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874A - 개선된 피부 외관을 위해 색상 유지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피부 외관을 위해 색상 유지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874A
KR20170005874A KR1020167036554A KR20167036554A KR20170005874A KR 20170005874 A KR20170005874 A KR 20170005874A KR 1020167036554 A KR1020167036554 A KR 1020167036554A KR 20167036554 A KR20167036554 A KR 20167036554A KR 20170005874 A KR20170005874 A KR 20170005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polymer
agent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우-잉 황
그레이스 리카르디
Original Assignee
에버레디 배터리 컴파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디 배터리 컴파니, 인크. filed Critical 에버레디 배터리 컴파니,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0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8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물에 노출된 이후 향상된 내수성,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본 조성물은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구성요소, 피부 점착 촉진제 구성요소, 색상 개선제 구성요소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들의 시너지는 본 조성물의 개선된 특성에 기여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피부 외관을 위해 색상 유지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WITH ENHANCED COLOR RETENTION FOR IMPROVED SKIN APPEARANCE}
본 출원은 2014년 5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62/004,546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것의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A. 연구 분야
본 발명은 개선된 내수성, 색상 강도, 색상 유지력 및 피부 촉감으로 피부 외관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 배경 정보
바쁜 소비자들은 일광 차단 능력, 우수한 색상 강도, 우수한 색상 유지력, 내수성 및/또는 땀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선호하는 한편, 피부에 촉감이 좋은 제품을 요구한다. 전통적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이 향상된 품질들 중 다수를 제공하지만,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반복 사용한 경우 조성물이 제공하는 촉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피부 상에서 우수한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을 가지지만 내수성이 불충분할 수 있다. 또는, 조성물이 우수한 내수성 및 일광 차단 능력을 갖추지만 촉감이 불량하여, 최대 일광 차단 능력을 충분히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소비자의 순응도가 낮아질 수 있다.
에멀젼화제는 종종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촉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에멀젼화제는 유중수(w/o) 또는 수중유(o/w)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에멀젼을 안정화시킨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상 스포츠 또는 수상 레저 활동을 즐기는 경우 에멀젼화제는 수분으로 쉽게 재 에멀젼화되어 조성물의 내수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착색제가 옷이나 타월로 쉽게 번질 수 있다. 따라서, 물로 활성제 또는 착색제를 세척해야 하므로, 제품들이 명시된 기능성을 제공하기가 힘들어진다. 필름 형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불수용성 구성요소를 제형화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때문에 활성제 및 착색제 둘 다에 요구되는 필름 형성제의 농도는 매우 높다. 높은 농도의 필름 형성제는 끈적거리고 도포 중에 펴 바르기 어려워서 우수한 촉감을 손상시킨다. 하지만, 우수한 촉감을 달성하기 위한 필름 형성제의 농도는 물과 접촉한 후에는 피부 상에서의 활성 또는 색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없다.
또한, 소비자가 착색제가 들어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그들은 조성물이 물에 노출된 이후에도 우수한 색상 강도 및 우수한 색상 유지력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발명은, 제1 양태에서,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구성요소; 피부 점착 촉진제 구성요소; 색상 개선제 구성요소;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디메틸롤 프로피온산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2; 폴리우레탄-34; 폴리우레탄-35; 폴리우레탄-48;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PVP 크로스폴리머; 말토덱스트린/VP 코폴리머; 부틸화된 PVP 코폴리머; VP/폴리카르바밀폴리글리콜 에스터; 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VP/디메티코닐-아크릴레이트/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이다.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피부 점착 촉진제는 소수성, 친수성 또는 이것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피부 점착 촉진제가 소수성인 경우,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릴-2 디아이소스테아레이트/IPDI 코폴리머; 글리세릴 디리시놀레에이트/IPDI 코폴리머; 프로필렌 글리콜 디리시놀레에이트/IPDI 코폴리머; 디메티코놀/IPDI 코폴리머 (및) 사이클로메티콘; -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PPG-12/SMDI 코폴리머; 아디프산/디글리콜 크로스폴리머; 트리메틸펜탄디올/아디프산/글리세린 크로스폴리머; 폴리에스터-10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헥사데센 코폴리머,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트리콘타닐 PVP; 아이소도데칸 중 아크릴산/아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아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아이소도데칸; 아이소도데칸 중 베헤닐 메타크릴레이트/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사이클로펜타디엔; 페트롤라툼(petrolatum)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피부 점착 촉진제가 친수성인 경우,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PEG-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글리세레스-7/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IPDI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점착 촉진제는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피부 점착 촉진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조성물의 색상 개선제는 실리콘 물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물질는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fumed)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리콘 레진은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실리콘 레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 C30-45 알킬 디메틸실릴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디메티콘 (및) 폴리실리콘-11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및) 세테아릴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및)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스테아르옥시메티콘/디메티콘 코폴리머; 디메티콘 (및) 비닐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색상 개선제는 또한 수화된 실리카, 흄드 실리카, 발열성 실리카,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에 대한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는 약 1:50 내지 약 1:0.05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henna), 캐러멜(caramel), 아욱 추출물, 히비스쿠스(hibiscus) 추출물, 티로신, 녹차(green tea),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인삼, 에리트룰로스, 산화철, 안나토(annatto), 군청색 색소, 베타-카로틴, 카민,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D&C 수용성 염료, 비스머스 화합물, FD&C 수용성 염료, 구리 분말, 구아닌, 호두 추출물, 산화철, 운모 및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운모, 펄(pearl) 색소, 진주 광택 색소 및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p-아미노벤조산 및 이것의 유도체;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벤조페논; 수산기-치환된 벤조페논; 메톡시-치환된 벤조페논; 벤조포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6; 벤조페논-8; 벤조페논-12; 메톡시신남메이트; 에틸 디하이드록시프로필-p-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p-아미노벤조에이트; 호모살레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디메틸-p-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 