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002A -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 - Google Patents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002A
KR20140052002A KR1020147005659A KR20147005659A KR20140052002A KR 20140052002 A KR20140052002 A KR 20140052002A KR 1020147005659 A KR1020147005659 A KR 1020147005659A KR 20147005659 A KR20147005659 A KR 20147005659A KR 20140052002 A KR20140052002 A KR 2014005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assembly
moisture
lay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타네 나베르니크
마르틴 헤르젤레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과, 갑피 바닥(16)을 갖는 갑피(14)를 포함하는 신발류(100)용 갑피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은 밑창 바닥(1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갑피(14)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을 갖는 외부 재료층(18)과, 갑피 라이너(20)를 포함한다. 상기 갑피 바닥(16)은 제1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30)과,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34)을 구비한 갑피 바닥 적층체(32)를 포함한다. 상기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의 상기 외부 재료층(18)은 상기 제1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상기 갑피(14)의 상기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은, 상기 외부 재료층(18)과 갑피(14)의 갑피 라이너(20) 사이, 및/또는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갑피(14)의 갑피 라이너(20) 사이에 있는 제1 영역(A)에서부터, 상기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34) 아래의 제2 영역(B)으로 습기를 빼내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습기 이송 구조(5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UPPER ASSEMBLY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갑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방수성 및 투습성을 겸비한 종래의 신발류는 대개, 발한(發汗)에 의한 습기(땀 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허용하지만, 액상 수분의 침투에 대해서는 여전히 방수성을 갖는 방수성 및 투습성을 겸비한 갑피를 갖는다. 사람의 발은 대부분의 땀이 밑창에서 나기 때문에, 밑창 영역에서 땀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도록, 신발류에 천공 밑창을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신발류에 있어서 발 아래의 영역에는, 방수성 및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성층이 갖춰져 있다.
DE 10 2008 029 296 A1에는, 충분한 방수성을 갖지만 투습성도 갖는 신발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류는, 갑피와는 별개인 갑피 바닥에 의해 밑창 측면에 대해 폐쇄되어 있는 갑피를 갖고, 갑피와 갑피 바닥 모두에는, 갑피 어셈블리를 전체적으로 방수성을 갖게 만드는 투습성을 갖지만 방수성도 갖는 기능성층이 갖춰져 있다.
DE 10 2008 029 296 A1에 나타내어진 신발류는, 사람의 발에서 대부분의 땀이 나는 곳인 발바닥 영역에 습기가 축적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땀이 효율적으로 빼내어질 수 없는 발바닥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 적용되는 데, 이는 안정성으로 인해 이러한 영역에서 밑창이 상대적으로 양감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습기가 축적될 수 있고, 심지어 추운 날씨 조건에서는 응축될 수 있다. 습기 축적에 관한 다른 문제는, 습한 조건하에서 갑피의 외부 재료의 내측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액상 습기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습기는, 갑피가 갑피 바닥에 연결되는 곳인 갑피의 하단부에서의 습기 축적을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축적 및 발생 가능한 습기의 응축의 결과로서, 추운 날씨에 느껴지는 불쾌한 한기가 발에서 점점 커질 수 있다. 특별히 맞춰진 외부 재료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갑피의 외부 재료에 얼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법이, 2011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본원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미공개 특허 출원 PCT/EP2011/051014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기법은, 외부 재료와 갑피의 라이너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적층체 아래의 영역으로 습기를 빼내는 초의 심지와 같은 흡인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 재료와 갑피의 라이너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적층체 아래의 영역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킹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러한 습기는,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적층체 아래의 영역으로부터, 밑창 유닛에 형성된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을 통해 아래쪽으로 이송되어 신발류의 밖으로 빼내어질 수 있다.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하나 또는 복수의 밴드형 위킹 요소의 형태인 이러한 위킹 테이프의 몇몇 실시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의 모든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실제로, 별도의 위킹 테이프를 마련하게 되면, 습기의 축적을 국소적으로 억제하는 것에 관해서는 유용하지만, 이에 따라 갑피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 뿐만 아니라 밑창 유닛을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하는 공정도 복잡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습기 이송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갑피 바닥의 밑면에, 더 정확하게는 습기의 축적이 일어나는 영역에 위킹 테이프가 배치되어야 하고, 이러한 위킹 테이프의 위치는 밑창 유닛을 부착하는 동안에 정확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신발류의 이용시에 위킹 테이프가 떨어지고 그 위치가 변경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갑피의 밑창측 단부 영역 및/또는 갑피 바닥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불쾌한 한기가 느껴지는 것을 억제하는,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임의의 통상적인 외부 재료의 경우에도, 갑피의 외부 재료에 얼룩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PCT/EP2011/051014호의 위킹 테이프 제안의 대안으로서, 보다 용이하고 보다 제어성이 우수한 제조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을 갖는 갑피와, 갑피 바닥을 포함하는,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은 밑창 바닥에 연결된다. 갑피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을 갖는 외부 재료층과, 갑피 라이너를 포함한다. 갑피 바닥은 제1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과,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을 구비한 갑피 바닥 적층체를 포함한다.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 있는 외부 재료는 제1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에 연결된다.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외부 재료층과 갑피 라이너 사이,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갑피 라이너 사이에 있는 제1 영역에서부터,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아래의 제2 영역으로 습기를 빼내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습기 이송 구조를 포함한다.
