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576A -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576A
KR20140054576A KR1020120120231A KR20120120231A KR20140054576A KR 20140054576 A KR20140054576 A KR 20140054576A KR 1020120120231 A KR1020120120231 A KR 1020120120231A KR 20120120231 A KR20120120231 A KR 20120120231A KR 20140054576 A KR20140054576 A KR 2014005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low
cosmetic composition
pigment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영
전향화
최봉기
한현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576A/ko
Publication of KR2014005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부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안료 분체 0.0001 내지 1 중량%,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 0.12 내지 0.5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낮은 점도에서 안료가 분리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저점도에서도 안료가 조성물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외관을 통해 시각적 차별화가 되는 화장료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having luxurious appearance}
본 발명은 안료가 고르게 부유하고, 안정한 분산상을 이뤄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짐으로써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가꾸며, 자외선이나 건조 등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사회활동의 증가로 인해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여 다양한 형태와 제형의 기초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제형이 도입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기초화장품은 점도에 따라 점도가 아주 낮은 스킨로션부터 시작하여 액상 점도의 미스트, 중간 점도의 로션, 고점도의 에센스 및 점도가 아주 높은 크림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화장품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점도의 양태들이 제조되어 왔다. 또한, 자아의식의 상승에 따라 새로운 제형이 도입되면서 외관상의 시각적 차별화를 제공하는 기초 화장료가 등장하고 있다.
펄 안료는 미끄럼성 및 부착성과 같은 피부 감촉이 양호하고, 건강하지 않은 색상을 나타내는 청색이 적고, 반사광의 시야각 의존성(소프트 포커스 효과)이 낮고, 반투명성 및 피부에 대한 자연스러운 색조를 기본으로 하는 적절한 은폐성(주름 은폐 효과)을 나타내 화장료 조성물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50554호는 판상의 산화알루미늄 표면에 금속산화물이 코팅되어 있는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면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간섭색을 나타내면서 광택이 적어, 여드름자국, 기미, 주근깨, 칙칙함 등의 피부색 트러블이나, 모공, 주름 등의 피부 결점이 보정되고, 피부에 입체감을 나타내며, 화장이 자연스럽고, 사용감이 개선되고, 피부의 광택 지속성도 개선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고점도의 화장품의 경우는 점도가 높아 캡슐, 안료 함유 등 다양한 외관상의 차별화를 보인 경우가 있으나, 저점도의 스킨로션은 안료 등의 투입의 경우 점도가 낮아 안료(펄) 입자의 크기와 비중 때문에 펄 입자가 쉽게 침전, 분리되어 제형이 불안정할 수 있는 단점이 있어 다양한 외관상의 차별화를 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저점도 스킨로션의 경우 안료 입자의 크기를 나노 수준으로 한정하거나, 에멀젼 형태로 제조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안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5055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점도에서도 안료가 균일한 분산상을 이루면서 부유되도록 하기 위해 조성물의 유변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한 결과, 비이온성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증제를 사용할 경우 산화아연과 같은 펄 입자가 조성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료가 고르게 분산되어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금백색의 색상을 나타냄에 따라 외관적으로도 차별화될 수 있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부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안료 분체 0.0001 내지 1 중량%,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 0.12 내지 0.5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안료 투입의 경우 점도가 낮아 쉽게 분리되어 제형이 불안정할 수 있는 단점을 해소하여 저점도에서도 안료의 분산성과 정착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안료가 가라앉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외관을 통해 시각적인 차별화가 가능한 화장료 제품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상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의 사진으로, (a)는 실시예 1, (b)는 실시예 2, (c)는 실시예 3, (d)는 비교예 1의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조성물 사진으로, (a) 조성물 사진, (b) 이의 확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료 분체가 균일하게 부유되어 감각적인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통상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안료 분체의 사용은 이의 균일한 분산이 선별되어야 하는데, 특히 저점도 조성물의 경우 안료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화장 제품의 방치시 하부로 침강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저점도의 조성물에서도 안료 분체가 균일하게 부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특정 증점제를 사용한다.
