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630A -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 Google Patents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630A
KR20140052630A KR1020120118968A KR20120118968A KR20140052630A KR 20140052630 A KR20140052630 A KR 20140052630A KR 1020120118968 A KR1020120118968 A KR 1020120118968A KR 20120118968 A KR20120118968 A KR 20120118968A KR 20140052630 A KR20140052630 A KR 2014005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ating
coating material
resin
cor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546B1 (ko
Inventor
정기성
강훈희
정은주
김효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8858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526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켄즈
Priority to KR102012011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5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130~210℃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 원사, 및 이의 외피에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사는, 직물 제조시 텐터 및 건조 공정에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열적 융착을 유발하고,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수축율 차이를 줄여주어, 절단면에서의 퍼징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블라인드, 바닥재, 또는 기타 아웃도어/인테리어용 소재로 사용될 경우 우수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ANTI-FUZZING COATING YARN AND WOVEN FABRICS THEREFROM}
본 발명은 바닥재 등에 원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코팅사 및 이의 직물에 관한 것이다.
코팅사 섬유는 코어 원사에 플라스틱 소재를 코팅한 코팅사를 이용하여 정경, 제직, 및 텐타를 거쳐 제조되는 산업용 섬유로서, 수년 동안 블라인드와 같은 산업용 섬유로 사용되어 왔다. 이 때, 코어 원사로는 폴리에스테르 소재가 탄성이 우수하고 주름이 잘 잡히지 않으며 형태 견지성과 고강도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이유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장강도 및 가격을 고려하여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코팅 소재로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의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폴리염화비닐(PVC)을 압출코팅한 섬유는 탄성이 우수하고 주름이 잘 생기지 않으며, 형태 견지성, 항균성, 색상 적용성 등이 우수하여, 블라인드, 벽지, 바닥재 또는 생활용, 데코용, 전자제품용 및 가구용의 섬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코팅사 섬유는 통상적으로 산업용에 적합한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강도 PET 원사에 300~1100 m/min의 코팅속도를 발휘하는 압출 코팅기를 이용하며 난연성, 방염성, 항균성 및 기타 기능성을 부가하여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79896호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피에 PVC 등의 고분자 물질과 함께 가소제와 난연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코팅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코팅사 섬유는 제조시의 압출 코팅 공정 또는 직물로 제조시에 텐터(tenter) 공정 중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장력에 의해 코팅 소재의 수축율이 코어 원사보다 높아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 원단을 절단할 경우 코팅 소재가 보유하고 있던 잠재적인 물리적 수축으로 인해 코팅 소재가 코어 원사보다 더 많이 수축하여 코어 원사가 코팅 소재 밖으로 돌출되는 현상인 일명 퍼징 현상(fuzzing effect)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퍼징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심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블라인드 등으로 사용될 경우 인테리어의 외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바닥재로 사용시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퍼징 현상은 더욱 심화되어 보기에 좋지 않다.
이러한 퍼징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7,326,661호에서는 코어 원사로서 폴리에스테르 대신 유리섬유(fiber glass), 석영(quartz), 이산화규소(silica), 알루미늄옥사이드(aluminum oxide) 등과 같은 세라믹 섬유를 사용하여 PVC 수지 코팅을 통해 코팅사를 제조한 뒤 제직한 직물 원단을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 등을 거쳐 바닥재를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바닥재는 일정한 규격으로 커팅을 한 뒤 절단면을 문지를 경우에 삐져나온 실에 들어있는 유리 또는 세라믹 성분이 부서지면서 절단면이 쉽게 깨끗해질 수 있지만, 반면에 유리섬유 조각이 밖으로 노출되어 작업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생물학적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79896호 (주식회사 알켄즈) 2005.08.11. 미국 특허 제7,326,661호 (Chilewich LLC.) 2008.02.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코어 원사 및 이의 외피에 코팅된 코팅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사로서, 상기 코어 원사가 130 내지 210 ℃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 소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사가 직조되어 이루어진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사는 저융점 및 고수축율의 코어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 제조시 텐터 및 건조 공정에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열적 융착으로 인해 물리적 표면 접착을 증대시킴으로써 원단의 절단 후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수축율 차이를 줄여주어, 절단면에서의 퍼징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블라인드, 바닥재, 또는 기타 아웃도어/인테리어용 소재로 사용될 경우 우수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에서 발생하는 퍼징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의 단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의 단면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직물에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열적 융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직물을 재활용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얼로이(alloy) 형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직물을 재활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코팅사는 코어 원사 및 이의 외피에 코팅된 코팅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사로 이루어지며, 이들 구성 성분별로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어 원사
본 발명의 코팅사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코어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소재로 한다. 코어 원사는 직경이 50 내지 500 데니아인 것이 좋다.