밑창 유닛이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되기 이전의 제조 과정에서, 갑피 바닥, 특히 제1 어셈블리 밑창은 갑피를 폐쇄한다. 이하에 개략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갑피 어셈블리에서는, 갑피를 갑피 바닥에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다양한 타입의 신발류 구성에, 예컨대 내구성이 있는 신발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창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수증기가 갑피 바닥을 가로질러 투과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어셈블리 밑창에 개구 또는 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습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어셈블리 밑창은 통상적으로 방수성을 갖지 않을 것이다. 갑피 바닥의 방수성은,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을 구비한 별도의 갑피 바닥 적층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흡인 요소의 기능성을, 앞서 언급한 본원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출원 PCT/EP2011/051014호에서의 의미로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습기 이송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습기 이송 구조는, 외부 재료층과 갑피의 갑피 라이너 사이,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갑피의 갑피 라이너 사이에 있는 제1 영역을, 갑피 바닥의 적층체 아래의 제2 영역과 연결하는 습기 유통부를 제공한다.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 형태의(즉, 액체상에서 기체상으로의 상전이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님), 습기 또는 수분의 이송을 허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영역에 습기가 축적된 경우, 이러한 습기는 제1 영역에서부터 제2 영역으로 빼내어질 수 있다. 거기서부터, 습기는 더 바깥쪽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된 밑창 유닛을 갖는 신발류의 경우에는, 이 밑창 유닛에 형성된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을 통해, 더 바깥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습기가 빈번히 모이고 또한 빈번히 응축되어 액상 수분을 형성하는 곳이, 특히 대개 갑피 바닥의 둘레 가장자리에 방수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갑피의 밑창측 단부의 영역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상기 영역에서 라이너와 접촉해 있는 발이 한기를 느끼게 된다. 또한, 갑피 라이너가 투습성 및 방수성을 겸비한 기능성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러한 위치에서 충분히 가파른 수증기 압력 구배가 종종 기능성층의 내측과 외측을 가로질러 생성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기성을 뚜렷하게 저하시킨다. 매우 차갑고 습한 조건하에서는, 신발류의 외측의 상기 영역에서, 신발류의 매력 및 외관을 손상시키는 습기 얼룩도 관찰되었다. 이상은 모두, 곰팡이를 형성하거나 또는 신발류의 서로 다른 부분 사이의 접합을 열화시키므로, 결국에는 신발류를 망가뜨린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습기 이송 구조는, 습기의 축적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상기 영역에서 불쾌한 한기가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통기성의 유지, 얼룩의 방지 및 상기 영역에서의 접합의 부식 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앞서 언급한 본원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출원 PCT/EP2011/051014호에 제안된 위킹 테이프 방안과는 달리, 본 발명은 습기 이송 구조를 갖는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인 요소의 기능은, 갑피 어셈블리의 제1 어셈블리 밑창, 즉 갑피 바닥의 일부분이며 신발류의 제조 과정에서 갑피 어셈블리를 밑창 유닛에 대하여 폐쇄하는 데 사용되는 층,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갑피와 갑피 바닥 사이의 어딘가에, PCT/EP2011/051014호의 위킹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물품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제조 과정에서 실시되는 통상의 단계로서, 갑피 어셈블리를 제1 어셈블리 밑창을 매개로 하여 밑창 유닛에 대해 폐쇄할 때, 흡인 요소의 기능은 이미 갑피 어셈블리에 부가되어 있다.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 습기 이송 구조를 마련하면, 제1 어셈블리 밑창이 갑피의 외부 재료층에 명확한 기하학적 관계로 연결되고, 밑창 유닛이 갑피 어셈블리에 대해, 통상적으로는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 대해서도 확고하게 부착되므로, 신발류에 있어서 습기 이송 구조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신발류의 사용시에 대부분의 습기 축적이 예상되는 곳인 상기 영역에, 습기 이송 구조가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 의해 형성되므로, 일단 조립되면 그 위치가, 예컨대 사용 도중에는, 더 이상 바뀌지 않을 것이다. 이는 위킹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흡인 요소를 마련하는 것에 대비해 또 다른 장점이다.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서 습기를 이송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의 연장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습기를 이송할 수 있다. 습기 이송 구조 내에서, 이러한 습기의 이송은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의 상면 및/또는 하면을 따라 일어날 수 있지만,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의 두께 내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습기 이송 구조가 마련되는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습기를 이송할 수 있는 재료, 예컨대 심지 재료(wicking)의 특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습기의 이송을 허용할 수 있는 또는 촉진할 수도 있는 습기 도관 구조, 예컨대 채널 구조 또는 위킹 필라멘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습기의 이송은,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임의의 수분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 일반적인 물 분자의 이송을 가리킨다. 