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530A - 인덱스 탭 - Google Patents

인덱스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530A
KR20140057530A KR1020147002188A KR20147002188A KR20140057530A KR 20140057530 A KR20140057530 A KR 20140057530A KR 1020147002188 A KR1020147002188 A KR 1020147002188A KR 20147002188 A KR20147002188 A KR 20147002188A KR 20140057530 A KR20140057530 A KR 2014005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index tab
display section
displa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5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a)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하나 이상의 보강 섹션을 포함하는 몸체; 및 (b) 적어도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몸체의 후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i)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방향에서의 소정의 폭과, 제1 방향에 평행한 제1 에지 및 제2 에지와, 제1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제3 에지 및 제4 에지를 가지며, (ii) 제1 고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1 에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iii) 보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되는 자기-점착성 인덱스 탭.

Description

인덱스 탭{INDEX TAB}
본 발명은 인덱스 탭, 특히 자기-점착성(self-adhesive) 인덱스 탭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책의 페이지 또는 공책의 페이지와 같은 시트 부재의 에지에 부착된 제목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자기-점착성 인덱스 탭이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6,594,933호(아티아(Attia)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 문헌은 인덱스 탭 - 이 인덱스 탭은 원하는 정보가 그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섹션, 및 인덱스 탭을 원하는 바와 같은 시트에 부착시키기 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 섹션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섹션을 가짐 - 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심사 실용신안 공개 제1991-18219호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섹션 및 한 쌍의 디스플레이 섹션을 덮는 투명 부재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인덱스 탭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인덱스 탭에 있어서, 인덱스 탭이 시트 부재에 고정된 후에, 파일을 빨리 넘길 때와 같이, 탭이 손으로 파지되어 예를 들어 시트를 들어올리도록 조종될 때, 시트 부재에는 인덱스 탭이 고정된 시트 부재의 에지와 인덱스 탭 사이의 경계에서 인열이 가해진다. 인덱스 탭이 점착된 시트 부재를 인열시키는 것이 보다 어려운 자기-점착성 인덱스 탭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간단한 개요에서,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은 (a)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rear surface)을 갖고,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하나 이상의 보강 섹션을 포함하는 몸체; 및 (b) 적어도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몸체의 후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며,
(i)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방향에서의 소정의 폭과, 제1 방향에 평행한 제1 에지 및 제2 에지와, 제1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제3 에지 및 제4 에지를 가지며,
(ii) 제1 고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1 에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iii) 보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인덱스 탭은 시트의 에지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적용 후에, 탭은 예를 들어 손으로 파지되고, 놀랄 만큼 감소된 시트의 인열을 갖고서, 예를 들어 시트를 들어올려 파일 등의 페이지를 빨리 넘기도록 조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은 종래의 자기-점착성 인덱스 탭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인열 강도를 나타내는 시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2>
도 2는 도 1의 선 II-II에서의 단면도.
<도 3>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에서의 단면도.
<도 4>
도 4는 도 1의 선 IV-IV에서의 단면도.
<도 5>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덱스 탭을 시트에 고정시키는 최초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인덱스 탭을 시트에 고정시키는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인덱스 탭을 시트에 고정시키는 최종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8>
도 8은 도 7의 상태의 후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
<도 9>
도 9는 도 7의 선 IX-IX에서의 단면도.
<도 10>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1>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에서의 단면도.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3>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4>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5>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6>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7>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
<도 18>
도 18은 인장 시험에 사용된 인덱스 탭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9>
도 19는 인장 시험에 사용된 인덱스 탭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0>
도 20은 인장 시험에 사용된 시트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1>
도 21은 인장 시험에 사용된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2>
도 22는 인장 시험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이들 도면은 일정한 축척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단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며,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도면에서의 치수들의 비(ratio)가 반드시 치수들의 실제 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사용되는 도면 부호의 리스트
Figure pct00001
전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은 (a)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을 포함하는 몸체; 및 (b) 적어도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몸체의 후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방향에서의 소정의 폭을 갖고, 제1 에지, 제2 에지, 제3 에지, 및 제4 에지에 의해 한정된다. 제1 에지와 제2 에지는 제1 방향에 평행하다. 제3 에지와 제4 에지는 각각 제1 에지와 제2 에지 둘 모두와 교차하며, 제1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평행하지 않게 연장된다.
제1 고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1 에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보다 긴 폭을 갖는다.
보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즉 이격되거나 맞닿아 배치된다. 보강 섹션은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된다.
몸체
몸체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부재이다. 몸체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을 포함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몇 개의 섹션을 갖는다. 각각의 섹션들은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는 서로 연결되고 다른 경우에는 서로 분리된다.