종래에는 코어 원사로서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고 있으며, PET 단일 중합체의 경우 융점이 250 내지 260 ℃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코어 원사의 융점을 120 내지 210 ℃로 낮출 수 있으며, 또는 130 내지 210 ℃로 낮출 수 있고, 또는 160 내지 210 ℃로 낮추거나, 또는 130 내지 180 ℃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원사는 수축율이 165℃에서 5 내지 20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6 내지 15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원사의 융점을 낮추고 수축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료 수지로서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원사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C3-12알킬디올, C6-12사이클로알킬디올 또는 벤젠계열의 디올이 공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융점이 조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원료 수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즉 비교적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혼합된 수지를 방사하여 코어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원사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융점 220~230℃의 PET 공중합 수지 및 융점 170~190℃의 PET 공중합 수지가 0.1 : 99.9 내지 70 : 30 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40 : 60 내지 70 : 30 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소재
본 발명의 코팅사에서 코어 원사의 외피에 코팅된 코팅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코팅 소재는 융점이 130 내지 200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45 내지 185 ℃일 수 있다.
또한, 코팅 소재의 수축율은 165℃에서 3 내지 20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 내지 1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사의 주성분인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올레핀(P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PE)계 수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등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수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가 가능하다.
상기 PVC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중합도가 800 내지 3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VC 수지의 중합도가 3000보다 크면 내열성이나 내노후성은 증가하나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고, PVC 코팅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도가 800보다 낮으면 가공성과 표면은 좋아질 수 있으나, 내열성과 내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소재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90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코팅 소재에는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난연제의 예로는 할로젠계, 인계 또는 질소계의 난연제와, 무기계 난연제로서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등이 있다.
할로젠계 난연제로는,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DPO),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DBDPE), 헥사브로모사이클로데칸(HBCD), 1,2,5,6,9,10-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HBCD),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TBB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BDDP) 등이 있다.
인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포스페이트(MP),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PP),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PP), 붉은 인(red phousphorus),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CEP), 트리스(1-클로로-2-프로필)포스페이트(TCPP), 이소프로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IPP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EP), 레조시놀 디포스페이트(RDP),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CP), 디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디에틸 에틸 포스포네이트, 디메틸 프로필 포스포네이트, 디에틸 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폰산, 메틸(5-메틸-2-메틸-1,3,2-디옥사포스포리난-5-일) 메틸 에스터 P,P'-디옥사이드, 포스폰산,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DOPO), 폴리(1,3-페닐렌메틸포스포네이트), 헥사페녹시트리사이클로포스파젠, 포스포페난트렌 등이 있다.
질소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포스페이트(MP), 니트릴로트리스(메틸포스폰아미드산), 멜라민 시아누레이트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난연제로는 마그네슘 디하이드록사이드(MDH),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록사이드(ATH), 징크 보레이트, 흑연,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등이 있다.
