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634A -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634A
KR20140064634A KR1020130136101A KR20130136101A KR20140064634A KR 20140064634 A KR20140064634 A KR 20140064634A KR 1020130136101 A KR1020130136101 A KR 1020130136101A KR 20130136101 A KR20130136101 A KR 20130136101A KR 20140064634 A KR20140064634 A KR 2014006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rea
video signal
siz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582B1 (ko
Inventor
챨스 맥코이
링 준 웡
트루에 슝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소니 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인터내셔널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소니 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인터내셔널 엘엘씨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6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방법 및 장치는 통합 표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간의 차이의 결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도록 구성된 통합기를 포함한다. 방법 및 장치는 통합 영역, 및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통합된다.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통합된다.

Description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FOR DISPLAY}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비디오 신호 처리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처리 기술의 발전은 4:3, 16:9 등의 상이한 종횡비들을 갖는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콘텐츠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기술들은 상이한 종횡비들을 갖는 표시 화면들에 대비한다. 예를 들어, 표준 해상도 텔레비전(standard-definition television)의 표시 화면의 종횡비는 4:3이고 일반 고해상도 텔레비전(typical high-definition television)의 표시 화면의 종횡비는 16:9이다.
이미지 또는 비디오 등의 콘텐츠의 종횡비가,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복수의 레터박스(letterbox) 또는 필러박스(pillarbox) 영역들이 표시 화면에 가시화된다. 일반적으로, 이 영역들은 화면의 콘텐츠 표시 영역의 두 반대 측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레터박스 영역들은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상단과 하단 쪽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필러박스 영역들은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좌측과 우측 쪽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터박스 및 필러박스 영역들은 어떠한 콘텐츠도 표시하지 않고(즉, 미사용됨), 관찰자에게 단색(일반적으로, 검은 색)으로 나타난다. 특정 시나리오에 있어서, 콘텐츠 표시 영역의 양측들에 분포되는 레터박스와 필러박스 영역들은 필러 콘텐츠(filler content)를 표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분포되는 레터박스 및 필러박스 영역들의 활용은 제한된다.
따라서, 표시 화면의 향상된 활용을 위해 레터박스/필러박스 영역들을 관리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또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되며 그리고/또는 그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청구항들에 더 완전하게 명시된다.
본 개시의 예시된 실시 형태의 세부 사항들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다양한 장점들, 양태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하기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더 충분하게 이해될 것이다.
하기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실시 형태들은 예를 들어 설명되고, 수반하는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도면에 있어서 같은 참조 번호들이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콘텐츠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간의 차이, 및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제1 콘텐츠의 크기 간의 차이를 결정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실시 형태에 따라,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고 통합 영역을 활용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c, 도 3d, 및 도 3e는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콘텐츠와 제1 콘텐츠 영역을 연관시키고, 제2 콘텐츠와 통합 영역을 연관시키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높이보다 폭이 큰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표시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폭보다 높이가 큰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표시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콘텐츠 영역의 모든 측면들에 미활용 영역들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표시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콘텐츠 영역의 모든 측면들에 나타나는 미활용 영역들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표시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는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실시 형태들은 본 명세서에 명시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그러나,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설명된 실시 형태들 이상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당업자는 이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이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용어의 정의:
종횡비: 종횡비는 표면의 폭과 높이 간의 비례 관계를 기술한다. 이미지 프레임의 종횡비는 이미지 프레임의 높이에 대한 이미지 프레임의 폭의 비율을 의미한다. 표시 화면에 대해, 종횡비는 표시 화면의 높이에 비한 폭의 비율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표준 해상도 텔레비전의 표시 화면의 종횡비는 4:3이고, 고화질 텔레비전의 표시 화면의 종횡비는 16:9이다.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해당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표시 화면 또는 신호 처리 장치와 통합된 프로젝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화면 또는 프로젝션 표면은 출력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그러한 신호 처리 장치의 예들로서는 노트북, 텔레비전(TV),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 전화, 게임 장치, 및 표시 기능을 갖는 다른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의 외부의 표시 화면 또는 프로젝션 표면에 접속할 수 있다. 외부 표시 화면 또는 프로젝션 표면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그러한 신호 처리 장치의 예들로서는 케이블 박스, 위성 수신기, 네트워크 비디오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Blu-ray player), 및 DVD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 생성되고 있는 표시는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해당한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포함한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는 제1 콘텐츠와 함께 복수의 미활용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미활용 영역은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 이외의 생성되고 있는 표시 영역들에 해당한다. 제1 콘텐츠의 종횡비가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보다 작다면, 또한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존재하는 표시 포맷의 예들로서는 레터박스 포맷, 필러박스 포맷, 및 윈도우박스 포맷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미활용 영역은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반대 측면들에 발생한다. 제1 콘텐츠 영역의 반대 측면들의 복수의 미활용 영역은 크기가 동일하다. 레터박스 표시 포맷에 있어서, 미활용 영역들은 제1 콘텐츠 영역의 위와 아래에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필러박스 표시 포맷에 있어서, 미활용 영역들은 제1 콘텐츠 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나타난다. 윈도우박스 표시 포맷에 있어서, 미활용 영역들은 제1 콘텐츠 영역의 네 개의 측면들(좌측, 우측, 위, 및 아래) 모두에 나타난다.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연관된 메모리에 생성되고 있는 표시를 저장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연관된 표시 화면상의 표시를 위해 생성되고 있는 표시를 렌더링할 수 있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는 표시를 위해 렌더링되기 전에 신호 처리 장치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성되고 있는 표시를 렌더링 또는 저장하기 전에, 신호 처리 장치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라 생성되고 있는 표시를 수정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 출력 비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에 해당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 및 제2 콘텐츠와 연관된 통합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연관된 메모리에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저장을 위해 다른 장치에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와 통합된 그리고/또는 신호 처리 장치의 외부의 표시 화면 및/또는 프로젝션 화면상의 표시용 출력 비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제1 콘텐츠: 제1 콘텐츠는 라이브 또는 기록된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일컫는다. 제1 콘텐츠의 예들로서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포츠 이벤트 생중계, 시상식, 주문형 비디오, 비디오, 또는 그래픽 게임 등을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콘텐츠 제공자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 플레이어 등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입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는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를 추출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는 필러 콘텐츠 또는 검은 색 바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해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로부터 필러 콘텐츠 또는 검은 색 바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가 필러 콘텐츠와 검은 색 바아들을 갖고 있지 않을 때, 제1 콘텐츠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와 동일하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제1 콘텐츠 영역을 제1 콘텐츠와 연관시킨다.