메톡시신남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2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캄포(camphor); 적색 페트롤라툼,3-(4-메틸벤질리딘)보란-2-원(메틸벤진딘캄포); 벤조트리아졸; 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 페놀; 아보벤존; 4-아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옥티살레이트; 옥시벤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 트리아진; 4-아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금속 산화물; 산화아연; 옥틸트리에톡시 실라놀;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트리에톡시 실란;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점착 촉진제;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아보벤존; 옥시벤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옥틸트리에톡시 실라놀; 트리에톡시실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알루미나;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옥토크릴렌, 아보벤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4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3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점착 촉진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광활성제에 대하여 약 1:150 내지 약 1:0.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점착 촉진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광활성제에 대하여 약 1:80 내지 약 1: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색상 개선제는 착색제에 대하여 약 1:50 내지 약 1:0.05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색상 개선제는 착색제에 대하여 약 1:10 내지 약 1:0.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색상 개선제는 착색제에 대하여 약 1:4 내지 약 1:0.4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아욱 추출물, 히비스쿠스 추출물, 티로신, 녹차,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인삼, 에리트룰로스, 제2 철 화합물(산화철 포함), 안나토, 군청색 색소, 베타-카로틴, 카민,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D&C 수용성 염료, 비스머스 화합물, FD&C 수용성 염료, 구리 분말, 구아닌, 호두 추출물, 산화철, 운모,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운모, 펄 색소, 진주 광택 색소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2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4 내지 30의 SPF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점착 촉진제;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피부 점착 촉진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색상 개선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구체예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오일, 스테롤, 아미노산, 모이스쳐라이저(moisturizer), 분말, 착색제, pH 조정제, 향수, 에센셜 오일, 화장용 활성 성분, 비타민, 필수 지방산, 스핑고지질, 셀프 태너(self-tanner), 부형제, 충전제, 에멀젼화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트화제, 겔화제, 증점제, 연화제, 보습제, 모이스쳐라이저, 미네랄, 점도 개질제, 유동성 개질제, 각질 용해제, 레티노이드, 호르몬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산, 알파-케토산, 항-마이코박테리아제, 항진균제, 항미생물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항알레르기제,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자극방지제, 항신생물제, 면역 시스템 촉진제, 면역 시스템 저해제, 항여드름제, 마취제, 방부제, 방충제, 피부 냉각 화합물, 피부 보호제, 피부 침투 증진제, 박피제, 윤활제, 방향제, 착색제, 염색제, 탈색제, 색소 침착 저하제, 보존제, 안정화제, 약제, 광안정화제 및 구형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4의 SPF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8의 SPF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15의 SPF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30의 SPF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1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4 내지 30의 SPF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점착 촉진제;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또는 스프레이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셀프 태너는 또한 그 안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설명 및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모든 농도는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량 퍼센트 단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절한 경우, 성분/구성요소의 INCI(국제 화장품 성분명)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물에 노출된 이후에도 우수한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과 함께 개선된 피부 촉감 및 외관을 가지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 본 조성물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개의 구성요소의 예상치 못한 시너지 효과는 함께 피부 외관이 계속해서 향상되도록 물에 노출된 이후에도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을 보존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장점은 내구성, 내이전성, 내수성, 색상 강도 및 쾌적한 착용감이다. 본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또는 스프레이와 같이 다른 제형을 제공하도록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필름 형성제는 기계적인 힘, 즉 러빙(rubbing)에 의해 활성 성분 및 착색제가 피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름 형성제는 또한 활성제 및 착색제가 쉽게 씻겨나가지 않도록 최종 조성물의 내수성에 기여한다.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서, 필름 형성제는 내수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필름 형성제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는 적합한 폴리머의 예이지만, 이는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필름 형성제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예를 들어 에멀젼 폴리머화에 의해 얻어진 것들, 더 구체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세틸-에이코시닐 메타크릴레이트의 모노머로부터 폴리머화된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PPG-17/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IPDI)/디메틸롤 프로피온산(DMPA)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성 폴리우레탄 폴리머 분산액, 예를 들어 아디프산,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헥사메틸렌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 디아민, N-(2-아미노에틸)-3-아미노에탄설폰산의 폴리머화된 모노머의 나트륨 염인 폴리우레탄-34;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 디아민, N-(2-아미노에틸)-3-아미노에탄설폰산의 폴리머화된 모노머의 나트륨 염인 폴리우레탄-32; 아디프산,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 디아민, N-(2-아미노에틸)-3-아미노에탄설폰산의 폴리머화된 모노머의 나트륨 염인 폴리우레탄-35; 및 아디프산,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프론 디아민, N-(2-아미노에틸)-3-아미노에탄설폰산의 폴리머화된 모노머의 나트륨 염인 폴리우레탄-48이 있다. 또한, 비닐피롤리돈(VP)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크로스폴리머, 코폴리머 및/또는 인터폴리머, 예를 들어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PVP 크로스폴리머; 말토덱스트린/VP 코폴리머; 부틸화된/PVP 코폴리머; VP/폴리카르바밀폴리글리콜 에스터; 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및 VP/디메티코닐-아크릴레이트/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가 유용하다. 당업자는 상기 필름 형성제가 최종 화장료 조성물의 원하는 성질을 달성하도록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필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 바람직한 필름 형성제는 Ashland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ALLIANZ® OPT;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SOLTEX® OPT PG; Lubrizol Corp.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AVALURE® UR 450; Alzo International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POLYDERM® PPG-17; Bayer Material Science LL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BAYCUSAN®; 및 Phoenix Chemical,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PECOGEL®이다.
