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358A -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358A
KR20140066358A KR1020120133484A KR20120133484A KR20140066358A KR 20140066358 A KR20140066358 A KR 20140066358A KR 1020120133484 A KR1020120133484 A KR 1020120133484A KR 20120133484 A KR20120133484 A KR 20120133484A KR 20140066358 A KR20140066358 A KR 2014006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rapi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358A/ko
Publication of KR2014006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장치는, 자차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 중 ABS/ESC, 종감속도 및 해저드 램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차의 급제동 상황을 판정하는 급제동 판정부, 및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자차의 차량정보 및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BSM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stop warnn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간 통신을 통해 급제동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급제동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량이 급제동 시 이를 경보하여 주변, 특히, 후방의 차량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량의 감속도를 계산하고, 브레이크 작동을 판단하여 급제동을 판정하고, 급제동인 것으로 판정하면 차량 후방의 램프를 점멸 제어함으로써 후방이 차량이 후방의 램프를 통해 전방 차량의 급제동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선행차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 후방의 차량은 선행차의 후방 램프가 점멸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할 수 있으며, 급 커브와 같은 도로를 주행하거나 기상악화 상황에서도 선행차의 후방 램프 점멸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게다가, 선행차의 후방 램프가 고장난 경우에는 점멸 제어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급제동 상황에서 해당 차량의 정보를 차량간 통신을 통해 주변차량으로 송신하여, 주변차량이 급제동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간 통신을 통해 수신된 급제동 차량의 정보와 자차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간 충돌 상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급제동을 경보하는 장치로서, 상기 송신측 차량은, 자차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 중 ABS/ESC, 종감속도 및 해저드 램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차의 급제동 상황을 판정하는 급제동 판정부, 및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자차의 차량정보 및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BSM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측 차량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ABS 및 ESC 정보가 기 설정된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ABS/ESC 확인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자차의 종감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종감속도 확인부, 및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해저드 램프 또는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 확인하는 해저드 램프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측 차량은, 자차와 상기 수신측 차량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BSM 처리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BSM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급제동을 경보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신측 차량은, 상기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BSM 메시지를 분석하여, BSM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급제동 정보 확인부, 상기 급제동 정보 확인부에 의해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상기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하여 자차의 주행경로와 비교하고,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경로 확인부, 및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 확인부는, 상기 BSM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차량의 차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는,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측 차량은, 상기 송신측 차량과 자차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BSM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자차와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 간에 V2V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경보 제어부의 요청에 의해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급제동을 경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측 차량이, 자차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 중 ABS/ESC, 종감속도 및 해저드 램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차의 급제동 상황을 판정하는 단계, 및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자차의 차량정보 및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ABS 및 ESC 정보가 기 설정된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자차의 종감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해저드 램프 또는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급제동을 경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측 차량이, 상기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BSM 메시지를 분석하여, BSM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급제동 정보 확인부에 의해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상기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하여 자차의 주행경로와 비교하고,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측 차량이,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급제동 상황에서 해당 차량의 정보를 차량간 통신을 통해 주변차량으로 송신하여, 주변차량이 급제동 차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간 통신을 통해 수신된 급제동 차량의 정보와 자차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간 충돌 상황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간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제동 경보 장치에 의한 경보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간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주행 시 전방에 장애물이 갑자기 나타나게 되면, 차량은 급제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급제동 차량의 후방에 있는 차량이 급제동 차량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전방의 급제동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제동 차량은 급제동 시에 차량의 급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BSM(Baggage Source Message)을 생성하여 주변의 차량, 특히 후방의 차량으로 전송한다. 이때, 급제동 차량과 주변차량은 V2V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BSM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주변차량은 급제동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BSM 메시지에 포함된 급제동 정보에 근거하여 전방의 급제동 상황을 파악하고, 충돌 상황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하도록 한다.