또한, 습기의 이송은 임의의 메카니즘, 구체적으로는 수착(收着) 프로세스, 모세관 현상, 확산 프로세스, 중력, 압력 구배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습기 이송 구조에서 수분을 이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송은, 제1 영역에서 액체상으로부터 기체상으로의 상전이가 일어날 필요 없이도, 대부분이 액체 형태인 습기가 축적되는 곳인 제1 영역에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습기 이송 구조는 대개 갑피의 하단부(들)와 갑피 바닥의 보다 가장자리측 영역을 포함할 것이다. 앞서 개략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영역에서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의 습기의 이송이 필요하지만, 제1 어셈블리 밑창의 다른 영역, 예컨대 갑피 바다의 보다 중앙측 영역에서는 상기 습기의 이송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영역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이 투습성을 갖는다면, 즉 그 연장 방향을 가로질러 수증기의 투과를 허용한다면, 충분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그 연장 방향을 가로질러
액상 수증기의 투과도 허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어셈블리 밑창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습기 이송 구조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의 습기의 이송을 달성하는 데 다른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가능 방안은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재료는, 제1 저장소로부터 액체상 또는 기체상의 습기를 취출하고, 이러한 습기를 그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로 인해,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제2 저장소까지 이송할 수 있는 경우에,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것이라 한다. 심지 재료의 특성은, 수착, 확산 및/또는 모세관 현상 등의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습기를 이송하는 것을 지칭한다.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위킹 재료)는, 이러한 수착, 확산, 모세관 현상 등의 프로세스를 허용하는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를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위킹 재료에서는, 통상적으로 습기가 중력에 대항하여 유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습기는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통상의 위킹 재료는 얇은 관과 같은 좁은 공간을 갖거나, 또는 종이 또는 흡수성 직물 등과 같은 다공질 재료이다. 몇몇 비다공질 재료, 예컨대 몇몇 타입의 탄소 섬유 또는 나노 재료도,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별한 위킹 재료는, 본래 친수성을 갖는 재료 또는 친수화 처리된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가죽, 다공질 구조를 갖는 임의의 재료,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러한 섬유를 기반으로 한 표면 등이 있다.
다른 가능 방안으로서,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는, 습기 도관 구조, 예컨대 위킹 필라멘트의 배열체, 채널형 구조, 및/또는 적절한 기공, 슬릿 및/또는 리세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원칙적으로는 수분 이송 효과가 "거시적인" 습기 도관 구조에 의해 달성되므로, 그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로 인하여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심지어 불투습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뛰어난 습기 이송 효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로 인하여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로서, 거시적인 습기 도관 구조가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재료가 사용된다는 의미로, 앞서 언급한 모든 가능 방안은 조합될 수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갑피 라이너는 외부 재료층에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고, 예컨대 외부 재료층의 상측에 재봉되거나 외부 재료층에 국소 접착될 수 있다. 여러 실시형태에서는, 발이 그 측면 뿐만 아니라 그 상측에서 갑피 라이너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갑피 전체의 내측에는 갑피 라이너가 마련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갑피의 측면에만, 갑피 바닥으로부터 약간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갑피 라이너가 마련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갑피 라이너가 방수성 및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성층을 포함하는 신발류에 사용되는 경우, 갑피 라이너의 이러한 구성은 지면으로부터 오는 습기 또는 수분에 대하여 신발류의 방수성을 여전히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갑피 라이너를 갑피의 하측 측방 영역에 형성하도록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또는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적층체를 측방으로 연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갑피 바닥 적층체 아래의 제2 영역은, 밑창 유닛이 갑피 어셈블리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밑창 유닛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투습성 통로와, 또는 투습성 공극이 나타나는 영역과 습기 투과가 가능하게 연통해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밑창 유닛에 형성된 통로 또는 공극을 통하여, 갑피 바닥 적층체 아래의 제2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습기를 유호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습기 투과가 가능한 연통은 액체 형태의 습기의 이송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일 실시형태에서는, 밑창 유닛이 갑피 어셈블리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재료층과 갑피의 갑피 라이너 사이,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갑피의 갑피 라이너 사이에 있는 제1 영역이, 밑창 재료 및/또는 밑창 접착제에 의해 덮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밑창 재료 및/또는 밑창 접착제 때문에, 신발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수증기의 이송이 방해받거나 또는 심지어 차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위치에는 통상적으로 습기가 축적될 것이다.
