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989A -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 Google Patents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989A
KR20140057989A KR1020120124414A KR20120124414A KR20140057989A KR 20140057989 A KR20140057989 A KR 20140057989A KR 1020120124414 A KR1020120124414 A KR 1020120124414A KR 20120124414 A KR20120124414 A KR 20120124414A KR 20140057989 A KR20140057989 A KR 20140057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temporary
pair
slab
suppor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009B1 (ko
Inventor
박무용
태경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건설공법 filed Critical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to KR102012012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0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설 강재 기둥과 가설 강재 받침보로 이루어진 독립적인 가설 골조시스템은 지하구조물의 간섭 없이 슬래브와 보의 지지가 가능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과 가설 강재 받침보는 상기 슬래브와 보를 지지하므로 소단면의 구조재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가설 골조시스템은 조립, 해체가 용이하며, 지하구조물이 축조된 후 철거되어 재사용할 수 있는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강재 보(10)들의 접합부에서 상기 강재 보(10) 접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15)의 개구부(1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접합되는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과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플랜지 상면과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일체로 접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27)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25)의 개구부(2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23); 강재 보(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에 접합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받침보(21);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길이 절단된 상,하부플랜지에 각각 연결되는 일단은 상기 상,하부플랜지 폭 이상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며, 타단은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 주위를 에워 싸는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타단 접합부의 상,하면에는 커버플레이트(29)가 설치되어 볼트로 접합되는 연결플레이트(22);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 양면과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에 위치한 하부플랜지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셋 플레이트(26);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플랜지 하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셋 플레이트(26) 양면에 한 쌍의 찬넬로 볼트접합되어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를 지지하는 가새(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A temporary skeleton system use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물을 역타공법으로 지상에서 지하로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 구조재인 강재 보의 접합부에서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과 가설 강재 받침보로 구성된 가설 골조시스템를 사용하여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지하구조물이 지상에서 지하로 순차적으로 축조되는 것으로,
상기 지하구조물이 축조된 후 상기 가설 강재 기둥과 가설 강재 받침보로 구성된 가설 골조시스템은 제거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종래기술인 도 1(a)에 도시된 가설 스트러트(strut)공법은 지중에 가설 강재 기둥(2)을 설치하고 지상에서 지하로 지하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보와 가설 스트러트를 설치하여 흙막이벽체를 지지하고, 지상에서 지하 최하층까지 가설 골조시스템을 축조하며, 철근콘크리트 기둥(1) 등의 지하구조물을 지하 최하층에서 지상으로 순차적으로 축조한 후, 상기 가설 골조시스템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도 1(b)에 도시된 역타공법은 지하 터파기 시 작용되는 토압과 건물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으로 단면이 큰 가설 강재 기둥(4)이 사용된 강합성 기둥(3)을 설치하며, 이를 위해 PRD 등의 대구경 파일 삽입공을 지중에 천공하여 상기 강합성 기둥을 지중에 설치한 후, 지하구조물을 지상에서 지하 최하층으로 축조하는 방법이다.
종래기술인 상기 가설 스트러트 공법은 가설 스트러트 등으로 가설 골조시스템의 설치가 복잡하여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지하구조물이 축조되고 가설 골조시스템을 제거 시 지하구조물의 간섭에 의해 가설 골조시스템의 해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가설 스트러트의 해체과정에서 지반 침하 등으로 흙막이 벽체의 붕괴 위험이 있고, 지반이 오픈된 상태로 지하 터파기 공사를 하므로 소음, 분진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역타공법은 지하 타파기시 작용되는 토압과 건물 자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의 단면이 큰 가설 강재 기둥과 대구경 파일 삽입공이 사용되어 공사비가 증대되며,
상기 가설 가설 강재 기둥의 선단지지력에 의해서는 토압과 건물 자중을 지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가설 강재 기둥의 지지력 확보를 위해 가설강재 기둥의 하부는 콘크리트 구군을 형성하도록 기둥 단부가 확장되어 형성되고, 상부는 가설 강합성 기둥을 사용하므로 지하구조물이 축조된 후 상기 가설 강재 기둥은 재사용되지 못하고 매설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설 강재 기둥과 가설 강재 받침보로 이루어진 독립적인 가설 골조시스템은 지하구조물의 간섭 없이 슬래브와 보의 지지가 가능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과 가설 강재 받침보는 상기 슬래브와 보를 지지하므로 소단면의 구조재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가설 골조시스템은 조립, 해체가 용이하며, 지하구조물이 축조된 후 제거되어 재사용될 수 있는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강재 보(10)들의 접합부에서 상기 강재 보(10) 접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15)의 개구부(1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접합되는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과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플랜지 상면과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일체로 접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27)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25)의 개구부(2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23); 강재 보(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에 접합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받침보(21);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길이 절단된 상,하부플랜지에 각각 연결되는 일단은 상기 상,하부플랜지 폭 이상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며, 타단은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 주위를 에워 싸는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타단 접합부의 상,하면에는 커버플레이트(29)가 설치되어 볼트로 접합되는 연결플레이트(22);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에 위치한 하부플랜지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셋 플레이트(26);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플랜지 하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셋 플레이트(26) 양면에 한 쌍의 찬넬로 볼트접합되어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를 지지하는 가새(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은 지하구조물의 간섭 없이 독립적인 가설 골조시스템에 의해 지하구조물을 지지함으로써 지하구조물과 흙막이 벽체의 안정성과 시공성이 향상되고, 조립식 건식구조로 구성되어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공기가 단축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슬래브와 보를 지지하는 가설 강재 단면을 사용하며, 지중에 가설 강재 기둥을 설치 시 소구경의 파일 삽입공 사용이 가능하고, 건물의 자중을 지지하는 기둥 단면이 사용되며, 이로 인해 강재, 철근콘크리트, 파일 등의 공사재료가 절감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독립적인 가설 골조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이 완료된 후 상기 가설 강재 기동과 가설 강재 받침보는 제거되어 재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인 가설 스트러트 공법의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인 역타공법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의 강재 보와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에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의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에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A-A 단면도