여기서, 급제동 차량은 급제동 상황에 처한 차량으로서, BSM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측 차량이다. 이하에서, 급제동 차량은 '송신측 차량(100)'이라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주변차량은 급제동 차량으로부터 BSM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변의 급제동 상황을 인지하는 차량으로서, BSM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 차량이다. 이하에서, 주변차량은 '수신측 차량(200)'이라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측 차량(100)은 차량정보 수집부(110), ABS/ESC 확인부(120), 종감속도 확인부(130), 해저드 램프 확인부(140), 급제동 판정부(150), BSM 처리부(160) 및 송신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차량정보 수집부(110)는 차량의 조작수단 및 구동수단들로부터 조작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일 예로서, 차량정보 수집부(110)는 차량의 ABS/ESC 정보, 속도, 각속도, 종감속도 및 조향각 정보, 핸들, 브레이크 페달, 와이퍼 동작상태, 타이어 공기압, 전조등 및 해저드 램프 스위치의 조작정보 등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ABS/ESC 확인부(120)는 차량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ABS 및 ESC 정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또한, 종감속도 확인부(130)는 차량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종감속도 정보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또한, 해저드 램프 확인부(140)는 차량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해저드 램프 구동정보에 근거하여 해저드 램프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한편, 해저드 램프 확인부(140)는 해저드 램프가 고장 났을 경우에 대비하여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급제동 판정부(150)는 ABS/ESC 확인부(120), 종감속도 확인부(130) 및 해저드 램프 확인부(140)로부터의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차량의 급제동 상황을 판정한다.
일 예로서, 급제동 판정부(150)는 ABS/ESC 확인부(120)로부터 ABS 및 ESC 정보가 기 설정된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차량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급제동 판정부(150)는 종감속도 확인부(130)로부터 종감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차량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급제동 판정부(150)는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때 해저드 램프 확인부(140)로부터 해저드 램프 또는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차량의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한다.
BSM 처리부(160)는 급제동 판정부(150)로부터 해당 차량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되면, 급제동 상황을 알리기 위한 BSM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BSM 처리부(160)는 해당 차량의 정보, 특히, 급제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BSM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BSM 메시지를 송신부(170)를 통해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되어 주변의 급제동 상황을 인지하는데 적용된다.
송신부(170)는 자차와 수신측 차량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BSM 처리부(160)의 요청에 의해 BSM 메시지를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측 차량(200)은 수신부(210), 급제동 정보 확인부(220), 경로 확인부(230), 경보 제어부(240), 출력부(250) 및 송신부(260)를 포함한다.
먼저, 수신부(210)는 송신측 차량과 자차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BSM 메시지를 수신한다.
급제동 정보 확인부(220)는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BSM 메시지를 분석하여, BSM 메시지에 포함된 급제동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급제동 정보 확인부(220)는 BSM 메시지로부터 송신측 차량의 정보, 예를 들어, 위치, 방향 및 속도 정보와 급제동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급제동 정보 확인부(220)는 BSM 메시지에 포함된 급제동 상태 정보로부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다.
경로 확인부(230)는 급제동 정보 확인부(220)로부터 확인된 급제동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BSM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측 차량의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경로를 예측한다. 한편, 경로 확인부(230)는 자차의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주행경로를 확인한다. 이때, 경로 확인부(230)는 송신측 차량의 예측된 주행경로와, 자차의 주행경로를 비교하여, 송신측 차량이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경우, 경로 확인부(230)는 자차의 주행 차선을 기준으로 좌/우 차선을 주행경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는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경로 확인부(230)는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와 자차의 주행경로 비교 결과를 경보 제어수로 전달한다.
경보 제어부(240)는 경로 확인부(230)로부터 송신측 차량이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송신측 차량과 자차 간 충돌상황을 예측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부(250)는 모니터, 내비게이션, HUD(Head Up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경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스피커, 부저 등의 음성 출력수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경보 제어부(240)는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황을 인지한 상태에서 자차의 주변에 위치한 차량으로 전방의 급제동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부(260)를 통해 주변의 차량들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260)는 자차와 그 주변의 차량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경보 제어부(240)의 요청에 의해 경보 알림 메시지를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제동 경보 장치에 의한 경보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측 차량(100)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급제동하는 경우, 송신측 차량(100)은 자차의 정보 및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측 차량(200)과의 V2V 통신을 통해 수신측 차량(200)으로 송신(①)한다.