증점제는 유체의 점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그 용도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화장료 조성에서는 액체, 에멀젼 및 혼탁액(서스펜션) 계(系)의 내부 저항을 조절하여 조성물에 점도를 부여하거나 처짐 및 분리를 방지하고, 응집 효과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증점제는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에멀젼, 서스펜션에 회합 혹은 흡착하여 계 전체에 큰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형과,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에멀젼, 서스펜션에 회합해 계에 약한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 회합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전체에 안료 분체의 균일한 부유를 위해 고분자형을 선택한다.
고분자형 증점제는 크게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폴리우레탄계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특히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를 사용한다.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분체는 표면에 전하를 가지고 있어 증점제가 전하를 띨 경우 응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는 비이온성을 나타내 전하를 띠지 않으며, 특히 일측 말단에 친유성의 장쇄 알킬기(long chain alkyl group)를 갖되 직쇄(straight)가 아닌 분지쇄형(branched)을 갖는다. 따라서, 안료 분체를 충분히 감싸며, 안료 사이의 응집을 방지하고 일정 수준의 점성을 가져 안료 분체가 조성물(예, 수용액) 전체에 걸쳐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C12-22 Alkyl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쓰-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세테쓰-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Ceteth-20 Methacrylate Copolymer),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hydroxyethyl acrylate/ 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Polyacrylate Crosspolymer-6)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을 사용한다.
또한,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의 경우 첨가제에 해당하므로 너무 과도한 함량을 사용할 경우 점도가 증가할 우려가 있으며, 다른 조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저점도에 적합하면서도 안료 분체를 부유시킬 수 있는 임계 함량 범위의 한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함량은 안료 분체의 함량 및 조성물의 점도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수상부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안료 분체 0.0001 내지 1 중량%,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 0.12 내지 0.5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조성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제형을 형성하거나 에멀젼에 적용시 수상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안료 분체는 1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고체물질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체는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체질안료, 착색안료, 진주광택 안료, 금속 분체 등을 포함한다.
체질안료로는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마이카 등이 가능하며, 착색안료로는 벤가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및 카본 블랙이 가능하며, 진주광택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실리카, 틴옥사이트, 및 페릭 페로시아니드가 가능하며, 금속 분체로는 금, 은, 동, 팔라듐, 백금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진주광택 안료를 사용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안료 분체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구상, 플레이크상 등 시각적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한 형태라면 그 어떤 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점도가 낮은 화장료 조성물 내 장기간 동안의 분산 안정성을 이룰 수 있도록 안료 분체의 크기 및 함량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안료 분체는 10∼300㎛인 것을 전체 조성물 내에서 0.0001 내지 1 중량% 사용한다.
만약, 상기 안료 분체의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안료 분체가 조성물(즉, 수용액) 전체에 걸쳐 고루 퍼져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성물의 표면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응집 또는 침전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안료 분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안료 분체를 사용하여 얻고자 하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얻을 수 없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조성물 내에 응집 또는 침전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이때 물은 정제수를 사용한다.
상기한 조성을 포함하는 수상부는 점도가 50 내지 1500cps, 바람직하기로 100 내지 1000cps, 더북 바람직하기로는 150 내지 500cps인 저점도의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액으로만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거나 에멀젼의 수상부(W/O, O/W, W/O/W 등)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따른다.
일례로, 혼합기에 각 조성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혼합은 필요에 따라 열을 가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균일한 혼합을 위해 호모게나이저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안료 분체를 수상부로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펄과 같은 안료 분체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금백색의 색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같은 효과를 이용하여 외관성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상기 다양한 성분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일례로, 수용성 유효 활성 성분, 가용화제, 보습제 등이 가능하다.
유효 활성 성분으로 주름 개선제, 미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 개선제로는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키네틴(kinetin), 옥신(auxin), 펩타이드(peptide),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백제로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애시드-2-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 활성 성분은 수상부 내에서 5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가용화제로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스쿠알렌,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미도우폼씨드오일, 정제포도씨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용화제는 수상부 내에서 5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보습제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보습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아르기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습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 내에서 10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가지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저점도의 특성상 유연화장수, 스프레이,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 등이 가능하다.