습기 이송 구조는, 위킹 요소를 형성하도록, 앞서 거론된 바와 같은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의 예로는, 면과 같은 친수성 천연 섬유와, 친수성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친수성 합성 수지, 또는 친수화 처리된 임의의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별법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습기 이송 구조에는, 습기 도관 요소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습기 도관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셈블리 밑창에는, 전술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홈 또는 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 그 밖의 리세스 및/또는 구멍의 형태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위킹 필라멘트의 배열체를 마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밑창 영역에서 땀 습기의 투과를 보장하기 위해, 제1 어셈블리 밑창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투습성을 갖거나 및/또는 천공된 재료로, 제1 어셈블리 밑창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투습성은, 적어도 습기 이송 구조(들)의 측방 내측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습기 이송 구조(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어셈블리 밑창 전체에 걸쳐 있을 수 있고, 즉 제1 어셈블리 밑창 전체가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거나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 전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습기 도관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IN 53924(1997)를 따라 측정된, 습기 이송 구조가 제공하는 습기 이송율은 적어도 2 시간당 1 cm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DIN 53924(1997)를 따라 측정된 습기 이송율이, 적어도 2 시간당 2 cm, 또는 적어도 2 시간당 3 cm, 또는 적어도 2 시간당 4 cm, 또는 적어도 2 시간당 5 cm, 또는 심지어 적어도 2 시간당 6 cm의 값으로 얻어질 수 있다. DIN 53924(1997)를 따라 측정된 최대 습기 이송율은, 2 시간당 5 cm 이하, 또는 2 시간당 8 cm 이하, 또는 심지어 2 시간당 10 cm 이하의 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갑피의 외부 재료층은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연결되어 있지만, 외부 재료층은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 적층체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갑피의 기능성 적층체가 사용되는 경우, 갑피 바닥의 적층체는 통상적으로 상기 갑피의 기능성 적층체와 방수식으로 연결될 것이다. 갑피 바닥의 적층체는 외부 재료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 재료층 및 갑피 바닥 기능성층의 내측과 갑피 기능성층의 외측 사이에서 습기 이송 경로가 연장될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서, 갑피 라이너는, 제2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을 구비한 갑피 라이너 적층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갑피 라이너를 사용하면, 충분한 방수성을 갖지만 통기성도 갖는 신발류가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 재료층은 갑피 라이너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갑피 라이너는, 대응하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 중첩되거나 이 영역을 넘어 연장되는 밑창측 갑피 라이너 단부 영역을 갖는다. 갑피를 제1 어셈블리 밑창을 통하여 폐쇄하는 경우, 갑피의 밑창측 단부 영역은,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 단부 영역에 연결되어, 예컨대 재봉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합 영역을 형성한다. 짧은 갑피를 갖는 구성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신발류의 측면에서 비교적 위로 멀리 연장되고, 대부분의 습기 축적이 일어나는 먼 제1 영역에까지 이른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습기 이송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제1 어셈블리 밑창은 그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습기를 효과적으로 취할 수 있다. 제1 어셈블리 밑창은 제1 영역에서 상당히 효과적으로 습기를 빨아들이고, 이로 인해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까지의 습기의 농도에 큰 구배가 야기되므로,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습기의 이송은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갑피 바닥 적층체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갑피 바닥의 최저층을 형성한다. 갑피 어셈블리를 갖는 신발류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밑창 유닛의 바로 위에 배치된 최저층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성에서 밑창 유닛은 어떻게든 제1 어셈블리 밑창에 부착될 것이다.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을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연결할 때, 접합이 행해지는 구역, 예컨대 스티치, 접착제 등으로 덮인 시임, 및 또는 용접이 행해지는 시임을 포함하는 연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영역은 통상적으로 상기 시임에 인접한 외부 재료층 및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영역도 포함할 것이다. 