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03A -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7303A KR20130097303A KR1020120018852A KR20120018852A KR20130097303A KR 20130097303 A KR20130097303 A KR 20130097303A KR 1020120018852 A KR1020120018852 A KR 1020120018852A KR 20120018852 A KR20120018852 A KR 20120018852A KR 20130097303 A KR20130097303 A KR 201300973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gital device
- device control
- information
- application service
- ss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탐지를 통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확인하고,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탐지를 통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확인하고,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라 자동으로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디지털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 초고속 인터넷 등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예를 들어, 집, 사무실, 자동차 등)내의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연결되고, 중앙의 제어 서버(예를 들어, 홈 서버 등)를 통해 특정 공간 내의 디지털 기기에 대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 스마트 오피스 서비스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휴대폰, PDA, WebPad, PC, TV 등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술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일일이 GUI 흐름을 따라가며 기기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기술 연구가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사용자의 직접적인 서비스 요청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수동적인 환경이 아닌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형의 서비스(invisible service)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 AP)를 통해 수십 미터의 반경(와이파이 존(Wi-Fi Zone))내에서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등과 같은 무선랜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의 경우 사용자가 어떤 와이파이 존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와이파이 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AP)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AP)의 탐지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어떤 와이파이 존으로 진입했는지 또는 해당 와이파이 존에서 빠져나왔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을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특정 공간 내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무형의 서비스(invisible service)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술한 종래 문제 및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해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진입 또는 이탈하였음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진입 또는 이탈에 따라 상기 특정 공간 내 존재하는 디지털 기기들을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이탈에 해당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하는 무선통신단말;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무선통신단말이, 특정 공간에 설치된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이탈에 해당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1단계;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2단계; 및 기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 공간 내 존재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이 집, 사무실 등 특정 공간의 와이파이 존에 설치된 AP를 탐지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이 집, 사무실 등 특정 공간의 와이파이 존에 설치된 AP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 제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오피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 제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오피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해 집, 사무실 등의 주생활 공간에 설치된 무선랜의 식별명(service set identifierd; SSID)과 키값(비밀번호)을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로 등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통신단말(10), AP(Acess Point)(20), 기기 제어 서버(30) 및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기기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특정 공간을 사용자의 주생활 공간인 집, 사무실을 포함한다.
그리고, AP(Acess Point)(20) 및 기기 제어 서버(30)는 집(40-1), 사무실(40-2) 내에 각각 설치되며, 각 기기 제어 서버(30)는 집(40-1) 또는 사무실(40-2) 내 설치된 디지털 기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기기는 컴퓨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정보기기와, DVD, 차량 항법 시스템, PDA, TV 게임, 디지털 TV, 냉장고, 전자 레인지 등 디지털화된 가전 제품의 정보 가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먼저, 무선통신단말(10)은 3G, 4G 또는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는 와이파이 기능을 갖춘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PDA, 테블릿 PC 등 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단말(10)은 디지털 기기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을 구성하는 AP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실시간 탐지하고, 탐지된 AP가 등록된 AP인지 확인하며, 등록된 AP인 경우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에 따라 특정 공간(40-1, 40-2)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다. 그런 다음, 무선통신다말(10)은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요청한다.
한편, 무선통신단말(10)은 탐지된 AP가 등록된 AP인 경우 탐지된 AP와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고,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특정 공간(40-1, 40-2)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단말(10)은 AP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된 경우,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하여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을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AP(20)는 각 특정 공간(40-1, 40-2)의 무선랜을 구성하는 장치로, 무선통신단말(10)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고유한 식별명(SSID)을 가진다. 여기서, 식별명(SSID)은 AP(2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AP(20)는 무선통신단말(10)로 식별명(SSID)을 제공하고,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키값을 이용해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AP의 인증 과정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에 있어서 공지된 일반적인 인증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기 제어 서버(30)는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자신이 관할하고 있는 공간의 디지털 기기를 설정 정보 및 선호도에 맞게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기기 제어 서버(30)가 집에 설치된 경우 홈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무실에 설치된 경우 오피스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스마트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기 제어 서버(30)는 디지털 기기들과 WLAN, Bluetooth, Zigbee 등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공간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한다.
