성 개수보다 많을 경우, 댁내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비상상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이벤트 관리부(430)는 다른 사용자가 댁내에서 가전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이벤트 정보의 생성 개수가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해야 될 필요가 있는 상황에 대한 이벤트 정보의 생성 개수보다 적은 경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비상상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관리부(43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설정개수 이하이더라도, 순차적으로 생성된 동일한 종류의 이벤트 정보의 생성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인 경우, 댁내에 긴급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관리부(430)는 다른 사용자가 댁내에서 가전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 이내에 반복하여 생성되는 경우, 댁내에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비상상황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43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 또는 무선 AP(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1 사용자 단말(310)은 제1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이며,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를 실제로 이용하는 사람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 휴대하는 단말기이며,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및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의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사람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서 원격으로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서버(400)는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200)를 통해 해당 AP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사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400)는 무선 AP(200)통해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정보를 기초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생성된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40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벤트 종류에 따른 알림메시지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400)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관리서버(40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구비된 복수의 가전기기들 중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에어컨을 켜둔 채 외출한 경우, 에어컨의 사용 시간이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에 포함된 사용시간을 초과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400)는 에어컨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켜져 있다는 알림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3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에어컨의 동작을 종료하겠습니까' 라는 안내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가 이에 동의하는 경우, 에어컨의 동작 종료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제2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배치된 무선 AP(2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AP(200)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미리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에어컨과 결합된 연결장치로 전송하고, 연결장치는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에어컨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가전기기의 사용현황을 분석하여 제1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가전기기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도 3의 제2 사용자 단말(320)에 의해 제2 사용자의 댁내에 알림메시지가 출력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이벤트 발생 시 관리서버(400)로부터 알림메시지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위치한 경우 알림 메시지를 가전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320)은 관리서버(40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의 위치가 제2 사용자가 거주하는 댁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가 제공하는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에 등록된 연결장치의 목록을 수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댁내의 홈 네트워크는 제1 연결장치(110) 내지 제4 연결장치(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320)은 각각의 연결장치가 어떤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장치(110)는 전등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연결장치(120)는 TV와 연결되어 있고, 제3 연결장치(130)는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4 연결장치(140)는 에어컨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사용자 단말(320)은 각각의 연결장치와 통신하여 연결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각 연결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전송한 연결장치, 다시 말해 거리가 가장 가까운 연결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연결장치와 연결된 가전기기의 종류를 더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연결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수신된 알림메시지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가전기기와 연결된 연결장치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연결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서, 연결된 가전기기의 종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제1 연결장치(110)가 제2 연결장치(120)보다 더욱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제2 사용자 단말(320)은 메시지를 출력 가능한 기기를 고려하기 때문에, 제1 연결장치(110)가 아닌 제2 연결장치(120)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연결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제2 연결장치(120)와 연결된 가전기기인 TV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2 연결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즉 TV가 켜진 후 알림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를 직접 TV로 전송하여 TV에서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의 댁내에 위치한 경우,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출력 장치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연결된 연결장치(100)가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10). 그리고, 제1 사용자의 댁내에 더 구비된 무선 AP(200)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장치로부터 사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무선 AP(200)는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무선 AP(200)로부터 수집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정보를 기초로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20). 패턴정보는 복수의 가전기기간의 사용순서 및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관리서버(400)는 생성된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30). 패턴정보와 기준정보간의 비교 방법 및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은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리서버(40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벤트 종류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320)로 전송할 수 있다(540).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20)은 알림메시지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주변에 위치한 가전기기에서 알림메시지가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전기기와 연결된 연결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연결장치
200: 무선 AP
300: 사용자 단말
400: 관리서버

Claims (11)

  1.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하는 연결장치;
    상기 연결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연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정보를 수집하고, 소정 주기 동안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정보를 기초로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벤트 발생시 알림메시지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는,
    복수의 가전기기간의 사용순서정보 및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패턴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간의 사용순서정보를 비교하거나, 개별 가전기기의 사용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도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별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순서정보 및 상기 사용시간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패턴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AP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연결장치로 전송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의 개수 또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간의 시간 간격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댁내에 대한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의 통신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 중 상기 알림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복수의 연결장치와 통신하여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수신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알림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결정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9. 제1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연결된 연결장치가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여부 및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정보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정보를 기초로 가전기기의 사용 패턴과 관련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패턴정보를 미리 학습된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알림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의 통신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무선 AP와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전기기 중 알림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가전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전기기에서 상기 알림메시지가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방법.
  11.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01836A 2017-08-10 2017-08-10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96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36A KR101965284B1 (ko) 2017-08-10 2017-08-10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36A KR101965284B1 (ko) 2017-08-10 2017-08-10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67A true KR20190017267A (ko) 2019-02-20
KR101965284B1 KR101965284B1 (ko) 2019-04-03

Family

ID=6556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36A KR101965284B1 (ko) 2017-08-10 2017-08-10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49A (ko) 2021-06-22 2022-12-29 박은영 재사용 마스크팩
KR102640534B1 (ko) * 2023-04-26 2024-02-27 (주)인스젠시스템즈 가정용 올인원 ap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50B1 (ko) 2010-02-05 2012-05-09 유노시스템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 측정과 이력 관리 시스템
KR20140067765A (ko) * 2012-11-27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61541B1 (ko) 2013-12-30 2015-10-19 전자부품연구원 전력 소비 패턴에 기반한 가전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2736A (ko) * 2015-03-20 2016-09-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9893A (ko) * 2015-04-06 2016-10-17 이상창 지능형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지능형 홈 모니터링 방법
KR20170088649A (ko) * 2016-01-25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50B1 (ko) 2010-02-05 2012-05-09 유노시스템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 측정과 이력 관리 시스템
KR20140067765A (ko) * 2012-11-27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61541B1 (ko) 2013-12-30 2015-10-19 전자부품연구원 전력 소비 패턴에 기반한 가전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2736A (ko) * 2015-03-20 2016-09-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9893A (ko) * 2015-04-06 2016-10-17 이상창 지능형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지능형 홈 모니터링 방법
KR20170088649A (ko) * 2016-01-25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49A (ko) 2021-06-22 2022-12-29 박은영 재사용 마스크팩
KR102640534B1 (ko) * 2023-04-26 2024-02-27 (주)인스젠시스템즈 가정용 올인원 ap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284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3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ecurity questions via connected security system
US105583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CN111613001B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US11941537B2 (en) Home wireless discovery
CN104885406B (zh) 用于在家庭网络系统中远程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设备
EP30722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Yeh et al. iPower: an energy conservation system for intelligent buildings by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4823411A (zh) 自动化系统的语音控制配置
CN105306318B (zh) 智能场景配置方法、装置和服务器
JP2020511703A (ja) インタラクティブ環境コントローラ
EP3272104B1 (en) A distributed network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huma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US11950325B2 (en) Gateway with backup power and communications system
KR20170006120A (ko) 재실 추론 확률에 기반한 홈 IoT 제어 시스템 및 홈 IoT 제어 방법
JP200921269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965284B1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20190130707A1 (en) Event notification using an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CN107409241A (zh) 用于聚合和分析系统状态的系统和方法
KR20190017517A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30097303A (ko)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8698A (ko) 홈 가전기기의 사용시간 및 사용횟수 감지를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202400479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electrical switches and associated devices using analytics
CN116915346A (zh) 用户行为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程序产品
KR20200048699A (ko) 긴급알람 전송을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90095616A (ko) 와이파이 엑세스 포인트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