필름 형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0.01 내지 약 30.0 중량%의 양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존재하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필름 형성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는 피부 점착 촉진제를 더 포함한다. 피부 점착 촉진제는 이론적으로 활성제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머 네트워크 내에 활성 성분을 포집한다. 피부 점착 촉진제는 또한 필름 형성제를 연화시키는 가소화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최종 화장료 조성물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름 형성 구성요소와 시너지 작용한다. 제형의 다른 구성요소에 따라, 피부 점착 촉진제는 소수성, 친수성, 또는 둘 다의 조합일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언급된 피부 점착 촉진제가 최종 화장료 조성물의 원하는 성질을 달성하도록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소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 폴리머는 지방산 및 IPDI의 모노머의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코폴리머의 예는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릴-2 디아이소스테아레이트/IPDI 코폴리머; 글리세릴 디리시놀레에이트/IPDI 코폴리머; 프로필렌 글리콜 디리시놀레에이트/IPDI 코폴리머; 디메티코놀/IPDI 코폴리머 (및) 사이클로메티콘;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유용한 포화된 메틸렌 디페닐디아이소시아네이트(SMDI) 코폴리머는 PPG-12/SMDI 코폴리머일 수 있다. 아디프산 모노머의 특정 크로스폴리머가 또한 유용하다. 아디프산 모노머의 상기 크로스폴리머의 예는 아디프산/디글리콜 크로스폴리머; 및 트리메틸펜탄디올/아디프산/글리세린 크로스폴리머이다. 소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는 또한 폴리에스터, 예를 들어 연화제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와 결합된 폴리에스터-10(본원에서 폴리에스터-10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로 불림), 또는 연화제로서 네오펜틸 글리콜 폴리에스터와 결합된 폴리에스터-7(본원에서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로 불림)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점착 촉진제로서 유용한 다른 코폴리머는 VP 또는 PVP 코폴리머, 예를 들어 VP/헥사데센 코폴리머, VP/에이코센 코폴리머, 및 트리콘타닐 PVP; (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예를 들어 아이소도데칸 중 아크릴산/아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아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아이소도데칸, 또는 베헤닐 메타크릴레이트/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이것들의 코폴리머;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사이클로펜타디엔일 수 있다. 겔 폴리머, 예를 들어 페트롤라툼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가 또한 본원에서 고려된다.
바람직한 소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 폴리머는 개별적으로 Alzo International Inc.의 POLYDERM® PPI-PE로서 이용 가능한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Inolex Chemical Company의 LEXFILM® Sun으로서 이용 가능한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Ashland Inc.의 GANEX®/ANTARON® V-220/V-220F로서 이용 가능한 VP/에이코센 코폴리머; NOF Corp의 PARLEAM® Gel로서 이용 가능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친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는 IPDI 코폴리머, 예를 들어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PEG-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글리세레스-7/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IPDI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및 폴리우레탄-18; 개별적으로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친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 폴리머는 Alzo International Inc.의 POLYDERM® PPI-SI-WS로서 이용 가능한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및 또한 Alzo International의 POLYDERM PE/PA로서 이용 가능한 폴리우레탄-18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점착 촉진제는 약 1:150 내지 약 1:0.1의 화장료 조성물의 광활성제에 대한 피부 점착 촉진제의 중량비, 및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약 1: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또는, 피부 점착 촉진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15.0 중량%의 양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 개선제를 더 포함한다. 색상 개선제는 개선된 색상 강도를 위해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착색제의 균일한 분포를 촉진하고, 착색제가 러빙 또는 피부에서 옷 및 다른 기질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색상 개선제는 화장료 제형 내에서 착색제의 향상된 습윤을 제공한다. 색상 개선제는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리콘-기반 색상 개선제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바람직한 색상 개선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의 코폴리머 또는 크로스폴리머,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 C30-45 알킬 디메틸실릴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한다. 디메티콘 코폴리머 또는 크로스폴리머, 예를 들어 디메티콘 (및) 폴리실리콘-11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및) 세테아릴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및)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스테아르옥시메티콘/디메티콘 코폴리머; 및/또는 디메티콘 (및) 비닐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가 모두 고려된다. 색상 개선제로서 유용한 실리카는 수화된 실리카, 흄드 실리카, 발열성 실리카, 및/또는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올린이 또한 색상 개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색상 개선제가 원하는 성질의 최종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사실이다.
바람직한 색상 개선제는 Wacker Chemie AG의 BELSIL®로서 이용 가능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또는 Dow Corning 및 다른 공급자들의 레진의 MQ 라인; Dow Corning의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또 다른 MQ 레진; Grant Industries Inc의 GRANSIL® DMG-3로서 이용 가능한 디메티콘 (및) 폴리실리콘-11이다. 바람직한 실리카는 Cabot Corp.의 CAB-O-SIL® 또는 WR Grace & Company의 SYLOID®로서 이용 가능하다.
