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113A -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113A
KR20200048113A KR1020180129823A KR20180129823A KR20200048113A KR 20200048113 A KR20200048113 A KR 20200048113A KR 1020180129823 A KR1020180129823 A KR 1020180129823A KR 20180129823 A KR20180129823 A KR 20180129823A KR 20200048113 A KR20200048113 A KR 2020004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emulsifier
cosmetic composition
coat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779B1 (ko
Inventor
이수진
정지혜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79B1/ko
Priority to CN201911039499.6A priority patent/CN111096926B/zh
Publication of KR2020004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림성 및 밀착력이 뛰어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고, 균일하게 퍼지며, 이에 따라 피부에서 표현되는 속도가 빠르므로 펴바른 후의 끈적임 등 잔여감이 적은 바, 다양한 메이크업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inear emulsifier and surface-coated pigment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는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림성 및 밀착력이 뛰어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는 밀착력, 은폐력, 발림성, 퍼짐성, 흡습성, 흡유성 및 피부친화성 등이 요구되며, 2종 이상의 안료를 혼합 또는 피복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일례로, 이산화티탄과 같은 무기계 안료는 밀착력, 은폐력 등은 우수한 반면, 발림성과 퍼짐성 등의 사용감이 부족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이산화티탄을 실리카로 소정 비율 피복하여 무기 복합안료를 제조함으로써 양호한 은폐력 및 광굴절율 차이 등을 가지는 화장료를 제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복 무기 복합안료는 실제로 피부 도포시 피부 및 외부 조건에 있어서의 안정성, 밀착력, 사용감 및 지속성 등에 있어서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력을 높이고자 할 때 체질안료의 함량을 늘려 마찰을 높이는 등 그 부착성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발림성이 떨어지고 화장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료의 발림성 및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한 결과, 직쇄형 유화제와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물질로 표면을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발림성 및 밀착력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9480호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9916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림성 및 밀착력이 뛰어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이 코팅된 안료의 표면 물질은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고, 균일하게 퍼지며, 이에 따라 피부에서 표현되는 속도가 빠르므로 펴바른 후의 끈적임 등 잔여감이 적은 바, 다양한 메이크업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12 조성물의 피부 밀착력 센서리 평가 결과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이 코팅된 무기안료의 표면 물질은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직쇄형 유화제(linear emulsifier)'는 곁사슬이 존재하지 않는 유화제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슬형 유화제라고도 지칭할 수 있고, 말단에 긴 친수기를 달아 HLB를 맞추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유화 입자 사이즈, 유지력, 분자량 및 계면 장력의 차이 등에서 측쇄형 유화제(branched emulsifier)과 차이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직쇄형 유화제 중 다수는 큰 분자량을 가지고, 이에 따라 큰 유화 입자가 피부에서 빠르게 전상되면서 발리게 되며 이에 따라 우수한 피부 밀착력을 나타낸다.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직쇄형 실리콘 유화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형 디메치콘 유화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쇄형 PEG 디메치콘 유화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8/18 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 디메치콘(bis-peg/ppg-14/14 dimethicone) 또는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peg/ppg-19/19 dimethicone)일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하, 5 이하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표면이 코팅된 안료'는 안료의 표면을 안료가 아닌 다른 물질로 표면을 코팅한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상기 안료는 물이나 기름 등에 녹지 않는 미세한 분말의 고체로서 피그먼트라고도 지칭되며, 크게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는 무기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안료는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착색안료(coloring pigment), 피부의 커버력(covering power)을 조절하는 백색안료(white pigment),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정하고 제품의 전연성, 부착성 등 사용감촉과 제품의 제형화에 역할을 하는 체질안료(extender pigment) 및 색상에 진주광택을 주며, 홍채색 또는 금속 광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수한 광학적 효과를 갖고 있는 진주광택안료(pearlescent pigment) 등으로 더 분류되고, 일례로 본 발명의 무기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철,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실리콘 파우더, 탈크(talc), 카올린(kaolin), 실리카(silica), 마이카(mica), 징크옥사이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또는 산화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철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표면 코팅된 안료는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표면 코팅된 산화철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표면 코팅된 산화철은 1~7: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의 비율로 혼합될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표면이 