도 3(d)는 도 3(b)의 B-B 단면도
도 3(e)는 도 3(d)의 C-C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중에 흙막이 벽체와 가설 강재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 받침보 상부에 지상 1층 강재 보와 슬래브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e)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 받침보 상부에 지하 1층 강재 보와 슬래브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f)는 본 발명의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g)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고, 지하 2층 강재 보와 슬래브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h)는 본 발명의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i)는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하면까지 지하 터파기를 하고 철근콘크리트 기초판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j)는 본 발명의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k)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 받침보와 가설 강재 기둥이 제거되어 인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의 강재 보와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에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설 골조시스템이 지하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강재 보(10)들의 접합부에서 상기 강재 보(10) 접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15)의 개구부(14)를 관통하여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이 지중에 설치된다.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연결되는 가설 강재 받침보(11)는 상기 강재 보(10)와 슬래브(15)를 지지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의 플랜지에 설치된 가셋 플레이트(16)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웨브는 볼트로 힌지접합된다.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과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고정을 위해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2)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2)는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플랜지 상면과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부플랜지 상면에 일체로 용접접합된다.
도 2(b), 도 2(d)에서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과 가설 강재 받침보(11)로 이루어진 가설 골조시스템은 지하구조물인 철근콘트리트 기둥(17)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강재 보의 접합부(10)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슬래브(15)와 강재 보(10)를 지지한다.
도 2(c)에서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의 플랜지에 접합된 가셋 플레이트(16)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웨브는 볼트접합되며,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중앙에는 웨브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스티프너(11a)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3(a)에 도시된 것은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27)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23)이 슬래브(25)의 개구부(2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된다.
강재 보(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에 접합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받침보(21)는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한다.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것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길이 절단된 상,하부플랜지에는 연결플레이트(22)가 용접접합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22)는 일단이 상기 상,하부플랜지 폭 이상으로 경사지게 확장되고, 타단은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 주위를 에워 싸는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2)의 타단 상호간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22)의 타단 접합부의 상,하면에는 커버플레이트(29)가 설치되고 볼트로 접합되어 연결플레이트(22)가 일체화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가셋 플레이트(26)는 볼트로 힌지접합된다.
도 3(d)와 도 3(e)에서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에 위치한 하부플랜지 하면에는 가셋 플레이트(2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플랜지 하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셋 플레이트(26) 양면에 한 쌍의 찬넬로 볼트접합된 가새(28)는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를 지지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중에 흙막이 벽체와 가설 강재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 받침보 상부에 지상 1층 강재 보와 슬래브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에서는 건물경계선을 따라 지중에 흙막이 벽체(18)를 설치하는데, 흙막이 벽체는 지반 상태에 따라 슬러리월(slurry wall) 등을 설치하며, 건물 내부에는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강재 보(10)의 접합부에서 상기 강재 보 접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슬래브(15)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지중에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이 설치된다.
도 4(b)와 도 4(c)에서는 지하 1층 흙막이 벽체(18)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상 1층 강재 보(1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가설 강재 받침보(11)가 접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부에 지상 1층 강재 보(10)와 슬래브(15)를 설치한다.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과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는 가셋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볼트로 힌지접합되거나, 또는 브라켓을 사용하여 볼트접합, 용접(미도시) 등으로 강접합된다.
도 4(d)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e)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 받침보 상부에 지하 1층 강재 보와 슬래브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f)는 본 발명의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d) 내지 도 4(f)에서는 지하 2층 흙막이 벽체(18)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1층 강재 보(1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가설 강재 받침보(11)가 접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부에 지하 1층 강재 보(10)와 슬래브(15)가 설치된 후,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이 설치된다.