색상 개선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약 1:0.05의 착색제에 대한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색제에 대한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는 약 1:10 내지 약 1:0.1의 범위에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비는 약 1:4 내지 약 1:0.4의 범위에 있다. 또는, 색상 개선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착색제는 피부 외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다양한 색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착색제는, 특히 화장료 조성물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헤나, 캐러멜, 아욱 추출물, 히비스쿠스 추출물, 티로신, 녹차,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인삼, 에리트룰로스, 제2 철 화합물(산화철 포함), 안나토, 군청색 색소, 베타-카로틴, 카민,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D&C 수용성 염료, 비스머스 화합물, FD&C 수용성 염료, 구리 분말, 구아닌, 호두 추출물, 산화철, 운모, 및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나, 캐러멜, 운모, 펄 색소, 진주 광택 색소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진주 광택 색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흰색 진주 광택 색소,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로 덮여있는 운모; 유색 진주 광택 색소, 예를 들어 산화철로 산화티타늄-코팅된 운모, 페릭 블루(ferric blue) 또는 산화크롬으로 산화티타늄-코팅된 운모; 또는 상기 언급된 유형의 유기 색소 및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기반의 진주 광택 색소로 산화티타늄-코팅된 운모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착색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다른 활성 또는 비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오일, 스테롤, 아미노산, 모이스쳐라이저, 분말,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활성제, 착색제(색소 및/또는 염료 포함), pH 조정제, 향수, 에센셜 오일, 화장용 활성 성분, 비타민, 필수 지방산, 스핑고지질, 셀프 태닝 화합물,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아세톤(DHA) 및 에리트룰로스, 자외선 차단제, 부형제, 충전제, 에멀젼화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겔화제, 증점제, 연화제, 보습제, 모이스쳐라이저, 미네랄, 점도 및/또는 유동성 개질제, 각질 용해제, 레티노이드, 호르몬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산, 알파-케토산, 항-마이코박테리아제, 항진균제, 항미생물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항알레르기제, H1 또는 H2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자극방지제, 항신생물제, 면역 시스템 촉진제, 면역 시스템 저해제, 항여드름제, 마취제, 방부제, 방충제, 피부 냉각 화합물, 피부 보호제, 피부 침투 증진제, 박피제, 윤활제, 방향제, 착색제, 염색제, 탈색제, 색소 침착 저하제, 보존제, 안정화제, 약제, 광안정화제, 구형 분말 및 이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다른 선택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방향제; 식물 추출물; 흡착제; 증점제/유동성 개질제; 살리실산; 알파 및 베타 하이드록시산; 비타민 A, C, 및 E를 포함하는 비타민; 레티놀 및 그것의 유도체; 보존제; 또는 이것들의 어떠한 혼합물도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예시적 구체예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30.0 중량%의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에 대한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0 내지 약 1:0.05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약 0.0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에 대한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10 내지 약 1:0.1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는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필름 형성제; 약 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에 대한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4 내지 약 1:0.4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자외선의 해로운 영향을 흡수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광활성제는 피부에 도포될 경우 비-독성 및 비-자극성이어야 한다.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광활성제는 p-아미노벤조산 및 이것의 유도체;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벤조페논; 수산기-치환된 벤조페논; 메톡시-치환된 벤조페논; 벤조포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6; 벤조페논-8; 벤조페논-12; 메톡시신남메이트; 에틸 디하이드록시프로필-p-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p-아미노벤조에이트; 호모살레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디메틸-p-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 메톡시신남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2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캄포; 적색 페트롤라툼, 3-(4-메틸벤질리딘)보란-2-원(메틸벤진딘캄포); 벤조트리아졸; 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 페놀; 아보벤존; 4-아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티살레이트; 옥시벤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 트리아진; 4-아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금속 산화물; 산화아연; 옥틸트리에톡시 실라놀;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트리에톡시 실란; 및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자외선 차단제는 아보벤존, 벤조페논-3, 옥틸 메톡시신남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산화아연, 옥토크릴렌, 이산화티타늄,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다. 하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40.0 중량%으로 본 조성물에 포함된다. 조성물 내 광활성제의 양 및 유형은 원하는 자외선 차단 지수(SPF)에 따라 상기 범위에서 달라질 것이다. SPF가 높을수록, 광활성제의 총량이 더 많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2 내지 약 50의 SPF를 달성하기 위해 약 1 중량% 내지 약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 0.1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필름 형성제;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폴리우레탄-18,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피부 점착 촉진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레진, 디메티콘 (및) 폴리실리콘-11, 흄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최대 80분 동안 우수한 내수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필름 형성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색상 개선제; 및 약 2.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포함하는, SPF 4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광활성제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필름 형성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색상 개선제; 및 약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포함하는, SPF 8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광활성제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필름 형성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색상 개선제; 및 약 8.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포함하는, SPF 15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광활성제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필름 형성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피부 점착 촉진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색상 개선제; 및 약 13.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포함하는, SPF 30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광활성제는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셀프 태너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업계에 공지된 기술 및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수용성 성분, 예를 들어 증점제, 킬레이트화제, 보습제, pH 조정제,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친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 및/또는 수용성 활성제가 주요 용기에 배치된다. 이 수상은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되고 약 80℃로 가열된다. 별도의 용기에서, 유용성 성분, 예를 들어 용제, 연화제, 에멀젼화제, 에멀젼 안정화제, 보존제, 소수성 피부 점착 촉진제, 및/또는 광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용성 활성제가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되고 약 80℃로 가열된다. 유상은 수상에 첨가되어, 균일해질 때까지 5분 동안 균질화되고, 수득한 혼합물은 실온으로 냉각된다. 냉각 중에, 나머지 성분들이 그 안에서 혼합된다. 열 민감성인 성분들은 이 시점에 첨가된다.
그 이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알콜-기반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또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적합한 다른 허용 가능한 담체로서 제형화되고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 및 비교 제형의 하기 테스트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의 시너지 효과가 함께 작용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을 개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상체의 아래팔 피부의 초기 컬러 리딩(color reading)은 국제 조명 위원회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또는 CIE)(1976)에 의해 정의된 명도, L*, 및 표색계 a* 및 b*를 특징으로 하는 색공간에서 플롯팅된 수치로 표시되는 세 개의 센서가 장착된 Konica Spectrophotometer CM-2600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초기 리딩은 각 대상체에 대한 베이스라인이다.