제1 콘텐츠 영역: 제1 콘텐츠 영역은 제1 콘텐츠와 연관되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영역에 해당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의 종횡비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크기보다 작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의 종횡비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종횡비와 동일할 때,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의 종횡비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종횡비와 동일할 때라도, 제1 표시 영역의 크기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크기보다 작다. 이것은,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제1 콘텐츠 영역의 종횡비가 제1 콘텐츠의 종횡비와 동일할 때,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통합 영역: 통합 영역은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영역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영역 위와 아래의 미활용 영역들의 결합은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1 콘텐츠 영역의 우측과 좌측의 미활용 영역들의 결합은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예에서, 제1 콘텐츠 영역의 모든 측면들(위, 아래, 우측, 및 좌측)의 미활용 영역들의 결합은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는 통합 영역의 색상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2 콘텐츠: 제2 콘텐츠는 제1 콘텐츠 외에 출력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해당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콘텐츠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통합 영역과 연관된다. 그래픽, 텍스트, 멀티미디어, 및 비디오 등의 소스들을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정보 소스는 제2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콘텐츠의 예들로서는 폐쇄된 캡션, 제1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metadata), 광고, 장식적인 애니메이션, 및 신호 처리 장치와 연관된 리모트 콘트롤의 버튼을 누르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 콘텐츠의 다른 예들은 가정 감시 카메라 비디오, 웹 사이트로부터 얻어진 정보, 이메일, 소셜 네트워크 활동, 주식 시세 표시기, 및 날씨 또는 교통 알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젯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콘텐츠는 제1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갖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 비디오(thumbnail videos)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가 게임일 때, 제2 콘텐츠는 여러 가지 다른 게임들의 썸네일 비디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콘텐츠는 두 개 이상의 유형의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규칙: 규칙은 통합 영역의 활용 방식을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조건 또는 이벤트에 해당한다. 하나 이상의 규칙은 어떻게 그리고 어떤 유형의 제2 콘텐츠가 통합 영역과 연관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규칙은 제2 콘텐츠와 연관된 통합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규칙은 또한 제1 콘텐츠와 비교해서 제2 콘텐츠의 중요성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규칙은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와 연관되어 있지 않다면,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규칙의 예들로서는 신호 처리 장치 제조 업체의 광고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키고, 제1 콘텐츠에 관한 추가 정보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키고, 제1 콘텐츠에 관련된 광고를 통합된 표시 영역과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규칙의 다른 예들로서는 제2 콘텐츠가 제1 콘텐츠보다 더 중요하다면,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제2 콘텐츠가 더 작은 통합 영역을 필요로 한다면,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규칙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고정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규칙은 실시간으로 정의되며, 신호 처리 장치와 연관된 유저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제1 집합, 또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제공자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제2 집합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규칙은 제1 콘텐츠 또는 제2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 등의 다른 요인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파라미터의 제1 집합: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은 신호 처리 장치와 연관된 유저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한다.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은 유저 프로필, 유저 취향, 신호 처리 장치의 유저 커스터마이즈된 설정, 지리적 위치, 인구통계학적 프로필, 또는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 내에서의 클릭, 신호 처리 장치 제조 업체의 웹 사이트에서의 제품 및/또는 서비스의 구매 등의 유저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파라미터의 제2 집합: 파라미터의 제2 집합은 콘텐츠 제공자의 하나 이상의 속성을 포함한다. 그러한 속성의 예들로서는 제1 콘텐츠의 유형 및 품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 제1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는 실시간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한 메타데이터의 예들로서는 제1 콘텐츠의 이름, 제1 콘텐츠 유형, 제1 콘텐츠의 재생 시간, 콘텐츠 ID, 또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보충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콘텐츠 ID는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유지되는 카탈로그 내의 항목을 가리킬 수 있다. 콘텐츠 ID는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Internet Movie Database: IMDB)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제1 콘텐츠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가 비디오라면, 비디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는 비디오의 제목, 비디오의 배역들, 비디오의 다양한 배역들 간의 관계, 비디오 내의 위치들에 관한 정보, 및 다른 유사한 비디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특정 예에 있어서, 제1 콘텐츠가 스포츠 이벤트일 때, 스포츠 이벤트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는 선수의 프로필, 스포츠 이벤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 팀 통계, 실시간 스코어, 스포츠 이벤트의 남은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간의 차이를 결정한다. 두 개의 종횡비 간의 차이가 존재할 때, 신호 처리 장치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임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예를 들면, 필러박스, 윈도우박스, 및 레터박스 등)의 크기 간의 차이를 결정한다. 두 개의 크기 간의 차이가 존재할 때, 신호 처리 장치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표시 영역(예를 들면, 필러박스, 윈도우박스, 및 레터박스 등)이 나타날 것임을 결정한다. 신호 처리 장치가 복수의 미활용 표시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한다면, 신호 처리 장치는 통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 및 통합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가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가 실시 형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 환경(100)은 신호 처리 장치(102), 제1 통신 매체(104), 제2 통신 매체(105), 텔레비전 방송국(106a),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106b), 콘텐츠 재생 장치(106c), 위성 TV 제공자(106d), 다른 외부 장치들(106e)(이하, 콘텐츠 제공자(106)라고 일컬음), 및 서버(108)를 포함한다. 도 1은 편의상 하나의 신호 처리 장치(신호 처리 장치(102) 등)만을 도시하지만, 개시된 실시 형태들의 구현은 다수의 신호 처리 장치들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제1 통신 매체(104)는 콘텐츠 제공자(106)가 신호 처리 장치(102)와 통신하는 매체에 해당한다. 제1 통신 매체(104)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매체일 수 있다. 제1 통신 매체(104)의 예들로서는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커뮤니티 액세스 텔레비전(Community Access Television)(CATV 또는 케이블 TV) 네트워크, 위성 방송 시스템, 및 공중파(over-the-air: OTA) 방송 네트워크, 및 HDMI 케이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 통신 매체(105)는 서버(108)가 신호 처리 장치(102)와 통신하는 매체에 해당한다. 제2 통신 매체(105)의 예들로서는 IPTV 네트워크, 인터넷,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 네트워크, 무선-에어리어 네트워크(Wireless Area Network: WAN),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전화선(POTS), 또는 메트로폴리탄 에어리어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서버(108)는 HDMI 케이블 등의 유선 접속을 통해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제2 통신 매체(105)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8)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및 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and Internet Protocol: TCP/IP),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2G, 3G, 또는 4G 통신 프로토콜 등 다양한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제2 통신 매체(105)와 통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106)는 신호 처리 장치(102)에 제1 콘텐츠 또는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콘텐츠 제공자(106)의 예들로서는 텔레비전 방송국(106a),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106b) 등의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들, 콘텐츠 재생 장치(106c), 주문형 콘텐츠 제공자, 및 다른 유형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텔레비전 방송국(106a)의 예들로서는 로컬 네트워크 텔레비전 방송국, 및 위성 TV 제공자(106d) 등의 지상파 및 위성 TV 제공자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장치(106c)의 예들로서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레이어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106)의 다른 예들로서는 케이블 박스, 카메라, 캠코더, 및 게임 콘솔 등의 다른 외부 장치들(106e)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와 신호 처리 장치(102)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는 플레이어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소스일 수 있다. DVD 플레이어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106)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의 저장소를 유지하는 저장 장치 및/또는 분산 연결된 다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는 신호 처리 장치(102)와 제1 통신 매체(104)를 통해 통신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는 제2 통신 매체(105)를 통해 신호 처리 장치(102)와 통신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DTTV) 및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등의, 그러나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디지털 전송 프로토콜들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02)에 제1 콘텐츠 또는 제2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는 신호 처리 장치(102)에 의해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는 다른 종횡비를 갖는 제1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1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106)는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할 수 있으며, 신호 처리 장치(102)에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제1 콘텐츠 및/또는 제2 콘텐츠를 신호 처리 장치(102)에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108)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제조 업체의 웹 사이트를 호스트한다. 또한, 서버(108)는 신호 처리 장치(102)에 대한 정보, 및 신호 처리 장치(102)의 제조 업체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버(108)는 또한 신호 처리 장치(102)의 설정을 커스터마이즈하기 위해 유저에게 옵션을 제공한다. 서버(108)를 통해, 유저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영역의 위치, 통합 영역의 색상, 및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의 유형을 더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10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108)는 또한 신호 처리 장치(102)에 제2 콘텐츠를 제공한다. 서버(108)의 구현은 서버(108)의 기능들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들의 클러스터 또는 네트워크로서 발생할 수 있다. 서버(108)는 신호 처리 장치(102)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콘텐츠 제공자(106)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콘텐츠 제공자(106)로부터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표시용 출력 비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프로세서(110), 수신기(112), 표시 화면(114), 유저 입력 장치(116), 및 메모리 장치(118)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18)는 프로그램 모듈(120) 및 프로그램 데이터(122)를 포함한다. 표시 화면(114)은 도 1의 블록도에서 점선 박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기(112), 표시 화면(114), 유저 입력 장치(116), 및 메모리 장치(118)에 연결된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 장치(118)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을 실행한다.
