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624B1 -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624B1
KR101367624B1 KR1020120032661A KR20120032661A KR101367624B1 KR 101367624 B1 KR101367624 B1 KR 101367624B1 KR 1020120032661 A KR1020120032661 A KR 1020120032661A KR 20120032661 A KR20120032661 A KR 20120032661A KR 101367624 B1 KR101367624 B1 KR 10136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electrolytic
space
elect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586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주식회사 파이노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2003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62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는, 제 1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 1 공간부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제 2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에 제 2 공간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사이 공간부에 개재되는 전해유닛; 상기 제 1 하우징에 마련된 상기 제 1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일정 부피의 물 보관 공간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해유닛을 바라보는 면을 향하여 일정 개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플레이트; 상기 제 2 파이프는, 상기 전해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차단판에 의해 오존수가 배출되는 제 1 구역과, 상기 전해유닛에서 전기분해과정 중에 발생된 수소가 배출되는 제 2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ozone by electrolysis}
본 발명은 오존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 및 건강 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최근에는 상수도의 물을 그대로 음용수로 사용하지 않고, 생수를 구매하여 마시거나, 정수기를 이용하여 상수도 물을 정화하여 음용수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작동 초기에는 수원(water source)으로부터 각종 오염물질과 유해한 성분들을 분리하는 필터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일정 기간 사용할 경우 필터유닛의 효율이 떨어짐과 아울러,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유로와 저수탱크 등에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세균 오염으로부터 정수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유로와 저수탱크를 살균 처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저수탱크를 세정 또는 살균하기 위해, 정수기의 작동을 멈춘 후, 저수탱크를 정수기로부터 분리시켜야 하고, 정수기로부터 분리된 저수탱크를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사용하여 세정 또는 살균해야만 한다는 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 때문에, 사용자는 오염물질이 축적된 저수탱크의 세정 또는 살균을 제때에 수행하기 어려워, 정수기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저수탱크가 유지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저수탱크의 분리 없이, 정수기의 저수탱크를 자가 세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정수기를 자가 세정하기 위해서는, 정수기 내부의 유로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수를 정수기가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살균수는 물을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물에 포함시켜 형성하는 오존수를 많이 사용한다.
물의 전기분해를 통한 오존수 생성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4654호에 원리가 기재된 바 있다. 이러한 오존수 생성 장치는,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양전극과 음전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 사이에 전기분해 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고체고분자 전해질막 등을 구비하여, 고농도의 오존수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최근 소형화 추세인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한번에 생산할 수 있는 오존수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규모로 살균수가 필요한 산업용 시설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4654호(2006.06.2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0068호(2011.10.0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0783호(2009.03.25. 공개)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유로 구조를 개선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는, 제 1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 1 공간부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제 2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에 제 2 공간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사이 공간부에 개재되는 전해유닛; 상기 제 1 하우징에 마련된 상기 제 1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일정 부피의 물 보관 공간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해유닛을 바라보는 면을 향하여 일정 개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플레이트; 상기 제 2 파이프는, 상기 전해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차단판에 의해 오존수가 배출되는 제 1 구역과, 상기 전해유닛에서 전기분해과정 중에 발생된 수소가 배출되는 제 2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은, 사각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유닛은, 중앙에 양극의 전극이 오픈 되는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을 바라보는 측에 상기 전극의 단자부재가 돌출 결합되는 제 1 전극 단자홈을 가지는 제 1 프레임; 중앙에 양극의 전극이 오픈 되는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을 바라보는 측에 상기 전극의 단자부재가 돌출 결합되는 제 2 전극 단자홈을 가지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차단판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차단판이 유로를 형성하여, 생성된 오존수를 상기 제 2 파이프로 음극 부분의 물과 섞이지 않게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상기 전해유닛과 대응되는 면적에 복수 개의 열과 행을 가지도록 상기 노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상기 전해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불룩하게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노즐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면에 양(+)극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에는 음(-)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공간부는, 상기 전해유닛을 중심으로 구획되어, 상기 양극이 배치된 공간에서 생성된 오존수가 음극 부분의 물과 