각 샘플 25 밀리그램을 대상체의 아래팔에서 4 cm 직경의 원형 테스트 부위 내에 가볍게 펴 발랐다. 샘플을 피부 상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2 리딩, ΔE1을 취했는데, 이는 베이스라인과 샘플 도포 후 간의 색 차이를 나타낸다. 도포 후 우수한 색상 강도를 나타내는 샘플은 플러스 기호 "+"로 표시된다. 원 데이터를 스튜던트 t-테스트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이후, 테스트 부위를 습성-러브 방법에 적용하여 물에 노출 후 인간 피부에서의 샘플의 색상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이 방법은 물에 노출된 도포 부위의 영향을 시뮬레이션한다. 초기 도포가 건조된 후, 수돗물 약 250 mL을 사용하여 테스트 부위를 완전히 적셨다. 종이 타월을 젖은 테스트 부위 위에 올려놓고, 2 파운드의 허리/각도 중량으로 미리 감싸진 페인트 롤러(6 인치 x ¾ 인치 냅(nap))를 종이 타월 위에서 굴려서, 아래팔 테스트 부위와 종이 타월 사이의 마찰을 생성하였다. 앞뒤로 20번 굴린 다음, 제3 리딩, ΔE2를 취했는데, 이는 초기 도포와 습성 러브 후 간의 색상의 차이를 나타냈다. 초기 도포 후와 습성 러브 후의 색상 강도를 비교한 경우, 우수한 색상 유지력을 나타내는 샘플은 플러스 기호 "+"로 표시된다. 원 데이터를 스튜던트 t-테스트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 기본 제형 A를 제조하였다. 기본 제형 A의 구성요소는 하기 표 I에서 나열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개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여 테스트한 다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같은 조성물에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가 존재할 경우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I-기본 제형 A-로션
구성요소 wt% *
탈염수 QS. 내지 10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2 내지 0.4
이나트륨 EDTA 0.05 내지 0.2
글리세린 1.0 내지 4.0
수산화 나트륨 0.08 내지 0.2
디아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1.0 내지 3.0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0 내지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0
세틸 알콜 0.1 내지 2.0
버터 0.1 내지 1.0
옥토크릴렌 1.0
아보벤존 0.5
캐러멜 및 펄 0.1 내지 5.0
페녹시에탄올, 메틸 및 프로필 파라벤 0.3 내지 1.5
비타민 0.01 내지 0.1
식물성 추출물 및 분말 0.1 내지 2.0
방향제 0.25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표 II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본 조성물로서 기본 제형 A를 사용하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개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샘플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샘플 7은 기본 제형에서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 시너지 효과가 확인된 본 발명의 조성물이다.
표 II - 로션 샘플
샘플 # 구성요소
1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2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 7 중량%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3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 7 중량%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4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7 중량%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CE)
5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 3.5 중량%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3.5 중량% 트리메틸실로실리케이트
6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 3.5 중량%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3.5 중량%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7 기본 제형 A
+ 6 중량% 스노우화이트 페트롤라툼 USP
+ 3.5 중량%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2.5 중량% 트리메틸실로실리에이트
+ 1 중량%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21 C.F.R. §352.72(a)에 따라 내수성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샘플 1 내지 7은 2011 미국 식품 의약국(FDA)의 내수성 가이드라인을 80분 동안 충족하였거나 초과하였다.
어떤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색상 개선제도 함유하지 않는 기본 제형 A 로션, 대조군은 습성 러브 후 불량한 초기 색상 강도 및 추후 불량한 색상 유지력을 나타냈다. 샘플 1, 3, 4 및 6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부 색상 및 색상 유지력의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지 않았다. 샘플 2 및 5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습성 러브 이후 색상 강도의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색상 유지력의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단지 샘플 7, 본 발명의 조성물만이 대조군의 성능과 비교하여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 둘 다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스튜던트 t-테스트에 의해 p < 0.05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2 제형, 기본 제형 B를 제조하였다. 기본 제형 B, 저점도 스프레이 로션의 구성요소는 하기 표 III에서 나열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개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샘플을 제조한 다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같은 조성물에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가 존재할 경우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III - 기본 제형 B - 저점도 스프레이 로션
구성요소 wt% *
탈염수 QS. 내지 100
잔탄 검 0.1 내지 1.0
오렌지 섬유 0.3 내지 1.0
이나트륨 EDTA 0.05 내지 0.2
글리세린 0.5 내지 4.0
수산화 나트륨 0.01 내지 0.2
디아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1.0 내지 3.0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0 내지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0
세틸 알콜 0.1 내지 2.0
옥티살레이트 2.0
옥토크릴렌 1.4
아보벤존 1.2
캐러멜 및 펄 0.1 내지 5.0
페녹시에탄올, 메틸 및 프로필 파라벤 0.5 내지 1.6
코코아 분말 0.1 내지 2.0
방향제 0.25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표 IV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본 제형 B를 사용하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개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샘플 8 및 9를 제조하였다. 샘플 10은 기본 제형에서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본 발명의 조성물이다.
표 IV - 스프레이 로션 샘플
샘플 # 구성요소
8 기본 제형 B
+ 7 중량% VP/에이코센 코폴리머
9 기본 제형 B
+ 7 중량% PPG-17/IPDI/DMPA 코폴리머
10 기본 제형 B
+ 3.5 중량%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2.5 중량% 트리메틸실로실리에이트
+ 1 중량%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21 C.F.R. §352.72(a)에 따라 내수성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샘플 10은 2011 미국 식품 의약국(FDA)의 내수성 가이드라인을 80분 동안 충족하였거나 초과하였다.
Figure pct00002
*스튜던트 t-테스트에 의해 p < 0.05
샘플 1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샘플 8 및 9 둘 다에 비해 초기 색상 강도 및 습성 러브 이후 색상 유지력의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3 제형, 기본 제형 C를 제조하였다. 기본 제형 C, 크림 겔의 구성요소는 하기 표 V에서 나열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개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샘플을 제조한 다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같은 조성물에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가 존재할 경우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V - 기본 제형 C - 크림 겔
구성요소 wt% *
탈염수 QS. 내지 10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5 내지 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0.1 내지 1.0
이나트륨 EDTA 0.05 내지 0.2
글리세린 0.5 내지 4.0
물, 글리세린, 글리세릴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코폴리머, 프로필렌 글리콜 (및) PVM/MA 코폴리머 1.0 내지 5.0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및 물 0.5 내지 1.0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세바케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물 4.0 내지 8.0
옥티살레이트 2.0
옥토크릴렌 1.4
아보벤존 1.2
캐러멜 및 펄 0.1 내지 5.0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 글리세린 1.0 내지 2.0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표 VI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크림 겔로서 기본 제형 C를 사용하고 피부 점착 촉진제만을 포함하도록 샘플 11을 제조하였다. 샘플 12는 기본 제형에서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본 발명의 조성물이다.