이들 중 친환경성 및 난연성의 향상을 위해서, 인계 및/또는 무기계의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어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IPP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EP), 레조시놀 디포스페이트(RDP),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CP), 마그네슘 디하이드록사이드(MDH),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록사이드, 징크 보레이트(ATH),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상기 물질들 가운데 1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코팅 소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는 기능성 향상을 위해 기타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활제, 자외선 안정제, 항균제, 불소계 드립번(drip burn) 방지제, 및 기타 기능성 필러를 혼합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은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활제는 일반적인 스테아린산 활제를 사용하여 첨가 함량 개선과 원활한 배합을 위해 사용하며, 첨가량은 코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로는 벤조페논계 혹은 지당(titanium oxide)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기능성 필러로는 탄산칼슘, 탈크계, 실리카, 글래스파이버 등도 첨가할 수 있다.
코팅사 및 직물
본 발명의 코팅사는, 코어 원사의 외피에 코팅 소재가 100 내지 600 ㎛ 두께로 코팅된 것일 수 있으며, 코어 원사 및 코팅 소재를 포함하는 코팅사 전체의 직경은 250 내지 1250 ㎛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사는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융점과 수축율 차이가 종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융점 차이가 0 내지 50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내지 30 ℃일 수 있다.
또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수축율 차이가 165℃에서 0 내지 17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 내지 15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사는 탄성이 우수하고 주름이 잘 생기지 않으며, 형태 견지성, 항균성, 색상 적용성 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사는 Shore A 기준으로 50 내지 100의 경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제직시의 바람직한 경도 범위가 Shore D 기준으로 10~70 또는 40~65 정도인 것에 충분히 만족하는 범위이다. 또한, 인장강도는 200㎛ 코팅사 기준으로 10N 이상을 나타낼 수 있고, 신장률은 200㎛ 코팅사 기준으로 50%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직물은 난연성 및 색상 견지성이 우수하며, 구체적으로 직물의 산소지수값이 27 이상을 나타낼 수 있고 일광견뢰도가 8등급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코팅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직물은, 직물 제조시 텐터 및 건조 공정에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열적 융착을 유발하고,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수축율 차이를 줄여주어, 절단면에서의 퍼징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에서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간의 열적 융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열을 가할 경우 원사와 코팅재간 열적 융착 및 수축이 이루어져 퍼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직물은 블라인드, 바닥재, 또는 기타 아웃도어/인테리어용 소재로 사용될 경우 우수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사 또는 이의 직물은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재활용시 열을 가하면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열적 융합에 의해 얼로이(alloy) 형태의 섬유가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재는 사용 뒤에 분쇄 및 반죽 과정을 거쳐 재활용될 수 있다(도 6 참조).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팅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a) 코어 원사의 제조
코어 원사는 융점을 낮추기 위해,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뒤 200 내지 250 ℃의 온도에서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혼합 가능한 수지의 종류 및 혼합 비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b) 코팅 소재 조성물의 제조
먼저, 코팅 소재의 원료 수지(열가소성 수지 등) 및 가소제(PVC일 경우)를 상온에서 전체 코팅 조성물 대비 3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배합기에 넣고 1 내지 10 분 동안 분산한다.
여기에 난연성을 부과하기 위해 난연제를 전체 코팅 조성물 대비 5 내지 60 중량%로 첨가하고 3 내지 10 분 동안 분산시켜, 산소지수값이 28% 이상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타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활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항균제 및 기타 필러)를 더 첨가한다. 기능성 첨가제는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이용하여 압출 컴파운딩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함량이 전체 코팅 조성물 대비 5%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원료 수지의 분산 도중에 직접 첨가하여 분산을 진행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분산이 끝난 후에 압출 컴파운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컴파운딩 압출기는 코팅제 조성물의 분산의 최적화를 위해 트윈 스크류(이중스크류)가 장착된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압출기의 온도는 130 내지 210 ℃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며 실린더의 길이는 1m 이상인 것이 좋다. 상기 분산이 완료된 조성물을 트윈압출기의 호퍼(hopper)에 투입하고 150 내지 210 ℃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기능성 첨가제(활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항균제 및 기타 필러)는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압출기 호퍼에 특정비율을 첨가하여 압출 컴파운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난연제 및 첨가제를 먼저 가공하여 다시 재컴파운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수분과 가스에 민감한 난연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스 배출시설이 있는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친환경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c) 코팅사의 제조
단계 (a)에서 제조된 코어 원사를 압출기의 코팅방향에 경사 또는 위사 방향으로 압출 코팅기에 설치하고, 압출기의 다이스 노즐에 원사를 통과시키면서, 단계 (b)에서 컴파운딩된 코팅 조성물을 상기 원사에 코팅하고 권취한다. 압출 코팅기는 싱글 스크류가 장착된 압출기일 수 있으며, 코팅 온도 범위는 130 내지 210 ℃가 가능하고, 원사와 코팅제의 용융 특성을 고려하여 150 내지 180 ℃로 할 수 있는데, 온도가 고온일 경우 단사가 발생할 수 있다. 코팅 속도는 300 내지 1100 m/min로 할 수 있다.
