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709A -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709A
KR20140057709A KR1020120121689A KR20120121689A KR20140057709A KR 20140057709 A KR20140057709 A KR 20140057709A KR 1020120121689 A KR1020120121689 A KR 1020120121689A KR 20120121689 A KR20120121689 A KR 20120121689A KR 20140057709 A KR20140057709 A KR 2014005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oybean
added
growth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재
김경희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주)메디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언스 filed Critical (주)메디언스
Priority to KR102012012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7709A/ko
Publication of KR2014005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유래의 단백질 함유 원료에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가수분해하고 이를 한외여과하여 분자량 10,000달톤 이하의 것을 회수하여 얻어지는 대두가수분해 조성물로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키성장, 뼈강화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bone growth and strengtherning}
본 발명은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의 관한 것으로, 뼈의 성장을 촉진하고 뼈의 강화를 유도하는 대두 가수분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키성장 및 뼈강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은 천연 식물유래의 것으로 일부의 특허가 출원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한 대두는 그 원료의 공급의 용이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 키성장 및 뼈강화와 관련된 보고는 찾기 어려우며, 본 발명은 대두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저분자물질로 만들어 이를 활용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8-0009540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7-0111471 대한민국특허출원 10-1998-0701597 대한민국특허출원 10-1998-0012256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3-7004843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7-0044377
해당사항 없음
본 발명은 키성장 및 뼈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대두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가수분해 조성물을 이용한 키성장 및 뼈강화용 조성물의 제조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얻는 방법 및 그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두단백은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지만, 키성장 또는 뼈성장과는 그 자체로는 효용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효소반응을 통하여 단백질을 분자량 1,000dalton 이하의 크기로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저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조성물이 키성장과 뼈성장 효과를 가짐을 밝히는 것이다.
대두단백의 가수분해를 위하여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였고,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를 대상으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활성을 비교하고 검증하는 방법에 의하여 키성장 및 뼈성장에 효과를 가지는 가수분해 조성물을 찾아내고 그 제조방법을 찾아내며,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여 키성장효과 및 뼈강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선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소년기 작은 키로 고민하는 소년들에게 복용케 하여 키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장년기 이후의 성인들의 경우 뼈를 강화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본 발명은 대두에 풍부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 분해효소인 알칼라아제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얻어지는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분자량 10,000dalton 이하의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여 분획을 얻고 이를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및 뼈강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두는 두부를 제조하는데 주로 이용되며 두부를 제조 후 남게되는 비지에서 상당량의 단백질,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료로 비지, 분리대두단백을 사용하였다. 물론 대두 자체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대두에 함유된 기름 성분 등이 장기간 보관할 경우 산패되는 등의 보관상의 한계가 있어 대두의 지방을 제거한 분말을 주요 원료로 하였다.
