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578A - 터널 조명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조명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578A
KR20140052578A KR1020120118794A KR20120118794A KR20140052578A KR 20140052578 A KR20140052578 A KR 20140052578A KR 1020120118794 A KR1020120118794 A KR 1020120118794A KR 20120118794 A KR20120118794 A KR 20120118794A KR 20140052578 A KR20140052578 A KR 20140052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tunnel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김현식
김기훈
김성중
배호준
김기원
송상빈
김재필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1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578A/ko
Publication of KR2014005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외부에 설치되어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외부 감지 센서;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내부 감지 센서;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터널 내부에 설치된 발광 수단; 및 상기 외부 감지 센서의 출력값과 상기 내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발광 수단의 조도 및 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 외부와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 차이에 의한 운전자의 백화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 조명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OF TUNNEL}
본 발명은 터널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외부와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 차이에 의한 운전자의 백화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암반이나 흙을 인공적으로 굴착, 관통시켜 도로·철도·지하철 및 지하보도의 교통 운수, 배수 및 용수(관개·발전·상하수도)의 수로, 유류의 운반 및 지하저장, 통신 및 전기의 지하공동구, 핵폐기물의 지하저장, 광산·군사 시설 등에 이용되는 시설이다.
이러한 터널은 외부의 빛이 내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에 복수의 조명등을 설치하여 내부를 조명한다.
그런데, 터널 외부의 도로를 운행 중인 차량이 터널 내부로 진입하거나 터널 내부에서 터널 외부의 도로로 진출할 때, 밝기와 색온도에 있어서 급격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터널로의 진입 또는 터널로부터의 진출시에 일정시간 동안 눈부심(백화 현상)이 발생하여 전방의 사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는 일시적인 시각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터널은 차량이 터널 내로 진입하거나 터널 내부에서 외부로 진출할 때, 터널 내부와 외부의 밝기 차이에 따른 눈의 순응을 위하여 터널 입구부, 터널 내부, 터널 출구부 등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구분에 따라 터널 조명이 설계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명 설계는 터널 입구 부근의 운전자 시야 상황에 따른 외부 휘도의 빈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에 설계 속도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터널 조명은 외부의 빛 환경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밝기와 색 온도를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터널 조명은 외부의 빛 환경에 따라 조절되지 못하므로 차량 운전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고, 터널을 진입하거나 터널로부터 진출할 때, 눈의 백화 현상을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은 챠량의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조명을 제어하여 터널 외부와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 차이에 의한 운전자의 백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터널의 외부에 설치되어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외부 감지 센서;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내부 감지 센서;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터널 내부에 설치된 발광 수단; 및 상기 외부 감지 센서의 출력값과 상기 내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발광 수단의 조도 및 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수단은 복수의 LED 조명등을 포함하고, 터널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1 발광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발광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2 발광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발광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3 발광부,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 발광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4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터널 외부 조도의 1/10 이상으로 상기 제 1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발광부가 설치된 길이는 도로의 제한 최고 속도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부의 조도 대비 100% ~ 40%까지 점차 감소되도록 상기 제 2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량씩 조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발광부의 설치 길이는 상기 제 1 발광부가 설치된 길이와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3 발광부의 조도 = (제 1 발광부의 조도 × 0.4) × (1.9 × t)-1.4"으로 정의된 식에 따라 상기 제 3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고, 여기서 t는 차량이 상기 제 3 발광부에 진입하여 진행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발광부가 설치된 길이는 자동차가 터널의 제한 최고 속도로 적어도 13초 동안 진행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터널 조명 기준인 KS A 3703에 따라 상기 제 4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5000K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색온도 제어 그래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색온도(KT) = 터널 외부의 실제 측정된 일사량(IT) / 대기권 밖의 수평 일사량(Ioh)"으로 정의된 식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는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에 기초하여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터널 외부와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 차이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조도 제어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구간별 조도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날짜 및 시간별 색온도 제어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조도 제어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구간별 조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의 날짜 및 시간별 색온도 제어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는 외부 감지 센서(100), 내부 감지 센서(200), 발광 수단(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외부 감지 센서(100)는 터널(10)의 입구 또는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후술되는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외부 감지 센서(100)는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터널 입구 또는 출구 측에 위치된 가로등(20) 또는 가로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감지 센서(200)는 터널(10) 입구의 내측에 설치되고, 터널 내부의 도조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후술되는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내부 감지 센서(200)는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터널(10)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수단(300)은 터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를 조명한다.