d) 직물의 제조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코팅사는 다음과 같은 정경, 제직 및 텐타 공정을 거쳐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정경 공정이란 설계된 직물의 길이, 밀도, 폭 등에 맞도록 경사(세로실)를 빔(beam)에 권취하는 작업을 말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실의 가닥수, 원하는 길이만큼 권취한다.
이후 정경된 경사용 섬유와 코팅된 위사용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직한다. 제직 공정이란 상기 경사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사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경사 1가닥 또는 2가닥마다 아래 위로 서로 교차시켜 직물을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이 공정에서 원하는 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직된 생성물을 텐타(tenter)하여 직물을 제조한다. 텐타 공정이란 지물, 즉 직물 제조시 마무리 공정 단계의 하나로서, 텐타기를 사용하여 폭을 일정하게 고정시켜 주는 공정으로서, 텐타기에서 직물의 양쪽 변사 부분을 핀이나 클립으로 잡아서 위사 방향으로 일정 폭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텐타의 온도를 130 내지 210 ℃까지 승온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및 시험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어 원사의 제조
아래의 마스터배치 A 및 B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 수지를 210℃의 온도에서 방사하여, 굵기가 250 데니아인 코어 원사를 수득하였다:
- 마스터배치 A (융점 230℃, 2-메틸-1,3-프로판디올이 공중합된 PET, 제품명: MPDiol Glycol-co-PET, 제조사: Lyondell) 70 중량%; 및
- 마스터배치 B (융점 180℃, 2-메틸-1,3-프로판디올이 공중합된 PET, 제품명: MPDiol Glycol-co-PET, 제조사: Lyondell) 30 중량%.
실시예 2-1: 코팅 소재 조성물의 제조 (PVC 계열)
아래의 원료 성분들을 혼합한 조성물을 원통형 교반기가 장착된 배합기를 이용하여 60~120℃에서 가소화하고, 싱글 혹은 트윈 압출기를 이용하여 160~210℃에서 컴파운딩한 뒤, 8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 소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원료 수지 (PVC 수지 LS100) 50중량부;
- 원료 수지 (EVA, 비닐아세테이트 18%, 한화석유화학) 20중량부;
- 가소제 (DINP 애경화학) 27중량부;
- 활제 (징크 스테아린산, Hebei Yibo Nano Chemical사) 0.5중량부;
- 항균제 (BAC-300Z, 아성정밀화학) 0.5중량부; 및
- 자외선 안정제 (벤조페논계, LOWILITE 26, 미원상사) 2중량부.
실시예 2-2: 코팅 소재 조성물의 제조 (TPO 계열)
아래의 원료 성분들을 혼합한 조성물을 트윈 압출기를 이용하여 190~210℃에서 컴파운딩한 뒤 8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 소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원료 수지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HJ500, 삼성토탈사) 50중량부;
- 원료 수지 (EVA, 비닐아세테이트 18%, 한화석유화학) 20중량부;
- 난연제 (금속 인계, Exolite OP 930, Clariant사) 25중량부;
- 활제 (징크 스테아린산, Hebei Yibo Nano Chemical사) 1중량부;
- 항균제 (BAC-300Z, 아성정밀화학) 1중량부;
- 드립번 방지제 (불소계, DAL-ELTM PPA, Daikin사) 1중량부; 및
- 자외선 안정제 (벤조페논계, LOWILITE 26, 미원상사) 2중량부.