수신기(112)는 데이터와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기(112)는 공지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콘텐츠 제공자(106)로부터 제1 콘텐츠 및/또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서버(108)로부터 제2 콘텐츠 및/또는 하나 이상의 규칙을 수신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입력 비디오 신호, 제2 콘텐츠, 또는 하나 이상의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콘텐츠 제공자(106) 및/또는 서버(108)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거쳐 제1 통신 매체(104)를 통해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DVD, CD, 및 USB 플래시 드라이브 등의 디지털 저장 매체로부터 제2 콘텐츠와 입력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텔레비전 방송국(106a) 및/또는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106b)로부터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튜너일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112)는 하나 이상의 가정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DVD 및/또는 CD 플레이어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어떤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수신기(112)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106) 및/또는 서버(108)에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표시 화면(114)은 출력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02)는 표시 화면(114)에 표시할 출력 비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표시 화면(114)은 표시 화면(114)상의 제1 표시 영역 내에 제1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 화면(114)은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114)상의 통합 표시 영역 내에 제2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표시 화면(114)의 실현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기반의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기반의 디스플레이, 및 유기 LED(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기술 등의 몇 가지 알려진 기술들을 통해 발생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화면(114)은 신호 처리 장치(102)와 연관된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도 1은 신호 처리 장치(102)의 일부로서 표시 화면(114)을 도시하지만, 당업자는 표시 화면(114)이 신호 처리 장치(102)의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신호 처리 장치(102)에 접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유저 입력 장치(116)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수신한다. 유저 입력 장치(116)의 예들로서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리모트 콘트롤,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메모리 장치(118)는 명령어 집합 또는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메모리 장치 구현들 중 일부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및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SD) 카드일 수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프로그램 모듈(120)은 프로세서(110)가 신호 처리 장치(102)에서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집합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120)은 콘텐츠 관리기(124), 종횡비 검출기(126), 통합기(128), 규칙 생성기(129), 규칙 엔진(130), 장치 관리기(132), 및 신호 관리기(134)를 포함한다.
메모리 장치(118) 내의 프로그램 데이터(122)는 유저 데이터(136), 장치 데이터(138), 제1 콘텐츠(140) 및 제2 콘텐츠(142) 등의 콘텐츠 데이터, 규칙 데이터(144), 및 다른 데이터(146)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기(124)는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콘텐츠 관리기(124)는 콘텐츠 제공자(106)로부터 입력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가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포함할 때, 콘텐츠 관리기(124)는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140)를 추출한다. 콘텐츠 관리기(124)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검은 색 바아들 및/또는 필러 콘텐츠를 검색하고, 제1 콘텐츠(140)를 포함하는 각 프레임의 부분을 결정한다. 콘텐츠 관리기(124)는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가 변화할 때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는 수평 및/또는 수직 불연속성을 식별하고 불연속성에 기초하여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검출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124)는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의 픽셀들의 색상 및 강도 등의 하나 이상의 속성에 있어서의 불연속성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검출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124)는 색상 및 강도 등의 하나 이상의 속성이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는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의 픽셀들을 검출함으로써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검출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124)는 하나 이상의 속성이 제1 콘텐츠와 동기하여 변화하지 않는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의 해당 픽셀들을 검출함으로써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검출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124)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경계들에서 불연속성을 검출함으로써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검출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124)는 케이블 네트워크들에 의해 표시되는 유명 상표의 이미지들을 필러 콘텐츠로서 검출한다. 당업자는 콘텐츠 관리기(124)가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콘텐츠 관리기(124)가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검출하면, 콘텐츠 관리기(124)는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생략함으로써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로부터 제1 콘텐츠를 추출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가 필러 콘텐츠와 검은 색 바아들을 갖고 있지 않을 때, 콘텐츠 관리기(124)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를 제1 콘텐츠로서 고려한다. 콘텐츠 관리기(124)는 추출된 제1 콘텐츠를 제1 콘텐츠(140)로서 저장한다. 또한 콘텐츠 관리기(124)는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할 때, 콘텐츠 관리기(124)는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콘텐츠를 제2 콘텐츠(142)로서 저장한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를 검출한다. 또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검출한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를 분석하여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와 종횡비를 검출한다. 입력 비디오 신호가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포함할 때, 제1 콘텐츠의 종횡비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종횡비와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비디오 신호의 종횡비가 16:9일 때, 입력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는 4:3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입력 비디오 신호는, 종횡비 16:9의 입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콘텐츠(140)에 추가되는 필러 콘텐츠 및/또는 검은 색 바아들을 포함한다. 입력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가 필러 콘텐츠 및 검은 색 바아들을 갖고 있지 않을 때,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종횡비와 동일하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를 비교하고, 두 종횡비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또한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고 두 크기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는 제1 콘텐츠(140)의 것과는 상이하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임을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는 상이하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임을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가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결정하면, 통합기(128)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를 제1 콘텐츠가 채우도록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가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하면, 통합기(128)는 통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통합기(128)는 통합 영역, 및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2 콘텐츠(142)의 가용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통합기(128)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할 수 없을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여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통합기(128)는 형성된 통합 영역의 크기가 제2 콘텐츠(142)에 대해 충분히 넓을 정도로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킨다. 통합기(128)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부분적으로 이동시킬 때, 통합 영역을 형성한 후에라도, 미활용 영역들이 제1 콘텐츠 영역의 어느 측면들에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터박스형 영화 아래의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는 부제목에 해당할 수 있다. 부제목들과 연관된 통합 영역의 크기는 레터박스형 영화 위와 아래의 전체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함으로써 형성될 통합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통합기(128)는 레터박스형 영화 위에 일부 미활용 영역들이 남으면서 레터박스형 영화 아래에 통합 영역이 형성되도록, 레터박스형 영화 위와 아래의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최대화한다. 통합기(128)는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하며 그리고/또는 통합 영역의 크기를 최대화한다. 예를 들어,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 위와 아래의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하여, 제1 콘텐츠 영역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의 우측 또는 좌측의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의 좌측 또는 우측에 놓이는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의 네 개의 측면(우측, 좌측, 위, 및 아래)의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하여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통합 영역은 제1 콘텐츠 영역의 한 측면에 놓임으로써,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된 더 큰 영역을 생성한다. 복수의 미활용 영역들의 통합은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설명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을 정렬하기 위한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서버(108)를 통해 제공되는 유저 커스터마이즈된 설정 및 서버(108)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규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을 정렬하기 위한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결정한다. 유저 커스터마이즈된 설정 또는 하나 이상의 규칙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상단 에지, 하단 에지, 좌단 에지, 또는 우단 에지 중 어느 것을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 간의 선호도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키지 않고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키기 전에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킨 이후에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02)는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규칙 생성기(129)는 신호 처리 장치(102)와 연관된 유저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제1 집합, 및 콘텐츠 제공자(106)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제2 집합,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메타데이터, 또는 제2 콘텐츠(142)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의 규칙을 정의한다. 장치 관리기(132)는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02)는 콘텐츠 제공자(106) 및/또는 서버(108)로부터 하나 이상의 규칙을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규칙은 프로그램 데이터(122) 내의 규칙 데이터(144)로서 저장된다.
규칙 엔진(130)은 프로그램 데이터(122)에 규칙 데이터(144)로서 저장된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페치한다. 규칙 엔진(130)은 하나 이상의 규칙을 활용하여 어떻게 그리고 어떤 제2 콘텐츠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킬지를 결정한다. 규칙 엔진(130)은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142)를 선택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규칙 엔진(130)은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140)와 비교해서 제2 콘텐츠(142)의 중요성을 결정한다.
