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335A -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335A
KR20140063335A KR1020120130578A KR20120130578A KR20140063335A KR 20140063335 A KR20140063335 A KR 20140063335A KR 1020120130578 A KR1020120130578 A KR 1020120130578A KR 20120130578 A KR20120130578 A KR 20120130578A KR 20140063335 A KR20140063335 A KR 20140063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dielectric layer
index dielectric
polarized light
low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김재진
이종병
박정호
정진미
신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13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335A/ko
Publication of KR2014006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58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e.g. wire grids, conductive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polarized light, e.g. by converting a polarisation component into another 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는 기판 상에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선격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파장 대역에서 우수한 편광도가 갖는 선격자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WIRE GRID TYPE POLA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IZER}
본 발명은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형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격자 편광자는 비편광된 빛을 특정 진동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으로 유도하는 광학소자의 일종이며, 광투과성 기판 상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구조를 갖고, 상기 스트라이프 패턴의 피치가 입사광의 파장보다 충분히 짧은 경우, 입사광 중에서 상기 스트라이프 패턴에 직교하는 전기장 벡터를 갖는 성분 (즉, p 편광) 은 투과하고, 상기 스트라이프 패턴과 평행한 전기장 벡터를 갖는 성분 (즉, s 편광)은 반사 또는 흡수된다. 이 때, 상기 스트라이프 패턴과 평행한 전기장 벡터를 갖는 성분 (즉, s 편광)이 반사되는 선격자 편광자를 반사형 선격자 편광자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반사형 선격자 편광자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선격자 패턴층을 포함하였다. 그런데,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형 선격자 편광자는 편광 특성이 구현되는 파장 대역이 일부 영역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편광 특성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편광 특성이란, 특정 편광(선 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만 투과시키는 특성을 말한다.
또한, 종래의 반사형 선격자 편광자는 원하는 파장 대역에서 편광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파장의 크기에 따라 패턴의 피치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 기술 상 편광 특성을 구현하는 파장 대역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편광 특성을 구현하는 반사형 선격자 편광자를 제조하는 것에 공정 상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다양한 파장 대역, 특히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편광 특성이 우수한 선격자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선격자 편광자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 상에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선격자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선격자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적층 구조를 선격자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 및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파장 대역, 특히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편광 특성이 우수한 선격자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의 선격자 구조체에서의 빛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원활한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 나타난 구성요소들은 과장, 축소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에서의 광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는, 기판(100) 및 선격자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100)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의 파장 대역에서 광투과도가 높은 기판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석영(Quartz)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이 중 석영(Quartz)은 가시광선뿐 아니라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광투과도가 우수함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선격자 구조체(2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선 격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굴절율 유전체층(210)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23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는, 선격자 구조체(200)에 입사되는 빛 중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s 편광)이 각 유전체층에서 반사되도록 하여, 선격자 패턴에 직교한 편광(p 편광)은 투과되고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s 편광)은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편광 특성 구현)이다(도 2 참조). 또한, 여기서, 저굴절율 유전체층(210)은 고굴절율 유전체층(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낮은 유전체층을 말하며, 고굴절율 유전체층(220)은 저굴절율 유전체층(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유전체층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율 유전체층(210)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220)의 두께는 편광능을 나타내고자 하는 파장 대역 및 유전체층의 굴절율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광능을 나타내고자 하는 파장 대역의 1/4 파장의 광학 두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는 하기 식 1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는 하기 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식 1]
dL=λ/4nL
여기서, dL은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 λ는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nL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임.
[식 2]
dH=λ/4nH
여기서, dH은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 λ는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nH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임.
상기 저굴절율 유전체층(210)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220)의 두께를 상기 식 1 및 2에 따르도록 하면, 각 유전체층의 굴절율 및 두께에 따라 선격자 편광자에서 편광 분리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게 되며, 각 유전체층에서 반사된 s 편광의 위상차값이 동일하여 보강 간섭에 의해 s 편광의 반사율이 증가되고, 그 결과 반사된 광의 재활용도가 커져 광 효율이 증진되게 된다(도 2 참조).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적층 구조의 수는 원하는 편광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적층 구조를 이루는 각 유전체층에서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이 반사되므로, 적층 구조의 수에 따라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s 편광)이 반사되는 비율이 변화하고, 반사되는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s 편광)의 비율에 따라 편광도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반사율이 높은 금속(예: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된 선격자 편광자의 경우,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편광 특성의 구현이 곤란하였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에 따르면, 각 유전체층의 굴절율, 두께 및 적층수에 따라 다양한 파장 대역에서 원하는 정도의 편광 특성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도 우수한 편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 제조방법은, (a) 다수의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층 구조를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기판 상에 다수의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 및 두께를 상기 식 1 및 2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 구조의 수를 조절하여 파장 대역에 따른 편광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적층 구조를 이루는 각 유전체층에서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이 반사되므로, 적층 구조의 수에 따라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s 편광)이 반사되는 비율이 변화하고, 반사되는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s 편광)의 비율에 따라 편광도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b) 적층 구조를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적층 구조를 선격자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는 적층 구조를 선격자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선격자 패턴에 평행한 편광은 반사시키고, 선격자 패턴에 직교한 편광은 투과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b) 단계는 포토 리소그래피,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 등 공지된 패터닝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선격자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각 유전체층의 굴절율 및 두께를 조절하여 다양한 파장 대역에서 우수한 편광 특성이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우수한 편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격자 편광자는, 원하는 파장대역에서 원하는 편광도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적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선격자 편광자는 편광판, 화상표시장치나 광 배향 장치 등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선격자 편광자는 자외선 파장 대역에서 우수한 편광도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자외선을 이용한 광 배향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기판
200 선격자 구조체
210 저굴절율 유전체층
220 고굴절율 유전체층
230 적층 구조
300 입사광