몸체는 외겹(single ply) 부재일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여러 겹일 수 있다. 몸체는 원하는 바에 따라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자립형(self supporting)일 수 있거나(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필요한 절첩이 달성될 수 있다면), 가요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의 몸체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예시적인 예는 종이, 예를 들어 본드지(bond paper), 코트지(coated paper), 무광택 코트지(matt coat paper), 재생지(recycled paper), 글라신지(glassine), 크래프트지(kraft paper), 합성지(synthetic paper), 화지(Japanese paper) 등, 또는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크릴 필름,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등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적합한 재료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전면은 표시, 예를 들어 컬러 코딩(color coding), 필기 도구를 사용해 손으로 기록한 표기, 그에 대한 라벨의 부착, 컴퓨터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그에 적용된 레전드(legend)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 고정 섹션은 그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접착제를 가지며, 사용시 시트에 접합된다. 제1 고정 섹션의 전면은 원하는 경우 표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섹션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1 에지에서 연결된다.
보강 섹션이 또한 그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접착제를 가지며, 사용시 시트에 접합된다. 보강 섹션의 전면이 또한 원하는 경우 표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 섹션은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된다. 보강 섹션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이 서로 맞닿을 수 있지만,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의 부분을 따른 몸체의 깊이를 관통한 완전 절단부에 의해 분리된다.
접착제
접착제는 인덱스 탭의 몸체에 점착되도록,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탭이 접합되는 시트 또는 다른 기재에 점착되도록 선택된다.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감압형이지만, 활성 접착제(예를 들어, 열-활성 또는 용매-활성 등)가 원하는 경우 특수 응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성능에 따라, 접착제는 시트에 대한 제거가능한 점착을 제공할 수 있거나, 그에 대한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접합을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는 원하는 응용에 적합한 접착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접착제의 예시적인 예는 아크릴 감압 접착제, 실리콘 감압 접착제, 합성 고무 감압 접착제, 천연 고무 감압 접착제, 우레탄 감압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아크릴 감압 접착제의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예는 토아 고세이 컴퍼니 엘티디.(Toa Gosei Co., Ltd.)로부터의 아론택(ARONTACK)® HV-C9500, 토아 고세이 컴퍼니 엘티디.로부터의 아론택® HV-C7559, 디아이씨 코포레이션(DIC Corporation)으로부터의 파인택(FINETAC) CT-5030, 토요 켐 컴퍼니 엘티디.(Toyo Chem Co., Ltd.)로부터의 BPW6112, 및 토요 켐 컴퍼니 엘티디.로부터의 BPW6116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가장 일반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의 몸체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하나 이상의 보강 섹션을 가지며,
(i)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방향에서의 소정의 폭과, 제1 방향에 평행한 제1 에지 및 제2 에지와, 제1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제3 에지 및 제4 에지를 가지며,
(ii) 제1 고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1 에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iii) 보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은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단일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서 구성되고,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을 포함하는 몸체; 및 적어도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몸체의 후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인덱스 탭이다. 이러한 인덱스 탭에서,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방향에서의 소정의 폭과, 제1 방향에 평행한 제1 에지 및 제2 에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제3 에지 및 제4 에지를 갖는다. 제1 고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1 에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보다 긴 폭을 갖는다. 보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된다.
그러한 인덱스 탭에서, 보강 섹션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된다. 사용시, 시트에 적용될 때, 보강 섹션은 인덱스 탭이 부착된, 책, 공책, 메모장, 문서 등의 페이지와 같은, 시트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과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어서, 시트를 인열될 가능성이 더 적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의 다른 태양에서, 제1 고정 섹션의 폭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과 제1 방향에서의 보강 섹션의 폭의 합계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고정 섹션의 폭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강 섹션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소들 각각, 즉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보강 섹션, 및 제1 고정 섹션이 몸체 상에 콤팩트하게 그리고 낭비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인덱스 탭의 다른 태양에서,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몸체는 투명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덱스 탭을 시트-형상의 부재의 에지에 고정시킬 때, 시트-형상의 부재의 에지 상에 기록된 문자 등이 인덱스 탭에 의해 감추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의 다른 태양에서, 보강 섹션은 제1 고정 섹션 측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방향에서의 제2 단부를 향해, 제1 방향에서의 안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 결과, 인덱스 탭이 고정된 시트-형상의 부재의 에지와 인덱스 탭 사이의 경계에 쉽게 집중될 수 있는 변형 응력을 인덱스 탭의 안쪽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인덱스 탭이 