장치 관리기(132)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설정을 관리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 관리기(132)는 표시 화면(114)에 장치 설정 메뉴를 제시한다. 장치 설정 메뉴는 신호 처리 장치(102)와 연관된 표시 설정, 오디오 설정 등 다양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해 유저 옵션을 제공한다. 유저는 장치 설정 메뉴를 통해 횡단하고 하나 이상의 설정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유저 입력 장치(116)를 이용할 수 있다. 장치 관리기(132)는 선택된 설정 옵션을 장치 데이터(138)로서 저장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 관리기(132)는 서버(108)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102)의 유저 커스터마이즈된 설정을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을 장치 데이터(138)로서 저장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114)의 크기와 종횡비도 장치 데이터(138)로서 저장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종횡비도 장치 데이터(138)로서 저장된다.
장치 관리기(132)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유저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을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 관리기(132)는 유저의 신호 처리 장치(102)와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 관리기(132)는 수신기(112)를 통해 서버(108)로부터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을 수신한다. 장치 관리기(132)는 파라미터의 제1 집합을 유저 데이터(136)로서 저장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 관리기(132)는 표시 화면(114)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콘텐츠(140) 및 제2 콘텐츠(142)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 처리 장치(102)의 유저에게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는 표시 화면(114)상의 제1 콘텐츠(140) 및 제2 콘텐츠(142)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 처리 장치(102)의 유저에게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 데이터(122)에 다른 데이터(146)로서 저장하기 위한 출력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지정하기 위해 신호 처리 장치(102)의 유저에게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를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의 적어도 일부와 교환하기 위해 유저가 명령을 제공하게 허용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 및 출력 비디오 신호의 통합 영역의 활용을 제어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 및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를 관리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에 기초하여 필요한 통합 영역의 크기를 또한 결정한다. 중요성과 필요한 크기에 기초하여, 신호 관리기(134)는 다른 크기의 통합 영역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에 기초하여,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에 비해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가 중요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된 통합 영역의 크기가 복수의 미활용 영역들의 통합에 의해 형성되는 통합 영역의 크기를 초과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신호 관리기(134)는 검은 색 바아들이 통합 영역에 수직으로 되도록 제1 콘텐츠 영역의 한 측 또는 양측에 검은 색 바아들을 추가한다. 유사하게,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것은,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에 비해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가 중요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된 통합 영역의 크기가 복수의 미활용 영역들의 통합에 의해 형성되는 통합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된 통합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에 필요한 통합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줄인다. 어떤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중의 이용을 위해 신호 관리기(134)는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다른 데이터(146)로서 저장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가 신호 처리 장치(102)와 연관된 유저를 방해하지 않도록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표시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의 각 프레임과,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 간의 불연속성을 계산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계산된 불연속성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140) 및 제2 콘텐츠(142)의 변화를 검출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또한 제2 콘텐츠(142)의 변화를 제1 콘텐츠(140)의 변화와 동기화한다. 그러한 동기화는 제2 콘텐츠(142)의 변화를 유저의 눈에 덜 띄게 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의 색상과 밝기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142)의 색상과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와,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 간의 콘트라스트를 자동적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가 어두울 때 통합 영역의 밝기를 줄이고, 제1 콘텐츠(140)가 밝을 때 통합 영역을 밝게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콘텐츠(142)가 밝은 색상과 높은 콘트라스트를 포함할 때,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가 유저를 방해하지 않도록 색상 및 콘트라스트를 어두운 회색 음영 및 중간 콘트라스트로 각각 변경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가 세피아 톤 색상을 포함한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의 색상을 제1 콘텐츠(140)의 색상과 유사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다양한 이미지 편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그러한 조정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유저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140) 및 제2 콘텐츠(142)를 관리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또한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영역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142)의 방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통합 영역이 제1 콘텐츠 영역 측에 있고 프로그램 제목 등의 텍스트가 통합 영역과 연관되어 있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텍스트를 90도 회전시켜 통합 영역에 맞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가로로 또는 세로로 통합 영역에 가장 잘 맞게 여러 제2 콘텐츠(142)를 정렬할 수 있다. 신호 관리기(134)는 또한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에 대해 가로 또는 세로 레이아웃 간에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관리기(134)는 위젯을 통합 영역에서 가로로 짧고 넓은 형태에, 또는 세로로 길고 좁은 형태로 연관시킬 수 있다. 신호 관리기(134)는 통합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의 크기를 확장 및/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영역의 크기가 제2 콘텐츠의 크기보다 크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통합 영역을 채우기 위해 제2 콘텐츠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출력 비디오 신호는 표시 화면(114)상의 표시를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신호 관리기(134)는 표시 화면(114)에 제1 콘텐츠(140) 및 선택적으로 제2 콘텐츠(142)를 표시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표시 화면(114)의 제1 콘텐츠 표시 영역 내에 제1 콘텐츠(140)를 표시한다. 표시 화면(114)의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제1 콘텐츠 영역에 해당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또한 표시 화면(114)상의 통합 표시 영역 내에 제2 콘텐츠(142)를 표시한다. 표시 화면(114)의 통합 표시 영역은 출력 비디오 신호의 통합 영역에 해당한다. 제2 콘텐츠(142)가 표시를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신호 관리기(134)는 통합 표시 영역에 어떠한 콘텐츠도 표시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는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제1 콘텐츠(140)를 통합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제2 콘텐츠(142)의 적어도 일부와 교환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콘텐츠는 유저에게 제2 콘텐츠를 제1 콘텐츠와 교환하는 것을 어떻게 트리거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시각적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로부터의 교환 명령을 수신하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제2 콘텐츠(142)의 적어도 일부와 교환한다. 그 후,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은 제1 콘텐츠와 교환된 제2 콘텐츠(142)의 부분을 표시하고, 통합 표시 영역은 제2 콘텐츠(142)의, 있다면, 나머지 부분과 함께 제1 콘텐츠(140)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이 제1 게임의 비디오를 표시하고 통합 표시 영역이 다른 게임들의 썸네일 비디오들을 표시할 때, 유저는 다른 게임들 중 하나의 게임에서 흥미로운 무엇인가가 발생할 때 그 게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유저의 선택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은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에 다른 게임을 표시하고 통합 표시 영역은 제1 게임의 썸네일을 표시한다. 가정 감시 비디오가 유저의 관심사의 무엇인가를 나타낼 때, 마찬가지로, 유저는 통합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가정 감시 비디오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콘텐츠 표시 영역이 제1 비디오를 표시하고 통합 표시 영역이 다른 콘텐츠와 함께 제2 비디오를 표시할 때, 유저는 제1 비디오를 제2 비디오와만 교환할 수 있다. 통합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다른 콘텐츠는 교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남는다.
어떤 사람은 개시된 실시 형태들의 확장이, 신호 처리 장치(102)가 추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도록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신호 처리 장치(102)의 하나 이상의 모듈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200)이다. 흐름도(200)는 도 1의 블록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흐름도(200)는 단계 202에서 시작한다. 단계 204에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가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를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비교하고 두 종횡비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단계 206에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또한 제1 콘텐츠(140)의 크기를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비교하고 두 크기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단계 208에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인지를 결정한다.
스위치를 켤 때, 신호 처리 장치(102)는 수신기(112)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106)로부터 제1 콘텐츠(140)를 포함하는 입력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콘텐츠 관리기(124)는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제1 콘텐츠(140)를 추출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가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상이하다는 것을 결정한다. 두 개의 종횡비가 상이하면,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상이하다는 것을 결정한다. 두 개의 크기가 상이하다면,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결정한다. 종횡비들과 크기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3a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210에서, 복수의 미활용 영역의 출현의 결정에 기초하여, 통합기(128)는 통합 표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한다.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 및 통합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는 방법은 도 3b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212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통합 영역을 활용한다. 어떤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단계 212는 흐름도(200)에서 점선 박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일 수 있다. 통합 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은 도 3d 및 도 3e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흐름도(200)는 단계 214에서 정지한다.