Claims (8)

  1. 기판 상에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선격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선격자 편광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는 하기 식 1을 만족하고, 상기 고굴절율 유전체층은 하기 식 2을 만족하는 것인 선격자 편광자.
    [식 1]
    dL=λ/4nL
    여기서, dL은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 λ는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nL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임.

    [식 2]
    dH=λ/4nH
    여기서, dH은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 λ는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nH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임.
  3. (a)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층 구조를 선격자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격자 편광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저굴절율 유전체층 및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인 선격자 편광자의 제조방법.
    [식 1]
    dL=λ/4nL
    여기서, dL은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 λ는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nL 저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임.

    [식 2]
    dH=λ/4nH
    여기서, dH은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두께, λ는 편광 분리되는 빛의 파장, nH 고굴절율 유전체층의 굴절율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의 수를 조절하여 편광도를 결정하는 선격자 편광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3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선격자 편광자.
  7. 청구항 1 또는 6의 선격자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8. 청구항 7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 배향 장치.
KR1020120130578A 2012-11-16 2012-11-16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3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78A KR20140063335A (ko) 2012-11-16 2012-11-16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78A KR20140063335A (ko) 2012-11-16 2012-11-16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35A true KR20140063335A (ko) 2014-05-27

Family

ID=5089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578A KR20140063335A (ko) 2012-11-16 2012-11-16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33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3147A (zh) * 2014-06-30 2016-03-09 Lg化学株式会社 具有局部去偏光区域的偏光板的制备方法,通过使用该方法制造的偏光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3147A (zh) * 2014-06-30 2016-03-09 Lg化学株式会社 具有局部去偏光区域的偏光板的制备方法,通过使用该方法制造的偏光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5119B1 (en) Wire grid polarizer
KR102484474B1 (ko) 브래그 액정 편광 격자
US9910198B2 (en) Optical filter and optical apparatus
WO2018097892A1 (en) Wire grid polarizer with high reflectivity on both sides
JP2005172844A (ja) ワイヤグリッド偏光子
EP1783520A2 (en) Optical grating trim retarders
JP4369256B2 (ja) 分光光学素子
JP4427026B2 (ja) 偏光子および偏光分離素子
JP6047051B2 (ja) 光学素子および光学装置
KR20140063335A (ko) 선격자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JP5101344B2 (ja) 多層膜偏光ビームスプリッタ
US9891358B2 (en) Optical filter and optical apparatus
JP5136185B2 (ja) 波長フィルタ
JP2011186252A (ja) 偏光変換素子
JP5302260B2 (ja) 平面型光波回路
US10145999B2 (en) Polarizing beamsplitter that passes s-polarization and reflects p-polarization
Wang et al. Diffractive polarizing beam splitter of two-layer grating for operation in reflection
JP4975162B2 (ja) 紫外線用自己クローニングフォトニック結晶
JP2007114375A (ja) 光照射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投射装置
JP2009237146A (ja) 波長フィルタ
KR101424348B1 (ko) 편광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8809890B2 (en) Reflective phase retarder a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such reflecting phase retarder
JP2017083719A (ja) 偏光素子およびそれを有する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20120229897A1 (en) Achromatic Phase Retarder with Anisotropic Layered Structure
KR100426097B1 (ko) 포토닉 크리스탈을 이용한 편광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