점착된 시트를 인열될 가능성이 더 적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의 다른 태양에서, 몸체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2 에지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디스플레이 섹션에 대해 축대칭으로(즉, 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섹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 결과, 그의 양측에 디스플레이 섹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의 다른 태양에서, 몸체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제2 에지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 고정 섹션에 대해 축대칭으로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섹션에 연결된 제2 고정 섹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덱스 탭이 고정된 시트 부재의 에지와 인덱스 탭 사이의 경계에 쉽게 집중될 수 있는 변형 응력을 제2 고정 섹션이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 부재를 인열될 가능성이 훨씬 더 적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에 상세히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의 선 II-II, 선 III-III, 및 선 IV-IV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1)은 몸체(2)와, 몸체(2)의 후면 전체 상에 배치된 그리고 보호 이형 라이너(4)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을 포함한다. 라이너(4)는, 접착제 층(3)에 원하는 이형 특성을 부여하여서 접착제 층(3)이 온전한 상태로 인덱스 탭(1)이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그의 상면 상에 코팅 처리,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이형 재료의 얇은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라이너(4)는 인덱스 탭(1)의 취급 및 준비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인덱스 라이너(1)와 라이너(4)가 분리되기 전에 원하는 표시가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에 적용될 수 있다. 라이너(4) 상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인덱스 탭을 포함하는 조립체가, 예를 들어 프린터를 통과함으로써 준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 제1 고정 섹션(13), 제2 고정 섹션(14), 제1 보강 섹션(15), 및 제2 보강 섹션(16)을 포함한다. 몸체(2)는 미리 그 상에 인쇄된 격자 선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 디스프레이 섹션(11)은 연필 또는 펜 등으로 제목을 기록하기 위한, 또는 프린터로 제목을 인쇄하기 위한 섹션이며, 인덱스 탭(1)이 시트(S)에 고정된 때 전면 제목(front heading)으로서 기능한다(도 7 참조).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은 Y 방향(제1 방향)에 평행한 제1 에지 및 제2 에지(11a, 11b)(즉,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이 각각 제1 고정 섹션(13)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주연부의 경계를 정함)와, Y 방향에 직교하는 X 방향(제2 방향)에 경사져(평행하게 아님) 연장되는 제3 에지 및 제4 에지(11c, 11d)(즉,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가장자리가 각각 제1 보강 섹션(15) 및 제2 보강 섹션(16)에 인접하거나 맞닿는 곳의 경계를 정함)를 포함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1 에지(11a)의 폭은, 예를 들어 W1이다.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유사하게, 연필 또는 펜 등으로 제목을 기록하기 위한, 또는 프린터로 제목을 인쇄하기 위한 섹션이며, 인덱스 탭(1)이 책, 공책, 메모장, 문서 등과 같은 시트(S)에 고정된 때 후면 제목(rear heading)(즉, 제1 디스플레이 섹션에 반대)으로서 기능한다(도 8 참조).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의 경계선, 즉 제2 에지(11b)를 중심으로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축대칭인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 제1 고정 섹션(13)과 제2 고정 섹션(14), 및 제1 보강 섹션과 제2 보강 섹션의 영역들의 경계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시트(도시되지 않음)의 양면과 맞물리도록 탭(1)을 절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굽힘 선, 예를 들어 천공부, 스코어(score), 또는 부분 절단부 등이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 사이의 제2 에지(11b)에서 그리고 선(15a, 16a)에서 몸체(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굽힘 선은 처음에 평면형인 인덱스 탭(1)을 시트의 양면과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X 방향에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의 길이는 둘 모두 L1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섹션(13)은 접착제 층(3)의 세그먼트(3a)를 통해 인덱스 탭(1)을 시트(S)의 전면측에 고정시킨다(도 5 참조). 제1 고정 섹션(13)은 그것이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1 에지(1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고정 섹션(13)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폭(W1)보다 긴 종방향의 폭(W3)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폭이 디스플레이 섹션(11)의 폭보다 길기 때문에, 제1 고정 섹션(13)은 인덱스 탭(1)을 시트(S)에 고정시키는 기능에 추가해, 종래에는 인열되기 쉬웠던 시트(S)의 부분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 섹션(13)의 폭(W3)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폭(W1)의 차이 값은 전형적으로 약 2 내지 약 30 ㎜, 종종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 ㎜이다. 이러한 범위 밖의 치수를 갖는 인덱스 탭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폭의 차이가 너무 작으면, 시트의 보강 및 인열 감소의 원하는 이익이 달성되지 않는다. 폭(W3)과 폭(W1) 사이의 차이가 너무 크면, 인덱스 탭이 시트의 부분을 가리거나 취급 및 적용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섹션(14)은 접착제 층(3)의 세그먼트(3b)를 통해 인덱스 탭(1)을 시트(S)의 후면측에 고정시킨다(도 8 참조). 제2 고정 섹션(14)은 제2 에지(11b)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 고정 섹션(13)의 형상과 축대칭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2 고정 섹션(14)은 그것이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의 제1 에지(12a)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에지(12a)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2 에지(11b)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 에지(11a)와 축대칭이다. 제2 고정 섹션(14)은, 제1 고정 섹션(13)과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의 폭(W1)보다 긴 폭(W3)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제2 고정 섹션(14)의 폭과 제1 고정 섹션(13)의 폭은 동일하다.
