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463U - 정수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463U
KR20120004463U KR2020100012882U KR20100012882U KR20120004463U KR 20120004463 U KR20120004463 U KR 20120004463U KR 2020100012882 U KR2020100012882 U KR 2020100012882U KR 20100012882 U KR20100012882 U KR 20100012882U KR 20120004463 U KR20120004463 U KR 20120004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water
housing
hol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호
Original Assignee
이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호 filed Critical 이평호
Priority to KR2020100012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463U/ko
Publication of KR20120004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중으로 정수할 수있도록 필터에서 세그먼트(2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물의 정수가 가능하도록 물의 유로를 변화시키는 리데너를 하나 이상 설치하므로 유로를 다변화시켜 필터의 세그먼트(200) 전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물이 유입되는 하우징(100)내에서 두 개 이상이 상호 분리되어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세그먼트(200);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200)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세그먼트(200)의 상단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과 이격되므로 상기 하우징(100)에 입수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지지리데너(300);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부(120)의 상단에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200)중에서 가장 아래쪽의 세그먼트(20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리데너(400);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 사이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200)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세그먼트(200)의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구(511)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과 상기 세그먼트(200)의 외측간의 간격을 밀폐하는 대신 유입된 물이 상기 관통구(511)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커플리데너(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Water purifier filter}
본 고안은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중으로 정수할 수있도록 필터에서 세그먼트의 전체 영역에 걸쳐 물의 정수가 가능하도록 물의 유로를 변화시키는 리데너를 하나 이상 설치하므로 유로를 다변화시켜 필터의 세그먼트 전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란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과정을 통하거나 이와 같은 과정을 결합하여, 수돗물, 우물물, 계곡물 또는 강물 등을 먹는 물의 수질 기준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장치를 말한다. 식수에 대한 수질 기준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을 기초로 정하고 있는 바, 이에 따르면 수질 기준은 70년 동안 하루에 약 2ℓ정도의 물을 계속 마셔도 인체에 물로 인해 해를 주지 않을 정도의 농도에 안전율을 곱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은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 물은 안전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정수기의 주요 목적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에서 물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것이 바로 필터이며 현재 다양한 구조의 필터가 제안되었으며 하기의 도 1에서는 그중 카본을 이용한 필터를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물을 정수하는 세그먼트(200)와, 하우징(100)의 상측과 입수된 물의 유로를 변화시키는 상부 리데너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정수된 물을 안내하는 하부 리데너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측에 물이 입수되는 입력부(110)와, 하측에서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에서 상기 세그먼트(200)가 고정되어 수용된다.
상기 세그먼트(200)는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와 하부지지리데너(40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고정되며 입수된 물을 정수한다.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는 상기 세그먼트(200)의 상측에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수된 물을 상기 세그먼트(200)로 전달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사이에 상부유로(301)(301)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는 상면에서 상기 세그먼트(200)를 지지하며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구(511)를 통하여 상기 세그먼트(200)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부(120)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용 필터는 상부지지리데너(300)와 하우징(100)의 벽면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입수된 물이 세그먼트(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 사이로 흘러내려가면서 상기 세그먼트(200)의 내측으로 통과하게된다. 그러므로 물은 상기 세그먼트(200)를 통과하면서 물이 정화되어 중앙유로(130)에 모이게 되며, 상기 세그먼트(200) 사이의 중앙유로(130)에 모여진 물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부(120)로 안내되어 배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용 필터는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와 하우징(100) 벽면사이의 유로를 통해 입수된 물은 하측으로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상기 세그먼트(200)의 하부를 통해 세그먼트(200) 사이의 중앙유로(130)로 흘러가면서 정화된다. 즉, 종래의 정수용 필터는 전체 세그먼트(200) 영역중에 하부영역에서 주로 정수되기 때문에 상기 세그먼트(200)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하측에 적층되므로 청소를 자주해야 되며, 세그먼트(200)의 하부에서 주로 정수가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세그먼트(200)의 상부는 사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하측에 쌓인 이물질로 인하여 세그먼트(200)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리 및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용 필터에서 전체 세그먼트의 영역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유로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리데너와 하부지지리데너를 결합한 커플리데너를 하나 이상 추가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체결하므로 전체 세그먼트 영역을 활용하여 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수용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그먼트의 유로를 다변화시키므로 정수용 필터에서 입수된 물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통해 반복적으로 정수과정을 거쳐 