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231B1 -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231B1
KR101906231B1 KR1020170000051A KR20170000051A KR101906231B1 KR 101906231 B1 KR101906231 B1 KR 101906231B1 KR 1020170000051 A KR1020170000051 A KR 1020170000051A KR 20170000051 A KR20170000051 A KR 20170000051A KR 101906231 B1 KR101906231 B1 KR 10190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ltration unit
purifie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646A (ko
Inventor
김길재
Original Assignee
김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재 filed Critical 김길재
Priority to KR102017000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2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여과층을 통과하여 정수시키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정수기는 기저대 상에 독립된 정수탱크와 처리를 위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들을 순차적으로 연이어 적층시켜 저수탱크 측에 저수된 원수가 중력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정수탱크에 저수되고 배수콕을 통해 급수되게 한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로서, 정수탱크와 저수탱크 각기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들과 정수탱크와 저수탱크들의 사이에 걸쳐 외측에서 탈착방식으로 설치되고 체크밸브들 각기와 접촉ㆍ이탈하는 것으로 개폐를 이루게 하는 입ㆍ출수구가 구비되는 외장형의 여과유닛을 포함하여서, 여과유닛의 장착 시 체크밸브들이 개로되어 저수탱크에 저수된 원수가 중력으로 여과유닛을 통과하여 정수되어 정수탱크 측으로 저수되고 여과유닛의 이탈 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들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water purifier of nature filtering type}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여과층을 통과하여 정수시키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유닛이 외장형으로 설치되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그러한 정수기는 크게 나누어 자연 여과방식과 직결 여과방식 증류방식 그리고 역삼투압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정수기들 중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보면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기저대 상에 독립된 정수탱크와 처리를 위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들을 순차적으로 연이어 적층 시킴과 동시, 저수탱크의 저면에는 부가적으로 연이어서 정수탱크의 저수 수위 내측으로 침수되는 여과유닛을 구비하여 저장된 원수가 중력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정수탱크에 저수되게 하며, 그리고 정수탱크에 저수된 정수는 배수콕을 통해 급수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에서는 정수탱크 측으로 침수되는 여과유닛의 유지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필터의 교체나 세척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과유닛의 필터 교체나 세척작업은 정수탱크 상측의 저수탱크를 분리시켜 그 저수탱크 저면에 구비되는 여과유닛의 필터 교체나 세척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정수탱크 측에 상시 침수되는 여과유닛이 대기 중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더욱이 여과유닛의 교체나 세척 작업시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어 세균전염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가 따르고 있다.
또 여과유닛이 정수탱크에 내장형으로 침수되어 그 여과유닛의 둘레를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함으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여과유닛이 정수탱크에 침수되지 않는 정수기의 구조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71930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같이 여과유닛이 내장형으로 이루어 정수탱크 측에 침수됨에 따랐던 위생적인 문제 해결을 위하여 여과유닛을 정수탱크 외측, 즉 외장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여과유닛의 필터 교체나 세척작업이 간편하고 위생성이 우수한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탱크와 정수탱크들에 걸치어 외향에서 여과유닛이 삽입형으로 설치되는 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여과유닛의 설치가 안정되고 외관성을 높인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여과층을 통과하여 정수시키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정수기는 기저대 상에 독립된 정수탱크와 처리를 위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들을 순차적으로 연이어 적층시켜 저수탱크 측에 저수된 원수가 중력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정수탱크에 저수되고 배수콕을 통해 급수되게 한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로서, 정수탱크와 저수탱크 각기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들과 정수탱크와 저수탱크들의 사이에 걸쳐 외측에서 탈착방식으로 설치되고 체크밸브들 각기와 접촉ㆍ이탈하는 것으로 개폐를 이루게 하는 입ㆍ출수구가 구비되는 외장형의 여과유닛을 포함하여서, 여과유닛의 장착 시 체크밸브들이 개로되어 저수탱크에 저수된 원수가 중력으로 여과유닛을 통과하여 정수되어 정수탱크 측으로 저수되고 여과유닛의 이탈 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들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에 의하면, 여과유닛을 정수탱크 외측, 즉 외장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여과유닛의 필터 교체나 세척작업이 간편하고 특히 종래 내장형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여 위생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여과유닛을 정수기의 외향에서 골형으로 이루는 수용부에 삽입방식으로 장착 또는 이탈되게 함으로써, 여과유닛의 설치가 안정되고 외관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여과유닛과 정수탱크 각기에 통기로들을 구비하여 정수기 내부를 대기압 환경으로 조성시키게 함으로서, 중력을 이용한 정수 시 수류작용이 원활하여 제품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로서, 여과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로서, 여과유닛이 이탈된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여과층을 통과하여 정수시키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10은 기저대이다. 이 기저대(10) 상에 독립된 정수탱크(20)와 처리를 위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30)들을 순차적으로 연이어 적층시켜 저수탱크 측(30)에 저수된 원수가 중력으로 여과유닛을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정수탱크(20)에 저수되게 하고, 그리고 정수탱크(20)에 저수된 정수는 배수콕(22)을 통해 급수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고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여과유닛이 정수탱크(20) 외측에서 외장형으로 설치되게 한 것에 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정수탱크(20)와 저수탱크(30) 각기에 체크밸브들(40,42)이 구비된다.
또 여과유닛(50)은 정수탱크(20)와 저수탱크(30)들의 사이에 걸쳐 외측에서 탈착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에서의 정수탱크(20)와 저수탱크(30)들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들(40,42) 각기와 접촉ㆍ이탈하는 것으로 개폐를 이루게 하는 입ㆍ출수구(52,54)가 구비되어 외장형으로 설치될 것이다.
그리고 여과유닛(50)는 다공성의 마이크로 발포수지ㆍ활성탄ㆍ이온교환수지ㆍ맥반석이나 다공성의 세라믹 등의 여과부재들(51)을 이용하여 다층적인 구조로 이루어 원수를 중력방향으로 다단계적으로 여과시키게 된다.
또한 여과유닛(50)과 정수탱크(30) 각기에는 정수기의 내부를 대기압 환경으로 조성시키어 수류가 원활히 이루도록 하기 위한 통기로들(53,55)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통기로(53,55)로 유입되는 외기는 정화필터를 거치어 불순물이나 세균 등이 제거되어 정제된 상태에서 정수탱크(20)와 저수탱크(30) 측으로 급기되게 하였다.
그리고 정수탱크(20)와 저수탱크(30)들에는 그들의 높이 전장길이방향에 걸치어 외측에서 골형으로 이루어서 여과유닛(50)이 삽입형으로 설치되게 하는 수용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여과유닛(50)이 정수기의 둘레에서 삽입형으로 설치되어 장착상태가 안정되고 외관성이 우수하게 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사용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2는 여과유닛(50)이 정수기의 수용홈(60)에 삽입되어 장착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렇게 여과유닛(50)이 정수기에 장착되면 정수 및 저수탱크(20,30) 각기에 구비되는 체크밸들(40,42)은 여과유닛(50)의 입ㆍ출수구(52,54)와 접촉하여 동시적으로 개로되어 저수탱크(30) 측의 원수가 중력으로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여과유닛(50)을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정수탱크(20) 측으로 저수된다.
이렇게 정수탱크(20)에 저수된 처리 수는 배수콕(22)을 통해 급수시키게 될 것이다.
도 3은 여과유닛(50)이 정수기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여과유닛(50)이 이탈하면 정수 및 저수탱크(20,30) 각기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들(40,42)은 여과유닛(50)의 입ㆍ출수구(52,54)가 접촉상태에서 분리됨과 동시 복원되어 폐로되고, 그리고 이렇게 정수기로부터 분리된 여과유닛(50)에서의 여과부재 교체 또는 세척작업을 이룬 후 도 2와 같이 재장착시키어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 할 것이다.
10: 기저대 20: 정수탱크 22: 배수콕
30: 저수탱크 40,42: 체크밸브
50: 여과유닛 52: 입수구 54: 출수구
53,55: 통기로
60: 수용부

