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293A - 키패드 상의 이동식 버튼을 위한 광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키패드 상의 이동식 버튼을 위한 광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293A
KR20140057293A KR1020147005181A KR20147005181A KR20140057293A KR 20140057293 A KR20140057293 A KR 20140057293A KR 1020147005181 A KR1020147005181 A KR 1020147005181A KR 20147005181 A KR20147005181 A KR 20147005181A KR 20140057293 A KR20140057293 A KR 2014005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rame
keypad
panel
sensiti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거너 프로드
칼 리차드 헨릭슨
마이클 로렌스 엘얀
토마스 에릭슨
조셉 세인
안드레 잔슨
니클라스 크비스트
로버트 피터슨
라스 스파프
존 칼슨
Original Assignee
네오노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노드, 인크. filed Critical 네오노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5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터치-감응식 패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는 터치-감응식 패널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서, 프레임에 의해 떠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복수의 버튼은 압력이 위로부터 가해질 때, 프레임을 통하여 낮아지는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와 부착되고, 위로부터의 압력이 완화될 때, 강성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해 프레임에 부착된 탄성 바디를 포함하여, 여기서 강성 부재는 프레임 아래에서 노출된다.

Description

키패드 상의 이동식 버튼을 위한 광 액추에이터{LIGHT ACTUATOR FOR MOVABLE BUTTONS ON A KEYPAD}
본 출원은 발명자 거너 프로드, 리차드 헨릭스, 마이클 엘얀, 마그너스 고에츠, 토마스 에릭슨, 조셉 세인, 아드레 잔슨, 니클라스 크비스트, 피터슨 로버트 스파프 라스 및 존 칼슨에 의해 "LIGHT ACTUATOR FOR MOVABLE 버튼S ON A 키패드"의 명칭으로 2011년 9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530,988의 우선권 이익을 요구하며, 상기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분야는 사용자 입력 장치이다.
요즘 많은 가전 제품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터치 사용자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터치-감응식 스크린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는 물리적 버튼을 선호한다. 많은 사람들은 스크린의 가상 버튼을 누르기보다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경험을 환영한다. 햅틱 터치 반응이 터치 스크린 입력에 대한 피드백 형태를 제공하더라도, 버튼을 누르는 것과 동일하지는 않다.
맹인은 물리적 버튼 상의 돌출된 브리유 점자(braille) 표시를 느낄 수 있지만,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가상 버튼을 쉽게 구별할 수 없다.
일부 경우에서, 입력 장치는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바다 또는 나쁜 날씨에서 야외에서 사용될 사용자 입력장치는 축축하게 된다. 입력 장치로 쏟아진 액체는 입력 메카니즘을 간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감응식 표면을 사용하여 버튼 키패드 입력을 활성화함에 의하여 물리적 입력 키패드와 터치 스크린의 알려진 많은 단점을 해결한다. 원가 절감 및 단일 입력 장치의 효율적인 재사용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은, 본 발명이 기술되면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은, 광-기반의 터치-감응식 표면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거 가능한 키패드 섀시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키패드 키를 눌러서 데이터를 입력한다. 눌러진 키는 섀시 아래의 터치-감응식 표면에 의해 감지된다. 계산 유닛은 터치 표면상의 눌러진 키의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 키패드 키를 맵핑한다. 계산 유닛은 눌러진 키에 해당하는 입력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키패드 섀시가 위치하는 광-기반의 터치-감응식 표면은 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인풋을 입력하거나, 섀시를 아이콘 영역 위에 놓고 해당 키패드 키를 눌러서 동일한 인풋을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감응식 표면은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패널의 섹션이다. 광학 요소, 에미터 및 리시버는 패널 주위에 배열되어서, 터치를 감지하고 패널 상의 터치 위치를 결정한다. 키패드 섀시는 섀시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레그(leg)를 패널 하우징 내의 각각의 캐비티 내로 삽입하여, 패널 위의 바람직한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키패드 버튼은 터치 표면상의 그들의 해당 가상 버튼과 적절히 배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감응식 패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키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키패드는 터치-감응식 패널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서, 프레임에 의해 떠 있는(suspend)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각 버튼은, 압력이 위로부터 가해질 때, 프레임을 통하여 낮아지는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와 부착되고, 위로부터의 압력이 완화될 때, 강성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해 프레임에 부착된 탄성 바디를 포함하며, 여기서, 강성 부재는 프레임 아래에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 표면을 따라 노출된 터치-감응식 패널,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의 터치-감응식 패널 주위에 일시적으로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은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서, 프레임에 의해 떠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각 