도 3a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간의 차이, 및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제1 콘텐츠의 크기 간의 차이를 결정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종횡비 검출기(126)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300a)를 도시한다. 흐름도(300a)는 도 1의 블록도 및 도 2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흐름도(300a)는 상기 단계 302에서 시작하고 단계 304로 진행하여, 종횡비 검출기(126)가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 및/또는 크기를 결정한다.
단계 306에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장치 데이터(138)로서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122)로부터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및/또는 크기를 결정한다. 어떤 사람은 종횡비 검출기(126)가 단계 304와 단계 306을 임의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또한 종횡비 검출기(126)가 단계 304와 단계 306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계 308에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 및/또는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 및/또는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동일하다면, 방법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도(300c)의 단계 320으로 진행한다. 단계 320은 도 3c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단계 308에서, 종횡비 검출기(126)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및/또는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및/또는 크기와 상이하다고 판단한다면, 방법은 단계 310으로 진행한다.
단계 310에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지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제1 콘텐츠의 크기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표시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지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가 상이하다면, 종횡비 검출기(126)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상이하다면, 종횡비 검출기(126)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 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종횡비 검출기(126)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동일하다면, 종횡비 검출기(126)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126)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표시 검출 알고리즘들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 검출 알고리즘들은 입력 비디오 신호의 픽셀들의 색상과 강도 등 하나 이상의 속성에 있어서의 불연속성을 검출한다. 그 후, 방법은 도 3b에 도시된 흐름도(300b)의 단계 312로 진행한다.
도 3b는 실시 형태에 따라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고 통합 영역을 활용하는 시스템 구현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300b와 300c)이다. 흐름도(300b)는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및 도 3a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계 310에서, 종횡비 검출기(126)가 복수의 미활용 영역이 나타날 것이라고 결정하면, 단계 312에서 통합기(128)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를 제1 콘텐츠(140)로 채우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단계 312는 흐름도(300b)의 점선 박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일 수 있다.
단계 314에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결정하는데, 제1 콘텐츠 영역이 복수의 미활용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그 에지를 향해 이동한다. 예를 들어, 통합기(128)가 제1 콘텐츠 영역 위와 아래의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검출할 때,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상단 에지를 향해, 또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하단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킬지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통합기(128)가 제1 콘텐츠 영역의 우측과 좌측에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검출할 때,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좌측 또는 우측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킬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계 314에서, 통합기(128)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을 정렬하기 위한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에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142)에 기초하여 에지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계 316에서는, 단계 314에서의 결정에 기초하여, 통합기(128)가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계 316에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검출된 에지에 정렬하도록 제1 콘텐츠 영역을 이동시킨다. 통합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검출된 에지에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의 크기를 최대화한다. 통합기(128)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 영역을 이동시키고 정렬한다.
단계 318에서, 통합기(128)는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영역이 출력 비디오 신호의 검출된 에지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할 때, 통합기(128)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의 한 측면에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출력 비디오 신호의 상단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의 상단과 하단에 미활용 영역들을 통합한다.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 아래에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영역이 출력 비디오 신호의 검출된 에지에 정렬할 때, 통합기(128)는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의 한 측면에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2 콘텐츠(142)의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할 수 있다. 표시 화면상의 통합 표시 영역의 형성의 예들로서는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통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그 후, 이 방법은 도 3c에 도시된 흐름도(300c)의 단계 320으로 진행된다.
도 3c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과,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키는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300c)이다. 흐름도(300c)는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및 도 3b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계 320에서, 콘텐츠 관리기(124)는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이 방법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e의 흐름도(300c)의 단계 346으로 진행한다. 단계 346은 도 3e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단계 320에서 콘텐츠 관리기(124)가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면, 방법은 단계 322로 진행한다.
단계 322에서, 규칙 엔진(130)은 어떻게 그리고 어떤 제2 콘텐츠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규칙을 활용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도 3d에 도시된 흐름도(300c)의 단계 324로 진행한다.
도 3d 및 도 3e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과,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키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300c)이다. 흐름도(300c)는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계 322에서의 규칙 엔진(130)에 의한 결정에 기초하여 신호 관리기(134)는 단계 324를 수행한다. 단계 324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통합 영역이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가 동일하다면, 통합 영역은 이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콘텐츠(140)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동일하다면, 통합 영역은 이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 324에서, 신호 관리기(134)가 통합 영역이 이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신호 관리기(134)는 단계 326에서 통합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한다. 단계 328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축소된 크기의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시킨다. 단계 332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킨다. 어떤 사람은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28과 단계 330을 임의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또한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28과 단계 330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333으로 진행하고 거기서 방법은 정지한다.
그러나, 단계 324에서, 신호 관리기(134)가 통합 영역이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면, 단계 334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형성된 통합 영역의 크기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단계 334의 결정을 수행한다. 단계 334에서, 신호 관리기(134)가 형성된 통합 영역의 크기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하면, 이 방법은 단계 336으로 진행한다. 단계 336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시킨다. 단계 338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형성된 통합 영역과 연관시킨다. 어떤 사람은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36과 단계 338을 임의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36과 단계 338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333으로 진행하고 거기서 방법은 정지한다.
그러나, 단계 334에서, 신호 관리기(134)가 형성된 통합 영역의 크기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은 도 3e에 도시된 흐름도(300c)의 단계 340으로 진행한다. 단계 340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스케일링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계 340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한다. 그 결과, 신호 관리기(134)는 형성된 통합 영역을 확대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계 340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가 더 작은 통합 영역을 필요로 할 때,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확대한다.
단계 342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스케일링된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시킨다. 단계 344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크기가 재조정된 통합 영역과 연관시킨다. 어떤 사람은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42와 단계 344를 임의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42와 단계 344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333으로 진행하고 거기서 방법은 정지한다.
단계 320에서, 콘텐츠 관리기(124)가 제2 콘텐츠(142)가 이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신호 관리기(134)는 단계 346에서,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시킨다. 단계 348에서, 신호 관리기(134)는 어떠한 콘텐츠도 통합 영역과 연관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02)가 통합 표시 영역과 연관된 임의의 제2 콘텐츠(142)를 수신하지 않을 때, 신호 관리기(134)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상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과 제1 콘텐츠(140)를 연관시키고, 제1 콘텐츠 영역 아래의 통합 영역과 어떠한 콘텐츠도 연관시키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46과 단계 348을 임의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또한 신호 관리기(134)가 단계 346과 단계 348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이 방법은 단계 333으로 진행하고 거기서 방법은 정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140)는 크리켓 경기의 라이브 비디오이다. 규칙 엔진(130)은 제1 콘텐츠(140)에 관한 추가 정보가 통합 영역과 연관되는 규칙을 활용한다. 종횡비 검출기(126)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라이브 비디오의 종횡비가 상이한지를 결정한다. 두 개의 종횡비가 상이하다면,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상단 에지에 정렬하고 제1 콘텐츠 영역 아래에 통합 영역을 형성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표시 화면(114)에 표시를 위한 제1 콘텐츠 영역 및 통합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신호 관리기(134)는 표시 화면(114)의 상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표시 영역 내에 크리켓 경기 비디오를 표시한다. 규칙에 기초하여, 신호 관리기(134)는 크리켓 경기를 주최하는 도시의 역사, 경기를 하는 플레이어들의 프로필, 팀 통계, 점수, 및 경기의 남은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 화면(114)의 통합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라 높이보다 폭이 큰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의 통합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400a)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생성되고 있는 표시(400a)를 도시한다. 표시(400a)는 또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400a)의 크기와 상이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400a)는 높이보다 폭이 큰(예를 들면, 레터박스 포맷) 제1 콘텐츠 영역(402)을 도시한다. 제1 콘텐츠 영역(402)은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활용 영역들(404a, 404b)은 제1 콘텐츠 영역(402)의 위와 아래에 각각 나타난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라 생성되고 있는 표시(400a)를 수정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표시 화면(114)상의 표시를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400a)의 상단 또는 하단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4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을 통합한다.
