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738A - 수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738A
KR20140060738A KR1020120127421A KR20120127421A KR20140060738A KR 20140060738 A KR20140060738 A KR 20140060738A KR 1020120127421 A KR1020120127421 A KR 1020120127421A KR 20120127421 A KR20120127421 A KR 20120127421A KR 20140060738 A KR20140060738 A KR 2014006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gen
flow path
chamb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577B1 (ko
Inventor
김성태
이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to KR102012012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77B1/ko
Priority to PCT/KR2013/010237 priority patent/WO2014073938A1/ko
Priority to US14/442,286 priority patent/US9903025B2/en
Priority to EP13852645.4A priority patent/EP2918550A4/en
Priority to JP2015541694A priority patent/JP6150897B2/ja
Priority to CN201380058947.1A priority patent/CN104968608B/zh
Publication of KR2014006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95Cells containing solid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장치는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보조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모듈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챔버로 구분된 전기분해장치;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음극전극에서 생성된 활성수소가 포함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전극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포트; 상기 제 2 챔버의 양극전극에서 형성된 오존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포트;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 받고, 상기 오존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4 유로를 통해 상기 제 2 챔버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공급 받아, 상기 수소수와 살균수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출력단은 상기 분사포트와 연결되는 제 3 유로와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 5 유로와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펌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수의 유속 보다 빠르게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원수를 전기분해 하여, 활성수소의 함유량을 늘린 물을 생성하는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수돗물을 직접 마시기 보다는 생수를 구매하여 마시거나, 원수를 필터링 하여 음용수를 생성하는 정수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지금까지 정수기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물로 정수하는 장치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단순히 오염물질을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온수나 알칼리수 등과 같은 기능성 용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정수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분자 상태의 수소가 아닌 원자상태의 활성수소를 음용수에 포함시킬 경우, 이 활성수소가 활성산소와 체내에서 결합하여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질환의 발생 비율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들이 제기된 바, 물에 활성수소를 포함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631호(2011.10.1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1302호(2012.07.31. 등록)
본 발명은 물에 포함된 활성수소의 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유로 구조를 개선한 수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장치는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보조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모듈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챔버로 구분된 전기분해장치;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음극전극에서 생성된 활성수소가 포함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전극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포트; 상기 제 2 챔버의 양극전극에서 형성된 오존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포트;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 받고, 상기 오존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4 유로를 통해 상기 제 2 챔버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공급 받아, 상기 수소수와 살균수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출력단은 상기 분사포트와 연결되는 제 3 유로와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 5 유로와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펌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수의 유속 보다 빠르게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포트, 음극전극 및 오존수 배출포트의 중심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수소수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는 오존제거 유로(D1)와 살균유로(D2)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장치는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보조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모듈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챔버로 구분된 전기분해장치; 원수를 공급하는 수원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전기분해장치의 제 1 챔버에 원수를 공급하는 입력포트;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음극전극에서 생성된 활성수소가 포함된 수소수를 제 1 및 제 2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기된 제 3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에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에서 배출된 수소수를 분사하는 분사포트; 및 제 4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챔버의 양극전극에서 형성된 오존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 4 유로는 서로 병합되어 사용자에게 살균수가 섞인 수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입력포트와 수소수 배출포트는 중심이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사포트, 음극전극 및 오존수 배출포트의 중심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수소수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분사할 수 있다.