대두가수분해물은 대두에 함유된 단백질을 가수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하고 이를 한외여과하여 얻어진다. 원료로는 대두분말, 분리대두단백, 비지 등이 사용가능하며 얻어진 가수분해물은 한외여과를 통하여 분획하게 되므로 최종 제품은 그 수율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효과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출한다.
원료로 비지, 대두건조분말, 분리대두단백 등을 물에 5~30%(w/w)의 비율로 풀어서 90℃이상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단백질을 용해 및 증자하게 된다. 이를 냉각하여 60℃가 되게 하고 여기에 가수분해 효소로 알칼라아제(Novo)를 원료무게 대비 0.05~0.5%(w/w)의 비율로 첨가하고, 1~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때 내용물의 균질화를 위하여 10~100rpm으로 교반하여 준다. 사용하는 효소는 다양한 것이 가능하나,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노보사의 알칼라아제를 선정하였고 일반적으로 바실러스, 곰팜이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분해효소는 효과에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적용이 가능하였다.
반응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물질을 제거하고, 미세여과하고, 0.45um으로 정밀여과한 다음 이를 한외여과한다. 한외여과는 한외여과막으로 분자량 cut-off 10,000달톤을 이용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자량 10,000달톤 이하의 것이 활성이 우수하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분자량 10,000달톤 이상의 물질은 키성장, 뼈강화 효과가 거의 없었다.
한외 여과가 끝나 10,000달톤의 한외여과막을 통과한 분자량 10,000달톤 이하의 액은 건조하여 분말화 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얻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로 상술하고자 한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대두가수분해물의 제조1.
비지를 건조한 것으로 1Kg에 대하여 물 5리터를 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여기에 알칼라아제를 15ml 첨가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다시 0.45um의 필터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막으로 MWCO(분자량 cut-off) 10,000달톤의 여과막을 장착한 다음 통과시켜 얻어진 통과액을 회수하고 이를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97g을 얻었다.
실시예 2. 대두가수분해물의 제조1.
분리대두단백을 1Kg에 대하여 물 8리터를 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여기에 알칼라아제를 25ml 첨가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다시 0.45um의 필터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막으로 MWCO(분자량 cut-off) 10,000달톤의 여과막을 장착한 다음 통과시켜 얻어진 통과액을 회수하고 이를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175을 얻었다.
실시예 3. 조골세포 성장 촉진효과
조골세포는 키성장 및 뼈강화 효과를 확인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세포로서 그 성장촉진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시료의 키성장 및 뼈강화 효과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세포로 MC3T3-E1(이하 E1세포라고 함) 세포주를 ATC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먼저 계대배양을 위하여 10%FBS(Hyclone),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알파-MEM배지에서 37℃, 5%(v/v) 이산화탄소 인튜베이터에서 배양하고, 탈착을 위하여 0.05% trypsin-EDTA를 사용하였다.
조골세포의 증식도는 MTT(3-(3,4-dimethylthiazoyl-2)-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E1세포를 96-well plate에 5,000cells/well로 로딩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시료를 5, 100, 200ug/ml의 농도가 되게 처리하고 다시 48시간을 배양한 다음 이를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고, 각 well에 CCK-8을 10ul를 첨가하고 1시간 더 배양한 후 ELISA 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증식을 상대비교 하였다. 대조군은 무처리군으로 하여 무처리군 대비 성장효과를 비교하였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50ug/ml의 농도에서 25% 이상의 조골세포 성장 촉진효과가 있었고 이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골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용 소재로서 어린이의 키성장을 촉진하는 효과, 중,장년층의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위한 건강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ELISA : Enzyme Linked Immuno Sorbent Assay

