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01A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01A
KR20100013601A KR1020080075203A KR20080075203A KR20100013601A KR 20100013601 A KR20100013601 A KR 20100013601A KR 1020080075203 A KR1020080075203 A KR 1020080075203A KR 20080075203 A KR20080075203 A KR 20080075203A KR 20100013601 A KR20100013601 A KR 2010001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ain body
connector pin
outl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255B1 (ko
Inventor
심원보
Original Assignee
심원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원보 filed Critical 심원보
Priority to KR102008007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2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체로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파워 코드와 접속되는 커넥터 핀을 포함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코드는 한쪽이 개방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 단자 컵의 다른 쪽과 접속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 하측에 형성된 활주부; 및 상기 활주부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핀이 상기 단자 컵과 일직선상에 고정된 고정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집수정의 내측에 설치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위에 장착되는 수평 착정기 를 포함하며 수평 착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과 상응하며 테이블 위에 장착되되 그 상측에 수평 착정기가 장착되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지지간이 배열된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사이에 구비된 회전 가이드부로 구비된다.
따라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대기전류를 차단하고 또 사용시에는 콘센트에 쉽게 결합한다.
단자 컵, 활주부, 스토퍼, 고정체, 커넥터 핀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대기전류를 차단하고 또 사용시에는 콘센트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를 콘센트에 접속하는 것을 플러그라 한다.
플러그는 여러 가지 전기기기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콘센트에 접속하는 것으로 용도 및 각종 전기기기의 정격전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도 1에는 일반적인 플러그의 단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플러그(1)는 절연체로 구비된 본체(10)의 내부에 파워 코드(11)가 인입되어 커넥터 핀(12)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핀(12)을 도면 표현을 생략한 콘센트의 단자 홀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콘센트를 통하여 인풋되는 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플러그(1)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 또는 전기기기마다 연결되고 각 가전제품 또는 전기기기는 사용할 때마다 콘센트에 접속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들은 벽면에 구비된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분리하지 않고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대기전류가 흘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경제사정이 악화된 요즘 연간 수천억을 웃도는 막대한 량의 전력이 대기전류에 의해 낭비되고 있다는 메스컴의 보도되고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은 콘센트는 벽면 구석진 곳에 배치되고, 그 콘센트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가전제품이나 전기기기 등은 벽면과 좁은 틈새를 형성하며 설치되므로 콘센트와 가전제품의 사이를 통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거나 분리하며 사용하기가 번거로웠던 문제점에 기인한다.
즉, 가전제품의 미사용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더라도 플러그는 자중에 의해 좁은 틈새로 떨어질 수밖에 없고, 다시 가전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좁은 틈새의 공간에 손을 넣고 다시 플러그를 잡아서 콘센트에 접속하기가 귀찮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기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여러 가지 플러그나 콘센트가 제안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제안된 대기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플러그나 콘센트는 별도의 스위치 등을 플러그나 콘센트에 설치하고, 그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대기전류를 차단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가격이 상승 될 수밖에 없으므로 소비자들의 경제적인 부담감을 안겨주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대기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 역시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으면 대기전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플러그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플러그의 구조를 간단히 개선하여 대기전류를 쉽게 차단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대기전류를 차단하고 또 사용시에는 콘센트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대기전류를 차단함은 물론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지 않으므로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연체로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파워 코드와 접속되는 커넥터 핀을 포함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코드는 한쪽이 개방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 단자 컵의 다른 쪽과 접속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 하측에 형성된 활주부; 및 상기 활주부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핀이 상기 단자 컵과 일직선상에 고정된 고정체 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실시 예는, 상기 활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되며 양단부에 상기 고정체의 전, 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갖춘 레일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는, 상기 활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과 관통되며 일부 절결된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그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이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커넥터 핀이 상기 단자 컵과 접속 및 이탈됨을 외부에서 식별토록 식별부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실시 예는,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단자 컵은 각각 한 쌍의 리드 선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본체의 어느 일 측으로 노출된 LED와 접속되어 상기 단자 컵에 상기 커넥터 핀이 접속되어 전류가 흐를 때 점등되며 접속상태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플러그의 구조를 간단히 개선하여 대기전류를 쉽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플러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대기전류를 차단하고 또 사용시에는 콘센트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플러그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대기전류를 차단함은 물론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지 않으므로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비접속 상태와 접속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는 절연체로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파워 코드(11) 그리고 파워 코드(11)와 접속되는 커넥터 핀(12)으로 구비된다.
상기 파워 코드(11)는 한쪽이 개방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 단자 컵(20)의 다른 쪽, 즉 막힌 부분과 접속된다.
또 상기 본체(19)의 내부 양측 또는 상, 하측에는 활주부(30)가 형성되고, 상기 활주부(30)에는 상기 커넥터 핀(12)이 상기 단자 컵(20)과 일직선상에 고정된 고정체(40)가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 제1 실시 예는, 상기 활주부(3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되며 양단부에 상기 고정체(40)의 전, 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50)를 갖춘 레일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는, 상기 활주부(3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과 관통되며 일부 절결된 절결부(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40)는 그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이 상기 절결부(60)를 통하여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커넥터 핀(12)이 상기 단자 컵(20)과 접속 및 이탈됨을 외부에서 식별토록 식별부(70)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기 본체(10)는 별도로 도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상, 하측으로 분리 구성된 것이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각각 분리 구성한 후 접착수단 등에 의해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의 커넥터 핀(12)이 도면 표현을 생략한 콘센트에는 접속되고 파워코드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는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커넥터 핀(12)은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거나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접속 대기상태라 할 수 있고, 커넥터 핀(12)이 장착된 고정체(40)는 전방에 위치된 스토퍼(50)에 걸림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1)를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하게 되면 커넥터 핀(12)이 결합된 고정체(40)는 상기 활주부(30)를 따라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된 후 그 후단부가 단자 컵(20)에 접속되며 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의 역순으로 장기간 출타중이거나 집을 비울 경우에는 다시 플러그(1)를 잡아당기면 커넥터 핀(12)이 콘센트의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체(40)만 전방으로 전진하며 단자 컵(20)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전류는 흐르지 않고 커넥터 핀(12)만 콘센트에 접속되거나 걸림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물론 도 4와 같이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상태는 플러그(1)의 외측 절결부(60)를 통하여 노출된 식별부(70)를 통하여 육안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단자 컵(20)은 각각 리드 선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 측으로 노출된 LED와 연결되고, 상기 LED는 상기 단자 컵(20)에 상기 커넥터 핀(12)이 접속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점등되며 접속상태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LED의 리드 선 두 갈래는 그 끝단 부가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단자 컵에 각각 고정되고 LED는 그 표면이 플러그 본체(1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에 이와 같은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도면 표현과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금까지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의 구조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 탭에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러그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플러그 10 : 본체
11 : 파워 코드 12 : 커넥터 핀
20 : 단자 컵 30 : 활주부
40 : 고정체 50 : 스토퍼
60 : 절결부 70 : 식별부