이때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pH 조절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점증제 종류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의 조성을 바탕으로, 정제수에 점증제를 첨가 후 글리세린, 펄안료(운모티탄, 40㎛)과, pH를 맞추기 위해 중화제인 트로메타민을 첨가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점도, 안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점도: 브룩필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안정도a: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안료의 부유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3) 안정도b: 가혹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교반(shaking)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15℃에서 60rpm으로 지속적으로 1주일 동안 교반한 후 육안으로 안료의 부유 상태를 확인하였다. 이때 교반의 기준은 최소 0.12% 이상에서 안정하여야 안정하다고 판단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펄안료 운모티탄 0.03 0.03 0.03 0.03 0.03 0.03
점증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12 - - - - -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0.12 - - - -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 - 0.12 - - -
카보머 (Ultrez 10) - - - 0.12 - -
카보머 (Carbomer 940) - - - - 0.12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Cosmedia SP) - - - - - 0.12
보습제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중화제 트로메타민 0.08 0.08 0.08 0.08 0.08 0.08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점도(cps) 633.9 1100 80 2397 2200 20 이하
안정도a(실온, 1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분리(제형 직후 분리)
안정도b(교반, 1주) 안정 안정 안정 안료 침강 분리 안료 침강 분리 안료 침강 분리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증점제로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를 사용한 경우 점도가 낮고, 실온 및 교반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카보머를 사용한 비교예 1, 2의 경우 안료가 아래로 침전하는 결과를 보였다.
도 1은 상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의 사진으로, (a)는 실시예 1, (b)는 실시예 2, (c)는 실시예 3, (d)는 비교예 1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은 조성물의 전체에서 균일하게 펄 안료가 분산되어 있고, 비교예 1의 조성물(d)의 경우 하부에 펄 안료가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 아크릴레이트 점증제이긴 하나 이온성을 가져, 이 또한 안료의 분리가 발생하였다.
<실험예 2> 점증제 함량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점증제의 함량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안정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를 점증제로 사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량을 변화시켜가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 물성 평가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조성(중량%)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
펄안료 운모티탄 0.03 0.03 0.03 0.03 0.03 0.03
점증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0.12
0.15 0.20 0.30 0.10 0.53
보습제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중화제 트로메타민 0.08 0.08 0.08 0.08 0.08 0.08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점도(cps) 128 250 385 684 20 이하 8500
안정도a(실온, 1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도b(교반, 1주) 안정 안정 안정 안료 침강 분리 안료 침강 분리 안정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점증제의 함량이 적어도 0.12 중량% 이상이 되어야 가혹한 조건 하에서도 안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4의 경우 실온에서 1달 동안은 안정하였으나, 40일 이후 안료가 침강되었으며, 비교예 5의 경우 안정성은 높았으나 점도가 8500cps 이상으로 저점도 범위를 가지지 못하였다.
<실험예 3> 펄 안료의 함량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펄 안료의 함량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안정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를 점증제로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량을 변화시켜가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 물성 평가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조성(중량%) 실시예 5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6 비교예 7
펄안료 운모티탄 0.03 0.10 0.5 1.0 0.00005 1.50
점증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0.20 0.30 0.40 0.50 0.12 0.50
보습제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 10.0
중화제 트로메타민 0.08 0.08 0.08 0.08 0.08 0.08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점도(cps) 385 645 877 1281 15이하 8441
안정도a(실온, 1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료 침강 분리
안정도b(shaking, 1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료 침강 분리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5, 및 7 내지 9의 조성물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함량 범위 내 펄 안료 및 점증제를 사용할 경우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비교예 6의 경우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펄 안료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웠으며, 비교예 7의 경우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펄 안료의 크기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펄 안료의 크기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안정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를 점증제로 사용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를 변화시켜가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 물성 평가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조성(중량%) 실시예 3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8 비교예 9
펄안료
운모티탄(40㎛) 0.03 - - - - -
운모티탄(20㎛) - 0.03 - - - -
운모티탄(70㎛) - - 0.03 - - -
운모티탄(300㎛) - - - 0.03 - -
운모티탄(1㎛) - - - - 0.03 -
운모티탄(350㎛) - - - - - 0.03
점증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0.12 0.12 0.12 0.12 0.12 0.12
보습제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중화제 트로메타민 0.08 0.08 0.08 0.08 0.008 0.08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점도(cps) 128 103 135 154 68 129
안정도a(실온, 1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도b(shaking, 1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약간의 응집 발생 안료 침강 분리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펄 안료의 입자 크기는 점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20 내지 200㎛ 크기의 펄 안료를 사용한 조성물의 안정성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3의 조성물 사진으로, (a) 조성물 사진, (b) 이의 확대 사진이다. 도 2를 보면, 펄 안료가 조성물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8과 같이 너무 작은 입자의 경우 응집이 관찰되었고, 비교예 9의 경우 안료가 침전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Claims (8)