시험예 1: 융점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어 원사와 실시예 2-1 및 2-2에서 제조한 코팅 소재 조성물의 부분 융점을 DSC TA사 장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PET계 코어 원사의 융점은 207℃로 측정되었고,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PVC계 코팅 소재 조성물의 융점은 175℃로 측정되었으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TPO계 코팅 소재 조성물의 융점은 16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1: 코팅사의 제조 (PVC계 코팅 소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코어 원사에 싱글 압출 코팅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PVC계 코팅 소재 조성물을 180℃에서 600m/min의 코팅 속도로 평균 코팅 두께 440㎛로 코팅하여 코팅사를 제조하였다. 코팅공정은 원사를 노즐에 통과시킨 뒤 와인더에 고정한 상태에서 호퍼에 코팅 소재 조성물을 투입하여 압출기에서 나오는 토출량을 조절하여 압출코팅을 하였다.
실시예 3-2: 코팅사의 제조 (TPO계 코팅 소재)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TPO계 코팅 소재 조성물을 사용하고 코팅시의 온도를 175℃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코팅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2: 수축율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어 원사를 165℃ 오븐에 30분간 넣은 뒤, 초기 길이에 대한 최종 길이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PET계 코어 원사의 수축율은 165℃에서 12%로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코팅사에 대해 수축율을 측정한 결과, 코팅사 중에서 코팅 소재만의 수축률이 165℃에서 8~1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1: 직물의 제조 (PVC계 코팅 소재)
상기 실시예 3-1에서 얻은 코팅사를 경사용으로 권취하여 정경한 뒤, 2.5m 폭의 그물(net) 조직으로 제직하고, IR 텐터기를 이용하여 평균 온도 185℃ 및 부분 최대 온도 210℃로 텐타 공정을 진행하여 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2: 직물의 제조 (TPO계 코팅 소재)
IR 텐타 공정시에 평균 온도 155℃ 및 부분 최대 온도 180℃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직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코팅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2-1, 3-1, 및 4-1의 절차를 반복하되, 코어 원사의 원료 수지로서 PET 단일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3: 퍼징 현상의 평가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4-1에서 얻은 직물을 절단하여, 이의 단면 사진을 도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종래의 코팅사를 이용한 직물은 도 2에서 보듯이 단면부에 코팅사가 삐져나와 외관을 저해시키는 반면, 본 발명의 직물은 도 3에서 보듯이 단면이 퍼징 현상 없이 매끈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1: 바닥재의 제조 (PVC계 코팅 소재)
가로 20cm, 세로 30cm, 및 두께 6mm의 폴리우레탄 계열의 고밀도 폼시트(foam sheet, 밀도 15~25lb/ft3) 상에, 이와 동일한 면적의 두께 0.5mm 우레탄 계열의 핫멜트 접착 필름을 놓고, 그 위에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직물을 동일한 면적 크기로 재단하여 올려 놓고, 160℃에서 속도 0.1mPm 속도로 롤 압착하여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5-2: 바닥재의 제조 (TPO계 코팅 소재)
상기 실시예 4-2에서 제조한 직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바닥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재활용 공정
상기 실시예 4-2에서 얻은 직물을 저속분쇄기(3마력, 29rpm, T&K 한국사 제조)에 의해 분쇄하고 나서, 반죽기(kneader)에서 210℃의 온도로 30분 동안 섞은 뒤, 분쇄하여 시편 또는 덩어리로 제작하였다 (도 6 참조).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7)

  1. 코어 원사 및 이의 외피에 코팅된 코팅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사로서,
    상기 코어 원사가 130 내지 210 ℃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 소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원사가 165℃에서 5 내지 20 %의 수축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소재가 130 내지 200 ℃의 융점, 및 165℃에서 3 내지 20 %의 수축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원사와 코팅 소재 간의 융점 차이가 0 내지 50 ℃이고 165℃에서의 수축율의 차이가 0 내지 17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원사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융점이 220~230℃인 PET 공중합 수지 및 융점이 170~190℃인 PET 공중합 수지가 0.1 : 99.9 내지 70 : 30 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소재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올레핀계(PO)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7. 제 1 항의 코팅사가 직조되어 이루어진 직물.