Claims (3)

  1. 대두비지, 대두건조분말, 분리대두단백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 이상을 물에 5~30%(w/w)의 비율로 가하고 알칼라아제를 첨가하고 반응시킨 다음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이를 분자량 cut-off 10,000dalton의 한외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통과한 액을 회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골세포의 성장촉진에 의한 키성장 및 뼈강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서 대두비지, 대두건조분말, 분리대두단백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 이상을 물에 5~30%(w/w)의 비율로 가하고, 알칼라아제를 원료무게의 0.05~0.5%(w/w)의 비율로 첨가하고 1~5시간동안 반응시키고 미세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다음, 분자량 cut-off 10,000dalton의 한외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통과한 액을 회수하고 이를 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및 뼈강화 효과를 가지는 대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3. 제 1항의 조성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용 조성물.

KR1020120121689A 2012-10-31 2012-10-31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KR20140057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89A KR20140057709A (ko) 2012-10-31 2012-10-31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89A KR20140057709A (ko) 2012-10-31 2012-10-31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709A true KR20140057709A (ko) 2014-05-14

Family

ID=5088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89A KR20140057709A (ko) 2012-10-31 2012-10-31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77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847B1 (ko) 2019-04-30 2019-08-23 (주)펜즈 한삼덩굴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N114480264A (zh) * 2022-03-03 2022-05-13 烟台大学 一种大豆肽在促进成骨活性中的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4331A (en) * 1994-06-10 1995-06-13 Bio-Virus Research Incorpor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dietary soybean food products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JP2003026571A (ja) * 2001-07-09 2003-01-29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栄養組成物
JP2009268386A (ja) * 2008-05-02 2009-11-19 Hiroshima Univ 骨強化補助食品
KR20100003825A (ko) * 2008-07-02 2010-01-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성 ph에서 안정한 변형된 대두단백질의 제조방법
EP2272382A1 (en) * 2001-12-11 2011-01-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bone growth and maintenance of bone health, comprising soybean or soybean extrac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4331A (en) * 1994-06-10 1995-06-13 Bio-Virus Research Incorpor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dietary soybean food products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JP2003026571A (ja) * 2001-07-09 2003-01-29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栄養組成物
EP2272382A1 (en) * 2001-12-11 2011-01-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bone growth and maintenance of bone health, comprising soybean or soybean extracts
JP2009268386A (ja) * 2008-05-02 2009-11-19 Hiroshima Univ 骨強化補助食品
KR20100003825A (ko) * 2008-07-02 2010-01-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성 ph에서 안정한 변형된 대두단백질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847B1 (ko) 2019-04-30 2019-08-23 (주)펜즈 한삼덩굴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WO2020222366A1 (ko) 2019-04-30 2020-11-05 (주)펜즈 한삼덩굴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 성장 촉진용 식품 조성물 및 키성장 촉진용 약학 조성물
US11759489B2 (en) 2019-04-30 2023-09-19 Pens Co., Ltd. Food composition for promoting height growth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ng height growth including Humulus japonicus extract or ground Humulus japonicus as active ingredient
CN114480264A (zh) * 2022-03-03 2022-05-13 烟台大学 一种大豆肽在促进成骨活性中的应用
CN114480264B (zh) * 2022-03-03 2024-01-30 烟台大学 一种大豆肽在促进成骨活性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95500T3 (es) Nuevas proteasas que pueden hidrolizar péptidos y proteínas de gluten a un pH ácido, procedentes del actinomiceto Actinoallomurus
KR101405372B1 (ko) 대두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CN107002111A (zh) 用于生产蛋白质水解产物的方法
CN107532157B (zh) 制备胶原酶的方法以及利用其制备胶原三肽的方法
Reyes-Mendez et al. Production of calcium-and iron-binding peptides by probiotic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B. clausii and B. coagulans GBI-30
KR20140057709A (ko) 키성장 및 골 강화용 조성물
KR20200062214A (ko) 영양 품질이 개선된 완두 단백질 조성물
CN104073539A (zh) 一种牛乳β-酪蛋白多元活性肽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713945A (zh) 一种扇贝抗氧化肽的制备方法
Jiang et al. Preparation of grape seed polypeptide and its calcium chelate with determination of calcium bioaccessibil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ation
KR101274268B1 (ko) 맥강 단백질 이용한 미네랄 결합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Thapa et al.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otent poly glutamic acid producing Bacillus sp. isolated from Kinema, water and soil samples
Hou et al. Production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mmunomodulatory peptides obtained from fermented goat placenta
CN106231925A (zh) 用于制造预防脑神经疾病或改善脑功能用食品的食品添加剂
AU2011215208B2 (en) Protein synthesis promoter
Jeon et al. Isolation of a calcium-binding peptide from chlorella protein hydrolysates
CN114805471A (zh) 一种火麻籽粕高f值寡肽及其制备方法和在提高纳豆激酶产量中的应用
JPH08140585A (ja) 低分子馬鈴薯蛋白質の製造方法
JP2022102874A (ja) エラスチンペプチド
KR10104560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1079030B1 (ko)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JP6935180B2 (ja) 乳由来リン脂質含有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0502A (ja) ピロロキノリンキノンを高含量で含有する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0064B1 (ko) 면역 활성이 강화된 검은콩 단백 가수 분해물의 제조방법
WO2016076647A1 (ko) 콜라겐 분해효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콜라겐 트리펩타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