표 VI - 크림 겔 샘플
샘플 # 구성요소
11 기본 제형 C
+ 7 중량% 비스-PE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12 기본 제형 C
+ 3.5 중량%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2.5 중량% 트리메틸실로실리에이트
+ 1 중량%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샘플 12,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샘플 11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색상 강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스튜던트 t-테스트에 의해 p < 0.05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서, 샘플 10과 유사하게,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저점도 제형을 또한 소비자에 의해 2주 동안 가정용 테스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156명의 소비자 중에서, 70% 이상의 응답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향상된 외관, 예를 들어 구릿빛 피부, 피부에 아름다운 광택, 자연스러워 보이는 색상, 및 줄무늬 없는 색상을 제공한다는데 동의하였다. 응답자들 중 적어도 73%는 색상이 그들의 옷에 묻어나지 않았다는데 동의하였다. 응답자들 중 75% 이상은 이 특정 제형이 촉감이 우수하고, 색감이 번들거리지 않게 하였고, 피부 톤을 개선한다는데 동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한다.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및 색상 개선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수성이고, 번들거리지 않는 색감 및 외관과 함께 개선된 색상 강도 및 색상 유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구체예와 함께 특별히 기술되는 한편, 전술된 설명을 고려하여 많은 대안, 변형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이러한 대안,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49)

  1.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피부 점착 촉진제;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디메틸롤 프로피온산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2; 폴리우레탄-34; 폴리우레탄-35; 폴리우레탄-48;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PVP 크로스폴리머; 말토덱스트린/VP 코폴리머; 부틸화된/PVP 코폴리머; VP/폴리카르바밀폴리글리콜 에스터; 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VP/디메티코닐-아크릴레이트/ 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2-22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소수성, 친수성 또는 이것들의 조합인 화장료 조성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소수성이고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IPDI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릴-2 디아이소스테아레이트/IPDI 코폴리머; 글리세릴 디리시놀레에이트/IPDI 코폴리머; 프로필렌 글리콜 디리시놀레에이트/IPDI 코폴리머; 디메티코놀/IPDI 코폴리머 (및) 사이클로메티콘;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PPG-12/SMDI 코폴리머; 아디프산/디글리콜 크로스폴리머; 트리메틸펜탄디올/아디프산/글리세린 크로스폴리머; 폴리에스터-10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헥사데센 코폴리머;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트리콘타닐 PVP; 아이소도데칸 중 아크릴산/아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아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아이소도데칸; 아이소도데칸 중 베헤닐 메타크릴레이트/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사이클로펜타디엔; 페트롤라툼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친수성이고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PEG-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마자유/IPDI 코폴리머; 글리세레스-7/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IPDI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개선제는 실리콘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1 항에 있어서, 실리콘 물질은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1 항에 있어서, 실리콘 레진은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실리콘 레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 C30-45 알킬 디메틸실릴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디메티콘 (및) 폴리실리콘-11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및) 세테아릴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및)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스테아르옥시메티콘/디메티콘 코폴리머; 디메티콘 (및) 비닐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개선제는 수화된 실리카, 흄드 실리카, 발열성 실리카,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실리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에 대한 상기 색상 개선제의 중량비는 약 1:50 내지 약 1:0.05인 화장료 조성물.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아욱 추출물, 히비스쿠스 추출물, 티로신, 녹차,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인삼, 에리트룰로스, 산화철, 안나토, 군청색 색소, 베타-카로틴, 카민,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D&C 수용성 염료, 비스머스 화합물, FD&C 수용성 염료, 구리 분말, 구아닌, 호두 추출물, 산화철, 운모 및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운모, 펄 색소, 진주 광택 색소 및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제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p-아미노벤조산 및 이것의 유도체;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벤조페논; 수산기-치환된 벤조페논; 메톡시-치환된 벤조페논;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6; 벤조페논-8; 벤조페논-12; 메톡시신남메이트; 에틸 디하이드록시프로필-p-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p-아미노벤조에이트; 호모살레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디메틸-p-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 메톡시신남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2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캄포; 적색 페트롤라툼, 3-(4-메틸벤질리딘)보란-2-원(메틸벤진딘캄포); 벤조트리아졸; 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 페놀; 아보벤존; 4-아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옥티살레이트; 옥시벤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 트리아진; 4-아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금속 산화물; 산화아연; 옥틸트리에톡시 실라놀;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트리에톡시 실란;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또는 스프레이인, 화장료 조성물.