코팅된 안료에서 안료를 코팅하는 표면 물질로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료를 코팅하는 표면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이상, 3 이상, 4 이하, 5 이하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IPDI 공중합체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IPDI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일례로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IPDI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IPDI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소이아민은 소이산(soy acid)으로부터 유래한 1차 지방족 아민으로, 소이빈아민(soyabeanamine) 또는 아민, 소야 알킬(Amines, soya alky)으로도 지칭되며, 일례로 PEG 소이아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예로 피이지-2 소이아민, 피이지-5 소이아민, 피지이-10 소이아민, 피이지-15 소이아민, 피이지-25 소이아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알킬티타늄지방산염 내 알킬기는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에서 수소 원자 1개를 제거한 나머지의 원자단을 가지는 치환기를 지칭하며, C1-10의 탄소분포를 가지는 알킬일 수 있으며, 상기 탄화수소는 측쇄형 또는 직쇄형일 수 있으며, 일례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알킬티타늄지방산염 내 지방산염은 화학 또는 생화학적으로 카복실산염을 지칭하며, 자연에 존재하는 지방산염의 탄소는 짝수개의 탄소수를 가지고 있으며,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을 모두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알킬티타늄지방산염에서의 알킬은 C1-5의 탄소 분포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 알킬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일 수 있고, 지방산염은 C12-24의 탄소분포를 가지는 지방산염일 수 있으며, 일례로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미리스트산, 라우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트산, 올레산, 이소프로필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아라키드산, 이소프로필베헨산, 이소프로필리그노세르산, 이소프로필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라우르산, 이소프로필리놀레산, 이소프로필리놀렌산, 이소프로필팔미트산, 이소프로필올레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상기 알킬디타늄지방산은 일례로 이소프로필티타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iso propyl titanium triisosteara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물질이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으로 코팅되는 경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은 안료의 흡유량에 따라 혼합 비율이 상이해지며, 일 구현예에서 0.1~10 : 1 : 0.1~10으로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고, 상기 0.1 내지 10은 바람직하게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5 이하, 5.5 이하,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10 이하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서 안료로 산화철류의 안료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7:1:8이고, 안료로 이산화티탄류가 포함되는 경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1:1:5이며, 안료의 흡유량이 높으면 실리콘/IPDI의 혼합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표면에 코팅된 안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하, 12 이하, 13 이하, 14 이하, 15 이하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표면에 코팅된 안료와 직쇄형 유화제는 1: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하, 0.5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0.2 내지 0.4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메이크업(make-up)'은 기초화장을 한 다음에 수행하는 화장으로 피부에 수행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눈, 눈썹, 입술 등에 수행하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분(粉)과 파운데이션, 블러셔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 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후자는 아이섀도, 마스카라, 인조속눈썹, 아이라인, 립스틱 등으로 인상을 돋보이게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수한 발림성 및 밀착력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제품은, 일례로 파운데이션, 컨실러, 블러셔일 수 있으나, 발림성과 밀착력이 필요한 메이크업 화장료 제품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측면에서 상기 발림성은 초기 피부에 저항 없이 부드럽고 고르게 펴발리는 정도로 정의하며, 상기 밀착력은 두드릴 때 피부에 잘 고정되는 정도와 약 3분 후 화장료를 바른 부위를 만졌을 때 화장료가 잔여감 없이 피부에 흡수된 정도에 대한 종합적인 수준(level)으로 정의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데, 일례로 유분산 제형, 수분산 제형, 수중유화(O/W) 제형, 유중수화(W/O) 제형, 파우더 분산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30도에서 브룩필드 점도계 모델 DV-II+(Brookfield Viscometer Model DV-II+)를 사용하여 64번 스핀들, 12rpm으로 1분간 측정시 1600 내지 2500 cps의 점도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1600 이상, 1700 이상, 1800 이상, 1900 이상, 2000 이상, 2100 이하, 2200 이하, 2300 이하, 2400 이하, 2500 이하 cps의 점도를 나타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에 따른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1-1.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유상 원료에 안료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 후 수상 원료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2 내지 4의 조성물은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을 서로 달리한 것이고, 비교예 1의 조성물은 표면 처리하지 않은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각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로 처리하였고, 산화철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7:1:8으로 처리하였고, 티타늄디옥사이드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을 1:1:5로 처리하였으며, 표면 코팅을 완료한 이 후 각 표면 처리된 안료를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 표면 코팅된 황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적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흑색산화철 = 80 : 15 : 3.5 : 1.5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1-2.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 조성물의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1-2-1. 밀착력 및 발림성 센서리 평가 방법