Claims (4)

  1. 절연체로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파워 코드와 접속되는 커넥터 핀을 포함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파워 코드는 한쪽이 개방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 단자 컵의 다른 쪽과 접속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 하측에 형성된 활주부; 및
    상기 활주부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핀이 상기 단자 컵과 일직선상에 고정된 고정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되며 양단부에 상기 고정체의 전, 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갖춘 레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과 관통되 며 일부 절결된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그 양측 또는 상,하측 중 어느 일 측이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커넥터 핀이 상기 단자 컵과 접속 및 이탈됨을 외부에서 식별토록 식별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단자 컵은 각각 한 쌍의 리드 선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본체의 어느 일 측으로 노출된 LED와 접속되어 상기 단자 컵에 상기 커넥터 핀이 접속되어 전류가 흐를 때 점등되며 접속상태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플러그.
KR1020080075203A 2008-07-31 2008-07-31 플러그 KR10101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03A KR101018255B1 (ko) 2008-07-31 2008-07-31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03A KR101018255B1 (ko) 2008-07-31 2008-07-31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01A true KR20100013601A (ko) 2010-02-10
KR101018255B1 KR101018255B1 (ko) 2011-03-03

Family

ID=4208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03A KR101018255B1 (ko) 2008-07-31 2008-07-31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6671A (zh) * 2017-11-16 2018-02-16 江门市高盟电业有限公司 一种感光电线插头
KR20230147304A (ko) 2022-04-14 2023-10-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Av 기기용 파워코드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44Y1 (ko) 2017-04-18 2017-11-23 정지윤 단일단자형 전기플러그와 콘센트를 구비한 전원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2408A (ja) 1995-09-25 1997-04-04 Hosiden Corp 多極プラグ
JP3129955B2 (ja) * 1995-12-14 2001-01-3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3313034B2 (ja) 1996-10-28 2002-08-12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プラグ、多極ジャックおよび多極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6671A (zh) * 2017-11-16 2018-02-16 江门市高盟电业有限公司 一种感光电线插头
KR20230147304A (ko) 2022-04-14 2023-10-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Av 기기용 파워코드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255B1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8838B (zh) 一种拔插式电能表现场校验安全接线盒
KR101018255B1 (ko) 플러그
CN205583315U (zh) 磁性插头组件
KR101903050B1 (ko)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AU2016320767A1 (en) Electrical power accessory
CN103700976A (zh) 一种插座
CN206313243U (zh) 一种热插拔母线连接系统
KR20090001609U (ko) 파워레일 및 접지형 터미널프러그
CN101441001A (zh) 电热水器防触电保护箱
CN208111837U (zh) 一种基于排线的新型电源线
KR200459512Y1 (ko) 대기 전원 차단용 콘센트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CN208189852U (zh) 一种可移动式插座的防触电保护结构及可移动式插座
US20190288460A1 (en) Plug
CN205319397U (zh) 可连接插座
KR101428511B1 (ko) 접속 콘센트
CN207705138U (zh) 一种用于传输线的保护装置
KR20140056810A (ko) Lug 결합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N202856128U (zh) 自带锁扣式分体连接线的安全插座
KR200430787Y1 (ko) 연동스위치를 내장한 멀티콘센트
KR20090117394A (ko) 라인 콘센트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라인 콘센트
CN209104440U (zh) 一种便捷组合式接地装置
RU63988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длинитель-разветвитель
CN205543587U (zh) 一种开关和指示灯前置电源插排的电路结构
CN209045950U (zh) 一种防水正反插多usb智能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