  21. 제1 항에 있어서, 셀프 태너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점착 촉진제;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아보벤존; 옥시벤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옥틸트리에톡시 실라놀; 트리에톡시실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알루미나; 및 이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옥토크릴렌, 아보벤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4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3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7.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광활성제에 대하여 약 1:150 내지 약 1:0.1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0.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광활성제에 대하여 약 1:80 내지 약 1:1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1.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개선제는 상기 착색제에 대하여 약 1:50 내지 약 1:0.05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2.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개선제는 상기 착색제에 대하여 약 1:10 내지 약 1:0.1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개선제는 상기 착색제에 대하여 약 1:4 내지 약 1:0.4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아욱 추출물, 히비스쿠스 추출물, 티로신, 녹차,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인삼, 에리트룰로스, 제2 철 화합물(산화철 포함), 안나토, 군청색 색소, 베타-카로틴, 카민,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D&C 수용성 염료, 비스머스 화합물, FD&C 수용성 염료, 구리 분말, 구아닌, 호두 추출물, 산화철, 운모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헤나, 캐러멜, 운모, 펄 색소, 진주 광택 색소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2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7.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또는 스프레이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0. 제22 항에 있어서, 셀프 태너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1. 4 내지 30의 SPF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PG-17/IPDI/DMPA 코폴리머, 폴리우레탄-34, VP/폴리카르바밀 폴리글리콜 에스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
    폴리디에틸렌글리콜 아디페이트/아이소프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 코폴리머, 폴리에스터-7 (및)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스터, VP/에이코센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아이소부텐 (및)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비스-PPG-15 디메티콘/IPDI 코폴리머, 폴리우레탄-18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점착 촉진제;
    실리콘 레진,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코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엘라스토머 겔, 실리카, 흄드 실리카,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소수성 변형된 실리카, 수화된 실리카, 실리케이트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상 개선제; 및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2.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가능한 필름 형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3.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점착 촉진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4.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개선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5. 제41 항에 있어서,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오일, 스테롤, 아미노산, 모이스쳐라이저, 분말, 착색제, pH 조정제, 향수, 에센셜 오일, 화장용 활성 성분, 비타민, 필수 지방산, 스핑고지질, 셀프 태너, 부형제, 충전제, 에멀젼화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트화제, 겔화제, 증점제, 연화제, 보습제, 모이스쳐라이저, 미네랄, 점도 개질제, 유동성 개질제, 각질 용해제, 레티노이드, 호르몬 화합물, 알파-하이드록시산, 알파-케토산, 항-마이코박테리아제, 항진균제, 항미생물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항알레르기제,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자극방지제, 항신생물제, 면역 시스템 촉진제, 면역 시스템 저해제, 항여드름제, 마취제, 방부제, 방충제, 피부 냉각 화합물, 피부 보호제, 피부 침투 증진제, 박피제, 윤활제, 방향제, 착색제, 염색제, 탈색제, 색소 침착 저하제, 보존제, 안정화제, 약제, 광안정화제 및 구형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6.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4의 SPF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7.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8의 SPF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8.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5의 SPF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9.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0의 SPF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활성제는 약 1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167036554A 2014-05-29 2015-05-28 개선된 피부 외관을 위해 색상 유지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5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04546P 2014-05-29 2014-05-29
US62/004,546 2014-05-29
PCT/US2015/032842 WO2015184071A1 (en) 2014-05-29 2015-05-28 Cosmetic compositions with enhanced color retention for improved skin appear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874A true KR20170005874A (ko) 2017-01-16

Family

ID=5469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554A KR20170005874A (ko) 2014-05-29 2015-05-28 개선된 피부 외관을 위해 색상 유지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57658B2 (ko)
EP (1) EP3148507B1 (ko)
JP (1) JP6662539B2 (ko)
KR (1) KR20170005874A (ko)
CN (1) CN107041124B (ko)
AU (2) AU2015266930B2 (ko)
CA (1) CA2949544C (ko)
WO (1) WO20151840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726A (ko) * 2018-11-29 2020-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3625A (ko) * 2019-05-20 2020-1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필 오프 타입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KR102375282B1 (ko) * 2021-09-07 2022-03-17 주식회사 미누스토리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피부 도포시 가역적인 상전이 성질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929B2 (en) 2016-03-08 2023-04-11 Living Proof, Inc. Long lasting cosmetic compositions
DE202016107001U1 (de) * 2016-12-15 2018-03-26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Kosmetische Zubereitung in Gelform
WO2019055440A1 (en) 2017-09-13 2019-03-21 Living Proof, Inc. LONG-TERM COSMETIC COMPOSITIONS
CA3074845A1 (en) 2017-09-13 2019-03-21 Living Proof, Inc. Color protectant compositions
EP3695828A4 (en) 2017-10-10 2020-09-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SMETIC INK, INKJET INK CONTAINING IT, INK CARTRIDG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SHEET
KR101998776B1 (ko) * 2018-02-14 2019-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10543161B1 (en) * 2018-08-24 2020-01-28 L'oreal Methods for protecting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US20210386653A1 (en) * 2018-10-24 2021-12-16 Coty Inc. Cosmetic tensioning composition
KR102575779B1 (ko) * 2018-10-29 2023-09-11 (주)아모레퍼시픽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9568183A (zh) * 2018-12-27 2019-04-05 中山市美源化妆品有限公司 一种高光提亮棒及其制备方法
US11696880B2 (en) * 2019-12-31 2023-07-11 L'oreal Skin t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4103151A1 (en) * 2020-02-11 2022-12-21 Tar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s comprising desoximetasone and tazarotene
WO2022026282A1 (en) 2020-07-31 2022-02-03 L'oreal Skin tighten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13057897A (zh) * 2021-04-06 2021-07-02 上海黛芊信息科技有限公司 皮肤保护贴膜组合物及其用途
CN113350228B (zh) * 2021-06-28 2022-07-22 广州卡迪莲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改善底妆暗沉的妆前乳
CN115381755B (zh) * 2021-12-23 2023-10-27 广州花出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敏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3145518A1 (ja) * 2022-01-25 2023-08-03 株式会社Adeka コポリマー及び該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WO2023197025A1 (en) * 2022-04-14 2023-10-19 AHAY Society Pty Ltd Body adhesive
WO2023201023A1 (en) * 2022-04-15 2023-10-19 Sri International Sprayable-skin formulations
CN115089505A (zh) * 2022-07-08 2022-09-23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协同增效的成膜剂组合物及其应用
CN116509759B (zh) * 2023-06-29 2023-08-29 深圳市护家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裹活性物的油性粒子组合物以及外用皮肤制剂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7445A (en) * 1989-09-08 1992-02-11 Richardson-Vicks, Inc. Photoprotection compositions having reduced dermal irritation
AR003918A1 (es) * 1995-01-11 1998-09-30 Mary Kay Cosmetics Inc Nuevas composiciones cosmeticas que contienen sistemas de liberacion topica para agentes dermatologicamente activos, polares.
