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04B1 -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304B1
KR101647304B1 KR1020150059630A KR20150059630A KR101647304B1 KR 101647304 B1 KR101647304 B1 KR 101647304B1 KR 1020150059630 A KR1020150059630 A KR 1020150059630A KR 20150059630 A KR20150059630 A KR 20150059630A KR 101647304 B1 KR101647304 B1 KR 10164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pipe
supply unit
power suppl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구일
강남원
Original Assignee
강구일
강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구일, 강남원 filed Critical 강구일
Priority to KR102015005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01F3/04099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B01F2003/0491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수의 음용과 함께 음용을 위한 수소수의 배출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전해조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전해조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HIGH-PURITY HYDROGEN WATER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수의 음용과 함께 음용을 위한 수소수의 배출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전해조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전해조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은 웰빙 음식에 많이 집중되어 왔으나 이뿐만 아니라 마시는 물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수소수는 체내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는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로서, 호흡과정에서 몸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산화 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된다.
수소수는 이러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체내에서 활성수소로 바뀌어 유해한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물로 변화되면서 그 활성산소가 체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59326호에는 수소수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소수 정수기는 수소수 발생부에 존재하는 용존 미세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59326호(2012.03.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수의 음용과 함께 음용을 위한 수소수의 배출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전해조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전해조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으로 음,양극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음극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입구 및 제1배출구가 형성되는 전해조; 상기 음극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전해조로 유입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음극판과, 상기 양극공간에 수용되는 양극판을 포함하는 수소발생부;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에 각각 음극과 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고,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1배출관;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1개폐밸브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배출관에 연결되고, 제2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2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해조는, 상기 양극공간과 연통되는 제2유입구와 제2배출구가 형성되고,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유입구와 연결되고, 제3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직수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배출구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개폐밸브와 상기 제2배출관의 타단부에 위치되도록 그 제2배출관에 연결되는 제3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2,3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수소수를 음용하기 위한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배출관을 통해 수소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수소수의 음용이 정지되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변경하여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으로 각각 양극 및 음극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8초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어 전원을 흐름이 변경되기 전 상태로 공급하며, 상기 제2개폐밸브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로부터 2초간 더 개방되면서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음극공간을 세척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3개폐밸브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로부터 2초간 개방되면서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수가 상기 양극공간을 세척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관을 통해 상기 양극공간으로 유입되는 직수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수의 음용과 함께 음용을 위한 수소수의 배출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전해조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전해조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이하 "수소수 정수장치" 라 한다)(1)는 내측으로 음,양극공간(11,12)이 형성되며 상기 음극공간(11)과 연통되는 제1유입구(13) 및 제1배출구(14)와, 상기 양극공간(12)과 연통되는 제2유입구(15)와 제2배출구(16)가 형성되는 전해조(10), 상기 음극공간(11)에 수용되며 상기 제1유입구(13)를 통해 상기 전해조(10)로 유입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음극판(21)과, 상기 양극공간(12)에 수용되는 양극판(22)을 포함하는 수소발생부(20), 상기 음극판(21) 및 상기 양극판(22)에 각각 음극과 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배출구(14)와 연결되고 제1개폐밸브(41)가 구비되는 제1배출관(40),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배출구(14)와 상기 제1개폐밸브(4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배출관(40)에 연결되고 제2개폐밸브(51)가 구비되는 제2배출관(50),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유입구(15)와 연결되고 제3개폐밸브(61)가 구비되는 직수관(60)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배출구(1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개폐밸브(51)와 상기 제2배출관(50)의 타단부에 위치되도록 그 제2배출관(50)에 연결되는 제3배출관(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입구(13)로는 외부로부터 원수 즉, 음용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1배출구(14)로는 상기 전해조(10)에서 생성되는 수소가 포함된 수소수 즉, 수소음용수가 배출된다.
상기 전해조(10)는 내측으로 격판(17)이 구비되면서 내부공간을 상기 음,양극공간(11,12)으로 나눈다.
상기 격판(17)은 전기가 통전되는 한편, 물이 통과되지 않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3개폐밸브(41,51,61)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3개폐밸브(41,51,61)는 상 각 관(40,50,60)의 양단부 사이 또는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개폐에 따라 그 각 관(40,50,60)의 양단부가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수소수 정수장치(1)는 상기 전원공급부(30) 및 상기 제1,2,3개폐밸브(41,51)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수소수를 음용하기 위한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41)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배출관(40)을 통해 수소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수소수의 음용이 정지되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41)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밸브(51)가 개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변경하여 상기 음극판(21) 및 상기 양극판(22)으로 각각 양극 및 음극이 전달될 수 있도록 극을 변경한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극판(21)으로 흐르는 음극이 상기 양극판(22)으로 그리고, 상기 양극판(22)으로 흐르는 양극이 상기 음극판(21)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음,양극판(21,22)으로의 전원 흐름 변경에 따라 그 음,양극판(21,22)에 전착된 이물질 등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원의 흐름 변경은 8초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8초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0)가 원상태로 복원된 후에는 상기 음극판(21)으로 음극이, 상기 양극판(22)으로 양극이 흐를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개폐밸브(51)는 상기 전원공급부(30)가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로부터 2초간 더 개방되면서 상기 음극공간(11)에 잔여하는 이물질 등이 상기 제2배출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개폐밸브(61)는 상기 전원공급부(30)가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2초간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입구(15)로부터 유입되는 직수가 상기 직수관(60)을 통해 상기 양극공간(12)을 통과하면서 그 양극공간(12)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상기 제3배출관(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소수 정수장치(1)는 수소수의 음용과 함께 그 수소수의 배출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상기 음극판(21)으로 양극이 그리고, 상기 양극판(22)으로 음극이 전달되면서 그 음,양극판(21,22)에 전착된 이물질 등이 이탈되어 원수 및 직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소수 정수장치(1)는 상기 직수관(60)을 통해 상기 양극공간(12)으로 유입되는 직수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가압수단(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90)은 양단부가 개방되며, 내측으로 그 양단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가압탱크(9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탱크(91)는 내측으로 유입되는 직수가 통과되면서 순간적으로 세척 압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수소수 정수장치(1) 상기 양극공간(12)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수소수 정수장치 10 : 전해조
11 : 음극공간 12 : 양극공간
13 : 제1유입구 14 : 제1배출구
15 : 제2유입구 16 : 제2배출구
17 : 격판 20 : 수소발생부
21 : 음극판 22 : 양극판
30 : 전원공급부 40 : 제1배출관
41 : 제1개폐밸브 50 : 제2배출관
51 : 제2개폐밸브 60 : 직수관
61 : 제3개폐밸브 70 : 제3배출관
80 : 제어부 90 : 가압수단