또한, 기기 제어 서버(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디지털 기기들의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무선통신단말(10)과 3G, 4G, WLAN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며,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디지털 기기 제어가 요청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특정 공간의 기기 제어 서버(30)와 유무선랜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각 공간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기기 제어 서버(30)로 전송한다.
한편,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각 공간의 디지털 기기들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동될 수 있으며, 별도의 기기 제어 서버(30) 없이 디지털 기기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직접 전송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별로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들의 제어 시간 및 순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기기 제어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디지털 기기들의 사용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별로 시간, 요일 및 공간에 따른 선호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선호도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제어 패턴을 구축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무선통신단말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해 특정 공간에 설치된 AP의 식별명(SSID)을 한번 등록하는 것만으로 무선통신단말은 탐지된 AP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무선통신단말(10)은 디지털 기기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무선랜 탐지부(11), 무선 접속부(12),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 및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랜 탐지부(11)는 무선통신단말(10)의 현재 위치 주변에 설치된 무선랜을 탐지하고, 탐지된 무선랜 정보인 AP의 식별명(SSID)을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로 전달한다.
그리고, 무선 접속부(12)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탐지된 무선랜에 대한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 접속부(12)는 무선랜에 접속하기 전에 키값의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키값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접속부(12)는 무선랜과의 접속 해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는 현재 접속 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를 관리하고, 무선랜의 접속 및 접속해제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는 무선랜 탐지부(11)로부터 전달된 AP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로 전달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전달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를 이용해 특정 공간에 대한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이 확인되면 이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추가이면서, 추가된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SSID)일 경우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삭제이면서, 삭제된 식별명(SSID)이 진입으로 판단된 특정 공간의 무선랜 식별명(SSID)인 경우, 해당 특정 공간으로의 이탈로 판단한다.
한편,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대한 접속 여부를 이용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의 추가이면서, 추가된 식별명(SSID)에 접속된 경우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의 삭제이면서 삭제된 식별명(SSID)과 접속해제된 경우 특정 공간으로의 이탈로 판단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을 판단할 때,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이 설정값 이상일 때에만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한다.
이후,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특정 공간에 대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로 전달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는,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로부터 전달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요청한다.
즉,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는, 판단 결과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와,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디지철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는 3G, 4G 및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 제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기기 제어 서버(30)는 유무선 접속부(31), 실행 명령 분석부(32), 기기 제어 및 관리부(33), 근거리 무선 통신부(34) 및 기기 사용정보 전송부(35)를 포함한다.
또한, 기기 제어 서버(30)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 결과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사용정보가 저장된 기기 사용정보 DB(36)를 포함한다.
먼저, 유무선 접속부(31)는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와 기기 제어 서버(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무선 접속부(31)를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디지털 기기의 제어 결과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사용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실행 명령 분석부(32)는 수신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제어할 디지털 기기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서비스인 경우, 제어할 디지털 기기는 전등, 냉난방 기기, TV, 커튼, PC, 오디오, 가스 중간 밸브, 커피포트 등일 수 있으며, 스마트 오피스 서비스인 경우, 제어할 디지털 기기는 보안 시스템, 사무실의 전등, 냉난방 기기, PC, 프린터, 팩스, 인터넷 전화 등 일 수 있다.
그리고, 기기 제어 및 관리부(33)는 제어할 디지털 기기 정보를 이용해 해당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34)를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기기 제어 및 관리부(33)는 디지털 기기의 ON/OFF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기기 사용정보 DB(36)에 저장한다. 이때, 디지털 기기의 사용 정보는 ON/OFF 정보와 함께 시간 및 요일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기 사용정보 전송부(35)는 기기 사용정보 DB(36)에 저장된 기기 사용정보를 주기적으로 유무선 접속부(31)를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한다. 이후, 기기 사용정보는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산출에 이용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4)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중 하나를 지원하는 것으로, 디지털 기기들과 기기 제어 서버(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기기 제어 서버(30)는 제어 명령을 디지털 기기들로 전달하고, 디지털 기기들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유무선 접속부(51), 사용자 인증부(52), 응용서비스 검색부(53), 응용서비스 처리부(54), 선호도 정보 산출부(55) 및 응용서비스 설정부(56)를 포함한다.