전형적으로, 이 실시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에서의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데, 즉 도시된 바와 같이 L2이다. 많은 실시 형태에서, L2는 약 2 내지 약 20 ㎜, 때때로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5 ㎜,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 ㎜이다.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의 길이(L2)가 너무 작으면, 이러한 고정 섹션에 의한, 결과로서 생기는 시트의 보강이 불충분할 수 있고, 인덱스 탭(1)이 바람직하지 않게 시트(S)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반면에, 길이(L2)가 너무 크면, 인덱스 탭(1)이 바람직하지 않게 시트(S)의 부분을 가리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섹션(15, 16)은 시트(S)에 대한 인덱스 탭(1)의 고정을 보강한다. 제1 보강 섹션(15)은 Y 방향에서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되는 하나의 에지(15a)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Y 방향에서 에지(11c)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제1 보강 섹션(15) 사이에 있는 에지(11c)를 따라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제1 보강 섹션(15)이 서로 분리된다. 제1 보강 섹션(15)은, 그것이 제1 고정 섹션(13) 측의 제1 단부로부터 X 방향에서의 제2 단부를 향해, Y 방향에서의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1 보강 섹션(15)과 제1 고정 섹션(13) 사이의 변(15a)의 점선 상에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천공부는 인덱스 탭(1)을 시트(S)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을 후면측에 절첩시킨 후에 제1 보강 섹션(15)을 시트(S)의 후면측에 절첩시킬 때 출발점으로서 기능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강 섹션(16)은, 제1 보강 섹션(15)과 유사하게, 접착제 층(3)의 세그먼트(3e)로 제2 고정 섹션(14)의 상면의 섹션에 고정되고 이를 덮음으로써 시트(S)에 대한 인덱스 탭(1)의 고정을 보강한다(도 8 참조). 제2 보강 섹션(16)은 Y 방향에서의 인덱스 탭(1)의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보강 섹션(15)의 형상과 축대칭인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2 보강 섹션(16)은 Y 방향에서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되는 하나의 에지(16a)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Y 방향에서 다른 에지(11d)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제2 보강 섹션(16) 사이에 있는 에지(11d)를 따라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제2 보강 섹션(16)이 서로 분리된다.
제2 보강 섹션(16)과 고정 섹션(13) 사이의 에지(16a)의 점선 상에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천공부는 인덱스 탭(1)을 시트(S)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을 후면측에 절첩시킨 후에 제2 보강 섹션(16)을 후면측에 절첩시킬 때 출발점으로서 기능한다.
Y 방향에서의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의 폭(에지(15a, 16a)에 대응하는 섹션)은 동일한 폭(W2)이고,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폭(W1)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의 폭(W2, W2)의 합계는 제1 보강 섹션(13) 또는 제2 보강 섹션(14)의 폭(W3)과 동일하다.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의 길이(L3)는 전형적으로 최소 약 2 ㎜이고, 최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의 길이(L1)의 2배이다.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의 길이(L3)가 2 ㎜ 이상인 이유는, 길이(L2)가 2 ㎜ 미만이면,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에 의한 보강이 불충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의 길이(L3)가 최대 길이(L1)의 2배인 이유는, 길이(L3)가 길이(L1)의 2배 초과이면, 디스플레이 섹션(11, 12) 또는 고정 섹션(13, 14)을 함께 동일 평면 상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의 길이(L3)가 제2 고정 섹션(14)의 길이(L2)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짧으면, 절첩된 때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이 제2 고정 섹션(14)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이 고정되는 시트(S) 상에 있는 내용의 숨겨짐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S)에 대한 본 발명의 인덱스 탭의 적용 또는 장착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인덱스 탭(1)이 라이너(4)로부터 벗겨진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1)의 제1 고정 섹션(13) 상의 접착제 층(3a)이 시트(S)의 표면의 에지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과 제2 고정 섹션(14)이 제2 에지(11b)를 따른 점선(천공부)을 출발점으로 하여 후면측에 절첩된다. 이러한 절첩의 결과로서, 제2 고정 섹션(14)에 대응하는 접착제 층(3b)이 시트(S)의 후면측에 접촉되어 점착된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과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이 또한 이러한 절첩의 결과로서 그들 사이에 접착제 층(3d) 등이 배치된 상태로 서로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이 에지(15a, 16a)를 따른 점선(천공부)을 출발점으로 하여 후면측에 절첩된다. 이러한 절첩의 결과로서,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이 제2 고정 섹션(14)의 2개의 에지에 고정되며, 이때 그들 사이에 대응하는 접착제 층(3c, 3e)이 배치된다. 도 9에서, 인덱스 탭의 섹션들의 병치를 간단히 도시하기 위해 접착제 층(3)은 생략된다.