이물질이나 오염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정수용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 있어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서 두 개 이상이 상호 분리되어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세그먼트;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세그먼트의 상단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의 벽면과 이격되므로 상기 하우징에 입수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지지리데너; 상기 하우징의 배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중에서 가장 아래쪽의 세그먼트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리데너; 상기 상부지지리데너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 사이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벽면과 상기 세그먼트의 외측간의 간격을 밀폐하는 대신 유입된 물이 세그먼트를 통과하여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커플리데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플리데너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향돌출되므로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세그먼트중에서 상측의 세그먼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상측의 세그먼트의 하단면이 안착되는 상부지지면과, 상기 상부지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세그먼트와 하우징 간의 이격된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돌기와, 상기 상부지지단면의 배면에서 단차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상부리데너; 및 평면으로 형성되는 하부지지면과, 상기 하부지지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 삽입되므로 상기 하부지지면과 상기 상부지지면을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체결시키므로 상기 관통구에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하부지지면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의 세그먼트의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하부리데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상부지지리데너와 하부지지리데너를 결합한 커플리데너를 통해 상기 세그먼트를 구획하여 다단으로 정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그먼트 전체 영역에 걸쳐 골고루 정수가 이루어지므로 세그먼트의 활용도가 높아 관리 및 유지에 효율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필터에 입수된 물을 1회이상 반복적으로 정수하기 때문에 물의 오염도를 제거할 수 있는 확율이 높아지므로 저렴한 비용을 들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리데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상부지지리데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하부지지리데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세그먼트(200)와, 상기 세그먼트(20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리데너(300)와 하부지지리데너(400), 상기 세그먼트(200)의 상측에서 하측에서 입수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커플리데너(5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는 상기 세그먼트(200)의 상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로 상부유로(301)를 형성하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입수된 물이 상기 상부유로(301)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리데너(500)는 상기 상부리데너(300)와 하부지지리데너(400)가 상호 체결된 구성으로서 상기 세그먼트(2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커플리데너(500)는 상기 세그먼트(200)의 중간에서 설치되어 상기 상부리데너(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사이로 형성되는 상부 유로를 통해 입수되는 물이 더이상 하측으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막아서 상기 상부유로(301)를 통해 입수된 물이 상기 세그먼트(200)를 통과하여 중앙유로(130)에 모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는 상기 세그먼트(200)를 통하여 정화되어 중앙유로(130)에 모인 물을 다시 세그먼트(2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2커플리데너(500)는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20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물이 하측으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상기 하우징(100)과 세그먼트(200)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에 의해 세그먼트(200) 외측으로 유출된 물이 다시 세그먼트(200)를 통과하여 두번째로 정화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그먼트(200)의 중앙유로(130)에 모인 물은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를 통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상기 세그먼트(200) 외측으로 재차 유출된다.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사이를 밀폐시키므로 상기 세그먼트(200)의 외측에서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의 하측을 유출된 물이 다시 상기 세그먼트(20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물의 정수가 반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커플리데너(500)는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커플 리데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상부지지리데너(300)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하부지지리데너(400)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리데너(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과 상기 세그먼트(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세그먼트(200) 내측에서 외측으로 다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플리데너(500)는 상부리데너(510)와 하부리데너(520)가 상기 세그먼트(200)의 사이 사이에 체결되어 유로를 밀폐함과 동시에 세그먼트(200) 내측의 물을 외측으로 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리데너(510)는 상측으로 상기 세그먼트(200)가 안착되며, 중심부에 관통형성되어 외면이 상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511)와, 상기 관통구(511)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세그먼트(200)의 하단면이 안착되는 상부지지면(514)과, 상기 상부지지면(514)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에 밀착되는 밀폐돌기(512)와, 상기 상부지지면(514)의 배면에서 상기 하부리데너(520)가 체결되도록 단차형성되는 체결홈(5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511)는 상기 상부지지면(514)에 상기 세그먼트(200)의 하단부가 안착되므로 상기 세그먼트(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세그먼트(200) 내측의 중앙유로(130)에 모여진 물이 유입되어 하측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상기 상부지지면(514)은 상기 관통구(511) 사이에 상향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므로 상기 세그먼트(200)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구(511)의 외면과 밀착돌기 사이에 끼움된다.