또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서비스 가입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가입 정보, 사용자별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DB(57)를 포함한다.
먼저, 유무선 접속부(51)는, 무선통신단말(10) 및 특정 공간(40-1, 40-2)의 기기 제어 서버(30)와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유무선 접속부(51)를 통해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특정 공간의 기기제어 서버(50)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부(52)는,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수신된 가입자정보가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 정보인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인증부(302)는, 수신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있는지 서비스 가입자 DB(57)를 조회하고, 수신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존재하면 이를 응용서비스 검색부(53)로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52)는 수신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인증이 실패했음을 무선통신단말(10)로 통지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검색부(53)는, 수신된 가입자정보가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임이 확인되면(즉,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서비스 가입자 DB(57)로부터 사용자별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이를 응용서비스 처리부(54)로 전달한다. 또한, 응용서비스 검색부(53)는 서비스 가입자 DB(57)로부터 사용자별 선호도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이를 응용서비스 처리부(54)로 전달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처리부(54)는 전달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이용해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유무선 접속부(51)를 통해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선호도 정보 산출부(55)는 기기 제어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디지털 기기들의 사용정보를 시간, 요일 및 공간에 따라 분류하고 누적한 후, 일정 기간 동안 반복되는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행동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행동 패턴 정보를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로써 서비스 가입자 DB(57)에 저장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설정부(56)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디지털 기기 제어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응용서비스 설정부(56)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에 접속하면, 디지털 기기 제어를 설정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출력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특정 공간의 진입 또는 이탈시 제어할 디지털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 순서 및 제어 시간 등을 입력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별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로써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10)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한다(S501). 즉, 무선통신단말(10)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새로운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이 탐지되면 이에 따른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고,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게 된다.
그러면, 무선통신단말(10)이, 탐지 결과에 따라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다(S502).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탐지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를 판별하고,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의 추가인 경우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무선랜의 삭제인 경우 특정 공간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그런 다음,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한다(S503).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와,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3G 또는 4G망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기기 제어는, 상기 특정 공간이 집인 경우, 전등 점소등 제어, 냉난방 기기 동작 제어, TV 동작 제어, 커튼 동작 제어, PC 동작 제어, 오디오 동작 제어, 가스 중간 밸브 동작 제어, 커피포트 동작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공간이 사무실인 경우, 보안 시스템 동작 제어, 전등 점소등 제어, 냉난방 기기 동작 제어, PC 동작 제어, 프린터 및 팩스 동작 제어, 착신 전환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가,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입자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정당한 사용자이면 판단 결과에 따른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를 조회한다(S504). 이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특정 공간을 확인하며,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이용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별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가,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기기 제어 서버(30)로 전송한다(S505).
그러면, 기기 제어 서버(30)가, 수신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수행한다(S506).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에서, 무선랜 탐지부가,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로 전달하면,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전달된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한다(S601).
그런 다음,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그 변화를 탐지한다(S602).
이어서,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탐지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지 확인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 판별한 후, 판별 결과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로 전달하면,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전달된 판별 결과를 확인하여 미리 등록된 무선랜이면서 무선랜의 추가이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무선랜의 삭제이면 특정 공간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S603).
그런 다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로 전달하면,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전달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와,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604).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는 전달된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3G 또는 4G망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한다.
이어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부가, 서비스 가입자 DB를 조회하여 수신된 가입자정보의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한다(S605).
확인 결과, 정당한 사용자이면(S605, Y)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특정 공간을 확인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추출하고,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S606).
그러면, 기기 제어 서버가, 수신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기기를 제어한다(S607).