대안적으로, 인덱스 탭(1)을 시트(S)에 고정시킬 때, 전술된 방법 대신에, 제1 고정 섹션(13)을 시트(S)에 고정시키기 전에 제2 고정 섹션(14)이 먼저 시트(S)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 및 제2 고정 섹션(14)이 절첩되기 전에 보강 섹션(15, 16)이 절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1)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3 변 및 제4 변(11c, 11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고정 섹션(13)에 연결된 보강 섹션(15, 1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덱스 탭(1)의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덱스 탭(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15, 1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는 것을 보다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1)에서,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의 폭(W3)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의 폭(W1)과 보강 섹션(15, 16)의 폭(W2, W2)의 합계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의 폭(W3)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강 섹션(15, 16)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콤팩트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1)에서, 보강 섹션(15, 16)은 고정 섹션(13) 측의 제1 단부로부터 X 방향에서의 제2 단부를 향해, Y 방향에서의 안쪽으로 경사져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인덱스 탭(1)이 고정된 시트(S)의 에지와 인덱스 탭(1) 사이의 경계에 쉽게 집중될 수 있는 변형 응력을 인덱스 탭(1)의 안쪽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훨씬 더 인열시키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1)에서, 몸체(2)는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2 에지(11b)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에 대해 축대칭으로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 결과, 인덱스 탭(1)에 있어서, 그의 양면 상에 디스플레이 섹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인덱스 탭의 제2 실시 형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인덱스 탭(21)은 제1 실시 형태의 인덱스 탭(1)과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재료 구성(층 구성)이 일부 면에서 상이하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21)은, 각각 이형 라이너(4) 상에 배치된, 복수의 층으로서 각각 구성된 몸체(2, 22), 및 몸체(2, 22) 각각의 후면 전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 33)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 22)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측 층(22)은 투명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되고, 하측 층(2)은 제1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게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층(22)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직사각형의 부분적으로 노치 형성된(두 곳의 위치에서 사다리꼴 형상) 형상을 갖는다. 반면에, 하층(2)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에 대응하는 섹션만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층(2)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서, 하층(2)의 하측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이 또한 디스플레이 섹션(11, 12)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된다.
상층(22)에 사용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예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크릴 필름,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몸체(2, 22)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 또는 종이 재료를 조합해 사용한다.
상층(22)은, 위에서 논의된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고정 섹션(23), 제2 고정 섹션(24), 제1 보강 섹션(25), 및 제2 보강 섹션(26)을 포함한다.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23, 24)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25, 26)은, 이들이 투명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과 동일하다. 몸체(22)는 제1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7) 및 제2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8)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7)은 제1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7) 아래에 위치된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들 사이에 접착제 층(33)이 배치된 상태로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을 덮는다. 제2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8)은 제2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8) 아래에 위치된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들 사이에 접착제 층(33)이 배치된 상태로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을 덮는다. 제1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커버 섹션(27, 28)은 투명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되어서, 이들은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 상에 기록된 제목 등을 감추지 않고 종이로 제조된 디스플레이 섹션(11, 12)을 문지름(rubbing), 수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2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3 변 및 제4 변(11c, 11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23)에 연결된 보강 섹션(25, 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덱스 탭(21)에 따르면, 인덱스 탭(2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2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25, 26)을 배치하여서, 인덱스 탭이 조종될 때 시트(S)를 인열에 더 잘 견디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스 탭(21)에서,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23, 24)과, 보강 섹션(25, 26)에 대응하는 몸체(22)는 투명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인덱스 탭(21)을 시트(S)의 에지에 고정시킬 때, 시트(S)의 에지 상에 기록된 문자 등이 인덱스 탭(21)에 의해 감추어지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탭(31)은 제1 실시 형태의 인덱스 탭(1)과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평면 형상은 섹션에서 상이하다. 하기는 차이점에 중점을 둔 설명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31)은, 라이너(4) 상에 배치된, 몸체(32) 및 몸체(32)의 하면 전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을 포함한다. 몸체(32)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37, 38),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 및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35, 36)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37, 38)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35, 36)은, 평면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과 동일하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37)은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이때 제2 디스플레이 섹션(38)과의 경계선(37b) 측의 2개의 모서리는 안쪽으로 둥글고, 제1 고정 섹션(13) 측의 2개의 모서리는 바깥쪽으로 둥글다. 제2 디스플레이 섹션(38)은, 경계선(37b)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하여, 제1 디스플레이 섹션(37)과 축대칭인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37)에서, 제3 에지 및 제4 에지(37c, 37d)는 X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보강 섹션(35)은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이때 제1 고정 섹션(13) 측의 하나의 모서리는 안쪽으로 둥글고, 제2 고정 섹션(14) 측의 하나의 모서리는 바깥쪽으로 둥글다. 제2 보강 섹션(36)은 Y 방향에서의 인덱스 탭(31)의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보강 섹션(35)의 형상과 축대칭인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3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37)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37c, 37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된 보강 섹션(35, 3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덱스 탭(31)에 있어서, 인덱스 탭(3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3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35, 3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인 구성의 작용 및 효과가 여기서도 나타남에 유의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탭(41)은 변경된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41)은, 라이너(4) 상에 배치된, 몸체(42) 및 몸체(42)의 하면 전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을 포함한다. 몸체(42)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47, 48),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 및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45, 46)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47, 48)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45, 46)은, 평면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과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과 동일하다.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47, 48)은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48)은 경계선(47b)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하여 제1 디스플레이 섹션(47)과 축대칭이다.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45, 46)은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제2 보강 섹션(46)은 Y 방향에서의 인덱스 탭(41)의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보강 섹션(45)의 형상과 축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4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47)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47c, 47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된 보강 섹션(45, 4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덱스 탭(41)에 따르면, 인덱스 탭(4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4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45, 4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인 구성의 작용 및 효과가 여기서도 나타남에 유의한다.