도 4는 제1 콘텐츠 영역(402) 및 통합 영역(405a)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b)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400b)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b)의 상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402)을 도시한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402) 아래에 통합 영역(405a)을 형성한다.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의 이동으로 인해, 미활용 영역(405b)은 제1 콘텐츠 영역(402) 위에 남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5a)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5b)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5a) 및 미활용 영역(405b)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통합 영역(405a) 및 미활용 영역(405b)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b)의 상단에 제1 콘텐츠 영역(402)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405a)을 최대화한다.
도 4는 제1 콘텐츠 영역(402) 및 통합 영역(406)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c)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400c)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c)의 상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402)을 도시한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402) 아래에 통합 영역(406)을 형성한다. 통합 영역(406)은 제1 콘텐츠 영역(402)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고서 가능한 최대 크기를 갖는 통합 영역이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6)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4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406)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410)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d)를 도시한다. 제2 콘텐츠(142)가 제1 콘텐츠(140)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큰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402)의 크기를 줄인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410)과 확대된 통합 영역(412)을 형성한다. 확대된 통합 영역(412)의 크기는 통합 영역(406)의 크기보다 크다.
도 4는 제1 콘텐츠 영역(402) 및 통합 영역(407a)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e)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400e)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e)의 하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402)을 도시한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402) 위에 통합 영역(407a)을 형성한다.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의 이동으로 인해, 미활용 영역(407b)은 제1 콘텐츠 영역(402) 아래에 남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7a)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미활용 영역(407b)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7a) 및 미활용 영역(407b)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통합 영역(407a) 및 미활용 영역(407b)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e)의 하단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402)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407a)을 최대화한다.
도 4는 제1 콘텐츠 영역(402) 및 통합 영역(408)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f)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400f)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f)의 하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402)을 도시한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404a 및 404b)을 통합하고 통합 영역(408)을 제1 콘텐츠 영역(402) 위에 형성한다. 통합 영역(408)은 제1 콘텐츠 영역(402)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고서 가능한 최대 크기를 갖는 통합 영역이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408)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4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408)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414)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400g)를 도시한다. 제1 콘텐츠(140)가 제2 콘텐츠(142)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작은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402)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414) 및 축소된 통합 영역(416)을 형성한다. 따라서, 축소된 통합 영역(416)의 크기는 통합 영역(408)의 크기보다 작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414)의 크기를,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414)이 전체 출력 비디오 신호(400g)를 커버할 정도로 증가시킨다. 그러한 경우, 통합 영역은 출력 비디오 신호(400g)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라 폭보다 높이가 큰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 내의 통합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5는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500a)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생성되고 있는 표시(500a)를 도시한다. 표시(500a)는 또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500a)의 크기와 상이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500a)는 폭보다 높이가 큰(예를 들면, 필러박스 포맷) 제1 콘텐츠 영역(502)을 도시한다. 제1 콘텐츠 영역(502)은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활용 영역들(504a, 504b)은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각각 나타난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라 생성되고 있는 표시(500a)를 수정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표시 화면(114)상의 표시를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500a)의 좌단 또는 우단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5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을 통합한다.
도 5는 제1 콘텐츠 영역(502) 및 통합 영역(505a)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b)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500b)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b)의 우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502)을 도시한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좌측에 통합 영역(505a)을 형성한다.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의 이동으로 인해, 미활용 영역(505b)은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우측에 남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5a) 내에,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 내에 동시에 표시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5b)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과,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5a) 및 미활용 영역(505b)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통합 영역(505a) 및 미활용 영역(505b)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b)의 우단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502)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505a)을 최대화한다.
도 5는 제1 콘텐츠 영역(502) 및 통합 영역(506)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c)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500c)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c)의 우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502)을 도시한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을 통합하고 통합 영역(506)을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좌측에 형성한다. 통합 영역(506)은 제1 콘텐츠 영역(502)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고서 가능한 최대 크기를 갖는 통합 영역이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6)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5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506)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510)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d)를 도시한다. 제2 콘텐츠(142)가 제1 콘텐츠(140)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큰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502)의 크기를 줄인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510) 및 확대된 통합 영역(512)을 형성한다. 확대된 통합 영역(512)의 크기는 통합 영역(506)의 크기보다 크다.
도 5는 제1 콘텐츠 영역(502) 및 통합 영역(507a)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e)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500e)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e)의 좌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5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우측에 통합 영역(507a)을 형성한다.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의 이동으로 인해, 미활용 영역(507b)은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좌측에 남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7a)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미활용 영역(507b)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402)과,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7a) 및 미활용 영역(507b)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통합 영역(507a) 및 미활용 영역(507b)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d)의 좌단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502)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507a)을 최대화한다.
도 5는 제1 콘텐츠 영역(502) 및 통합 영역(508)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f)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500f)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f)의 좌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5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들(504a 및 504b)을 통합하고 통합 영역(508)을 제1 콘텐츠 영역(502)의 우측에 형성한다. 통합 영역(508)은 제1 콘텐츠 영역(502)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고서 가능한 최대 크기를 갖는 통합 영역이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508)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5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5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408)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514)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500g)를 도시한다. 제1 콘텐츠(140)가 제2 콘텐츠(142)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작은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50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514)과 축소된 통합 영역(516)을 형성한다. 따라서, 축소된 통합 영역(516)의 크기는 통합 영역(508)의 크기보다 작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514)의 크기를,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514)이 전체 출력 비디오 신호(500g)를 커버할 정도로 증가시킨다. 그러한 경우, 통합 영역은 출력 비디오 신호(500g)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콘텐츠 영역의 모든 측면들에 나타나는 미활용 영역들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 내의 통합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6은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600a)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생성되고 있는 표시(600a)를 도시한다. 표시(600a)는 또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600a)의 크기와 상이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600a)는 그의 모든 네 개의 측면들에 나타나는 미활용 영역들을 갖는(예를 들면, 윈도우박스 포맷) 제1 콘텐츠 영역(602)을 나타낸다. 제1 콘텐츠 영역(602)은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활용 영역(604)은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에 나타난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라 생성되고 있는 표시(600a)를 수정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표시 화면(114)상의 표시를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600a)의 좌단, 우단, 상단, 또는 하단 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6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활용 영역(604)을 제1 콘텐츠 영역(602)의 모든 측면들에 통합한다.
도 6은 제1 콘텐츠 영역(602) 및 통합 영역(606)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b)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600b)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b)의 좌단 에지 및 상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6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604)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좌측 및 아래에 통합 영역(606)을 형성한다. 미활용 영역(604)의 이동으로 인해, 일부 미활용 영역(604)은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우측 및 위에 남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606)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6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미활용 영역(604) 및 통합 영역(606)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6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미활용 영역(604) 및 통합 영역(606)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b)의 좌단 에지 및 상단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602)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606)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콘텐츠 영역(602) 및 통합 영역(608)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c)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600c)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c)의 좌단 에지 및 상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6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604)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우측 및 아래에 통합 영역(608)을 형성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608)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6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6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608)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614)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d)를 도시한다. 제2 콘텐츠(142)가 제1 콘텐츠(140)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큰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602)의 크기를 줄인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614) 및 확대된 통합 영역(616)을 형성한다. 따라서, 확대된 통합 영역(616)의 크기는 통합 영역(608)의 크기보다 크다.