KR1020120118968A 2012-10-25 2012-10-25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KR10143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68A KR101430546B1 (ko) 2012-10-25 2012-10-25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68A KR101430546B1 (ko) 2012-10-25 2012-10-25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30A true KR20140052630A (ko) 2014-05-07
KR101430546B1 KR101430546B1 (ko) 2014-08-18

Family

ID=508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68A KR101430546B1 (ko) 2012-10-25 2012-10-25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5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516B1 (ko) * 2017-11-30 2019-03-18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다기능성 가변형 가구
CN114540984A (zh) * 2022-04-08 2022-05-27 杭州麒隆化纤有限公司 一种高强包覆丝及其生产方法
KR20220126990A (ko) 2021-03-10 2022-09-19 (주)유일 자동용접기의 백래시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7042B2 (ja) * 2005-05-10 2011-12-28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繊維用低融点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
KR100666482B1 (ko) * 2006-03-06 2007-01-12 권성열 폴리염화비닐 코팅 얀
JP2012102414A (ja) * 2010-11-08 2012-05-31 Toray Monofilament Co Ltd 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516B1 (ko) * 2017-11-30 2019-03-18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다기능성 가변형 가구
KR20220126990A (ko) 2021-03-10 2022-09-19 (주)유일 자동용접기의 백래시 저감장치
CN114540984A (zh) * 2022-04-08 2022-05-27 杭州麒隆化纤有限公司 一种高强包覆丝及其生产方法
CN114540984B (zh) * 2022-04-08 2023-08-18 杭州麒隆化纤有限公司 一种高强包覆丝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546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2208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coated yarn and coating compostion therefor
CN102341437B (zh) 阻燃的聚烯烃组合物
EP2942368B1 (de) Polyester zusammensetzungen
WO2012055532A1 (de) Flammwidrige polyestercompounds
KR101430546B1 (ko)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CN101812206A (zh) 聚氯乙烯塑溶胶组合物和由其制得的制品
KR10172548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가발 원사용 조성물
EP4095189A1 (en) Flame retardant agent compositio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KR101587451B1 (ko) 시스-코어형 비할로겐 난연성 복합사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KR101699131B1 (ko)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KR20150117395A (ko) 유/무기 복합코팅층을 갖는 코팅사를 이용한 투시성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선스크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18462B1 (ko) 차광막용 이형 단면 코팅사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직물
KR10176119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KR101581864B1 (ko) 압출사를 이용한 직물 및 퍼징 현상이 개선된 바닥재
KR20180050065A (ko) 난연성 핫멜트 코팅사 및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원단
KR101897616B1 (ko) 카고 스크린용 직물 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직물 소재를 포함하는 카고 스크린
KR100970966B1 (ko) 난연성 폴리에틸렌 플랫얀의 제조 방법
JP2017226789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フィラメントまたは難燃性網状構造体
JP2021070805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フィラメント
KR20160043702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20007506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フィラメント
JP2017203133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フィラメントまたは難燃性網状構造体
JP2017057276A (ja) 難燃性樹脂押し出し成型物
JPH0444032B2 (ko)
KR101231602B1 (ko) 인공 모발용 인계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로부터 인공 모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01

Effective date: 201602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194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321

Effective date: 201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