제5 실시 형태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탭(51)은 또 다른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51)은, 라이너(4) 상에 배치된, 몸체(52) 및 몸체(52)의 하면 전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을 포함한다. 몸체(52)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 및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55, 56)을 포함한다.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55, 56)은, 평면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과 동일하다.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55, 56)은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제2 보강 섹션(56)은 Y 방향에서의 인덱스 탭(51)의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보강 섹션(55)의 형상과 축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5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11c, 11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된 보강 섹션(55, 5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덱스 탭(51)에 따르면, 인덱스 탭(5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5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55, 5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인 구성의 작용 및 효과가 여기서도 나타남에 유의한다.
제6 실시 형태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탭(61)은 또 다른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61)은, 라이너(4) 상에 배치된, 몸체(62) 및 몸체(62)의 하면 전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을 포함한다. 몸체(62)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 및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65, 66)을 포함한다.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65, 66)은, 평면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16)과 동일하다.
제1 보강 섹션(65)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보강 섹션(15)을 2개 조합한 오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1 보강 섹션(65)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 사이에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1 보강 섹션(65)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이 서로 분리된다. 또한, 제1 보강 섹션(65)과 제2 고정 섹션(14) 사이에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1 보강 섹션(65)과 제2 고정 섹션(14)이 서로 분리된다.
제2 보강 섹션(66)은 Y 방향에서의 인덱스 탭(61)의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 보강 섹션(65)의 형상과 축대칭인 오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2 보강 섹션(66)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 사이에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2 보강 섹션(66)과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이 서로 분리된다. 또한, 제2 보강 섹션(66)과 제2 고정 섹션(14) 사이에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2 보강 섹션(66)과 제2 고정 섹션(14)이 서로 분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6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11c, 11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된 보강 섹션(65, 6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덱스 탭(61)에 따르면, 인덱스 탭(6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6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65, 6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인 구성의 작용 및 효과가 여기서도 나타남에 유의한다.
제7 실시 형태
도 16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탭(71)은 일부 상이한 또 다른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71)은, 라이너(4) 상에 배치된, 몸체(72) 및 몸체(72)의 하면 전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을 포함한다. 몸체(72)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2 디스플레이 섹션(11, 12), 제1 고정 섹션 및 제2 고정 섹션(13, 14), 및 제1 보강 섹션 및 제2 보강 섹션(15, 76)을 포함한다. 제2 보강 섹션(76)은, 레이아웃(layout)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보강 섹션(16)과 동일하다.
제2 보강 섹션(76)은 에지(11b)를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보강 섹션(16)과 축대칭이 되도록 레이아웃 위치가 변경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2 보강 섹션(76)은 Y 방향에서 제2 고정 섹션(14)에 연결되는 하나의 에지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의 Y 방향에서 다른 에지(12d)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과 제2 보강 섹션(76) 사이에 있는 에지(12d)를 따라 절단부가 형성되어서,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과 제2 보강 섹션(76)이 서로 분리된다. 인덱스 탭(71)을 시트(S)에 고정시킬 때, 제2 보강 섹션(76)은 제1 고정 섹션(13)의 상면의 섹션에 고정되어 이를 덮으며, 이때 그의 하측에 배치된 접착제 층(3)의 세그먼트가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탭(7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섹션(12)의 에지(11c, 12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13) 또는 제2 고정 섹션(14)에 연결된 보강 섹션(15, 7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덱스 탭(71)에 따르면, 인덱스 탭(7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7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15, 7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제7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인 구성의 작용 및 효과가 여기서도 나타남에 유의한다.
제8 실시 형태
도 17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덱스 탭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탭(81)은 몸체(82)가 제2 고정 섹션(14)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인덱스 탭(1)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인덱스 탭(81)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섹션(11)의 에지(11c, 11d)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고정 섹션(13)에 연결된 보강 섹션(15, 16)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덱스 탭(81)에 따르면, 인덱스 탭(81)이 부착된 시트(S)의 비교적 인열되기 쉬운 인덱스 탭(81)과의 경계 부근에 보강 섹션(15, 16)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제8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공통인 구성의 작용 및 효과가 여기서도 나타남에 유의한다.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전술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갖는 인덱스 탭(T1)을 준비하였으며, 그것은 도 18a에 도시된 치수를 갖는다. 또한, 인덱스 탭(T1)은 종이 탭이었고,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감압 접착제(아크릴 접착제)가 80 ㎛ 종이의 하측에 적용된 층을 이룬 구성을 가졌으며, 그것을 80 ㎛ 라이너 상에 배치하였다.