섞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유입 및 유출 되는 물의 흐름 방향은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과의 결합면에 실링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된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어 오존수 발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낭비되는 양의 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장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의 지름 및 간격을 조정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양의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관의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를 형성하므로, 정수기나 수질정화장치 등의 수(水) 처리장치에 설치할 경우,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 제 2 하우징(120), 전해유닛(130) 및 노즐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직육면체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직육면체 구조가 개시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될 공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1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측면이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하측면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 1 파이프(111)가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 1 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이 제 1 공간부(110a)의 내부에 제 1 파이프(1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공간부(110a)의 오픈된 면은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통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공간부(110a)의 둘레면에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와가 끼워 맞춤되는 안착부(110b)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공간부(110a)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돌기(141)와 제 2 돌기(142)가 끼워 맞춤 되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제 1 및 제 2 요홈(112)(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우징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측면이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상측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제 2 파이프(121)가 상기 제 2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120a)가 형성되어, 이 제 2 공간부(120a)의 내부에 제 1 파이프(1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공간부(120a)의 오픈된 면은 상기 전해유닛(130)과의 결합을 통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공간부(110a)의 둘레면에는 상기 전해유닛(130)이 끼워 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공간부(120a)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돌기(141)와 제 2 돌기(142)가 끼워 맞춤 되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제 3 및 제 4 요홈(122)(1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의 구조 및 기능은 뒤에 다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유닛(130)을 구성하는 제 1 프레임(131)과 제 2 프레임(132)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제 1 프레임(131)은 대략 사각형의 몸체 중앙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픈된 제 1 윈도우(131a)가 형성되어, 이 제 1 윈도우(131a)를 통해 양극 전극(136) 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136)의 상측에는 양극 단자부재(136a)가 마련되는데, 이 양극 단자부재(136a)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상기 양극 단자부재(136a)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단자홈(131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프레임(132)은 대략 사각형의 몸체 중앙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오픈된 제 2 윈도우(132a)가 형성되어, 이 제 2 윈도우(132a)를 통해 음극 전극(135) 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전극(135)의 상측에는 음극 단자부재(135a)가 마련되는데, 이 음극 단자부재(135a)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프레임(132)에는 상기 음극 단자부재(135a)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단자홈(13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131)에는, 상기 양극에서 생성된 오존수를 상기 제 2 파이프(121)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차단판(133)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판(133)은 상기 제 2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 3 요홈(122)과 함께 유로(139)(도 4 참조)를 형성하여, 양극 측에서 생성된 오존수가 음극 측의 물과 섞이지 않고, 바로 제 2 파이프(1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판(13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단판(1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120)과는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파이프(121)로 상기 음극 측에서 형성된 수소 가스가 점선 화살표(H)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31)(1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4개의 보스(131c)와 관통홀로 형성된 보스 홀(132c)을 마련하여, 별도의 체결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 없이, 보스(131c)와 보스 홀(132c)의 끼워 맞춤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 전극(135)과 양극 전극(136)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매쉬부재(137)(138)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쉬부재(137)(138)는 촘촘하게 형성되어,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들이 양극에서 음극 측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매쉬부재(137)138)이 조밀하지 않게 형성될 경우, 오존 발생 효율이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음극 및 양극 단자부재(135a)(136a)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음극 및 양극 단자핀(135b)(136b)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음극 및 양극 단자핀(135b)(136b)은 제 2 하우징(120)에 형성된 단자핀 홀(125)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외부에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극 및 양극 단자핀(135b)(136b)은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파이프(111)(121)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해유닛(130)의 