버튼은, 압력이 위로부터 가해질 때, 프레임을 통하여 낮아지는 강성 부재와 상기 강성 부재와 부착되고, 위로부터의 압력이 완화될 때, 강성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해 프레임에 부착된 탄성 바디 및 하우징 내에, 키패드 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버튼에 따라서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하여 터치-감응식 패널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좀 더 잘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합기(MFP) 하우징과 같은 하우징 내로 포함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부분, 가상 키패드 부분 및 제거 가능한 키패드가 특징이 되는 터치 패널의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의 가상 키패드 부분 위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4-버튼 키패트 섀시의 세 개의 간략화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의 가상 키패드 부분 위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4-버튼 키패트 섀시를 간략화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화되고 눌러진 스프링-탄력 키의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고, 탄력 있는 물질로 구성된 키의 단면의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안적인 버튼 배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입된 키패드의 배열에 매칭하기 위하여 터치패드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간략화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장된 RFID 칩을 가진 키패드 섀시의 밑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패드들간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연장부를 가진 세 개의 키패드 섀시의 밑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 위에 위치되는 섀시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볼 패스너를 가진 키패드 섀시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 위에 위치되는 섀시를 스냅핑(snapping) 하기 위한 유연한 후크 패스너를 가진 키패드 섀시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태양은 광 기반의 터치 패널로 사용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기반의 터치 패널 위에 사용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되는 키패드 섀시(chassis)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합기(MFP) 하우징과 같은 하우징에 포함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부분, 가상 키패드 부분 및 제거 가능한 키패드가 특징이 되는 터치 패널의 간략화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MFP는 하나의 장치로 인쇄, 복사 및 스캔하는 것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touch 패널, 1)은 디스플레이 부분(display potion, 2) 및 터치 패드 부분(touch pad portion, 3)을 포함한다. MFP 작업은 사용자가 패널의 터치 패드 부분을 입력함을 통하여 구현된다. 패널의 디스플레이 부분은 작업 상태 정보 및 복사물의 수, 종이 소스 및 단면 또는 양면 인쇄와 같은 다양한 옵션들을 나타낸다. 일부 기능은 사용자가 패널의 디스플레이 부분상의 그래픽 요소와터치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들 요소는 동적으로 생성되고, 다양한 작업 맥락에 대한 서로 다른 세트의 옵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초기 스크린은 복사, 스캔 또는 팩스를 선택하기 위한 세 개의 버튼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옵션을 선택할 때, 선택된 작업에 대하여, 가령, 복사 작업에서 복사물의 수, 팩스 작업에서 팩스 넘버 또는 스캔된 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명과 폴도 위치와 같은 다양한 옵션이 나타난다. 그러나, 브리유 점자(braille) 키를 가진 버튼을 눌러서 맹인이 MFP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어떤 고정된 기능이 터치 패드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눈이 먼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되고, 사용되고 제거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키패드를 공개한다.
도 1은 하우징(housing, 7) 내의 터치 패널(1) 및 제거 가능한 키패드(removable keypad, 12)를 도시한다. 도면의 위쪽 부분에서, 제거 가능한 키패드(12)는 패널(1) 위에 있고, 도면의 아래쪽 부분에서, 제거 가능한 키패드(12)는 키패드 패스너 페그(peg, 4)를 패널 하우징 캐비티(cavity, 5)에 삽입하여 터치 패드 부분(3) 상의 패널(1)에 부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의 가상 키패드 부분 위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4-버튼 키패트 섀시의 세 개의 간략화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거 가능한 섀시(12) 내의 키(key, 10)를 도시하고, 터치 패널(touch panel, 14)은 새시(12) 밑에 위치된다. 에미터와 리시버(emitter and receiver, 16)는 터치 패널(14)의 일부로서 도시된다. 도 2에서, 에미터와 리시버(16)는 표면(14) 밑에 위치되나, 터치 감지 광선(touch detection light beam, 20)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스크린 위에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의 가상 키패드 부분 위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4-버튼 키패트 섀시의 A-A단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3은 제거 가능한 섀시(12) 내의 키(10)를 도시한다. 터치 패널(14)은 섀시(12) 밑에 위치된다. 에미터와 리시버 렌즈(emitter and receiver lens, 22)는 터치 패널(14)의 표면 위에 터치 감지 광선(20)과 함께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화되고(released), 눌러진(depressed) 스프링-탄력 키의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거 가능한 섀시(12)의 일부 내의 키(10)를 도시한다. 터치 패널(14)은 섀시(12) 밑에 위치된다. 에미터와 리시버 렌즈(22)는 터치 패널(14)의 표면 위에 터치 감지 광선(20)과 함께 도시된다.