도 4(g)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 기둥에 가설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고, 지하 2층 강재 보와 슬래브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h)는 본 발명의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g)와 도 4(h)에서는 지하 3층 흙막이 벽체(18)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2층 강재 보(1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가설 강재 받침보(11)가 접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부에 지하 2층 강재 보(10)와 슬래브(15)를 설치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을 설치한다.
도 4(i)는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하면까지 지하 터파기를 하고 철근콘크리트 기초판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j)는 본 발명의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k)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 받침보와 가설 강재 기둥이 제거되어 인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i)와 도 4(j)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초판(19) 하면까지 지하 터파기를 하고 철근콘크리트 기초판(19)을 설치한 후,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을 설치하며, 상기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 설치 후,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를 제거하고,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은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상면에서 절단되어 인발됨으로써 지하구조물 구축이 완료된다.
1, 17, 27 : 철근콘크리트 기둥 2, 4, 13, 23 : 가설 강재 기둥
3 : 강합성 기둥 10, 20 : 강재 보
11, 21 : 가설 강재 받침보 11a : 보강스티프너(stiffner)
12 : 고정플레이트 14, 24 : 개구부
15, 25 : 슬래브 16, 26 : 가셋 플레이트(gusset plate)
18 : 흙막이 벽체 19 :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22 : 연결플레이트 28 : 가새
29 : 커버플레이트

Claims (3)

  1. 지하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기둥(17)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강재 보(10)들의 접합부에서 상기 강재 보(10) 접합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15)의 개구부(1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13) 사이에 접합되는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과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강재 보(10)의 하부플랜지 상면과 가설 강재 받침보(11)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일체로 접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강재 기둥(13)의 플랜지에 접합된 가셋 플레이트(16)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웨브는 볼트접합되며,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11)의 중앙에는 웨브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스티프너(11a)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3.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27)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슬래브(25)의 개구부(24)를 관통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23);
    강재 보(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재 보와 슬래브를 지지하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에 접합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 받침보(21);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길이 절단된 상,하부플랜지에 각각 연결되는 일단은 상기 상,하부플랜지 폭 이상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며, 타단은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 주위를 에워 싸는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타단 접합부의 상,하면에는 커버플레이트(29)가 설치되어 볼트로 접합되는 연결플레이트(22);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 양면과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에 위치한 하부플랜지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셋 플레이트(26);
    상기 가설 강재 기둥(23)의 플랜지와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의 하부플랜지 하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셋 플레이트(26) 양면에 한 쌍의 찬넬로 볼트접합되어 상기 가설 강재 받침보(21)를 지지하는 가새(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KR1020120124414A 2012-11-05 2012-11-05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KR10143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14A KR101431009B1 (ko) 2012-11-05 2012-11-05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14A KR101431009B1 (ko) 2012-11-05 2012-11-05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989A true KR20140057989A (ko) 2014-05-14
KR101431009B1 KR101431009B1 (ko) 2014-09-23

Family

ID=5088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14A KR101431009B1 (ko) 2012-11-05 2012-11-05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9434A (zh) * 2017-12-05 2018-03-23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钢格构柱与逆作砼结构梁连接的抗剪构造
CN114775690A (zh) * 2022-06-17 2022-07-22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盖挖法顶板临时承托装置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611A (ja) * 2000-03-16 2001-11-30 Shimizu Corp 建物の柱と梁の仕口構造
JP3605756B2 (ja) * 2000-12-07 2004-12-22 株式会社新井組 鋼管柱と鉄骨梁の接合構造
KR100694503B1 (ko) *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0742A (ko) * 2008-02-22 2009-08-26 삼성물산 주식회사 영구 스트럿을 이용한 상향식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9434A (zh) * 2017-12-05 2018-03-23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钢格构柱与逆作砼结构梁连接的抗剪构造
CN114775690A (zh) * 2022-06-17 2022-07-22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盖挖法顶板临时承托装置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009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967497B1 (ko)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KR101221970B1 (ko)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600845B1 (ko)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JP5619646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JP5579635B2 (ja)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KR101431009B1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KR101426511B1 (ko) 건물의 지하구조물 축조 시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101296856B1 (ko) 지하 구조물의 벽체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구축방법
JP5619647B2 (ja)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576424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KR101071245B1 (ko)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KR100912574B1 (ko)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30100878A (ko) 복합 강관파일을 이용한 건축물
KR100967496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KR20100118482A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3641227B2 (ja) 地下構造躯体の施工法
KR101251096B1 (ko)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JPS6137692Y2 (ko)
KR101545713B1 (ko)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03003690A (ja) 免震建物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101557038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JP7341928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