다음에, 복사 용지(P)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 ㎜ × 70 ㎜ 형상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도 18a에 도시된 인덱스 탭(T1)을 복사 용지(P)에 고정시켰다. 고정시킬 때, 인덱스 탭(T1)의 중심선(C1)과 복사 용지(P)의 중심선(C2)을 동일 선상에 있도록 배열하였다. 이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복사 용지(P)를 선(L1, L2)에서 후면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절첩시켰다.
다음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 용지(P)보다 짧은 종방향의 치수를 갖는 150 ㎜ × 70 ㎜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B)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복사 용지(P)의 선(L1, L2)을 짧은 방향에 있는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B)의 에지 상에 중첩시키고, 복사 용지(P)의 2개의 에지(P1, P2)를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B)의 후면측을 향해 절첩시키고,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복사 용지(P)를 경사져서 절첩시키고 고정시켜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이 도면에서 전방으로의 개방부를 갖는 반-돔(dome) 형상을 형성하게 하였다. 복사 용지(P)를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B)의 전면측에서는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B)에 고정시키지 않았다.
다음에,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시험기의 척(chuck)(H)을 인덱스 탭(T1)의 우측 절반부에 고정시켰다. 그것을 이러한 방식으로 중심을 벗어나서(off-center) 고정시킨 이유는, 고정된 인덱스 탭(T1)이 중심을 벗어나서 파지될 때, 시트(S)가 자주 인열되기 때문이다.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트(B)를 수평 평면 상에 배치하고, 이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H)에 고정된 인덱스 탭(T1)을 100 ㎜/min의 속도로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겼다. 이어서, 복사 용지(P)가 인열되었을 때에 기록된 최대 강도가 10.5 N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C1
보강 섹션(15, 16)이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제1 실시 형태)의 인덱스 탭(T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인덱스 탭(T2)을 준비하였다. 인덱스 탭(T2)의 치수가 도 18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인덱스 탭(T2)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종이 탭이었으며,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층 구성을 갖는다. 다음에, 실시예 1에 대해서와 동일한 인장 시험을 인덱스 탭(T2)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복사 용지(P)가 인열되었을 때에 기록된 최대 강도가 9.0 N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다음에, 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 2층 구조를 갖는 몸체를 구비한 인덱스 탭(T3)을 준비하였다. 다시 말해서, 인덱스 탭(T3)은 라미네이팅된 탭이었고,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강압 접착제가 80 ㎛ 종이의 하면에 적용된 층을 이룬 구성에 추가해, 20 ㎛ OPP 필름을 아크릴 감압 접착제를 사용해 그의 상부에 배치하였다. 인덱스 탭(T3)의 치수가 도 18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1에 대해서와 동일한 인장 시험을 인덱스 탭(T3)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복사 용지(P)가 인열되었을 때에 기록된 최대 강도가 10.6 N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C2
보강 섹션(25, 26)이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인덱스 탭(T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인덱스 탭(T4)을 준비하였다. 인덱스 탭(T4)의 치수가 도 18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인덱스 탭(T4)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라미네이팅된 탭이었으며,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층 구성을 갖는다. 다음에, 실시예 1 등에 대해서와 동일한 인장 시험을 인덱스 탭(T4)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복사 용지(P)가 인열되었을 때에 기록된 최대 강도가 8.9 N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덱스 탭 내에 보강 섹션(15, 16, 25, 26)을 제공함으로써, 인열되었을 때의 최대 강도가 17% 내지 19%(약 20%)만큼 개선되어서, 인덱스 탭이 고정된 시트(S)를 인열시키기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그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충분히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인덱스 탭(index tab)으로서, (a)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rear surface)을 갖고, 제1 디스플레이 섹션, 제1 고정 섹션, 및 보강 섹션을 포함하는 몸체; 및 (b) 적어도 상기 제1 고정 섹션 및 상기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상기 후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i)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방향에서의 소정의 폭과,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제1 에지 및 제2 에지와,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제3 에지 및 제4 에지를 가지며,
    (ii) 상기 제1 고정 섹션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상기 제1 에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며,
    (iii) 상기 보강 섹션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상기 제3 에지 및 상기 제4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 섹션에 연결되는, 인덱스 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섹션의 상기 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상기 폭과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섹션의 폭의 합계와 동일한, 인덱스 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섹션 및 상기 보강 섹션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는 투명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되는, 인덱스 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단일 층인, 인덱스 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섹션은 제1 고정 섹션 측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제2 단부를 향해,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안쪽으로 경사지는, 인덱스 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상기 제2 에지를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에 대해 축대칭으로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인덱스 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섹션의 상기 제2 에지를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1 고정 섹션에 대해 축대칭으로 배치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섹션에 연결된 제2 고정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인덱스 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planar form)이고, 상기 탭 상의 상기 접착제 층은 라이너(liner)에 분리가능하게(releasably) 접합되는, 인덱스 탭.