도 4(b)는 광선(20) 위에 있고, 섀시(12) 내에서 위쪽으로 버튼(10)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메카니즘(spring mechanism, 24)을 나타내는 버튼(10)의 컷어웨이(cutaway)이다. 도 4(c)는 버튼(10)을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 메카니즘(24)을 나타내는 버튼(10)의 컷어웨이이다. 이 경우에서, 버튼(10)의 밑바닥은 광선(20)을 차단하기 위해 낮아진다. 사용자가 이 아래로 향하는 압력을 완화시킬 때, 스프링(24)은 버튼(10)을 도 4(b)의 그 위치로 되돌린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고, 탄력 있는 물질로 제조된 버튼의 단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5(a)는 터치 패널(14)을 걸치면서, 에미터와 리시버 렌즈(22)를 통하여 투사되는 광선(20) 위에 있고, 섀시(12) 내에서 위쪽에 있는 탄성 버튼(10)의 컷어웨이이다.
도 5(b)는 버튼(10)을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버튼(10)을 나타내는 컷어웨이이다. 이 경우에서, 버튼(10)의 밑바닥은 광선(20)을 차단하기 위해 낮아진다. 사용자가 이 아래로 향하는 압력을 완화시킬때, 버튼(10)은 그 탄력 및 탄성 때문에, 도 5(a)에서의 그 위치로 되돌아온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안적인 버튼 배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6의 버튼(10)은 광선(20)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trunk)를 통하여 두개의 교차하는 캐비티(30)를 가진다. 버튼(10)이 눌러지면, 캐비티는 낮아지고, 트렁크의 단단한 부분은 광선을 차단한다.
도 6(a)는 버튼의 3차원 도면이다. 도 6(b)는 버튼의 상면도이고, 도 6(c)는 버튼의 측면이다. 도 6(d)는 선 M-M을 따른 버튼의 단면도이다. 도 6의 버튼(10)은 도 4의 스프링이 실린 실시예나 도 5의 탄력 있는 재료 실시예를 사용하여 그 위쪽 위치에서 유지된다.
제거 가능한 키패드 섀시는 상기 기술되는데, 상기 섀시가 위치되는 터치패드와 같은 키패드 레이아웃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섀시는 밑에 있는 터치패드와 다른 키 및/또는 레이아웃을 가진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전용 키패드가 제공되는데, 하나는 복사용, 하나는 팩스용, 하나는 스캔용이다. 각각의 전용 키패드는 그들 각각의 업무와 관련된 키를 가지고, 일부 키패드는 다른 것 보다 더 많은 키를 가진다. 예를 들어, 팩스 키패드는 전화 번호만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패드를 가지고, 스캔 키패드는 파일명을 입력하기 위한 전체 쿼티(QWERTY) 키패드를 가진다. 또한, 가령, 팩스에 대해 "전송" 또는 복사기에 대해 "복사물의 수"와 같은 전용 키가 각각의 전용 키패드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RFID 기술을 사용하여 식별된다. 각각의 전용 키패드는 RFID 또는 키패드가 MFP 패널내로 삽입될 때, MFP에 의해 판독되는 유사 디지털 코드를 가진다. MFP는 자체 설정을 하여 키패드의 레이아웃에 따라서, 키패드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 입력을 해석한다. 또한, MFP는 적절 모드(appropriate mode)에 들어간다. 이는 RFID 또는 키패드가 MFP 패널내로 삽입될 때, MFP에 의해 판독되는 유사 디지털 코드에 기초하여 복사, 팩스 또는 스캔하는 것이다. 각각의 전용 키패드는 브리유 점자 라벨을 가져서, 맹인이 원하는 키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삽입된 키패드의 배열에 매칭하기 위하여 터치패드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간략화한 흐름도이다. 키패드 상의 RFID 태그는, 키패드가 MFP 터치패드 위에 삽입될 때, MFP에 의해 감지되는데, 이는 터치 패널 근처의 MFP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RFID 근접 센서(RFID proximity with a sensor) 때문이다. 그 결과, MFP는 적절 모드(인쇄, 팩스, 스캔)에 진입하고 감지된 키패드의 레이아웃과 기능에 따라 터치 패널 표면을 맵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장된 RFID 칩(32)을 가진 키패드 섀시(12)의 밑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섀시(12)는 프린터 패널 하우징 내의 고정 캐비티 내로 연장되는 레그(leg, 4)와 함께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섀시는 섀시 밑면에 2개 내지 4개의 얕은 자석 돔(dome)을 가져서 패널 하우징 주위의 얕은 자석 웰(well)에 각각 자기적으로 고정된다. 이는 패널 하우징 내에 눈에 띄는 홀을 만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섀시가 슬림한 프로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키패드는 독특한 접촉 패턴을 가진 터치 패널에 의해 식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패드들간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연장부(extension)를 가진 세 개의 키패드 섀시(12)의 밑면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각각의 섀시(12)는 상기 기술된 4개의 레그뿐만 아니라, 패널의 한 구석에 고유 연장부를 가진다. 도 9는 (a) 넓은 원통형 연장부(21), (b) 좁은 원통형 연장부(22) 및 (c) 프롱(prong)의 좁은 원통형 연장부의 쌍(23)을 도시한다. 터치 감응식 표면은 터치의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어서, (a) 에서와 같이 넓은 접촉 면적과 (b)에서와 같이 좁은 접촉 면적들을 구별할 수 있고, (c)에서와 같이, 터치 물체에 의해 생성된 차단된 광선 패턴에 근거하여, 공간만큼 떨어진 두 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연장부(21, 22, 23)는, 눌러진 키패드 버튼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광선을 차단하지 않는 섀시(12)의 위치에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들 연장부들은 도 9에서 섀시(12)의 가장 구석에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 위에 위치되는 섀시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볼 패스너를 가진 키패드 섀시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섀시(12)의 밑면의 자석 돔(magnetic dome, 35)은 패널 하우징(7)내의 자석 웰(magnetic well)에 들어 맞는다.