그런 다음, 기기 제어 서버가, 디지털 기기들로부터 제어결과를 수신하여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608).
또한, 기기 제어 서버가, 디지털 기기들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기기의 사용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608). 여기서, 기기의 사용정보는 디지털 기기의 ON/OFF 동작 정보와 함께 동작시 시간 및 요일 정보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10)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한다(S701). 즉, 무선통신단말(10)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새로운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이 탐지되면 이에 따른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고,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게 된다.
그러면, 무선통신단말(10)이, 탐지 결과에 따른 해당 무선랜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S702).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탐지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지 확인을 수행한 후 미리 등록된 무선랜이면서 무선랜의 추가이면 접속을, 무선랜의 삭제이면 접속해제를 수행하도록 무선 접속부를 제어한다. 즉, 무선 접속부가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에 해당하는 무선랜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무선통신단말(10)이, 무선랜을 통한 무선통신단말(10)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S703).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 접속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대기한다. 이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량 정보를 이용해 단위 시간(초)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무선통신단말(10)이,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다(S704).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의 접속 여부와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이용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무선랜과 접속된 경우 산출된 데이터 처리량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이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된 무선랜과 접속해제된 경우는 특정 공간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이어서, 무선통신단말(10)이,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한다(S705).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와,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한다.
그러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이면 판단 결과에 따른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를 조회한다(S706).
이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특정 공간을 확인하며,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별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를 조회한다.
그런 다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가,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기기 제어 서버(30)로 전송한다(S707).
그러면, 기기 제어 서버(30)가, 수신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수행한다(S708).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탐지부가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로 전달하면,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전달된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한다(S801).
이어서,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그 변화를 탐지한다(S702).
그런 다음,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 판별하고,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지 확인하다(S803).
이어서,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는 확인 결과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 경우,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랜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도록 무선 접속부를 제어하고, 무선 접속부가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랜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한다(S804).
그런 다음, 무선통신단말이 무선랜의 접속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면(S805, Y),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S806).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단말의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대기한다. 이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량으로부터 단위 시간(초)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
이어서,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의 접속 여부 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이용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한다(S807).
즉,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추가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이면서, 추가된 무선랜과 접속된 경우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이면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삭제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으로써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해제된 경우 특정 공간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이때, 접속해제의 경우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할 필요없이 무선랜의 접속해제를 이탈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전달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와,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는 전달된 판단 결과가 진입인 경우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며, 전달된 판단 결과가 이탈인 경우 3G 또는 4G망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된다.
이어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사용자 인증부가, 서비스 가입자 DB를 조회하여 수신된 가입자정보의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한다(S808).
확인 결과, 정당한 사용자이면(S808, Y),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특정 공간을 확인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추출하고,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S809).
그러면, 기기 제어 서버가, 수신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기기를 제어한다(S810).
그런 다음, 기기 제어 서버가, 디지털 기기들로부터 제어결과를 수신하여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811).
또한, 기기 제어 서버가, 디지털 기기들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기기의 사용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811). 여기서, 기기의 사용정보는 디지털 기기의 ON/OFF 동작 정보와 함께 동작시 시간 및 요일 정보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집으로 접근하면, 무선통신단말은 집에 설치된 AP를 자동으로 탐지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한 후, 탐지된 AP에 접속하고(S901), AP 접속을 통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무선통신다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T)을 산출한다(S902).
그런 다음, 무선통신단말은 산출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T)이 설정값 이상이면(S903, Y) 사용자가 집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S904).
이어서, 무선통신단말은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AP의 식별명(SSID) 정보, 진입 정보, 진입시 시간 정보 및 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905).
그러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S906, Y), AP의 식별명(SSID) 정보를 통해 특정 공간이 집임을 확인하고, 진입 정보, 진입시 시간 정보 및 가입자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선호도 정보를 검색한다(S907).