전극모듈의 음극 부분에 원수의 유입 및 유출 유로를 형성하면서, 음극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므로, 음극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수소원자들이 분리되어 전극모듈을 통과한 수소수의 수소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를 가지는 수소수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전극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수 방식의 수소수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를 가지는 수소수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전극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수 방식의 수소수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100)는 수소수가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120), 분사포트(150) 및 오존수 배출포트(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탱크(300)를 통해 원수를 공급 받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포트(150)를 통해 원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64654호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00)의 내부에는 전극모듈(1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전극모듈(10)을 중심으로 제 1 챔버(20)와 제 2 챔버(3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일으키는 양극전극(11)과, 상기 양극전극(11)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일으키는 음극전극(12)과, 상기 양극전극과 음극전극 사이에서 전기분해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3) 및 상기 음극전극(12)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전극(11)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상기 음극전극(12)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음극전극(12)에서 발생되는 OH-이온이 양이온 2가 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스케일을 표면에 생성시켜 상기 음극전극(12)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키는 보조전극(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전극(14)은 음극전극(12)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3)을 음극전극(12)에 인접하게 고정되며, 상기 보조전극(14)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3)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와 보조전극(14)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3)의 양측에 구비되어 두 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13) 사이에 매우 균일한 기계적 누름 특성을 확보하여 안정된 운전특성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수소수 배출포트(120)에는 수소수가 배출되는 제 1 유로(A)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A)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제 2 유로(B)와 연결되어 제 1 챔버(20)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저장탱크(300)로 공급하고, 제 3 유로(C)에서는 상기 저장탱크(300)의 내부에 저장된 수소수를 원수로 공급 받아, 상기 제 3 유로(C) 상에 설치된 펌프(200)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펌프(200)의 입력단으로 흡입된 수소수를 분사포트(150)를 통해 상기 제 1 챔버(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포트(150)를 통해 분사되는 수소수의 유속은 상기 제 1 유로(A)를 통해 제 1 챔부(20)에서 배출되는 수소수의 유속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게 형성되어,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120)와 제 1 유로(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전극모듈(10)의 음극(12) 부분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포트(150)를 통해 상기 음극전극(12)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구성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즉, 상기 분사포트(150)는 상기 전극모듈(10)의 중심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수소수를 분사하는데, 분사된 수소수의 분사 압력으로 인해, 상기 음극전극(12)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수소원자가 손쉽게 보다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수소원자는 제 1 챔버(20) 내부를 이동하는 물에 섞여 수소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포트(150)의 중심과 상기 전극모듈(10)의 음극(12)의 중심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분사포트(150)를 통해 분사되는 수소수가 상기 음극전극(12)의 최대한 넓은 면적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포트(150)의 지름은 상기 입력포트(110) 및 수소수 배출포트(120)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분사포트(150)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수의 분사 압력이 강하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유로(B)의 끝단은 제 1 수소수 배출구(B1)와 제 2 수소수 배출구(B2)로 분기되어, 수소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0)에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수소수 배출구(B)는 제 2 수소수 배출구(B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T”자 형태로 저장탱크(300)를 구획 짓는 구분판(31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수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부의 제 1 수소수 배출구(B1)는 후술할 제 4 유로(D)를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와 섞이면서 상대적으로 수소의 농도가 낮은 물들이 저장되고, 상기 구분판(310)의 하측 공간부로 수소수를 공급하는 제 2 수소수 배출구(B2)는 상기 제 4 유로(D)의 살균수 배출구(D3)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최대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오존수 배출포트(160)는 제 4 유로(D)와 연결되어, 상기 양극전극(11)에서 생성된 오존이 포함된 살균수를 제 4 유로(D)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유로(D)는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휘어진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양극전극(11)이 형성된 제 2 챔버(30) 측에서 발생된 오존 가스 등이 제 2 챔버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항상 상기 제 2 챔버(30)의 내측이 물로 가득찰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D)는 오존제거 필터(165)가 설치된 오존제거 유로(D1)와 살균유로(D2)로 분기될 수 있다.
수소수 생성모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161)는 폐쇄하고, 제 2 밸브(162)를 오픈 하여 오존제거 필터(165)를 통해 오존이 제거된 물을 살균수 배출구(D3)를 통해 저장탱크(3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망간, 카본 등을 이용한 오존제거 필터(165)를 통해 오존을 제거하였으나, 전극모듈(10)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물은 오존을 포함하면서 살균수가 1차적으로 되었기 때문에, 상기 오존제거 유로(D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살균수로 볼 수 있다.