25세 내지 40세 사이의 여성 패널을 30명 이상 모은 후 항온항습실에서 전박(팔뚝)을 세척하고, 헤라 아쿠아볼릭 로션과 헤라 선메이트 엑셀랑스 썬크림 각각을 50μL으로 도포하였으며, 이 후 전박에 0.5cm*1.5cm 너비의 검은 선을 표기하고 그 안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30μL 양으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각 조성물은 손을 이용하여 15회 롤링, 20회 탭핑하여 준 후 1차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나머지 시료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각 조성물에 대한 점수를 매겼다.
1-2-2. 밀착력 간이 시험 방법
25세 내지 40세 사이의 여성 패널을 30명 이상 모은 후 항온항습실에서 전박(팔뚝)을 세척하고, 헤라 아쿠아볼릭 로션과 헤라 선메이트 엑셀랑스 썬크림 각각을 50μL으로 도포하였으며, 이 후 전박에 0.5cm*1.5cm 너비의 검은 선을 표기하고 그 안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30μL 양으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나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각 조성물이 모두 고정될 때까지 요구되는 롤링 횟수를 측정하였다.
1-2-3. 점도 측정 방법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100g을 30도 항온조에 보관한 후 Brookfield Viscometer Model DV-II+를 사용하여 64번 스핀들, 12rpm으로 1분간 측정시의 점도를 읽었다.
1-2-4. 실험 결과
상기 1-2-1 내지 1-2-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수행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밀착력 센서리 평가 결과값을 그래프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처리 안료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과 기존에 많이 사용되던 표면 처리 물질로 표면을 처리한 안료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내지 4의 조성물과 달리,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밀찰력과 발림성, 특히 밀착력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유화제 종류에 따른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2-1.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조성물 제조
하기 표 3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5 내지 9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유상 원료에 안료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 후 수상 원료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직쇄형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비교예 5 내지 9의 조성물은 측쇄형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각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로 처리하였고, 산화철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7:1:8으로 처리하였고, 티타늄디옥사이드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을 1:1:5로 처리하였으며, 표면 코팅을 완료한 이 후 각 표면 코팅된 안료를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 표면 코팅된 황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적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흑색산화철 = 80 : 15 : 3.5 : 1.5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3
2-2.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9 조성물의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대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9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1-2-1 내지 1-2-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밀착력 센서리 평가 결과값을 그래프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 내지 4에서와 같이 본원 발명의 표면 처리 안료를 직쇄형 구조를 갖는 유화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발림성의 손실 없이도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표면 처리 안료를 기존에 많이 사용되던 비교예5 내지 9의 측쇄형 구조의 유화제로 이루어진 유화 골격을 함께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표면 처리 안료의 장점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원 발명의 표면 처리 안료는 직쇄형 유화제와의 조합에 의하여 우수한 밀착력 및 발림성을 가짐, 즉 시너지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직쇄형 유화제에 혼합하는 안료 종류에 따른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3-1.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2, 10 내지 12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5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비교예 10 내지 1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유상 원료에 안료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 후 수상 원료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상기 실험예 1-1 및 2-1에 개시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각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로 처리하였고, 산화철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7:1:8으로 처리하였고, 티타늄디옥사이드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을 1:1:5로 처리하였으며, 표면 코팅을 완료한 이 후 각 표면 코팅된 안료를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 표면 코팅된 황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적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흑색산화철 = 80 : 15 : 3.5 : 1.5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5