이때, 수신측 차량(200)은 송신측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BSM 메시지에 근거하여 송신측 차량(100)이 급제동 상태임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 메시지 또는 경보음 등을 출력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수신측 차량(200)은 자차의 주행경로를 변경하거나,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한편, 수신측 차량(200)은 송신측 차량(100)이 급제동 상태임을 확인한 후에,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변에 위치한 차량들(310, 320, 330)과의 V2V 통신을 통해 경보 알림 메시지를 주변에 위치한 차량들(310, 320, 330)로 각각 송신(②)하는 멀티 홉(Multi-hop)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신측 차량(200)과 수신측 차량(200)의 주변에 위치한 차량들(310, 320, 330)은 송신측 차량(100)으로부터의 BSM 메시지에 근거하여 전방의 급제동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특히 송신측 차량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측 차량은 자차의 주행정보 및 구동정보 등을 수집하여 ABS 및 ESC 정보를 확인한다(S100). 이때, 송신측 차량은 ABS/ECS 정보가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면(S110),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한다(S140).
한편, 송신측 차량은 자차의 종감속도가 기준치(A1)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자차의 종감속도가 기준치(A1)을 초과하면(S120), 송신측 차량은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한다(S140).
한편, 송신측 차량이 주행 중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때 해저드 램프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자차의 해저드 램프가 온(ON) 상태이면(S130), 송신측 차량은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한다(S140). 이때, 송신측 차량은 'S130' 과정에서 해저드 램프의 온(ON) 상태를 확인하는 대신에 해저드 램프 스위치의 온(ON)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송신측 차량은 자차의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이면,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송신측 차량은 'S140' 과정에서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하면, 자차의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S150),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한다(S160). 여기서, 수신측 차량은 자차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인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차량에 적용되는 급제동 경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특히 수신측 차량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측 차량은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BSM 메시지를 수신하면(S200), 'S200' 과정에서 수신된 BSM 메시지를 분석하여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정보를 확인한다(S210).
이때, 수신측 차량은 BSM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측 차량의 정보를 토대로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한다(S220). 한편, 수신측 차량은 자차의 주행경로를 확인하여(S230), 'S220' 과정에서 예측된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에 근거하여 송신측 차량이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송신측 차량의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이면(S240), 수신측 차량은 자차와 송신측 차량간 충돌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예측하여, 자차의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음성 출력수단 등을 통해 경보를 출력한다(S250).
또한, 수신측 차량은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S260), 주변에 위치한 차량들에 경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270). 이로써, 수신측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차량들도 경보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전방의 급제동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0: 송신측 차량 110: 차량정보 수집부
120: ABS/ESC 확인부 130: 종감속도 확인부
140: 해저드 램프 확인부 150: 급제동 판정부
160: BSM 처리부 170: 송신부
200: 수신측 차량 210: 수신부
220: 급제동 정보 확인부 230: 경로 확인부
240: 경보 제어부 250: 출력부
260: 송신부

Claims (11)

  1.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급제동을 경보하는 장치로서,
    상기 송신측 차량은,
    자차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 중 ABS/ESC, 종감속도 및 해저드 램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차의 급제동 상황을 판정하는 급제동 판정부; 및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자차의 차량정보 및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BSM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차량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ABS 및 ESC 정보가 기 설정된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ABS/ESC 확인부;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자차의 종감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종감속도 확인부; 및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해저드 램프 또는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 확인하는 해저드 램프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차량은,
    자차와 상기 수신측 차량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BSM 처리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BSM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4.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급제동을 경보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신측 차량은,
    상기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BSM 메시지를 분석하여, BSM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급제동 정보 확인부;
    상기 급제동 정보 확인부에 의해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상기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하여 자차의 주행경로와 비교하고,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경로 확인부; 및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로 확인부는,
    상기 BSM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차량의 차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제어부는,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차량과 자차 간에 V2V(Vehicle-to-Vehicle)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BSM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자차와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 간에 V2V 통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경보 제어부의 요청에 의해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8.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급제동을 경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측 차량이,
    자차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 중 ABS/ESC, 종감속도 및 해저드 램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차의 급제동 상황을 판정하는 단계; 및
    자차가 급제동 상황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자차의 차량정보 및 급제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BS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신측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ABS 및 ESC 정보가 기 설정된 급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자차의 종감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차량정보로부터 해저드 램프 또는 해저드 램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방법.