둘레면에는 고무 재질 등으로 구성된 실링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전해유닛(130)의 주변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부(110a)와 상기 전해유닛(130) 사이에 형성된 양극 공간의 물이,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제 2 공간부(120a)와 전해유닛(130) 사이에 형성된 음극 공간으로 최대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플레이트(14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유닛(13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불룩하게 휘어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의 상측에는 제 1 돌기(141)가 사각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고, 그 반대편에는 제 2 돌기(142)가 사각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몸체에는 복수 개의 노즐(14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145)은 복수 개의 열과 행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노즐(145)들 사이의 거리와 노즐(145)의 지름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지름과 거리는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물의 흐름 방향에 따라, 스케일이 많이 쌓이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의 노즐(145)의 지름은 크게 형성하여, 더 많은 수량의 물이 공급되어, 스케일이 잘 쌓이지 않도록 구성하고, 그 반대로 스케일이 잘 쌓이지 않는 위치의 경우에는 노즐(145)의 지름을 작게 구성하여, 더 적은 수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45)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통공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 오존발생장치의 동작을 도 4의 단면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파이프(111)는 오존수 생성을 위해, 정수된 물 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로서, 물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100)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하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제 1 공간부(110a)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와 함께, 일정 체적을 형성하여, 물이 가득 차게 되는데, 가득 채워진 물은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의 노즐(145)을 통해 상기 전해유닛(130) 전면(全面)에 걸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된 물은, 상기 전해유닛(130)의 양극 전극(136)에서 전기 분해되면서, 수소와 산소로 분리되고, 분리된 산소들은 오존이 되어, 상기 제 1 공간부(110a) 내부의 물과 함께 섞여 오존수를 형성하고, 수소는 상기 제 2 하우징(120) 측의 제 2 공간부(120a)의 상측으로 모이면서, 점선 화살표(H)와 같이, 상기 제 2 파이프(121)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전해유닛(130)의 상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유로(139)를 형성하는데, 이 유로(139)를 통해, 상기 오존들과 희석된 오존수가 상기 제 2 파이프(1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하우징(120)의 제 2 공간부(120a)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유닛(130)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오목홈(134a)(134b)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부(110a) 내부의 물이 소량씩 유입되면서, 물이 가득 차도록 형성되어, 유입된 물이 전기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오목홈(134a)(134b)의 크기는 상기 차단판(133)(도 2 및 도 3 참조)으로 형성되는 유로(139)보다는 현저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 1 파이프(111)로 정수된 물 또는 원수(原水)가 유입되면, 유입된 원수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140)로 구성된 제 1 공간부(110a)에 가득 차게 되고, 가득찬 물은, 계속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노즐(145)을 통해 상기 전해유닛(130) 측으로 분사된다. 이때, 노즐(1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유닛(130)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노즐(145)은 상기 전해유닛(130)의 노출된 면과 대응되는 면적에 골고루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145)은 상기 전해유닛(130)의 면적에 따라, 적절한 수로 행과 열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파이프(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노즐(145)을 통해 균일하게 상기 전해유닛(130)으로 분사될 수 있다. 물 분사를 통해 오존수를 획득하는 구성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 있는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564654호 등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과 같은 오존수 발생장치에서, 상기 전해유닛(130)으로 공급되는 물이 중앙 부근에 집중되어 분산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 발생문제와 전해유닛(130)의 전체 면을 전기분해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공간부(110a)(120a)의 물은 전기분해가 가능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양극이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노즐(145)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을 분사하므로, 기존에 비해 많은 양의 오존수를 생성하여 상기 유로(139)(도 4 참조)를 통해 제 2 파이프(121)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파이프(121) 측으로 오존수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해유닛(130)에서 전기분해 과정 중에 발생되는 수소 가스도 함께 배출되므로, 별도의 가스배출구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보다 소형화된 오존수 발생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 1 파이프(111)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제 2 파이프(121)를 통해 오존수가 배출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제 2 파이프(121)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고, 제 1 파이프(111)를 통해 오존수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물을 반대 방향으로 역류시켜 장치를 작동할 경우, 상기 전해유닛(130)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따른 제 1 및 제 2 하우징(110)(120)의 구성은, 직육면체 구성으로 마련되므로, 정수기나 수 처리장치와 같은 장치에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110; 제 1 하우징
110a; 제 1 공간부 110b; 노즐 플레이트 안착홈
111; 제 1 파이프 112; 제 1 요홈
113; 제 2 요홈 120; 제 2 하우징
120a; 제 2 공간부 120b; 노즐 플레이트 안착홈
121; 제 2 파이프 122; 제 3 요홈
123; 제 4 요홈 125; 단자핀 홀
130; 전해유닛 131; 제 1 프레임
132; 제 2 프레임 133; 차단판
140; 노즐 플레이트