3-2.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2, 10 내지 12 조성물의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대신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2, 10 내지 1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1-2-1 내지 1-2-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밀착력 센서리 평가 점수값을 그래프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 6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 내지 4의 조성물에서와 같이 직쇄형 구조를 갖는 유화제에 본원 발명의 표면 처리 안료를 함께 사용할 경우 발림성의 손실 없이도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직쇄형 구조의 유화제를 사용하더라도 본원 발명의 표면 처리 안료가 아닌,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표면 처리 안료를 함께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유화제의 장점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직쇄형 구조의 유화제는 본원 발명의 표면 처리 안료와의 조합에 의하여 우수한 밀착력 및 발림성을 가짐, 즉 시너지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실험예 4. 직쇄형 유화제 함량 변화에 따른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4-1. 실시예 1, 5, 6 및 비교예 13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7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 5, 6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유상 원료에 안료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이 후 수상 원료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5, 6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은 직쇄형 유화제의 조성물 내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각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로 처리하였고, 산화철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7:1:8으로 처리하였고, 티타늄디옥사이드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을 1:1:5로 처리하였으며, 표면 코팅을 완료한 이 후 각 표면 코팅된 안료를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 표면 코팅된 황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적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흑색산화철 = 80 : 15 : 3.5 : 1.5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7
4-2. 실시예 1, 5, 6 및 비교예 13 조성물의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대신 실시예 1, 5, 6 및 비교예 13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1-2-1 내지 1-2-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력/발림성 센서리 평가 및 밀착력 간이 시험 결과 값을 종합하여 볼 때, 직쇄형 유화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 내 1 내지 5 중량%일 때 밀착력과 발림성이 모두 우수하고, 그 중에서도 조성물 전체 중량 내 3 중량%로 직쇄형 유화제가 포함될 때 밀착력과 발림성이 가장 조화로운 사용감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표면 처리 안료의 함량 변화에 따른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5-1. 실시예 1, 7, 8, 비교예 14 및 15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9에 개시한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 7, 8, 비교예 14 및 15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유상 원료에 안료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 후 수상 원료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7, 8, 비교예 14 및 15 조성물은 표면 처리 안료의 조성물 내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각 안료의 표면 처리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로 처리하였고, 산화철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은 7:1:8으로 처리하였고, 티타늄디옥사이드 안료에 대해서는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비율을 1:1:5로 처리하였으며, 표면 코팅을 완료한 이 후 각 표면 코팅된 안료를 표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 표면 코팅된 황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적색산화철 : 표면 코팅된 흑색산화철 = 80 : 15 : 3.5 : 1.5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9
4-2. 실시예 1, 7, 8, 비교예 14 및 15 조성물의 밀착성 및 발림성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대신 실시예 1, 7, 8, 비교예 14 및 15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1-2-1 내지 1-2-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력/발림성 센서리 평가 및 밀착력 간이 시험 결과 값을 종합하여 볼 때, 표면 처리 안료가 조성물 전체 중량 내 5 내지 15 중량%일 때 밀착력과 발림성이 모두 우수하고, 그 중에서도 조성물 전체 중량 내 10 중량%로 표면 처리 안료가 포함될 때 밀착력과 발림성이 가장 조화로운 사용감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직쇄형 유화제(linear emulsifier)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이 코팅된 안료의 표면 물질은 실리콘/IPDI 공중합체(silicone/isophorone diisocyanate copolymer), 소이아민(soyamine)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직쇄형 실리콘 유화제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직쇄형 디메치콘 유화제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PEG 디메치콘 유화제 또는 PEG/PPG 디메치콘 유화제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형 유화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물질은 안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는 디메치콘/IPDI 공중합체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는 PEG 디메치콘/IPDI 공중합체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이아민은 PEG 소이아민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코팅된 안료가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으로 코팅되는 경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은 0.1~10 : 1 : 