만일, 상기 저장탱크(300) 내부 공기 및 수소수 등에 대한 살균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161)는 오픈하고 제 2 밸브(162)는 폐쇄하여, 오존이 포함된 살균수를 살균유로(D2)를 통해 저장탱크(300)의 내부로 토출 하여,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공기 및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전극(11) 측에서 나오는 살균수는, 수소와 섞이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00)의 상부면에 살균수 배출구(D3)를 형성하여, 살균수가 물 표면 위에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살균유로(D2)를 통해 공급되는 오존수 공급 시, 저장탱크(300) 내부의 공기와 물을 동시에 살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탱크(300)의 저면에는 제 5 유로(E)가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유로(C)와 연결되어 분사포트(150)를 통해 음극전극(12)에 수소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수소수를 원수로 하여 반복적으로 전극모듈(10)에서 전기분해 하면, 수소수 내부의 수소원자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필요로 하는 고동도의 활성수소가 포함된 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저장탱크(300)에는 저장된 수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코크유닛 및 정수된 물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원수 공급부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저장탱크(300) 없이 직접 원수와 연결된 후, 생성된 수소수를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직수 타입이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장치(100)는 입력포트(110)와 수소수가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120), 분사포트(150) 및 오존수 배출포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포트(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모듈(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음극전극(12)이 형성된 제 1 챔버(20) 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120) 또한, 상기 제 1 챔버(2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포트(110)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 파이프(I)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입력포트(110)와 수소수 배출포트(120)는 각각의 중심이 동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포트(110)와 수소수 배출포트(120)는 최대한 상기 음극전극(12)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음극전극(12)과 가까운 위치에 입력포트(110)와 수소수 배출포트(120)가 배치되면, 이들을 통해 유출입 되는 물이 상기 음극전극(120)의 표면에 밀착되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물의 전기분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음극전극(120) 표면에서 이탈하는 수소원자가 흐르는 물에 최대한 섞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제 2 유로(B)와 제 4 유로(D)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수소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포함된 저장탱크(300)의 구성이 생략되었기 때문에, 생성된 수소수를 저장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 그때 그때 생산하여 바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포트(110)는 원수와 직접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 받고, 원수가 공급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수 배출포트(120)를 통해 수소수가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수소수는 제 1 유로(A)를 통해 제 2 유로(B) 측으로 공급되면서, 동시에 펌프(200)에 의해 흡입되어 제 3 유로(C)를 통해 분사포트(150)에서 분사된다. 분사되는 수소수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수소수가 생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수 공급모드에서는 제 1 밸브(161)는 폐쇄하고, 제 2 밸브(162)를 오픈 하여 오존제거 필터(165)를 통해 오존이 제거된 물을 상기 제 2 유로(B)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수와 함께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즉, 망간, 카본 등을 이용한 오존제거 필터(165)를 통해 오존을 제거하였으나, 전극모듈(10)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물은 오존을 포함하면서 살균수가 1차적으로 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 2 유로(B)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수와 섞이는 물은 살균수이다.
만일, 수소수 공급포트 등의 유로 살균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161)는 오픈하고 제 2 밸브(162)는 폐쇄하여, 오존이 포함된 살균수를 살균유로(D2)를 통해 배출 하여, 수소수가 공급되는 코크 등의 공급유로를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전극모듈 11; 양극전극
12; 음극전극 13;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14; 보조전극 15; 스페이서
20; 제 1 챔버 30; 제 2 챔버
100; 전기분해장치 110; 입력포트
120; 수소수 배출포트 200; 펌프
300; 저장탱크 310; 구분판

Claims (7)

  1.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보조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모듈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챔버로 구분된 전기분해장치;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음극전극에서 생성된 활성수소가 포함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전극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포트;
    상기 제 2 챔버의 양극전극에서 형성된 오존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포트;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 받고, 상기 오존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4 유로를 통해 상기 제 2 챔버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공급 받아, 상기 수소수와 살균수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출력단은 상기 분사포트와 연결되는 제 3 유로와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 5 유로와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펌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수의 유속 보다 빠르게 분사하는 수소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포트, 음극전극 및 오존수 배출포트의 중심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소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수소수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분사하는 수소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유로는,
    오존제거 유로(D1)와 살균유로(D2)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수소수 제조장치.