  1. 수상부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안료 분체 0.0001 내지 1 중량%,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 0.12 내지 0.5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체는 체질안료, 착색안료, 진주광택 안료, 금속 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안료는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또는 마이카이고, 착색안료는 벤가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또는 카본 블랙이고, 진주광택 안료는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실리카, 틴옥사이트, 또는 페릭 페로시아니드이고, 금속 분체는 금, 은, 동, 팔라듐, 또는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체는 크기가 1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증점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C12-22 Alkyl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쓰-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세테쓰-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Ceteth-20 Methacrylate Copolymer),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hydroxyethyl acrylate/ 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공중합체(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Polyacrylate Crosspolymer-6)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50 내지 15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수용성 유효 활성 성분, 가용화제, 보습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스프레이,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20231A 2012-10-29 2012-10-29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4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31A KR20140054576A (ko) 2012-10-29 2012-10-29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31A KR20140054576A (ko) 2012-10-29 2012-10-29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576A true KR20140054576A (ko) 2014-05-09

Family

ID=5088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231A KR20140054576A (ko) 2012-10-29 2012-10-29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57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37B1 (ko) *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951748A (zh) * 2017-10-20 2018-04-24 广州神采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亮效果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80103649A (ko) * 2017-05-24 2018-09-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3650A (ko) * 2017-05-24 2018-09-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0359A (ko) * 2018-09-12 2020-03-20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저점도 수중유형 조성물
EP3791855A1 (en) 2019-09-16 2021-03-1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lubilized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20127083A (ko) 2021-03-10 2022-09-19 (주)아모레퍼시픽 안료의 염료화제 및 이를 사용하여 염료화된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KR20230029082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37B1 (ko) *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19612A1 (ko) * 2016-01-05 2017-07-13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03649A (ko) * 2017-05-24 2018-09-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3650A (ko) * 2017-05-24 2018-09-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7951748A (zh) * 2017-10-20 2018-04-24 广州神采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亮效果的组合物及其应用
CN107951748B (zh) * 2017-10-20 2019-10-01 广州神采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亮效果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00030359A (ko) * 2018-09-12 2020-03-20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저점도 수중유형 조성물
EP3791855A1 (en) 2019-09-16 2021-03-1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lubilized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10032142A (ko) 2019-09-16 2021-03-24 (주)아모레퍼시픽 가용화된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065190B2 (en) 2019-09-16 2021-07-20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lubilized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20127083A (ko) 2021-03-10 2022-09-19 (주)아모레퍼시픽 안료의 염료화제 및 이를 사용하여 염료화된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KR20230029082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4576A (ko)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526640B1 (ko)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EP3727298B1 (en) Coloured aqueous particle dispersion
JP2010001271A (ja) 毛髪化粧料
DE102007024454B4 (de) Pigmenthaltige Tinte auf Polymerbasis
KR20120058846A (ko) 저점도의 비분리형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JP2017114803A (ja) 水系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09191046A (ja) 毛髪化粧料
JP5791424B2 (ja) 水性化粧料組成物
JP2010100580A (ja) 水系メーキャップ化粧料
US9445982B2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JP6647850B2 (ja) 化粧料
JP4299294B2 (ja) 水系アイライナー組成物
JP2016079147A (ja) 水性分散体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塗料、インク
JP6779608B2 (ja) 液体化粧料組成物
KR102635300B1 (ko)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JP5112904B2 (ja) 毛髪化粧料
KR20200027655A (ko)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7589A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6498144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200048113A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40032063A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JP7346642B1 (ja) 2層分離型粉体含有水性化粧料
KR102462795B1 (ko) 오일 입자 및 파우더 과립을 포함하는 수분산타입 화장료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0114B1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