Claims (3)

  1. 기저대 상에 독립된 정수탱크와 처리를 위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들을 순차적으로 연이어 적층시켜 상기 저수탱크 측에 저수된 원수가 중력으로 여과유닛을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상기 정수탱크에 저수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에 저수된 정수는 배수콕을 통해 급수되게 한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 각기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들;
    상기 정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들에 걸치어 외측에서 높이방향 전장으로 상기 여과유닛이 삽입형으로 설치되게 하는 수용부; 및
    상기 여과유닛은 정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들의 사이에 걸쳐 외측에서 구비되는 수용부에 탈착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들 각기와 접촉ㆍ이탈하는 것으로 개폐를 이루게 하는 입ㆍ출수구가 구비되어 외장형으로 설치되게 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여과유닛이 정수기의 외측에서 교체작업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2. 삭제
  3. 삭제
KR1020170000051A 2017-01-02 2017-01-02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KR10190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51A KR101906231B1 (ko) 2017-01-02 2017-01-02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51A KR101906231B1 (ko) 2017-01-02 2017-01-02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46A KR20180079646A (ko) 2018-07-11
KR101906231B1 true KR101906231B1 (ko) 2018-10-10

Family

ID=6291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051A KR101906231B1 (ko) 2017-01-02 2017-01-02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2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65B1 (ko) * 2008-01-28 2009-12-09 앨트웰텍 주식회사 회전착탈형 필터서포터
KR102078977B1 (ko) * 2011-04-27 2020-02-18 베스테르가아드 에스에이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46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96B1 (ko) 정수처리장치가 구비된 물탱크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0458705Y1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KR100868698B1 (ko) 세라믹필터와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552394B1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100987959B1 (ko) 정수기
KR101906231B1 (ko)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JP2015160196A (ja) 浄水装置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JP3107287U (ja) サイフォン式浄水器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KR20120002855A (ko) 일체형필터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CN207142964U (zh) 一种带有多层过滤的复合滤芯
KR100825680B1 (ko) 플랜지 이음 정화 수단을 갖는 물탱크
KR20120004463U (ko) 정수기용 필터
KR20200104611A (ko)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KR20070065247A (ko) 고형물 여과장치
CN108928988A (zh) 一种自来水净化消毒装置
KR101132035B1 (ko) 세척이 용이한 수족관 내장형 정수장치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101196616B1 (ko) 수처리 기기
JPH02339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