US5849275A (en) * 1995-06-26 1998-12-15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Glossy transfer 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FR2737112B1 (fr) 1995-07-28 1997-09-05 Oreal Utilisation de l'association de deux huiles particulieres dans une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et composition obtenue
US6313181B1 (en) * 1999-05-26 2001-11-06 Color Access,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optical brighteners
US6517823B1 (en) * 2000-01-27 2003-02-11 L'oreal S.A. High gloss mascara
US6696049B2 (en) * 2000-07-10 2004-0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US6576702B2 (en) * 2000-07-20 2003-06-10 Noveon Ip Holdings Corp. Plasticized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manufacturing process
US7097828B2 (en) * 2001-06-29 2006-08-29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Sunscreen formulations containing waterborne polyurethane polymers
US7108860B2 (en) * 2002-06-06 2006-09-19 Playtex Products, Inc. Sunscreen compositions
DE10301834A1 (de) * 2003-01-20 2004-07-29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verbesserter Perlglanzoptik
US7022316B2 (en) 2003-02-25 2006-04-04 L'oreal Non-pilling UV-photoprotecting sunscreen compositions
BR0308051A (pt) * 2003-12-15 2005-09-06 Natura Cosmeticos Sa Composição base para preparação de formulações multifuncionais para o cuidado e proteção da pele e cabelo
CA2599691C (en) * 2005-04-20 2014-06-10 Avon Products, Inc.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
US20070189989A1 (en) * 2006-02-16 2007-08-16 Cantwell Maggie 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ions
CN101460060A (zh) * 2006-03-01 2009-06-17 特莱斯特拉塔公司 局部治疗焦油响应性皮肤病用的组合物和方法
US20080025922A1 (en) 2006-05-31 2008-01-31 Christopher Marrs Bronzer composition
EP2054017B1 (en) * 2006-08-24 2011-10-12 Unilever PLC Photostable cosmetic compositions
FR2905068B1 (fr) * 2006-08-25 2008-10-31 Oreal Procede de maquillage des cils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US8124060B2 (en) * 2007-02-20 2012-02-28 L'oreal S.A. Compositions containing a bimodal film former and cross-linked starch
JP2009084188A (ja) * 2007-09-28 2009-04-23 Shin Etsu Chem Co Ltd 化粧料
CA2715577A1 (en) * 2008-02-15 2009-08-2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otion comprising a polypropylene glycol material
EP2110395A1 (de) * 2008-04-18 2009-10-21 Bayer MaterialScience AG Wässrige Polyurethanlösungen für Polyurethan-Systeme
JP5393197B2 (ja) * 2009-02-27 2014-01-22 株式会社コーセー 口唇化粧料
WO2010098126A1 (ja) * 2009-02-27 2010-09-02 株式会社コーセー シクロアルキル基含有アクリル系共重合体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10248102A (ja) * 2009-04-14 2010-11-04 Pola Chem Ind Inc 口唇用化粧料
US20100272658A1 (en) * 2009-04-27 2010-10-28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Enhanced efficiency of sunscreen compositions
WO2011039160A2 (en) * 2009-10-01 2011-04-07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rmal protection of hair
BR112012008811B1 (pt) * 2009-11-06 2021-03-02 Avon Products, Inc método para prevenir ou reduzir a aparência de frizzy de cabelo
WO2011100278A1 (en) * 2010-02-09 2011-08-18 Md Solarsciences Corp. Sunscreen composition with improved aesthetic properties
WO2011100275A1 (en) * 2010-02-09 2011-08-18 Md Solarsciences Corp. High spf sunscreen compositions
EP2575748B1 (en) * 2010-05-25 2018-04-11 Unilever N.V. Sunscreen composition
EP2426101A1 (de) * 2010-08-05 2012-03-07 Cognis IP Management GmbH Kosmetische Zubereitungen
EP2663280A2 (en) * 2011-01-10 2013-11-20 Dow Corning France SAS Topical compositions
US20130243834A1 (en) * 2012-03-19 2013-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ross linked silicone copolmyer networks in a thickened aqueous phase
JP5972675B2 (ja) * 2012-06-07 2016-08-17 花王株式会社 ノンエアゾールフォーマー容器入り整髪剤
US8691192B1 (en) 2012-12-19 2014-04-08 L'oreal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filt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726A (ko) * 2018-11-29 2020-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3625A (ko) * 2019-05-20 2020-1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필 오프 타입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KR102375282B1 (ko) * 2021-09-07 2022-03-17 주식회사 미누스토리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피부 도포시 가역적인 상전이 성질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6861A (ja) 2017-06-22
US20150342845A1 (en) 2015-12-03
CN107041124B (zh) 2020-06-09
US11857658B2 (en) 2024-01-02
AU2020250305A1 (en) 2020-11-05
CA2949544C (en) 2023-02-28
CA2949544A1 (en) 2015-12-03
EP3148507A1 (en) 2017-04-05
CN107041124A (zh) 2017-08-11
EP3148507B1 (en) 2019-07-10
AU2015266930B2 (en) 2020-07-16
EP3148507A4 (en) 2017-05-10
WO2015184071A1 (en) 2015-12-03
AU2015266930A1 (en) 2016-12-01
JP6662539B2 (ja) 2020-03-11
AU2020250305B2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50305B2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enhanced color retention for improved skin appearance
AU2008281460B2 (en) Continuous spray sunscreen compositions
US8128919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
EP2969017B1 (en) Long-wearing glossy lipcolor
US20070196295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ions
EP0827390A1 (en) Smear-resistant cosmetic
US20140154195A1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ite Strawberry Extract
US20220323334A1 (en) Light aesthetic sunscreen compositions
US7854925B2 (en) Use of solubilized, anionic polyurethanes in skin care compositions
US8021674B2 (en) Cosmetic gel product on the basis of oils and gelling agents
US10639259B2 (en) Water-based cosmetic compositions
AU2014251296A1 (en) Synergistic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KR20210032451A (ko) 피부 케어 조성물
EP3443948A1 (en) 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and us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