상기 밀폐돌기(512)는 상기 상부지지면(514)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세그먼트(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 사이의 유로를 밀폐시켜 상기 세그먼트(200)의 외측에서 잔류되는 물이 하측으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돌기(512)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므로 그 위쪽에 흘러온 물은 상기 세그먼트(200)를 통과하여 상기 관통구(511)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간다.
상기 하부리데너(520)는 상기 세그먼트(200)의 상측으로 삽입되도록 하향되어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상부리데너(510)의 배면과 이격되므로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지지면(523)과, 상기 하부지지면(523)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리데너(510)의 단차에 체결되는 체결돌기(5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리데너(520)는 상기 체결돌기(522)가 상기 상부리데너(510)의 체결홈(513)에 삽입되므로 상기 상부지지면(514)의 배면과 상기 하부지지면(523)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세그먼트(200) 내측의 중앙유로(130)에 모인 물은 상기 상부리데너(510)의 관통구(511)로 흘러 상기 상부지지면(514)의 배면과 하부지지면(523)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세그먼트(200)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기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세그먼트(200)는 하나의 하우징(100)내에서 두개 이상(예를 들면, 제1세그먼트(210) 내지 제3세그먼트(230)이 분리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세그먼트(210)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가 체결되고, 하측에는 제1커플리데너(500)의 상부지지면(514)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사이에는 개방되어 상부유로(30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 사이는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의 밀폐돌기(512)에 의해 밀폐된다.
아울러 상기 제2세그먼트(220)는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의 하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제3세그먼트(230)는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의 상측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 사이의 밀착된 공간을 상기 밀폐돌기(512)가 밀착되어 제2세그먼트(200)와 제3세그먼트(200)의 외측에 잔류되는 물이 아래로 흘러가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수되는 물은 상기 상부유로(301)를 통해 상기 제1세그먼트(210)의 외측으로 흐르고,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에 의해 상기 제1세그먼트(210)의 외측이 밀폐됨에 따라서 상기 제1세그먼트(21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1차 정수된다.
상기 제1세그먼트(210)의 내측에 모여진 물은 상기 제1커플리데너(500)의 관통구(511)를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서 상기 상부지지면(514)의 배면과 하부지지면(523)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2세그먼트(200)의 외측으로 유출된다. 상기 제2세그먼트(220)의 외측으로 흐르는 물은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의 밀폐돌기(512)에 의하여 하측으로 흘러가지 않은 대신 상기 제2세그먼트(200)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2차 정수 된다.