여기서, 발광 수단(300)은 복수의 LED 조명등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및 제 4 발광부(340)로 나뉜다.
제 1 발광부(310)는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 2 발광부(32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 1 발광부(310)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 3 발광부(33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제 2 발광부(32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4 발광부(34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제 3 발광부(33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즉, 터널(10) 내부에 설치된 발광 수단(300)은 터널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제 4 발광부(340), 제 1 발광부(310) 순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발광부(310)가 설치되는 길이는 도로의 제한 최고 속도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 거리에 비례하여 설치 길이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 2 발광부(320)가 설치되는 길이는 상기 제 1 발광부(310)가 설치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치된다.
제어부(400)는 외부 감지 센서(100)의 출력값과 내부 감지 센서(200)의 출력값을 기초로 하여 터널(10) 내부에 설치된 발광 수단(300)의 조도 및 색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1 발광부 내지 제 4 발광부(310 ~ 340)의 조도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00)는 외부 감지 센서(100)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고, 외부 감지 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터널 외부의 조도값에 비해 제 1 발광부(310)의 조도값이 일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제 1 발광부(3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0)는 제 1 발광부(310)의 조도가 터널 외부 조도의 1/10 이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 1 발광부(310)의 조도는 제 1 발광부(310)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일정하게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내부 감지 센서(200)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고, 내부 감지 센서(200)를 통해 감지된 제 1 발광부(310)의 조도값 대비 100%에서 40%까지 제 2 발광부(320)의 조도값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 2 발광부(3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량씩, 순차적으로 조도가 감소되도록 제 2 발광부(320)의 조도를 제어한다.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 2 발광부(320)의 조도는 제 2 발광부(320)의 구간에 걸쳐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전자는 터널(10) 외부에서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진입 초기에 일정시간(일정구간(제 1 발광부)) 동안 일정한 조도 환경에 노출되다가 제 2 발광부(320) 구간에 진입하면서 조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변화된 터널 내부의 조도에 순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 식에 따라 제 3 발광부(330)의 조도를 제어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t는 차량이 제 3 발광부(330)의 구간에 진입하여 진행한 시간을 의미하고, 초(s) 단위이다.)
이러한 수학식 1에 따른 제 3 발광부(330)의 조도 변화를 보면, 제 2 발광부(320)를 지나 제 3 발광부(330)로 진입한 초기에는 조도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조도가 완만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발광부(330)는 자동차가 터널의 제한 최고 속도로 적어도 13초 동안 진행하는 거리 구간만큼의 길이로 설치된다.
차량이 제 3 발광부(330)의 구간에 진입할 때에는, 운전자는 제 2 발광부(320)를 통해 어느 정도 조도에 순응한 상태이므로, 급격하게 변화되는 조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 4 발광부(340)의 조도가 터널 조명 기준인 KS A 3703에 부합되도록 제 4 발광부(3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 4 발광부(340)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때도 역시, 제어부(400)는 차량이 제 4 발광부(340)에 진입한 시간에 따라 조도가 완만하게 감소되도록 제 4 발광부(340)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된 발광 수단(300)에 따라 터널 내부의 밝기, 즉 조도 분포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터널 내부로 차량 진입시에 제 1 발광부(310) 구간은 터널 외부의 조도와 큰 차이가 없고, 제 2 발광부(320) 구간은 제 1 발광부(310)의 조도에 비해 점진적으로 감소된 조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터널 내부의 조도에 순응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이 제 3 발광부(330) 구간에 진입하면, 제 2 발광부(320)의 조도보다 소폭 감소된 조도 영역을 지나게 되고, 차량이 제 4 발광부(340)에 진입하면, 일반 터널의 조도 기준에 맞는 조도 영역을 지나게 된다.
그리고, 터널 출구 측의 제 1 발광부(310)를 지나면서, 다시 조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터널 출구 외측의 조도에 순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는 터널로 진입하고, 터널 외부로 진출하는 차량 운전자가 터널 내부의 조도 및 터널 외부의 조도에 순응할 수 있도록, 조명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외부 감지 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터널 외부의 조도를 기초로 하여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및 제 4 발광부(340)의 색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운전자가 터널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정확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및 제 4 발광부(340)는 서로 동일한 색온도로 조절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 식에 따라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및 제 4 발광부(340)의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0)는 외부 감지 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및 제 4 발광부(340)의 색온도를 5000K가 되도록 발광 수단(3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외부 감지 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날짜 및 시간별 색온도 제어 그래프"에 따라 제 1 발광부(310), 제 2 발광부(320), 제 3 발광부(330) 및 제 4 발광부(340)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날짜 및 시간별 색온도 제어 그래프"를 참조하면, 한해 중 온도가 높은 계절(하지 → 춘분,추분 → 동지) 순으로, 그리고 하루 중 온도가 높은 시간별로 색온도가 낮게 제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조명 제어 장치는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에 기초하여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터널 외부와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 차이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외부 감지 센서 200: 내부 감지 센서
300: 발광 수단 310: 제 1 발광부
320: 제 2 발광부 330: 제 3 발광부
340: 제 4 발광부 400: 제어부