  10. 송신측 차량 및 수신측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급제동을 경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측 차량이,
    상기 송신측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BSM 메시지를 분석하여, BSM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급제동 정보 확인부에 의해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상기 송신측 차량의 주행경로를 예측하여 자차의 주행경로와 비교하고,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측 차량이 상기 자차의 주행경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차량이,
    상기 송신측 차량이 급제동 상태인 것으로 인지된 경우에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상기 송신측 차량의 급제동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차 주변의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제동 경보 방법.
KR1020120133484A 2012-11-23 2012-11-23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140066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484A KR20140066358A (ko) 2012-11-23 2012-11-23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484A KR20140066358A (ko) 2012-11-23 2012-11-23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358A true KR20140066358A (ko) 2014-06-02

Family

ID=5112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484A KR20140066358A (ko) 2012-11-23 2012-11-23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3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5168B2 (en) 2015-05-15 2018-01-09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Detecting misbehavior in vehicle-to-vehicle (V2V) comminic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156A (ko) * 2003-08-27 2005-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추돌 방지 방법
KR20050100199A (ko) * 2004-04-13 2005-10-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급제동 경보장치
KR20100023487A (ko) * 2008-08-22 2010-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
KR20120035765A (ko) * 2010-10-06 2012-04-16 (주)미도정보기술 네비게이션 장치
KR20120065580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경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156A (ko) * 2003-08-27 2005-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추돌 방지 방법
KR20050100199A (ko) * 2004-04-13 2005-10-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급제동 경보장치
KR20100023487A (ko) * 2008-08-22 2010-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급제동 경보 시스템
KR20120035765A (ko) * 2010-10-06 2012-04-16 (주)미도정보기술 네비게이션 장치
KR20120065580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경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5168B2 (en) 2015-05-15 2018-01-09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Detecting misbehavior in vehicle-to-vehicle (V2V) comminications
US10621868B2 (en) 2015-05-15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Detecting misbehavior in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53827B (zh) 用于加入车辆的行驶队列的方法
KR101399026B1 (ko) 차선 변경 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82227B2 (en) Dynamic vehicle grid infrastructure to allow vehicles to sense and respond to traffic conditions
US9293044B2 (en) Cooperative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KR102111907B1 (ko) 차량의 추월 위험 경고 장치 및 방법
US7991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llision status of a nearby vehicle
US79915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ide-impact collision status of a nearby vehicle
KR102113769B1 (ko) V2x 기반 안전운전지원서비스를 위한 운전자 맞춤형 다운 경고 중재 장치 및 방법
KR101929555B1 (ko) 급제동 경고 방법 및 장치
KR20160013714A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차량제어불능 경고 장치와 방법
CN102963357A (zh) 用于防止车辆碰撞的设备和方法、车辆
JP6201660B2 (ja) 車両の接近報知装置
CN114728615A (zh) 危险车辆和道路状况的通信系统
KR20140133686A (ko) 차량 급제동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1611057B1 (ko) 차량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JP2007025782A (ja) 車車間通信による走行支援装置
JP2007272598A (ja) 安全走行支援サービス稼働状況報知装置
KR20170007925A (ko) 교차로 충돌 회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59861A (ja) ハザードウォーニングシステム
KR100754135B1 (ko) 차량 충돌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88904A (ja) 運転支援装置
KR20130120695A (ko) 역주행 차량 경보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80043B2 (ja) 交通システム、道路側装置、車両側装置
KR20140066358A (ko) 차량의 급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1995054B1 (ko) V2v 통신을 이용한 카메라 영상 출력 및 저장 시스템 및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