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096B1 -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 Google Patents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096B1
KR101251096B1 KR1020120071736A KR20120071736A KR101251096B1 KR 101251096 B1 KR101251096 B1 KR 101251096B1 KR 1020120071736 A KR1020120071736 A KR 1020120071736A KR 20120071736 A KR20120071736 A KR 20120071736A KR 101251096 B1 KR101251096 B1 KR 10125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temporary
steel
basement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건설공법 filed Critical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to KR102012007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3층 이내의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의 철근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가설 골조시스템인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과 하나의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어 철근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이 지상에서 지하로 순차적으로 축조되고, 상기 지하구조물이 완료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은 인발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강재 받침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건물경계선을 따라 지중에 흙막이 벽체(1)가 설치되는 단계; (2)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이 지중에 설치되는 단계; (3)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1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4)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강재 받침보(3)가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단계; (5) 상기 강재 받침보(3) 상부에 철근콘크리트 보(5)를 설치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주위에 사각형상의 개구부(8)가 형성되도록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가 설치되는 단계;
(6)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2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7) 상기 (4)단계 내지 (5)단계를 1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8)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3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9) 상기 (4)단계 내지 (5)단계를 1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10)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을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위치까지 굴토하고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가 설치되는 단계; (11)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12) 상기 가설 강재기둥(2)과 철근콘크리트 기둥(6) 사이에 노출된 상기 강재 받침보(3)가 제거되는 단계;
(13)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은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상면에서 절단되어 인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이용한 역타공법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A temporary skeleton system used a building with a shallow basement an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emporary skeleton system}
본 발명은 지하 3층 이내의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의 지하구조물을 지상에서 지하로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에 관한 것으로,
가설 강재기둥과 강재 받침보를 사용하여 가설 골조시스템이 구축되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보 및 기둥은 상기 가설 골조시스템에 의해 지지되어 지상에서 지하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지하구조물이 축조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을 인발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의 지하구조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지중에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고 지상에서 지하 최하층까지 지하 터파기와 함께 가설 스트러트(strut)를 설치한 후, 지하 최하층에서 지상으로 순차적으로 지하 구조물을 축조하는 순타공법과, 지상에서 지하 최하층으로 한층씩 지하 터파기와 함께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역타공법이 있다.
순타공법은 흙막이 벽체 지지수단으로 가설 구조체인 H-BEAM을 이용한 스트러트(strut) 공법을 사용하는데, 지하 터파기 공사가 완료되면 가설 스트러트를 해체하면서 지하 구조물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설 스트러트와 지하 구조물의 상호 간섭에 의해 가설 스트러트의 해체와 지하 구조물 축조에 시공상 어려움이 있으며,
가설 스트러트의 해체과정에서 지반 변위 증대로 인한 흙막이 벽체의 붕괴 위험이 있고, 가설 스트러트의 해체에 따른 소요 시간이 필요하여 공사기간이 늘어나며, 지반이 오픈된 상태로 지하 터파기 공사를 하므로 소음, 분진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지하 3층 이내의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의 경우 파일 삽입공 천공과 강재 기둥이 사용되는 등 공사비가 증대되어 역타공법은 주로 깊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며, 상기 역타공법은 지하 터파기를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중에 강재 기둥을 설치하는데, 상기 강재 기둥은 지하 터파기 시 작용되는 토압과 건물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필요 이상으로 강재 기둥 단면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강재 기둥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형강을 사용하는 경우, 그 단면적이 작아서 H형강의 선단 지지력에 의해서는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기 강재 기둥의 지지력 확보를 위해 강재 기둥의 선단부를 콘크리트 구근 등으로 크게 확장하여야 하며, 상기 큰 단면의 강재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서 대구경의 파일 삽입공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 3층 이내의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의 철근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가설 골조시스템인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과 하나의 강재 받침보가 설치되어 철근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이 지상에서 지하로 순차적으로 축조되고, 상기 지하구조물이 완료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은 인발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헝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강재 받침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건물경계선을 따라 지중에 흙막이 벽체(1)가 설치되는 단계; (2)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이 지중에 설치되는 단계; (3)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1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4)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강재 받침보(3)가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단계;(5) 상기 강재 받침보(3) 상부에 철근콘크리트 보(5)를 설치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주위에 사각형상의 개구부(8)가 형성되도록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가 설치되는 단계;