Claims (13)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으로, 물이 유입되는 제 1 파이프와 물이 유출되는 제 2 파이프;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일정 부피의 물 보관 공간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해유닛을 바라보는 면을 향하여 일정 개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 1 공간부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에 제 2 공간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공간부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사이 공간부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는,
    상기 전해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차단판에 의해 오존수가 배출되는 제 1 구역과, 상기 전해유닛에서 전기분해과정 중에 발생된 수소가 배출되는 제 2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은,
    사각형으로 마련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중앙에 양극의 전극이 오픈 되는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을 바라보는 측에 상기 전극의 단자부재가 돌출 결합되는 제 1 전극 단자홈을 가지는 제 1 프레임;
    중앙에 양극의 전극이 오픈 되는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을 바라보는 측에 상기 전극의 단자부재가 돌출 결합되는 제 2 전극 단자홈을 가지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차단판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차단판이 유로를 형성하여, 생성된 오존수를 상기 제 2 파이프로 음극 부분의 물과 섞이지 않게 이송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상기 전해유닛과 대응되는 면적에 복수 개의 열과 행을 가지도록 상기 노즐이 형성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상기 전해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불룩하게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노즐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면에 양(+)극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에는 음(-)극이 배치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공간부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면에 양(+)극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에는 음(-)극이 배치되는 상기 전해유닛을 중심으로 구획되어,
    상기 양극이 배치된 공간에서 생성된 오존수가 음극 부분의 물과 섞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유입 및 유출 되는 물의 흐름 방향은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과의 결합면에 실링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1020120032661A 2012-03-29 2012-03-29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10136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61A KR101367624B1 (ko) 2012-03-29 2012-03-29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61A KR101367624B1 (ko) 2012-03-29 2012-03-29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86A KR20130110586A (ko) 2013-10-10
KR101367624B1 true KR101367624B1 (ko) 2014-03-25

Family

ID=4963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661A KR101367624B1 (ko) 2012-03-29 2012-03-29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2995B2 (en) 2020-07-24 2022-07-12 3Oe Scientific, LLC Hand sanitizing aqueous ozone spray cha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1023B (zh) * 2015-04-16 2016-07-06 宁波天益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臭氧水机
WO2018205254A1 (zh) * 2017-05-12 2018-11-15 广州市德百顺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发生器喷头
KR102228568B1 (ko) * 2018-06-14 2021-03-15 다온기전 주식회사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102228566B1 (ko) * 2018-06-14 2021-03-15 다온기전 주식회사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654B1 (ko) 2003-06-25 2006-03-31 김정미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101211390B1 (ko) 2012-03-29 2012-12-12 김성태 음료 공급장치용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654B1 (ko) 2003-06-25 2006-03-31 김정미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101211390B1 (ko) 2012-03-29 2012-12-12 김성태 음료 공급장치용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2995B2 (en) 2020-07-24 2022-07-12 3Oe Scientific, LLC Hand sanitizing aqueous ozone spray chamber
US11389555B2 (en) 2020-07-24 2022-07-19 3Oe Scientific, LLC Aqueous ozone sanitizing system with ozone generator cartridge docking station
US11534513B2 (en) 2020-07-24 2022-12-27 3Oe Scientific, LLC Docking ozone generator cartridge for ozonating water
US11534514B2 (en) 2020-07-24 2022-12-27 3Oe Scientific, LLC Aqueous ozone generator cartridge with a water treatment manifold
US11638768B2 (en) 2020-07-24 2023-05-02 3Oe Scientific, LLC Aqueous ozone generator controller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86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24B1 (ko)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6150897B2 (ja) 水素水製造装置
KR101399575B1 (ko) 전해살균수 제조장치
CN105381638A (zh) 一种前置过滤器
CN105525658A (zh) 一种水离子集成水槽
KR101211390B1 (ko) 음료 공급장치용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101407728B1 (ko) 정수기
KR101581682B1 (ko) 전기분해 살균수 제조장치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10177116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20180130279A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KR101379686B1 (ko) 음용수 공급라인 살균 모듈
KR200303777Y1 (ko)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KR101786540B1 (ko) 살균수 세척수기
CN102000509A (zh) 一种净水滤芯
KR101741043B1 (ko)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CN101898807B (zh) 曝气式家用常压净水器
CN208429983U (zh) 一种实验室废水处理桶
KR20120004463U (ko) 정수기용 필터
KR101010330B1 (ko) 이온수 제조용 전기분해장치
WO2005042415A1 (ja) 水改質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水改質器
CN106179792B (zh) 花洒
JPH01262983A (ja) 浄水器
CN214781252U (zh) 复合滤芯结构、装置及出水设备
KR20170064501A (ko) 백워싱 및 다단 복합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