본 발명에 의해 공개된 제거 가능한 키패드는 IPAD®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 및 터치스크린 폰에도 사용된다. 이들 경우에서, 컴퓨터 또는 폰 상에서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아랫 부분에 키패드를 제시하고, 입력된 문자는 스크린의 윗 부분에 디스플레이된다. 키패드 섀시는 목표 장치의 치수에 따라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섀시는 장치의 모서리와 일치하는 섀시의 2개 또는 3개의 모서리상에 반-강성 후크로 장치에 부착된다. 상기 후크는 이들 모서리 주위에 단단히 들어 맞아서, 섀시는 장치 상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크의 반-강성 재료는, 섀시가 장치의 전면부로 가압될 때, 후크는 장치 주위에 탄성적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섀시를 장치 상에 스냅핑(snapping) 할 수 있게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패널 위에 위치되는 섀시를 스냅핑 하기 위한 유연한 후크 패스너를 가진 키패드 섀시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반-강성 후크(semi-rigid hook, 38)는 태블릿 또는 다른 장치 하우징을 잡기 위하여, 키패드 섀시(12)의 두 개의 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은 명세서의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예와 변화예가 본 발명의 더 넓은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로 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설명적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2)

  1. 터치-감응식 패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터치-감응식 패널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서, 프레임에 의해 떠 있는(suspended)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버튼은,
    압력이 위로부터 가해질 때, 프레임을 통해 낮아지는 강성 부재; 및
    위로부터의 상기 압력이 완화될 때, 상기 강성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탄성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부재는 프레임 아래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밑면은, 패널 위의 상기 프레임을 정렬하기 위하여, 터치-감응식 패널에 대한 하우징 내에 해당 자석 오목한 소켓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볼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밑면은, 패널 위의 상기 프레임을 정렬하기 위하여, 터치-감응식 패널에 대한 하우징 내에 해당 복수의 캐비티 내로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밑면은, 패널 위의 상기 프레임을 정렬하기 위하여, 터치-감응식 패널에 대한 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잡기 위한 복수의 클립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버튼의 상기 강성 부재는, 터치-감응식 패널 위로 및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에 걸쳐 투사되는 광선이 전송되는 구멍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따라서 터치-감응식 패널에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특징부가 패널에 연결된 프로세서와 통신하기 위한 RFID 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각각은 브리유 점자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9.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감응식 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바와 같이, 연장부의 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의 밑에 고정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특징은 연장부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의 프롱(prong)을 포함하되, 연장부의 특징은 상기 프롱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2.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을 따라 노출된 터치-감응식 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상의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주위에 일시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서 프레임에 의해 떠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각 버튼은,
    압력이 위로부터 가해질 때, 프레임을 통해 낮아지는 강성 부재; 및
    위로부터의 상기 압력이 완화될 때, 상기 강성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탄성 바디를 포함함 - 과,
    하우징 내에, 키패드 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버튼에 따라서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하여, 터치-감응식 패널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은 손가락 터치에 반응하고, 가려지지 않을 때,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복수의 버튼과 외관이 유사한 키패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상의 손가락 터치를 처리하여 키패드 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은 상기 패널 근처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 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 상기 프레임을 정렬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 웰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볼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은,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위로 및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에 걸쳐 광선을 투사하는 복수의 광 에미터;
    상기 투사된 광선을 감지하는 복수의 광 리시버; 및