(6)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2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7) 상기 (4)단계 내지 (5)단계를 1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8)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3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9) 상기 (4)단계 내지 (5)단계를 1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10)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을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위치까지 굴토하고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가 설치되는 단계; (11)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12) 상기 가설 강재기둥(2)과 철근콘크리트 기둥(6) 사이에 노출된 상기 강재 받침보(3)가 제거되는 단계;
(13)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은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상면에서 절단되어 인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얕은 지하층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이용한 역타공법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얕은 지하층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은 가설 골조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지하 3층 이내의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도 역타공법의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며 흙막이 벽체의 안전성과 지하구조물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이 완료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은 인발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건물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정한 단면적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지중에 가설 강재기둥을 설치 시 대구경의 파일 삽입공을 천공하지 않으므로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중에 흙막이 벽체와 가설 강재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기둥에 강재 받침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지상 1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기둥에 강재 받침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e)는 본 발명의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f)는 본 발명의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g)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기둥에 강재 받침보를 설치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h)는 본 발명의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i)는 본 발명의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상면까지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j)는 본 발명의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k)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기둥을 절단하여 인발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위치에 가설 골조시스템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슬래브의 장,단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위치에 가설 골조시스템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설 골조시스템과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 슬래브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한 상태의 X-X'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타설한 상태의 X-X' 단면도
도 7은 도 5, 6의‘B’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강재 가설기둥에 ∪자형 강재 찬넬과 장착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중에 흙막이 벽체와 가설 강재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기둥에 강재 받침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지상 1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에서는 건물경계선을 따라 지중에 흙막이 벽체(1)를 설치하는데, 흙막이 벽체는 지반 상태에 따라 슬러리월(slurry wall), CIP 등의 흙막이 벽체 중에 적절한 것을 선정하여 설치하며, 건물 내부에는 철근콘크리트 기둥 위치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소구경 파일 삽입공을 천공한 후,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을 설치한다.
도 1(b)와 도 1(c)에서는 지하 1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상 1층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는 강재 받침보(3)를 설치하며, 상기 강재 받침보(3) 상부에 지상 1층 철근콘크리트 보(5)와 슬래브(4)를 설치한다.
도 1(d)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기둥에 강재 받침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e)는 본 발명의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f)는 본 발명의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d) 내지 도 1(f)에서는 지하 2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는 강재 받침보(3)를 설치하며, 상기 강재 받침보(3) 상부에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보(5)와 슬래브(4)를 설치한 후,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을 설치한다.
도 1(g)는 본 발명의 지중에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가설 강재기둥에 강재 받침보를 설치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h)는 본 발명의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i)는 본 발명의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상면까지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j)는 본 발명의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k)는 본 발명의 가설 강재기둥을 절단하여 인발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g)와 도 1(h)에서는 지하 3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요 깊이로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는 강재 받침보(3)를 설치하며, 상기 강재 받침보(3) 상부에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보(5)와 슬래브(4)를 설치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을 설치한다.
도 1(i)와 도 1(j)에서는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까지 지하 터파기를 하고,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를 설치한 후,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을 설치하며, 도 1(k)에서는 상기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 설치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은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상면에서 절단되어 인발하여 제거함으로써 지하구조물 구축이 완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위치에 가설 골조시스템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로,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을 갖는 건물 내부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이 지중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어 강재 받침보(3)가 설치된다. 상기 파일 천공 직경은 상기 가설 강재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 지중을 천공하는 구멍의 직경이며, 상기 가설 강재 기둥의 지지력 확보를 위한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 기둥의 간격은 상기 파일 천공 직경의 3 ~ 5배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슬래브의 장,단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위치에 가설 골조시스템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로, 슬래브의 장,단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을 갖는 건물 내부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5)의 직각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기둥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이 지중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어 강재 받침보(3)가 설치된다.