  9. 제1항의 인덱스 탭들의 어레이(array)가 분리가능하게 접합된 제1 표면을 갖는 이형 라이너 시트(release liner sheet).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탭이 제1 면(side) 및 제2 면을 갖는 시트의 에지에 접합되어, 상기 제1 고정 섹션 상의 상기 접착제가 상기 시트의 상기 제1 면에 접합되고 상기 보강 섹션 상의 상기 접착제가 상기 시트의 상기 제2 면에 접합된, 인덱스 탭.
KR1020147002188A 2011-06-28 2012-06-28 인덱스 탭 KR20140057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2860 2011-06-28
JP2011142860A JP2013010195A (ja) 2011-06-28 2011-06-28 インデックスラベル
PCT/US2012/044548 WO2013003536A1 (en) 2011-06-28 2012-06-28 Index ta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530A true KR20140057530A (ko) 2014-05-13

Family

ID=4646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188A KR20140057530A (ko) 2011-06-28 2012-06-28 인덱스 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2013010195A (ko)
KR (1) KR20140057530A (ko)
CN (1) CN103619608B (ko)
AU (1) AU2012275371B2 (ko)
TW (1) TWI572498B (ko)
WO (1) WO2013003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504A (zh) * 2017-03-10 2017-05-24 李琳波 一种包书膜及其加工工艺
JP6986381B2 (ja) * 2017-07-07 2021-12-22 株式会社ニトムズ 壁面取付物品セット
JP6713070B1 (ja) * 2019-03-18 2020-06-24 那須 正和 着脱係止収納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759A (en) * 1976-01-20 1977-04-26 Stanton Bernard M Indexing system
US4143477A (en) * 1977-06-09 1979-03-13 Reynolds Henri M Variable index tab for a file folder
JPS56156679U (ko) * 1980-04-21 1981-11-21
JPS58170668U (ja) 1982-05-10 1983-11-14 プラス株式会社 見出し片
JPS61987U (ja) * 1984-06-08 1986-01-07 諄 安部 口取紙
JPS62178184U (ko) * 1986-05-03 1987-11-12
US5187888A (en) * 1989-02-28 1993-02-23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Index tabs for hanging file folders hav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lugs for insertion in folder slots
US5662976A (en) * 1994-10-24 1997-09-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minated card assembly
DE29809349U1 (de) * 1998-05-25 1998-08-20 Paech Bjoern Beschriftbarer, selbstklebender Markierungsaufkleber für flächige Informationsträger
JP2000306360A (ja) * 1999-04-21 2000-11-02 Isao Minamii フロッピーディスク用ラベル
US6490817B1 (en) * 2000-08-07 2002-12-10 Jeter Systems Corporation Tiered file folder label
WO2002075253A1 (en) * 2001-03-19 2002-09-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customized application of index tabs to indexing material
US6594933B2 (en) * 2001-09-15 2003-07-22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rtial fold printable tab product
US7225570B2 (en) * 2004-07-02 2007-06-05 Windorski David C Fold-over tabbed notes and flags
US8074325B2 (en) * 2005-07-01 2011-12-13 Gerfast Sten R Clip-type label
JP2008188980A (ja) * 2007-02-06 2008-08-21 Hiroyuki Terasoma 簡易データ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19608B (zh) 2015-12-02
WO2013003536A1 (en) 2013-01-03
JP6155260B2 (ja) 2017-06-28
TWI572498B (zh) 2017-03-01
JP2014524851A (ja) 2014-09-25
AU2012275371A1 (en) 2014-01-16
TW201313503A (zh) 2013-04-01
JP2013010195A (ja) 2013-01-17
CN103619608A (zh) 2014-03-05
AU2012275371B2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31B2 (en) Labels, related pad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KR100215356B1 (ko) 접힘시트수단
WO2003025887B1 (en) Partial fold printable tab product
CA2908546C (en) Label sheet assembly with adhesive labels
KR20140057530A (ko) 인덱스 탭
JP2008137370A (ja) ブックカバー
US8308054B2 (en) Customizable folder
US7215604B2 (en) Time indicator assembly
US7037564B1 (en) Substrate sheets with removable strip
KR200476040Y1 (ko)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 구조
JP3965164B2 (ja) ラベル用紙およびラミネートラベルの製造方法
KR20160000792U (ko) 리갈 패드 스티키
JP4028370B2 (ja) カード一体型用紙
JP5092883B2 (ja) 複写帳票付き冊子
JP2010127971A (ja) 貼り合せタック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01176A (ja) 会員証付き入会申込書
JPH0753982Y2 (ja) 背貼り用クロス
JP2001117495A (ja) 粘着ラベル重畳体
JP2000025377A (ja) 紙葉綴じ具
JPH10264572A (ja) 書類ホルダ
JPH0526462U (ja) コンビネーシヨンフオーム
JP2005319603A (ja) 見出カバー
JP2007021784A (ja) 窓付き冊子とその使用方法
JP2005119055A (ja) 貼着積層体における面剥離規制手段
JP2019082622A (ja) ラベル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