대부분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결 영역은,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이 밑창 유닛과 접촉하게 될 정도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관통 구멍 및/또는 공극이 마련된 밑창을 갖는 신발류에서, 상기 연결 영역은,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이 제1 어셈블리 밑창의 내측 가장자리 영역을 둘러싸서 관통 구멍/공극을 덮게 될 정도까지, 안쪽으로 이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재료층과 제1 어셈블리 밑창을, 재봉에 의해, 예컨대 스트로벨(Strobel) 스티치 또는 지그재그 스티치와 같은 공지된 타입의 스티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유익하다. 재봉은, 갑피의 밑창측 단부 영역에서부터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으로의 수분의 이송을 저해하지 않는 시임을 제공하고, 습기 이송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재료로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된다. 이에 반해, 접착 또는 용접과 같은 그 밖의 접합 기술은, 적어도 연결 영역에서 상기한 습기 이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과 갑피의 외부 재료 중 어느 것도 기능성층을 포함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1 어셈블리 밑창과 외부 재료를 연결하기 위해 스티치 시임을 마련하는 것이 갑피 어셈블리의 방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외부 재료층과 제1 어셈블리 밑창을 재봉하는 데 친수성 실 또는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경우, 습기 이송 능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밑창 유닛을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하거나 밑창 유닛을 형성하는 데, 접합 재료 또는 액체 폴리머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재료는,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에 도포되면, 습기 이송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효율적인 습기 이송을 보장하기 위해, 특별한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이, 밑창 유닛 부착용의, 예컨대 아교 또는 접착제 등의 접합 재료에 대해, 및/또는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밑창 유닛을 마련하는 데 사용되는 액체 폴리머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도록,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불투과성은, 외부 재료층과 갑피의 갑피 라이너 사이,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갑피의 갑피 라이너 사이에 있는 제1 영역에서부터, 갑피 바닥 적층체 아래의 제2 영역으로의 습기 이송이 크게 방해받지 않는 정도로, 임의의 접합 재료 및/또는 액체 폴리머 재료의 외부 재료층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으로의 침투를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밑창 유닛은 갑피 어셈블리에 밑에서부터 부착되므로, 외부 재료층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하측에 대해 불투과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불투과성은, 외부 재료층과 제1 어셈블리 밑창을 연결하는 시임이 형성되는 영역에 마련되지만, 이러한 불투과성이 또한 외부 재료층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인접한 영역에까지 확장된다면, 예컨대 상기 연결 영역 전체에 걸쳐 확장된다면 유익하다.
특히 상기 연결 영역에 있어서, 밑창 유닛 부착용의 접합 재료에 대한, 및/또는 밑창 유닛 몰딩 또는 사출용 액체 폴리머 재료에 대한,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불투과성은, 제1 어셈블리 밑창이 임의의 특수한 습기 이송 구조를 갖지 않는 경우라도, 유익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관련한 한 가지 이유는, 불투과성에 의해, 종래에 사용되던 다른 재료에 비해 화학적으로 보다 강렬한 밑창 유닛 부착용 접합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특히 몰딩 또는 사출용 액체 폴리머 재료에 관하여는, 불투과성에 의해,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용융 또는 연화 영역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재료가 외부 재료층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의해 형성된 층구조를 관통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이러한 재료는 내측의 기능성층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출원인은,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이, 밑창 유닛 부착용의, 예컨대 아교 또는 접착제 등의 접합 재료에 대해, 및/또는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밑창 유닛을 마련하는 데 사용되는 액체 폴리머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도록,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어셈블리가 임의의 특수한 습기 이송 구조를 갖지 않는 임의의 실시형태를 보호하는 청구범위 작성 권리를 유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불투과성층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불투과성층은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과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연결 영역을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불투과성층은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과 제1 어셈블리 밑창의 밑창측 연결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밑창 유닛이 갑피 어셈블리의 바닥측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불투과성층은 임의의 밑창 유닛 부착용 접합 재료 및/또는 임의의 액체 폴리머 재료와 직접 접촉해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불투과성층은, 불투과성 테이프 또는 필름 등의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데, 상기 테이프 또는 필름은 특히 사출된 폴리우레탄(PU)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는 것이다. 