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810A -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810A
KR20140056810A KR1020120122665A KR20120122665A KR20140056810A KR 20140056810 A KR20140056810 A KR 20140056810A KR 1020120122665 A KR1020120122665 A KR 1020120122665A KR 20120122665 A KR20120122665 A KR 20120122665A KR 20140056810 A KR20140056810 A KR 20140056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terminal
circuit breaker
mccb
bu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삼
이성진
김재모
강성우
박경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810A/ko
Publication of KR2014005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차단기의 LUG 결합 구조는 단자부, 절연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 부재 및 상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양 측면의 중심 일부에서 홈이 존재하여 연장되어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중심은 원형을 형성하는 사각형태의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및 상기 터미널 러그의 하부 구조에 상응하는 버링 구조와 해당 버링 구조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LUG 결합에 필요한 별도의 결합 형상을 구현하지 않아서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의 버링 LUG를 결합하여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MCCB COMBINATION WITH STRUCTURE OF THE LUG}
본 발명은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UG의 구조를 변경하여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 시에 별도의 고정 형상을 구현하지 않아도 되는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old Cased Circuit Breaker)는 전기선로 계통에서 단락, 과전류 등의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차단하여 선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 600V 이하, 또는 직류 250V 이하의 저압 옥내전압의 보호에 사용되는 몰드 케이스(Mold case)차단기를 말한다. 소형이며 조작이 안전하고 퓨즈를 끼우는 등의 수고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나이프 스위치와 퓨즈를 결합한 것에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와 압착 단자를 결합하기 위해 단순히 나사를 체결하여 압착하는 형태를 취하고, LUG 가 결합되기 위해 LUG 결합 후 케이스 또는 별도의 고정 구조를 구현해야 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3-0046992호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배선용 차단기의 전원측 또는 부하측 단자와, 이와 접속되는 압착단자의 종래 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단자와 압착단자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좌, 우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선용 차단기 단자와 압착단자간의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기기의 통전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발명은, 다각형의 너트끼움공이 형성된 전원측 또는 부하측 단자와; 절연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 부재를 갖는 사각형태의 터미널 러그와, 상기 터미널 러그의 저면에 하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단자결합용 너트와, 상기 단자결합용 너트가 단자의 너트끼움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끼움공의 하방으로부터 나사조임되는 단자결합용 나사와, 상기 터미널 러그의 상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상기 터미널 러그의 암나사에 나사조임되며 터미널 러그의 중공 부재에 끼워진 전선의 선단부를 눌러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용 나사로 이루어진 압착단자로 구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단자결합용 너트가 단자의 너트끼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미널 러그가 좌, 우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46992호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와 LUG를 결합할 때 별도의 결합 형상을 구현하지 않도록 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 프레임의 버링 구조에 LUG를 결합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는 전원측 전로 또는 부하측 전로와 접속되는 단자부, 절연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 부재 및 상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포함하고, 양 측면의 하단 중심 일부에서 연장되어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중심은 원형을 형성하는 사각형태의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및 상기 터미널 러그의 하부 구조에 상응하는 버링 구조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 러그는 상기 암나사에 상응하는 수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터미널 러그의 내측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와 LUG를 결합할 때 별도의 결합 형상을 구현하지 않도록 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배선용 차단기 프레임의 버링 구조에 LUG를 결합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터미널 러그 및 단자부에 대해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미널 러그 및 단자부에 대해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기존의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배선용 차단기(100)의 LUG 결합 구조는 배선용 차단기(100) 프레임(110)의 일부를 제거하고 LUG(120)를 삽입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LUG(120)를 삽입 후 LUG(120)의 하단부를 지탱할 수 있는 별도의 유닛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LUG에 대해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2의 LUG에 대해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200)에 대해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터미널 러그(220) 및 단자부(210)에 대해 설명한다.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200)는 단자부(210), 터미널 러그(Terminal lug)(220) 및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단자부(210)는 전원측 전로 또는 부하측 전로와 접촉된다. 단자부(210)는 터미널 러그(22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자부(210)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전류의 입력이나 출력부분에 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터미널 러그(220)는 절연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 부재(321) 및 상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포함한다. 이때, 터미널 러그(220)는 양 측면의 하단 중심 일부에서 연장되어 하부를 형성하고, 하부 중심은 원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터미널 러그(220)는 주로 굵은 전선, 기계 및 기구 등의 단자 접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터미널 러그(220)는 암나사(322)에 상응하는 수나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나사는 테이퍼 스크류 형상이 아닌 T자 형상으로 형상될 수 있다.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230)은 터미널 러그(220)의 하부 구조에 상응하는 버링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230)의 버링면에 터미널 러그(220)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230)에 버링 구조가 형성되고, 이 버링면으로 단자부(210)와 터미널 러그(220)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 러그(220)의 하단에서 버링 구조로 고정되기 때문에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터미널 러그(22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원형의 위에 단자부(210)가 결합이 된다. 이때, 터미널 러그(220)의 하부는 프레임(230)의 버링구조에 결합되기 위하여 양 측면의 하단 중심 일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기존의 배선용 차단기
110: 기존의 프레임 120: 기존의 LUG
200: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210: 단자부 220: 터미널 러그
230: 프레임
321: 중공 부재 322: 암나사

Claims (3)

  1. 전원측 전로 또는 부하측 전로와 접속되는 단자부;
    절연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 부재 및 상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포함하고, 양 측면의 하단 중심 일부에서 홈이 존재하여 연장되어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중심은 원형을 형성하는 사각형태의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및
    상기 터미널 러그의 하부 구조에 상응하는 버링 구조와 해당 버링 구조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러그는
    상기 암나사에 상응하는 수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터미널 러그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1020120122665A 2012-10-31 2012-10-31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140056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665A KR20140056810A (ko) 2012-10-31 2012-10-31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665A KR20140056810A (ko) 2012-10-31 2012-10-31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10A true KR20140056810A (ko) 2014-05-12

Family

ID=5088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665A KR20140056810A (ko) 2012-10-31 2012-10-31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68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0418A (zh) * 2019-04-01 2019-07-12 常熟瑞特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框架断路器特点的塑壳断路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0418A (zh) * 2019-04-01 2019-07-12 常熟瑞特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框架断路器特点的塑壳断路器
CN110010418B (zh) * 2019-04-01 2024-04-26 常熟市国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框架断路器特点的塑壳断路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5975B2 (ja) 直流コンセント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US20120171891A1 (en) Plug
CN201063404Y (zh) 连接电器元件的汇流排
GB2531823A (en) Consumer units, receptacles for consumer units and consumer unit systems
KR20140056810A (ko)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N102568965B (zh) 过电流保护组合式电涌保护器
US20120142204A1 (en) Electrical wall outlet
RU2635356C2 (ru) Адаптер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для штепсельной панели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JP6540199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アダプタ
EP2693576B1 (en) Electric power base and electric power gateway
US9124078B2 (en) Meter socket block assembly
WO2019201210A1 (zh) 自复式过欠压保护器
KR20170029136A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100013601A (ko) 플러그
JP2006166622A (ja) 避雷器付分電盤
KR101624419B1 (ko)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JP6433336B2 (ja) 分電盤
CN202134684U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配置
CN208522201U (zh) 一种8字形电源插座
CN215896733U (zh) 2极27mm模数终端电器专用转接端子及模数终端电器
CN218385095U (zh) 一种断路器
CN200987044Y (zh) 开关柜用后出线四极电缆转接器
CN203013642U (zh) 断路器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