  5.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보조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모듈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챔버로 구분된 전기분해장치;
    원수를 공급하는 수원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전기분해장치의 제 1 챔버에 원수를 공급하는 입력포트;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음극전극에서 생성된 활성수소가 포함된 수소수를 제 1 및 제 2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수 배출포트;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기된 제 3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에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에서 배출된 수소수를 분사하는 분사포트; 및
    제 4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챔버의 양극전극에서 형성된 오존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 4 유로는 서로 병합되어 사용자에게 살균수가 섞인 수소수를 공급하는 수소수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포트와 수소수 배출포트는 중심이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사포트, 음극전극 및 오존수 배출포트의 중심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소수 제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포트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소수를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수소수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분사하는 수소수 제조장치.
KR1020120127421A 2012-11-12 2012-11-12 수소수 제조장치 KR10144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421A KR101448577B1 (ko) 2012-11-12 2012-11-12 수소수 제조장치
PCT/KR2013/010237 WO2014073938A1 (ko) 2012-11-12 2013-11-12 수소수 제조장치
US14/442,286 US9903025B2 (en) 2012-11-12 2013-11-12 Apparatus for preparing hydrogen water
EP13852645.4A EP2918550A4 (en) 2012-11-12 2013-11-12 APPARATUS FOR PREPARING HYDROGENATED WATER
JP2015541694A JP6150897B2 (ja) 2012-11-12 2013-11-12 水素水製造装置
CN201380058947.1A CN104968608B (zh) 2012-11-12 2013-11-12 一种氢水制备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421A KR101448577B1 (ko) 2012-11-12 2012-11-12 수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738A true KR20140060738A (ko) 2014-05-21
KR101448577B1 KR101448577B1 (ko) 2014-10-13

Family

ID=5068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421A KR101448577B1 (ko) 2012-11-12 2012-11-12 수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3025B2 (ko)
EP (1) EP2918550A4 (ko)
JP (1) JP6150897B2 (ko)
KR (1) KR101448577B1 (ko)
CN (1) CN104968608B (ko)
WO (1) WO201407393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67A (ko) *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47304B1 (ko) * 2015-04-28 2016-08-10 강구일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KR20180070930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혼합 시스템
KR20180077750A (ko) 2016-12-29 2018-07-09 방정호 수소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56196C (en) 2011-12-06 2020-09-01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KR20160078495A (ko) * 2014-05-27 2016-07-04 가부시키가이샤 히카리 미라이 기체용해장치 및 기체용해방법
KR101575164B1 (ko) * 2015-02-16 2015-12-08 주식회사 파이노 기능수 생성장치
JP6297010B2 (ja) * 2015-07-10 2018-03-20 株式会社ドクターズチョイス 水素水サーバ
JP6219358B2 (ja) * 2015-11-05 2017-10-25 株式会社日本トリム 水素水サーバー
JP6216361B2 (ja) * 2015-11-05 2017-10-18 株式会社日本トリム 水素水サーバー
US11458214B2 (en) 2015-12-21 2022-10-04 Delta Faucet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CN107151802A (zh) * 2016-03-02 2017-09-12 天津津亚新科技有限公司 一种制作饮用氢水和可吸氢气的装置
JP6148759B1 (ja) * 2016-05-11 2017-06-14 MiZ株式会社 水素含有液体の水素濃度を求める方法及び水素含有液体の生成装置
CN106380025A (zh) * 2016-08-31 2017-02-08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防亚硝酸盐的净水器滤芯
CN106361492B (zh) * 2016-09-30 2020-12-08 福州品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医用物理降温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29265B1 (ko) * 2016-12-19 2018-02-19 주식회사 파이노 스파 기기
DE102017213473A1 (de) * 2017-08-03 2019-0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lys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olysevorrichtung
US11053597B2 (en) * 2018-04-05 2021-07-06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Flow-through reactor for electrocatalytic reactions
KR102272560B1 (ko) 2018-12-19 2021-07-06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수소수 생산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64355B2 (en) * 2019-05-14 2022-10-11 Lg Electronics Inc. Hydrogen water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931689L (no) 1993-05-10 1994-11-11 Sigurd Fongen Anordning for elektrokjemisk syntese for "in-line" og "off-line" bleking, oksidasjon og desinfeksjon av organiske stoffer i væsker.