도 4는 도 2의 ‘A'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설 골조시스템과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 슬래브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로,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철근콘크리트 보(5)의 하부에 소정 길이의 강재 받침보(3)를 설치하고,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양 단부에는 각각 H형강의 가설 강재기둥(2)을 설치한다.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과 강재 받침보(3)는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플랜지에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브라켓과 강재 받침보(3)의 웨브에 관통홀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미도시)를 설치하고 보울트로 양 부재를 힌지 접합한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상,하부 플랜지에는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다웰(dowel) 주근(1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커플러(9)가 직각형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용접, 접합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웨브에는 기둥의 압축력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압축 보강 스티프너(11)가 직각형상으로 용접, 접합된다.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중앙부에는 상,하부 플랜지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스터드(14)가 설치되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는 가설 강재기둥(2)이 관통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개구부(8)가 형성된다.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웨브 양면에는 가설 강재기둥을 횡지지할 수 있도록 횡지지용 스티프너(15)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횡지지용 스티프너(15) 상면에는 ∪자형 강재 찬넬(12)이 용접, 접합되어 50mm 이상 돌출되며,
상기 ∪자형 강재 찬넬(12)의 돌출된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강재로 된 정착판(13)이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정착판(13)의 배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4)가 용접, 접합되어 상기 스터드(14)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도 5는 도 4에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한 상태의 X-X'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타설한 상태의 X-X' 단면도이며, 도7은 도 5, 6의‘B’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설 강재기둥에 ∪자형 강재 찬넬과 장착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에 힌지 접합된 강재 받침보(3)의 상부에 철근콘크리트 보(3)와 슬래브(4)가 타설된 것으로,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상부 플랜지 상면과 하부 플랜지 하면에는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다웰(dowel) 주근(10)이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커플러(9, coupler)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웨브에는 기둥의 압축력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압축 보강 스티프너(11)가 직각형상으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모서리부에 용접, 접합되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위치에 았는 가설 강재기둥(2)의 웨브 양면에는 횡지지용 스티프너(15)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횡지지용 스티프너(15)의 상면에는 ∪자형 강재 찬넬(12)이 용접, 접합되며, 상기 강재 받침보(3)는 상기 횡지지용 스티프너(15)와 ∪자형 강재 찬넬(12) 등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는 도 5에서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타설된 것으로,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중앙부는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에 매입되고,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양 단부는 절단되어 제거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구축이 완료되면,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은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에서 절단되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의 개구부(8)를 통하여 인발되어 제거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의 개구부(8)는 콘크리트로 충전된다.
도 7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위치에 있는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웨브 양면에는 횡지지용 스티프너(15)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횡지지용 스티프너(15) 상면에는 ∪자형 강재 찬넬(12)이 용접, 접합되어 50mm 이상 돌출되며,
상기 ∪자형 강재 찬넬(12)의 돌출된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강재 정착판(13)이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정착판(13)의 배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4)가 용접, 접합되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시 정착판의 배면과 스터드가 상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입되어 상기 가설 강재기둥과 강재 받침보의 좌,우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지하구조물 축조시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 설치까지는 동일하게 실시하며, 지하 2, 3층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설치한 후, 지하 3층, 지하 2층 순으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하여 지하구조물을 축조할 수도 있다.
1 : 흙막이 벽체 2 : 가설 강재기둥
3 : 강재 받침보 4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5 : 철근콘크리트 보 6 : 철근콘크리트 기둥
7 :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8 : 개구부
9 : 커플러 10 : 다웰(dowel) 주근
11 : 압축 보강 스티프너 12 : ∪자형 강재 찬넬
13 : 정착판 14 : 스터드
15 : 횡지지용 스티프너

Claims (8)

  1.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강재 받침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2. 슬래브의 장,단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5)의 직각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강재 받침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3. (1) 건물경계선을 따라 지중에 흙막이 벽체(1)가 설치되는 단계;
    (2) 슬래브의 장,단변방향으로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이 지중에 설치되는 단계;
    (3)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1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4) 철근콘크리트 보(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 사이에 강재 받침보(3)가 힌지 접합되어 설치되는 단계;
    (5) 상기 강재 받침보(3) 상부에 철근콘크리트 보(5)를 설치한 후,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주위에 사각형상의 개구부(8)가 형성되도록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가 설치되는 단계;
    (6)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2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7) 상기 (4)단계 내지 (5)단계를 1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지하 1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8)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은 지하 3층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깊이로 굴토되는 단계;