도 6은 제1 콘텐츠 영역(402) 및 통합 영역(610)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e)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600e)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e)의 우단 에지 및 하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6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604)을 통합하고,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좌측 및 위에 통합 영역(610)을 형성한다. 미활용 영역(604)의 이동으로 인해, 미활용 영역(604)은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우측 및 아래에 남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610)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6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미활용 영역(604) 및 통합 영역(610)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6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미활용 영역(604) 및 통합 영역(610)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제2 콘텐츠(142)와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d)의 우단 에지 및 하단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602)을 정렬함으로써 통합 영역(610)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콘텐츠 영역(602) 및 통합 영역(612)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f)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600f)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f)의 우단 에지 및 하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6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미활용 영역(604)을 통합하고 통합 영역(612)을 제1 콘텐츠 영역(602)의 좌측 및 위에 형성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612)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6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6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612)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618)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600g)를 도시한다. 제1 콘텐츠(140)가 제2 콘텐츠(142)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작은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60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618) 및 축소된 통합 영역(6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축소된 통합 영역(620)의 크기는 통합 영역(612)의 크기보다 작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618)의 크기를,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618)이 전체 출력 비디오 신호(600g)를 커버할 정도로 증가시킨다. 그러한 경우, 통합 영역은 출력 비디오 신호(600g)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콘텐츠 영역의 모든 측면들에 나타나는 미활용 영역들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 내의 통합 영역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7은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700a)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생성되고 있는 표시(700a)를 도시한다. 표시(700a)는 또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700a)의 크기와 상이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700a)는 그의 모든 네 개의 측면들에 나타나는 미활용 영역들을 갖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을 나타낸다. 제1 콘텐츠 영역(602)은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활용 영역(704)은 제1 콘텐츠 영역(702)의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에 나타난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라 생성되고 있는 표시(700a)를 수정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표시 화면(114)상의 표시를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700a)의 좌단, 우단, 상단, 또는 하단 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7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활용 영역(704)을 제1 콘텐츠 영역(702)의 모든 측면들에 통합한다.
도 7은 제1 콘텐츠 영역(702) 및 통합 영역(706)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b)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700b)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b)의 상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7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b)의 상단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702)을 이동시킴으로써 미활용 영역(704)을 통합한다. 그 결과,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의 좌측, 우측, 및 아래에 통합 영역(706)을 형성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706)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7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706)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708)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c)를 도시한다. 제2 콘텐츠(142)가 제1 콘텐츠(140)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큰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의 크기를 줄인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708) 및 확대된 통합 영역(710)을 형성한다. 따라서, 확대된 통합 영역(710)의 크기는 통합 영역(706)의 크기보다 크다.
도 7은 제1 콘텐츠 영역(702) 및 통합 영역(712)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d)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700d)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d)의 하단 에지를 향해 이동된 제1 콘텐츠 영역(702)을 나타낸다. 통합기(128)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d)의 하단 에지를 향해 제1 콘텐츠 영역(702)을 이동시킴으로써 미활용 영역(704)을 통합한다. 그 결과,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의 좌측, 우측, 및 위에 통합 영역(712)을 형성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2 콘텐츠(142)를 통합 영역(712)과, 제1 콘텐츠(140)를 제1 콘텐츠 영역(702)과 동시에 연관시킨다. 또한,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을 스케일링함으로써 통합 영역(712)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714)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700e)를 도시한다. 제2 콘텐츠(142)가 제1 콘텐츠(140)보다 더 중요하며 그리고/또는 더 큰 통합 영역이 제2 콘텐츠(142)를 위해 필요하다면,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702)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714) 및 축소된 통합 영역(716)을 형성한다. 따라서, 축소된 통합 영역(716)의 크기는 통합 영역(712)의 크기보다 크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호 관리기(134)는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714)의 크기를, 확대된 제1 콘텐츠 영역(714)이 전체 출력 비디오 신호(700e)를 커버할 정도로 증가시킨다. 그러한 경우, 통합 영역은 출력 비디오 신호(700e)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블록도, 및 도 2,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8은 제1 콘텐츠(140)의 종횡비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800a)의 종횡비와 상이할 때 생성되고 있는 표시(800a)를 도시한다. 표시(800a)는 또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800a)의 크기와 상이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고 있는 표시(800a)는 폭보다 높이가 큰(예를 들면, 필러박스 포맷) 제1 콘텐츠 영역(802)을 도시한다. 제1 콘텐츠 영역(802)은 제1 콘텐츠(140)와 연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활용 영역들(804a, 804b)은 제1 콘텐츠 영역(802)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각각 나타난다. 신호 처리 장치(102)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라 생성되고 있는 표시(800a)를 수정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02)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표시 화면(114)상의 표시를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802)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미활용 영역들(804a, 804b)을 통합한다.
도 8은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806) 및 통합 영역(808)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800b)를 도시한다. 신호 관리기(134)는 제1 콘텐츠 영역(802)의 주의에 새로운 미활용 영역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콘텐츠 영역(802)의 크기를 축소한다. 통합기(128)는 새로운 형성된 미활용 영역들과 미활용 영역들(804a, 804b)을 통합하여 통합 영역(808)을 형성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합기(128)는 제1 콘텐츠 영역(802)의 크기를 스케일링한 후 통합 영역(808)을 출력 비디오 신호(800b)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 8은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806) 및 통합 영역(810)을 포함하는 출력 비디오 신호(800c)를 도시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800c)는 출력 비디오 신호(800c)의 좌단 에지에 정렬된 제1 콘텐츠 영역(806)을 나타낸다. 통합 영역(810)은 축소된 제1 콘텐츠 영역(806)의 우측 및 하단에 형성된다.
도 8은 필러박스 포맷의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필러박스 포맷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상이한 표시 포맷들의 복수의 미활용 영역(레터박스 포맷 및 윈도우박스 포맷 등)이 또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8은 스케일링시에 제1 콘텐츠 영역의 종횡비가 변화없이 남아 있도록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스케일링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제1 콘텐츠 영역의 종횡비를 유지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스케일링할 때 제1 콘텐츠 영역의 종횡비는 변화할 수 있다.