여기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는 진입 또는 이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입의 경우, 거실의 전등 점등, 냉난방 기기 ON, 드레스 룸의 전등 점등을, 이탈의 경우, 모든 전등의 소등, 냉난방 기기 OFF, 가스밸브 차단, TV OFF, 보안 시스템 ON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일정한 행동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시간별, 요일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일엔 아침 6시에 기상하여 샤워를 한 후 7시에 출근하는 패턴을 가지며, 주말엔 아침 8시에 기상하여 커피를 마시고 컴퓨터를 켜는 패턴을 가지고, 매일 저녁 10시에 TV 시청을 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사용자가 집에 진입한 상태에서, 시간 및 요일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따라 평일 아침 6시에 방의 전등을 점등하고, 보일러의 온수를 ON 시키고, 7시 이후에 이탈이 확인되면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보일러를 OFF 시킨다.
이어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검색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S908).
그러면, 기기 제어 서버는 수신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한다(S909). 예를 들어, 기기 제어 서버는 집으로의 진입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에 따라 거실의 전등 점등, 냉난방 기기 ON, 드레스 룸의 전등 점등되도록 제어 명령을 해당 디지털 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기기 제어 서버는 집으로의 진입에 따른 선호도 정보에 따라 저녁 10시에 TV를 ON되도록 TV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그런 다음, 기기 제어 서버는 제어 결과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무선통신단말은 무선랜의 접속 해제가 탐지되면(S910, Y), 집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하고(S911), 이어서, 단계 S905 ~ 단계 S909의 과정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오피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스마트 오피스 제공 방법은 도 9에서 설명한 스마트 홈 제공 방법과 비교하여 특정 공간이 집에서 사무실로 변경되고 제어할 디지털 기기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 외에 전체 동작 과정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스마트 오피스 제공 방법에서, 디지털 제어 기기의 설정 정보는 진입 또는 이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입의 경우, 보안 시스템 해제, 출근 체크, 사무실의 전등 점등, 냉난방 기기 ON, 컴퓨터 ON, 프린터 및 팩스 ON을, 이탈의 경우, 퇴근 체크, 모든 전등의 소등, 냉난방 기기 OFF, 컴퓨터 OFF, 프린터 및 팩스 OFF, 보안 시스템 ON 등이 가능하며, 12시부터 1시까지는 점심 시간으로 이탈로 판단되더라도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일정한 행동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시간별, 요일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2시부터 4시까지 냉난방 기기를 OFF 시키고, 12시부터 1시까지 전화기의 착신 전환을 설정하는 패턴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사무실에 진입한 상태에서, 시간 및 요일 정보를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따라 12시에 전화기의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 1시에 전화기의 착신 전환을 해제하고, 2시에 냉난방 기기를 OFF 시키고, 4시에 냉난방 기기를 ON 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무선통신단말 20. AP
30. 기기 제어 서버 40-1, 40-2. 특정 공간(집, 사무실)
50.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30. 기기 제어 서버 40-1, 40-2. 특정 공간(집, 사무실)
50.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16)
- 특정 공간에 설치된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이탈에 해당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를 요청하는 무선통신단말;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는 무선랜 탐지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이면서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과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는 무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이면서,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식별명(SSID)에 접속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로부터 삭제된 식별명(SSID)과 접속해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기기 제어 서버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유무선 접속부;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로부터 추출한 가입자정보가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 정보인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사용자 인증이 성공이면, 사용자별로 디지털 기기 제어에 대한 설정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검색하는 응용서비스 검색부; 및
검색된 디지털 기기 제어에 대한 설정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이용해 디지털 기긱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응용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기 제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디지털 기기들의 사용정보를 일정 기간동안 수집하여 시간, 요일 및 공간에 따라 분류하고 누적한 후, 설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패턴 정보를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로써 저장하는 선호도 정보 산출부; 및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디지털 기기 제어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비스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 제어는, 상기 특정 공간이 집인 경우, 전등 점소등 제어, 냉난방 기기 동작 제어, TV 동작 제어, 커튼 동작 제어, PC 동작 제어, 오디오 동작 제어, 가스 중간 밸브 동작 제어, 커피포트 동작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 제어는, 상기 특정 공간이 사무실인 경우, 보안 시스템 동작 제어, 전등 점소등 제어, 냉난방 기기 동작 제어, PC 동작 제어, 프린터 및 팩스 동작 제어, 착신 전환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 무선통신단말이, 특정 공간에 설치된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이탈에 해당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1단계;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2단계; 및