Claims (5)

  1. 내측으로 음,양극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음극공간과 연통되는 제1유입구 및 제1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양극공간과 연통되는 제2유입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는 전해조;
    상기 음극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전해조로 유입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음극판과, 상기 양극공간에 수용되는 양극판을 포함하는 수소발생부;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에 각각 음극과 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고,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1배출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1개폐밸브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배출관에 연결되고, 제2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2배출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유입구와 연결되고, 제3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직수관;
    일단부가 상기 제2배출구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개폐밸브와 상기 제2배출관의 타단부에 위치되도록 그 제2배출관에 연결되는 제3배출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2,3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직수관을 통해 상기 양극공간으로 유입되는 직수의 압력을 높여 그 양극공간을 가압 세척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양단부가 개방되며, 내측으로 그 양단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가압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수소수를 음용하기 위한 온(ON)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배출관을 통해 수소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수소수의 음용이 정지되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개폐밸브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변경하여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에 전착된 이물질이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8초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어 전원을 흐름이 변경되기 전 상태로 공급하며,
    상기 제2개폐밸브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로부터 2초간 더 개방되면서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음극공간을 세척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3개폐밸브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로부터 2초간 개방되면서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수가 상기 양극공간을 세척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59630A 2015-04-28 2015-04-28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KR10164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30A KR101647304B1 (ko) 2015-04-28 2015-04-28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30A KR101647304B1 (ko) 2015-04-28 2015-04-28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304B1 true KR101647304B1 (ko) 2016-08-10

Family

ID=5671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630A KR101647304B1 (ko) 2015-04-28 2015-04-28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5168A (zh) * 2019-10-09 2020-01-07 武汉宝盈普济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富氢水制备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5289A (ja) * 2003-09-24 2005-04-21 Shinwa Kogyo Kk 水素水給水装置
KR20090012948A (ko) * 2007-07-31 2009-02-04 권오정 냉,온 이온수기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947761B1 (ko) * 2009-08-26 2010-03-18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3유로 개폐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KR200459326Y1 (ko)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KR20140060738A (ko) * 2012-11-12 2014-05-21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5289A (ja) * 2003-09-24 2005-04-21 Shinwa Kogyo Kk 水素水給水装置
KR20090012948A (ko) * 2007-07-31 2009-02-04 권오정 냉,온 이온수기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947761B1 (ko) * 2009-08-26 2010-03-18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3유로 개폐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KR200459326Y1 (ko)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KR20140060738A (ko) * 2012-11-12 2014-05-21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5168A (zh) * 2019-10-09 2020-01-07 武汉宝盈普济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富氢水制备装置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642B2 (en) Water treatment device
US7713403B2 (en)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CN207877493U (zh) 一种多功能电解水机
WO2018225186A1 (ja) 水処理膜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並びに水処理システム
JP5641375B2 (ja) 浄水器
KR101683533B1 (ko)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47304B1 (ko) 고순도 순 수소수 정수장치
KR101504259B1 (ko) 수소수의 제조장치
JP2009285632A (ja) 水素含有電解水整水器及び浴槽設備及び水素含有電解水の製造方法
WO2012063583A1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JP4462157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3732330B2 (ja) ガス溶解水製造装置
KR101745568B1 (ko) 이온수발생장치
KR102605654B1 (ko) 수처리장치
WO2012132600A1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541888B1 (ko) 이온수기
JP3772282B2 (ja) 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CN211664880U (zh) 一种纯水机自动消毒装置
JP3132048U (ja) 電解水生成装置
CN206069542U (zh) 一种净水茶台
KR101886237B1 (ko)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KR20100084344A (ko) 살균전극이 탑재된 취수 코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장치
KR100459977B1 (ko) 연속식전해수생성장치의세정방법및이방법을실시하는기구를구비한연속식전해수생성장치
JPH07251177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