개시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실시 형태들은, 진행된 설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전형적인 예들로서는 범용 컴퓨터,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주변 장치 집적 회로 요소, 및 본 개시의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는 기타 장치들 또는 장치들의 구성을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입력 장치, 표시 유닛,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신 버스에 접속한다. 컴퓨터는 또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광학-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일 수 있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저장 장치는 또한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타 명령어들을 로딩하는 다른 유사한 수단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또한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은 컴퓨터가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여 전송뿐만 아니라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허용한다. 통신 유닛은 LAN, MAN, WAN,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및 데이터베이스에 컴퓨터 시스템을 접속할 수 있는 모뎀, 이더넷 카드, 또는 기타 유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I/O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통해 고객으로부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저장 소자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한다. 저장 소자들은 데이터 또는 원하는 다른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저장 소자는 정보 소스, 또는 처리 머신에 존재하는 물리적 메모리 소자의 형태일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은 본 개시의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과 같은 특정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처리 머신에 지시하는 다양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방법 및 시스템들은 또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하드웨어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두 가지 기술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및 컴퓨터의 운영 체제와 독립적이다. 본 개시의 명령어들은 'C', 'C++', 'Visual C++', 및 'Visual Basic'을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본 개시에서와 같이, 별도의 프로그램들의 모음, 큰 프로그램을 갖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의 일부분의 형태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또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형태의 모듈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머신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는 고객의 명령, 또는 다른 처리 머신에 의해 이루어진 요청 또는 이전의 처리의 결과의 응답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유닉스(Unix)', '도스(DOS)', '안드로이드(Android)', '심비안(Symbian)', '윈도우즈(Windows)', 'iOS', 및 '리눅스(Linux)' 등을 포함하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는 모든 운영 체제들 및 플랫폼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명령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반송파에 걸쳐 프로그램가능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들은 상기의 방법들 및 시스템들, 또는 그들의 많은 가능한 변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 형태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양한 수정, 변경, 변형, 대체, 및 등가물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로서,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간의 차이의 결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통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기는 통합 영역, 및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종횡비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횡비 검출기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간의 차이를 결정하고,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간의 차이, 또는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제1 콘텐츠의 크기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기는 (1)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 (2)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또는 (3) 제1 콘텐츠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정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규칙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규칙을 활용하도록 구성된 규칙 엔진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콘텐츠와 연관된 통합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스케일링하도록 구성된 신호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에 기초하여 통합 표시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의 색상, 콘트라스트, 또는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신호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를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분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신호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의 모양, 크기, 또는 방향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신호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0.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제1 콘텐츠의 종횡비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통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검출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는 단계, 및
    통합 영역, 및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제1 콘텐츠의 크기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상이한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제1 콘텐츠의 크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은,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 또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의 크기를 최대화하기 위해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제1 콘텐츠 영역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규칙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를 통합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영역과 연관된 제1 콘텐츠에 기초하여 통합 영역과 연관된 제2 콘텐츠의 색상, 콘트라스트, 또는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7. 컴퓨터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그 안에 구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콘텐츠의 종횡비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종횡비와 상이한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통합 영역, 및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갖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생성되고 있는 표시의 크기와 제1 콘텐츠의 크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활용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7항에 있어서,
    통합 영역은,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 또는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1 콘텐츠 영역을 출력 비디오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통합 영역의 활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30136101A 2012-11-20 2013-11-11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69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82,493 2012-11-20
US13/682,493 US9756282B2 (en) 2012-11-20 2012-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for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634A true KR20140064634A (ko) 2014-05-28
KR101569582B1 KR101569582B1 (ko) 2015-11-16

Family

ID=5072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101A KR101569582B1 (ko) 2012-11-20 2013-11-11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56282B2 (ko)
JP (1) JP2014103663A (ko)
KR (1) KR101569582B1 (ko)
CN (1) CN1038414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414295A (zh) * 2012-09-20 2014-04-01 Sony Corp 收訊裝置、收訊方法、播送裝置、播送方法、程式、及連動應用程式控制系統
US10019963B2 (en) * 2013-03-14 2018-07-10 Zumob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third party content
US9344626B2 (en) 2013-11-18 2016-05-17 Apple Inc. Modeless video and still frame capture using interleaved frames of video and still resolutions
KR20160115214A (ko) * 2015-03-26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46609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홀 영역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홀 영역 제어방법
US11482193B2 (en) * 2018-03-21 2022-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sitioning video signals
US10825134B2 (en) * 2018-03-29 2020-11-03 Owned Outcom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content across multiple form factors
CN109348276B (zh) * 2018-11-08 2019-12-17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视频画面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390310A (zh) * 2022-01-13 2022-04-22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数据推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9049A (en) 1990-06-01 1993-09-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anaging letterbox displays
JP3037041B2 (ja) 1993-09-30 2000-04-24 三洋電機株式会社 子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260970C (zh) * 1996-05-09 2006-06-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多媒体光盘的记录方法、再生装置及再生方法
US6292226B1 (en) 1996-08-28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eiver selectively using navigation information multiplexed on transport stre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of the same
EP0837602A3 (en) 1996-10-17 1999-10-06 Kabushiki Kaisha Toshiba Letterbox image detection apparatus
KR100253211B1 (ko) 1997-11-28 2000-04-15 구자홍 디스플레이의화면표시제어방법및장치
FR2793375A1 (fr) 1999-05-06 2000-11-10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detection de bandes noires dans une image video
JP4298076B2 (ja) 1999-07-28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577857B2 (ja) * 2000-01-31 2010-11-10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356202B2 (ja) * 2000-06-29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JP4613403B2 (ja) * 2000-08-25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US7450826B2 (en) 2001-10-09 2008-11-11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dia program with selectable sub-segments
JP2003174601A (ja) 2001-12-05 2003-06-20 Fujitsu General Ltd 映像表示装置
US7224401B2 (en) * 2003-06-02 2007-05-29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interface placement based on aspect ratio
JP4369263B2 (ja) * 2004-03-12 2009-1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信号生成方法
US7307668B2 (en) * 2004-06-30 2007-12-11 Lenovo (Singapore) Pte. Ltd. Shifting letterbox video to prolong display life
US20060059514A1 (en) * 2004-09-10 2006-03-16 Eric Hsiao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ank space on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creen
KR100594806B1 (ko) 2004-12-28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2007135158A (ja) 2005-11-14 2007-05-31 Sharp Corp 番組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US7773075B2 (en) * 2006-03-22 2010-08-10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JP4700539B2 (ja) 2006-03-22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7274070A (ja) * 2006-03-30 2007-10-18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機器、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7282082A (ja) 2006-04-11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316613A (ja) * 2006-04-26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字幕表示制御装置
US8817188B2 (en) 2007-07-24 2014-08-26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ext
JP2010107909A (ja) 2008-10-31 2010-05-13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10067456A1 (ja) * 2008-12-12 2010-06-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映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K2445224T3 (en) * 2009-06-17 2017-08-21 Panasonic Ip Man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FOR 3D VIDEO RENDERING AND REPLACEMENT DEVICE
US8832559B2 (en) * 2010-06-25 2014-09-09 LeftsnRights, Inc.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8692868B2 (en) * 2010-09-28 2014-04-08 Mediatek Inc. Letterbox margin processing method for identifying letterbox margins of target frame according to frame packing type corresponding to 3D video input and related letterbox margin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101733246B1 (ko) * 2010-11-10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포즈를 이용한 화상 통화를 위한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US8549425B2 (en) 2010-12-02 2013-10-01 Sony Corporation Visual treatment for a user interface in a content integration framework
WO2012090952A1 (ja) * 2010-12-28 2012-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404700B2 (ja) 2011-07-13 2014-02-05 株式会社東芝 映像受信装置および表示出力方法
JP5870586B2 (ja) * 2011-09-28 2016-03-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71447A1 (en) * 2012-04-11 2013-10-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bezel
US20140059478A1 (en) * 2012-08-21 2014-02-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bezel without occluding interactive content
US9720586B2 (en) * 2012-08-21 2017-08-01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 interaction with content within a digital bezel
TWI560650B (en) * 2012-09-12 2016-12-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output processing method, and image reception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1454A (zh) 2014-06-04
KR101569582B1 (ko) 2015-11-16
US20140139736A1 (en) 2014-05-22
US9756282B2 (en) 2017-09-05
CN103841454B (zh) 2018-01-26
JP2014103663A (ja)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582B1 (ko) 표시용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00341621A1 (en)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1799928B2 (en) Mobile device displaying real time sports statistics
JP5783245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フォーマットに従ってビデオストリームを表示する方法
US7800694B2 (en) Modular grid display
KR20180091915A (ko) 동적 비디오 오버레이
US10417742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diting preview images
JP2017127007A (ja) オーバーレイグラフィクス合成のためのアピアランスマッピ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WO2017211250A1 (zh) 图像的叠加显示方法和系统
KR201301037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88368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content-based picture quality profiles
US104481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530778A (ja) コンテンツ提示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007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on-used areas of a digital video display when video of other aspect ratios are being displayed
KR2017009384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색상 관리용 그래픽 프로세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색상 관리 방법
KR1018738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추천 방법
CN110650352B (zh) 一种iptv浏览器的视频处理方法
US20160277652A1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ing system, and program
US10972809B1 (en) Video transformation service
US20140282250A1 (en) Menu interface with scrollable arrangements of selectable elements
US9721615B2 (en) Non-linear video review buffer navigation
CN103034405A (zh) 屏幕显示画面的显示方法
CN107743710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40282092A1 (en) Contextual information interface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CN110971959B (zh) 防止画面突变的显示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