기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응용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 공간 내 존재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는 단계;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단계;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이면서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경우, 상기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된 경우, 상기 특정 공간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는 단계;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이면,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과의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과 접속된 경우 상기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로부터 삭제된 식별명(SSID)과 접속해제된 경우 상기 특정 공간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른 디지털 기기 제어를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으로의 진입 판단은, 상기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과 접속된 무선망을 통한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또는 이탈에 해당하는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는, 진입 또는 이탈 정보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와, 단말기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기기 제어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진입 또는 이탈 정보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와, 단말기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특정 공간을 확인하고, 상기 진입 또는 이탈 정보를 이용해 확인된 특정 공간에 대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디지털 기기 제어의 설정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이용해 디지털 기기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정보는 시간, 요일 및 공간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반복되는 행동 패턴 정보이며,
상기 제2단계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디지털 기기의 사용정보를 기기 제어 서버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디지털 기기의 사용정보를 시간 및 요일별로 누적하고, 일정 기간 동안 반복되는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이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방법. - 제9항 내지 제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852A KR20130097303A (ko) | 2012-02-24 | 2012-02-24 |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852A KR20130097303A (ko) | 2012-02-24 | 2012-02-24 |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7303A true KR20130097303A (ko) | 2013-09-03 |
Family
ID=4944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8852A KR20130097303A (ko) | 2012-02-24 | 2012-02-24 |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730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5503A (ko) * | 2014-11-10 | 2016-05-18 |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 무선랜을 이용한 원스톱 가전제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131139A (ko) * | 2016-05-20 | 2017-11-29 | 주식회사 경동원 | 보일러의 댁내제어장치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
US10530737B2 (en) | 2016-03-16 | 2020-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WO2022239989A1 (ko) * | 2021-05-10 | 2022-11-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
2012
- 2012-02-24 KR KR1020120018852A patent/KR201300973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5503A (ko) * | 2014-11-10 | 2016-05-18 |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 무선랜을 이용한 원스톱 가전제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US10530737B2 (en) | 2016-03-16 | 2020-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20170131139A (ko) * | 2016-05-20 | 2017-11-29 | 주식회사 경동원 | 보일러의 댁내제어장치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
WO2022239989A1 (ko) * | 2021-05-10 | 2022-11-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58323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 |
US1068552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ory locking and unlocking of a smart-sensor door lock | |
CN107197052B (zh) | 基于估计的用户位置来控制装置的方法和设备 | |
KR102252258B1 (ko)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101662396B1 (ko) |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US20140129006A1 (en) |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20144375A (ja) | システムの制御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20150350820A1 (en) | Beacon additional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background arts | |
US20180018081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Smart Home Information in a User Interface | |
US20120164975A1 (en) | Secure Wireless Device Area Network of a Cellular System | |
WO2017058001A1 (en) | A type of smart home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stant messasing (im) | |
KR101363586B1 (ko) | 근거리 유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CN103619019A (zh) | 一种无线网络的上网认证方法 | |
US941779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 |
WO2016203455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 |
KR20130097303A (ko) |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016450B1 (en) | Low energy network | |
CN110910541A (zh) | 门禁控制方法、系统、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20110129224A (ko) | 유해물 차단을 위해 통합제어모듈을 가지는 컴퓨터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유해물 차단시스템 | |
KR20010000287A (ko) | 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 |
KR20190017517A (ko) |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
CN101035126B (zh) | 授权装置的控制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 |
WO2020174737A1 (ja) |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 | |
KR101965284B1 (ko) |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
KR102417594B1 (ko) | 출입 이벤트를 통한 푸쉬 서비스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