    (9) 상기 (4)단계 내지 (5)단계를 1회 반복하여 실시한 후, 지하 2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10) 상기 흙막이 벽체(1)의 내측을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위치까지 굴토하고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가 설치되는 단계;
    (11)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기둥(6)이 설치되는 단계;
    (12) 상기 가설 강재기둥(2)과 철근콘크리트 기둥(6) 사이에 노출된 상기 강재 받침보(3)가 제거되는 단계;
    (13)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은 지하 3층 철근콘크리트 슬래브(7) 상면에서 절단되어 인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이용한 역타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2) 슬래브의 장,단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보가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6) 중심에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5)의 직각방향으로 각각 파일 천공 직경의 1.5 ~ 2.5배로 이격되어 지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설 강재기둥(2);으로 대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이용한 역타공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위치에 있는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웨브 양면에는 횡지지용 스티프너(15)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횡지지용 스티프너 (15)상면에는 ∪자형 강재 찬넬(12)이 용접, 접합되어 50mm 이상 돌출되며,
    상기 ∪자형 강재 찬넬(12)의 돌출된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정착판(13)이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정착판(13)의 배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4)가 용접, 접합되어 상기 스터드(14)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에 매입,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이용한 역타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웨브에는 기둥의 압축력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압축 보강 스티프너(11)가 직각형상으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모서리부에 용접, 접합되며,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상부 플랜지 상면과 하부 플랜지 하면에는 다웰 주근(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플러(9)가 용접,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을 이용한 역타공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위치에 있는 상기 가설 강재기둥(2)의 웨브 양면에는 횡지지용 스티프너(15)가 용접, 접합되고, 상기 횡지지용 스티프너 (15)상면에는 ∪자형 강재 찬넬(12)이 용접, 접합되어 50mm 이상 돌출되며,
    상기 ∪자형 강재 찬넬(12)의 돌출된 단부에는 사각형상의 정착판(13)이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정착판(13)의 배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4)가 용접, 접합되어 상기 스터드(14)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4)에 매입,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웨브에는 기둥의 압축력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압축 보강 스티프너(11)가 직각형상으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6)의 모서리부에 용접, 접합되며,
    상기 강재 받침보(3)의 상부 플랜지 상면과 하부 플랜지 하면에는 다웰 주근(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플러(9)가 용접,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

KR1020120071736A 2012-07-02 2012-07-02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10125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736A KR101251096B1 (ko) 2012-07-02 2012-07-02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736A KR101251096B1 (ko) 2012-07-02 2012-07-02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096B1 true KR101251096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736A KR101251096B1 (ko) 2012-07-02 2012-07-02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67B1 (ko) 2013-04-22 2014-07-09 (주) 에센스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역공사 pc공법
KR101707376B1 (ko) * 2016-05-20 2017-02-16 (주)대우건설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14B1 (ko) 2004-02-09 2006-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브라켓 지지 타입의 하향 골조 타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하향 골조 타설 방법
KR100694503B1 (ko)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926323B1 (ko) 2009-03-13 2009-11-12 황기수 소구경 강관을 이용한 지하 증축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14B1 (ko) 2004-02-09 2006-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브라켓 지지 타입의 하향 골조 타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하향 골조 타설 방법
KR100694503B1 (ko)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926323B1 (ko) 2009-03-13 2009-11-12 황기수 소구경 강관을 이용한 지하 증축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67B1 (ko) 2013-04-22 2014-07-09 (주) 에센스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역공사 pc공법
KR101707376B1 (ko) * 2016-05-20 2017-02-16 (주)대우건설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817U (ja) 型枠取り外し不要の建築構造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67497B1 (ko)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100313720B1 (ko) 가설 흙막이 벽용 철골 버팀대를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KR20110122310A (ko)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87170B1 (ko)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
KR101251096B1 (ko)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101267565B1 (ko)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96856B1 (ko) 지하 구조물의 벽체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0912574B1 (ko)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KR101426511B1 (ko) 건물의 지하구조물 축조 시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100967496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KR101431009B1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JP2006002428A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16746B1 (ko) 거더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08622B1 (ko) 공기단축형 가설 스트럿 지지 구조
KR101557038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JP7442268B2 (ja) 地下躯体構造
KR101028695B1 (ko) 지하 역타 공법에서 철골 또는 강관 기둥과 결합되는피씨보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