    상기 광 리시버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의 하나의 낮아진 강성 부재에 의한 차단 때문에, 기대되는 하나 이상의 투사 광선의 부재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의 어떤 것이 눌러진 것인지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터치스크린 전자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자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키패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RFID 태그;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있고,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주위의 상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키패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키패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RFID 판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응식 패널 위에 대안적이고 일시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프레임을 식별하는 부착된 RFID 태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프레임은 복사를 위한 프레임, 스캐너를 위한 프레임 및 팩스를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프레임 각각은 복수의 프레임을 식별하는 브리유 점자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KR1020147005181A 2011-09-04 2012-09-03 키패드 상의 이동식 버튼을 위한 광 액추에이터 KR20140057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0988P 2011-09-04 2011-09-04
US61/530,988 2011-09-04
PCT/US2012/053585 WO2013033681A1 (en) 2011-09-04 2012-09-03 Light actuator for movable buttons on a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293A true KR20140057293A (ko) 2014-05-12

Family

ID=4775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181A KR20140057293A (ko) 2011-09-04 2012-09-03 키패드 상의 이동식 버튼을 위한 광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326987A1 (ko)
EP (1) EP2751648A4 (ko)
JP (1) JP2014528119A (ko)
KR (1) KR20140057293A (ko)
CN (1) CN103765358A (ko)
AU (1) AU2012301553B2 (ko)
CA (1) CA2845800A1 (ko)
SG (1) SG2014009476A (ko)
WO (1) WO2013033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17095A (zh) * 2013-10-31 2015-05-01 Hon Hai Prec Ind Co Ltd 可擕式電子裝置
DE202014000752U1 (de) * 2014-01-30 2014-02-28 Lucian Depold Bedienungshilfe für ein berührungsempfindliches Display
KR20150094272A (ko) * 2014-02-11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JP6143686B2 (ja) * 2014-02-17 2017-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15002300A1 (de) * 2015-02-24 2016-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Eingabevorrichtung für eine berührungssensitive Eingabeoberfläche
TW201810325A (zh) * 2016-09-14 2018-03-16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按鍵板及包含按鍵板的可攜式電子裝置
JP1620457S (ko) * 2018-04-25 2019-01-21
JP1620462S (ko) * 2018-04-25 2019-01-21
JP1620464S (ko) * 2018-04-25 2019-01-21
JP1620460S (ko) * 2018-04-25 2019-01-21
JP1620465S (ko) * 2018-04-25 2019-01-21
JP1620463S (ko) * 2018-04-25 2019-01-21
JP1620461S (ko) * 2018-04-25 2019-01-21
KR102142525B1 (ko) * 2019-06-05 2020-08-07 김대준 조작패드
DE102019122630A1 (de) * 2019-08-22 2021-02-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521A (ja) * 1984-12-21 1986-07-07 Yokogawa Electric Corp キ−ボ−ド入力装置
JPH0471125A (ja) * 1990-07-10 1992-03-05 Canon Inc 文字入力装置
JP3194940B2 (ja) * 1990-09-06 2001-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H0689138A (ja) * 1991-06-03 1994-03-29 Bandai Co Ltd 入力装置
KR100285822B1 (ko) * 1994-12-28 2001-04-16 후나키 토시유키 박형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부설 표시장치
US6049328A (en) * 1995-10-20 2000-04-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Flexible access system for touch screen devices
US5880539A (en) * 1996-12-05 1999-03-09 Silitek Corporation Electromagnet induced switch
US6492978B1 (en) * 1998-05-29 2002-12-10 Ncr Corporation Keyscreen
US6249277B1 (en) * 1998-10-21 2001-06-19 Nicholas G. Varveris Finger-mounted stylus for computer touch screen
JP2001125739A (ja) * 1999-10-27 2001-05-11 Sharp Corp 入力装置
JP2002182783A (ja) * 2000-10-02 2002-06-26 Sharp Corp 電子機器
JP2003029906A (ja) * 2001-07-18 2003-01-31 Noritsu Koki Co Ltd キー入力装置
JP2003090969A (ja) * 2001-09-17 2003-03-28 Olympus Optical Co Ltd 可変形状シリンダミラー