상기 제2세그먼트(220)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커플리데너(500)의 관통구(511)와 상기 상부지지면(514)의 배면과 상기 하부지지면(523)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3세그먼트(230)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3세그먼트(230)의 외측으로 흘러간 물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에 의하여 하측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제3세그먼트(230)의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3차 정수된다. 3차 정수된 물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의 관통구(511)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부(120)에 흘러서 하우징(100)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200)와 각각의 세그먼트(200)를 지지하는 커플리데너(500)를 통하여 물의 유로를 다단계로 분류하므로 1회 이상의 정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200) 전체에 걸쳐 물의 정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의 청소 및 세그먼트(200)의 교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하우징 110: 입력부
120: 배출부 130 : 중앙유로
200 : 세그먼트 300 : 상부지지리데너
301 : 상부유로 400 : 하부지지리데너
410 : 관통구 500 : 커플리데너
510 : 상부리데너 511 : 관통구
512 : 밀폐돌기 513 : 체결홈
514 : 상부지지면 520 : 하부리데너
521 : 삽입구 522 : 체결돌기
523 : 하부지지면

Claims (2)

  1.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내에서 두 개 이상이 상호 분리되어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세그먼트(200);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200)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세그먼트(200)의 상단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과 이격되므로 상기 하우징(100)에 입수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지지리데너(300);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부(120)의 상단에서 상기 두 개이상의 세그먼트(200)중에서 가장 아래쪽의 세그먼트(20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리데너(400);
    상기 상부지지리데너(300)와 상기 하부지지리데너(400) 사이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200)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세그먼트(200)의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구(511)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과 상기 세그먼트(200)의 외측간의 간격을 밀폐하는 대신 유입된 물이 세그먼트(200)를 통과하여 상기 관통구(511)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커플리데너(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리데너(500)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향돌출되므로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세그먼트(210~230) 중에서 상측의 세그먼트(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통구(511)와, 상기 관통구(511)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상측의 세그먼트(200)의 하단면이 안착되는 상부지지면(514)과, 상기 상부지지면(514)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벽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세그먼트(200)와 하우징(100)간의 이격된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돌기(512)와, 상기 상부지지단면의 배면에서 단차형성되는 체결홈(513)을 포함하는 상부리데너(510); 및
    평면으로 형성되는 하부지지면(523)과, 상기 하부지지면(523)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513)에 삽입되므로 상기 하부지지면(523)과 상기 상부지지면(514)을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체결시키므로 상기 관통구(511)에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체결돌기(522)와, 상기 하부지지면(52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의 세그먼트(200)의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구(521)를 포함하는 하부리데너(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
KR2020100012882U 2010-12-14 2010-12-14 정수기용 필터 KR201200044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82U KR20120004463U (ko) 2010-12-14 2010-12-14 정수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82U KR20120004463U (ko) 2010-12-14 2010-12-14 정수기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63U true KR20120004463U (ko) 2012-06-22

Family

ID=4685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882U KR20120004463U (ko) 2010-12-14 2010-12-14 정수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46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65B1 (ko) * 2021-02-05 2021-06-07 오교선 정수 필터
KR20220062222A (ko) * 2020-05-27 2022-05-16 오교선 정수 필터의 패킹 구조
KR20220114201A (ko) * 2021-02-08 2022-08-17 우정석 수전용 필터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222A (ko) * 2020-05-27 2022-05-16 오교선 정수 필터의 패킹 구조
KR102262065B1 (ko) * 2021-02-05 2021-06-07 오교선 정수 필터
CN114873664A (zh) * 2021-02-05 2022-08-09 吴教善 净水过滤器
US20220249987A1 (en) * 2021-02-05 2022-08-11 Kyo-Sun OH Water purification filter
CN114873664B (zh) * 2021-02-05 2023-12-19 吴教善 净水过滤器
KR20220114201A (ko) * 2021-02-08 2022-08-17 우정석 수전용 필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046B2 (ja) 油水ヘドロ分離装置
CN209934310U (zh) 一种烟气净化设备
RU2014113338A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и водоочиститель
CN114873664B (zh) 净水过滤器
KR20120004463U (ko) 정수기용 필터
KR20090014436A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KR100916940B1 (ko) 나선형 지지구가 구비된 여과장치
KR20120002855A (ko) 일체형필터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KR101581682B1 (ko) 전기분해 살균수 제조장치
KR101134952B1 (ko)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KR20160109967A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03300B1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수도꼭지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CN105571008A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CN212609967U (zh) 一种石油管道事故废水处理一体化装置
KR200363156Y1 (ko) 수직배관용 스트레이너
KR102673437B1 (ko) 스케일 방지능력을 갖는 정수용 필터
JP2005193161A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KR101906231B1 (ko)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KR20170064501A (ko) 백워싱 및 다단 복합 필터 장치
KR101140129B1 (ko) 압축공기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