0.1~10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코팅된 안료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코팅된 안료 및 직쇄형 유화제는 1 : 0.1 내지 0.5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무기안료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은 베이스 메이크업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29823A 2018-10-29 2018-10-29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23A KR102575779B1 (ko) 2018-10-29 2018-10-29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201911039499.6A CN111096926B (zh) 2018-10-29 2019-10-29 包含作为有效成分的直链型乳化剂、及表面有涂层的颜料的化妆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23A KR102575779B1 (ko) 2018-10-29 2018-10-29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13A true KR20200048113A (ko) 2020-05-08
KR102575779B1 KR102575779B1 (ko) 2023-09-11

Family

ID=7042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23A KR102575779B1 (ko) 2018-10-29 2018-10-29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5779B1 (ko)
CN (1) CN1110969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997B (zh) * 2021-07-02 2023-04-11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抗黯沉组合物、抗黯沉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8550A1 (en) * 2006-04-25 2007-10-25 L'oreal Cosmetic emulsions containing uncoated silicone elastomers and non silicone treated pigments
US20090185984A1 (en) * 2006-05-01 2009-07-23 Sensient Colors Inc. Colorants surface treated with urethan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40069916A (ko)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생체친화성 고분자로 코팅된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1248A (ko) * 2014-08-28 2017-03-20 로레알 실리콘 계면활성제, 실리콘 엘라스토머 분말 및 유기-변형된 클레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11091A (ko) * 2015-05-29 2018-01-31 로레알 수분 방출 효과를 갖는 고형의 실리콘유중 수형 조성물
KR20180029480A (ko) 2016-09-12 2018-03-21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874A (ko) * 2014-05-29 2017-01-16 에버레디 배터리 컴파니, 인크. 개선된 피부 외관을 위해 색상 유지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EP3909562A3 (en) * 2014-07-11 2022-01-26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lip
CN105982832B (zh) * 2015-03-05 2021-06-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8550A1 (en) * 2006-04-25 2007-10-25 L'oreal Cosmetic emulsions containing uncoated silicone elastomers and non silicone treated pigments
US20120237463A1 (en) * 2006-04-25 2012-09-20 L'oreal Cosmetic emulsions containing uncoated silicone elastomers and non silicone treated pigments
US20090185984A1 (en) * 2006-05-01 2009-07-23 Sensient Colors Inc. Colorants surface treated with urethan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40069916A (ko)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생체친화성 고분자로 코팅된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1248A (ko) * 2014-08-28 2017-03-20 로레알 실리콘 계면활성제, 실리콘 엘라스토머 분말 및 유기-변형된 클레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11091A (ko) * 2015-05-29 2018-01-31 로레알 수분 방출 효과를 갖는 고형의 실리콘유중 수형 조성물
KR20180029480A (ko) 2016-09-12 2018-03-21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779B1 (ko) 2023-09-11
CN111096926B (zh) 2023-08-25
CN111096926A (zh)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6989B2 (en) Preparation, in particular cosmetic prepa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20080292668A1 (en) Water-Free Cosmetic Preparation
US20070104677A1 (en) Preparation in the form of an emulsion
KR20130030092A (ko)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5219142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60077756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0119140A (ja) まつ毛用化粧料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6423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7114803A (ja) 水系メイクアップ化粧料
US9931293B2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KR20210038006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79B1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6942553A (zh) 一种含β-折叠蚕丝蛋白的彩妆组合物
KR20190002810A (ko) 수분산 제형의 액상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US10470989B2 (en) Surface-treated powder using theanine,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same
KR20050013680A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78B1 (ko) 고함량의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저점도 수중유형 조성물
JP3652843B2 (ja) 凹凸補正用組成物
KR102289867B1 (ko) 화장품용 실리콘 프리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KR2018006214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00114B1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7655A (ko)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89B1 (ko)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