WO2003025886A1 (en) * 2001-09-18 2003-03-27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Tactile graphic-based interactive overlay assembly and computer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20040090428A1 (en) 2002-11-08 2004-05-13 Xerox Corporation Overlays with raised portions for touch-sensitive screens
US7621492B2 (en) * 2002-12-18 2009-11-24 Omps Justin T Magnetic mounting assembly
US7403191B2 (en) * 2004-01-28 2008-07-22 Microsoft Corporation Tactile overlay for an imaging display
KR101018751B1 (ko) * 2004-09-24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6209279A (ja) * 2005-01-26 2006-08-10 Nec Computertechno Ltd 入力装置および触読文字記号入力方法
US8723804B2 (en) * 2005-02-11 2014-05-13 Hand Held Products, Inc. Transaction terminal and adaptor therefor
JP2006239869A (ja) * 2005-02-28 2006-09-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60256090A1 (en) * 2005-05-12 2006-11-16 Apple Computer, Inc. Mechanical overlay
US7855715B1 (en) * 2005-07-27 2010-12-21 James Harrison Bowen Switch with depth and lateral articulation detection using optical beam
JP2009277574A (ja) * 2008-05-16 2009-11-26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
US9513705B2 (en) * 2008-06-19 2016-12-06 Tactile Displays, Llc Interactive display with tactile feedback
US8115745B2 (en) * 2008-06-19 2012-02-14 Tactile Display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 display with tactile feedback
EP2338103A1 (en) * 2008-08-07 2011-06-29 Owen Drumm Optical control systems with feedback control
JP5464684B2 (ja) * 2008-09-19 2014-04-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入力装置及び入力操作補助パネル
US8609786B2 (en) * 2008-12-18 2013-12-1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polycarbonate compositions, the compositions formed thereby, and articles thereof
US11107089B2 (en) * 2009-01-07 2021-08-31 Mediaport Entertainment Inc.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using identification tags
KR20110000978A (ko) * 2009-06-29 2011-01-06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CN102194591A (zh) * 2010-03-16 2011-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键及键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65358A (zh) 2014-04-30
EP2751648A4 (en) 2015-05-13
AU2012301553B2 (en) 2015-09-03
JP2014528119A (ja) 2014-10-23
AU2012301553A1 (en) 2014-04-24
WO2013033681A1 (en) 2013-03-07
EP2751648A1 (en) 2014-07-09
SG2014009476A (en) 2014-05-29
CA2845800A1 (en) 2013-03-07
US20120326987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7293A (ko) 키패드 상의 이동식 버튼을 위한 광 액추에이터
JP6952559B2 (ja) 手書き情報処理装置、手書き情報処理方法及び手書き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US101625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203404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operation device
US2017016383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1063519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20180213097A1 (en) Device
US863411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operation device
EP2573667A2 (en) Overlays for touch sensitive screens to simulate buttons or other visually or tactually discernible areas
US102777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1344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0989826A (zh) 引导装置、控制系统以及记录介质
JP2001282433A (ja) 表示入力装置
WO2020183626A1 (ja) タッチパッド及びコンピュータ
JP201505679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66546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666545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取得プログラム
JP2013127785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90025472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1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09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939081B2 (ja) 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232911A (ja) 入力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0101697A1 (en) Devices with powerless translucent keyboards
TW201239727A (en) Tactile presentation device and tactile present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