EP1777323A3 (en) * 1997-03-21 2007-06-06 Lynntech, Inc. An integrated ozone generator system
JPH11267652A (ja) * 1998-03-21 1999-10-05 Isao Sawamoto オゾン水水素水発生方法及び装置
JP3826645B2 (ja) 1998-11-25 2006-09-27 松下電工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2001269637A (ja) * 2000-03-27 2001-10-02 Shinko Plant Kensetsu Kk オゾン水による流体流通経路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079248A (ja) * 2000-09-06 2002-03-19 Tominaga Oil Pump Mfg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2002173789A (ja) * 2000-12-04 2002-06-2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解装置
KR100419536B1 (ko) * 2001-11-02 2004-02-19 강송식 전기분해 정수기
KR100564654B1 (ko) * 2003-06-25 2006-03-31 김정미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4394941B2 (ja) * 2003-12-22 2010-01-06 株式会社Ihiシバウラ 電解式オゾナイザ
JP4914338B2 (ja) * 2007-12-28 2012-04-11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整水器
JP5361325B2 (ja) * 2008-10-17 2013-12-04 有限会社スプリング 溶存水素飲料水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2112B1 (ko) 2010-02-26 2012-09-12 (주) 퓨리켐 3챔버를 갖는 복합 산화 환원제 생성용 전해 셀
CN205856615U (zh) * 2016-04-07 2017-01-04 金华市润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pem膜低压电解氢、臭氧发生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67A (ko) *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47304B1 (ko) * 2015-04-28 2016-08-10 강구일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KR20180070930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혼합 시스템
KR20180077750A (ko) 2016-12-29 2018-07-09 방정호 수소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68608B (zh) 2017-03-08
US20160076155A1 (en) 2016-03-17
US9903025B2 (en) 2018-02-27
WO2014073938A1 (ko) 2014-05-15
JP6150897B2 (ja) 2017-06-28
CN104968608A (zh) 2015-10-07
EP2918550A1 (en) 2015-09-16
EP2918550A4 (en) 2016-05-11
JP2016501714A (ja) 2016-01-21
KR101448577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577B1 (ko) 수소수 제조장치
KR101222455B1 (ko) 수소환원수 제조장치
CN106457167B (zh) 气体溶解装置及气体溶解方法
US20150136674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urifying Liquids
KR101562802B1 (ko) 수소수 제조 시스템
US11939687B2 (en)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and sterilization/cleaning method and method for decomposing/removing harmful substance, each using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KR101367624B1 (ko)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CN205838732U (zh) 一种高效净水系统
KR101683533B1 (ko) 수소수 제조장치
KR101741969B1 (ko) 실시간 대용량 수소수 제조장치
KR101211390B1 (ko) 음료 공급장치용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2013094747A (ja) オゾン液生成器及びオゾン液生成方法
KR20100003641U (ko) 전기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US20200024759A1 (en) High efficiency electrolytic ozone production system
KR100311911B1 (ko) 정수및살균수제조장치
KR20140018158A (ko) 수처리장치
KR100258722B1 (ko) 정수 및 살균수 제조장치
KR101130073B1 (ko) 약산성수의 제조장치
KR20100106856A (ko) 살균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20160122289A (ko)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WO2018135073A1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透析液調製用水の製造装置
CN108602695B (zh) 电解水生成装置
KR20220100130A (ko) 기능수를 생성하는 정수기
KR20100035489A (ko) 이온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6022418A (ja) 酸化還元水製造方法、当該方法に使用するノズル、及び、酸化還元水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