Claims (13)

  1. 터널의 외부에 설치되어 터널 외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외부 감지 센서;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조도 및 색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내부 감지 센서;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터널 내부에 설치된 발광 수단; 및
    상기 외부 감지 센서의 출력값과 상기 내부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발광 수단의 조도 및 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복수의 LED 조명등을 포함하고,
    터널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1 발광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발광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2 발광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발광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3 발광부,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 발광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4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터널 외부 조도의 1/10 이상으로 상기 제 1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부가 설치되는 길이는 도로의 제한 최고 속도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 1 발광부의 조도 대비 100% ~ 40%까지 상기 제 2 발광부의 조도가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량씩 조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부가 설치되는 길이는 제 1 발광부의 설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3 발광부의 조도 = (제 1 발광부의 조도 × 0.4) × (1.9 × t)-1.4"으로 정의된 식에 따라 상기 제 3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고,
    여기서 t는 차량이 상기 제 3 발광부에 진입하여 진행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부가 설치되는 길이는 자동차가 터널의 제한 최고 속도로 적어도 13초 동안 진행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널 조명 기준인 KS A 3703에 따라 상기 제 4 발광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5000K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색온도 제어 그래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제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부, 상기 제 2 발광부, 상기 제 3 발광부 및 상기 제 4 발광부의 색온도를 "색온도(KT) = 터널 외부의 실제 측정된 일사량(IT) / 대기권 밖의 수평 일사량(Ioh)"으로 정의된 식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장치.
KR1020120118794A 2012-10-25 2012-10-25 터널 조명 제어 장치 KR20140052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794A KR20140052578A (ko) 2012-10-25 2012-10-25 터널 조명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794A KR20140052578A (ko) 2012-10-25 2012-10-25 터널 조명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30379A Division KR20150033631A (ko) 2015-03-04 2015-03-04 터널 조명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78A true KR20140052578A (ko) 2014-05-07

Family

ID=5088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794A KR20140052578A (ko) 2012-10-25 2012-10-25 터널 조명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5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5749A (zh) * 2020-09-21 2021-01-01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城铁列车客室灯具调光检测装置
CN112469183A (zh) * 2020-12-22 2021-03-09 山西省交通信息通信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隧道照明系统及控制方法
CN114047016A (zh) * 2022-01-13 2022-02-15 中国地质大学(武汉) 高地温围岩隧道结构模拟试验装置
KR20230076420A (ko) * 2021-11-24 2023-05-31 황경하 터널 진입부용 등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5749A (zh) * 2020-09-21 2021-01-01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城铁列车客室灯具调光检测装置
CN112165749B (zh) * 2020-09-21 2022-06-28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城铁列车客室灯具调光检测装置
CN112469183A (zh) * 2020-12-22 2021-03-09 山西省交通信息通信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隧道照明系统及控制方法
KR20230076420A (ko) * 2021-11-24 2023-05-31 황경하 터널 진입부용 등기구
CN114047016A (zh) * 2022-01-13 2022-02-15 中国地质大学(武汉) 高地温围岩隧道结构模拟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hri et al. Safety evaluation of lighting at very long tunnels on the basis of visual adaptation
Peña-García The impact of lighting on drivers well-being and safety in very long underground roads: New challenges for new infrastructures
KR101437541B1 (ko) 연동제어를 통한 지하 주차장의 지능형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KR20140052578A (ko) 터널 조명 제어 장치
CN106897535B (zh) 一种高铁照明对临近并行高速公路眩光影响的评价方法
CN103415113A (zh) 一种led隧道灯系统及led隧道灯的亮度控制方法
KR101462734B1 (ko) 터널 조명 통합 제어 시스템
CN112399685B (zh) 一种道路路灯控制方法及装置
KR101423513B1 (ko) 터널용 조명 장치를 이용한 터널 조명 시스템
CN109874211B (zh) 一种高速公路隧道智能照明系统及方法
KR101994003B1 (ko) Iot형 터널 조명 제어 방법
KR101993999B1 (ko) 터널 조명 제어 방법
KR101293555B1 (ko) 유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94001B1 (ko) 터널내 온도에 의한 램프 색상 제어방법
KR101463398B1 (ko) 터널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KR101994002B1 (ko) 터널 조명 모듈 제어 방법
KR20120038272A (ko) 자전거용 조명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01608B1 (ko) 차간거리안내 시스템
JP590638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の調光システム
KR20180020201A (ko) 순차적 점멸 방식을 이용한 차량주행 속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150033631A (ko) 터널 조명 제어 장치
KR100982356B1 (ko) 주차장 조명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64571B1 (ko) 안개등이 일체로 구성된 조명장치
KR100897471B1 (ko) 조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발광장치
KR102287359B1 (ko) 터널사고방지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27

Effective date: 2016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