불투과성층의 다른 예로는, Gore-Seam® 테이프와 같이 밀봉 용도로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 또는 테이프가 있다. 다른 예에서, 불투과성층은, 예컨대 본원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특허 출원 PCT/EP2011/0512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금속화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진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서, 도포 및 솔벤트의 증발에 의한 건조 이후에 탄성 건조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분산의 조건으로 불투과성층을 도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갑피 바닥 적층체는, 직물 지지층 상에, 바람직하게는 갑피 어셈블리의 내측을 향해 있는 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을 갖는 2층 적층체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갑피 바닥 적층체는, 제1 직물 지지층과 제2 직물 지지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을 갖는 3층 적층체이다. 또한, 갑피 기능성층은, 전술한 2층 적층체, 3층 적층체, 또는 다층 적층체 중의 어느 하나인 갑피 적층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갑피 바닥 적층체의 위에, 제2 투습성 갑피 라이너 어셈블리 밑창(이하에서는 제2 어셈블리 밑창이라 함)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어셈블리 밑창은, 통상적으로 갑피 어셈블리의 제조에 있어서 첫 번째 단계로서, 갑피 라이너의 하단부를 밑창 유닛에 대하여 폐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갑피 라이너가 제2 어셈블리 밑창을 사용하여 폐쇄되면, 갑피의 외부 재료층은 독립적으로 밑창에 대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갑피 라이너를 제2 어셈블리 밑창과 연결하고 외부 재료층을 제1 어셈블리 밑창과 연결하는 가장 유익한 기술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2개의 독립적인 어셈블리 밑창, 즉 갑피 라이너를 밑창에 대해 폐쇄하는 어셈블리 밑창과 외부 재료층을 갑피에 대하여 폐쇄하는 어셈블리 밑창을 이용하여, 갑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방식은, 제1 어셈블리 밑창이 특수한 습기 이송 구조를 갖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또한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이 제1 어셈블리 밑창에 불투과성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유익한 것으로 확인된 다른 양태이다. 출원인은 또한, 갑피 라이너의 밑창측 단부 영역이 제2 어셈블리 밑창에 연결되어 있고 갑피의 외부 재료층이 제1 어셈블리 밑창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실시형태를 보호하는 청구범위 작성 권리를 유보한다.
또한, 제2 투습성 갑피 라이너 어셈블리 밑창과 갑피 라이너의 밑창측 단부 영역은, 재봉에 의해, 예컨대 스트로벨 스티치 또는 지그재그 스티치와 같은 공지된 타입의 스티치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어셈블리 밑창은 그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갑피 라이너의 밑창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어셈블리 밑창이 갑피 바닥 적층체와는 별개의 구성 요소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는 그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갑피 라이너의 외측과,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 그리고 이러한 접합이 연결부를 방수성을 갖게 밀봉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갑피 라이너가 기능성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스티치를 이용하여 제2 어셈블리 밑창을 부착함으로써, 갑피 라이너를 밑창에 대해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갑피 어셈블리는 갑피 바닥에 대하여 아직 방수성을 갖고 있지 않다. 갑피 바닥에 대한 방수성은, 제2 어셈블리 밑창의 바닥측에 추가적인 갑피 바닥 적층체를 부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를 위해, 갑피 바닥 적층체는, 방수성 밀봉을 제공하는 접합을 통해, 예컨대 방수성 접착제 접합을 통해, 갑피 라이너의 하단부 영역의 외측에 부착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갑피 바닥에 포함된 제1 기능성층과 갑피 라이너에 마련된 제2 기능성층은, 방수성 접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갑피 라이너의 밑창측 단부 영역과 갑피 바닥 적층체는, 추가적인 어셈블리 밑창을 사용하지 않고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갑피 바닥 적층체는 제2 어셈블리 밑창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로는, 소위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부티가 있다. 이러한 부티는 일반적으로, 외층과 갑피 바닥에 의해 형성된 갑피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양말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부티 구성에서, 갑피 라이너는, 갑피 바닥 적층체와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유닛을 형성하는 갑피 라이너 적층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부티 구성에서, 부티는, 갑피의 외층의 내측에 부착되고 나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을 이용하여 갑피를 밑창측을 향해 폐쇄하는 사전 제작된 구성 요소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갑피의 제1 외층은 라스트 상에 놓여 그 바닥측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라스트를 제거하고, 갑피 어셈블리에 부티를 삽입하여, 외층과 제1 어셈블리 밑창의 내측에 놓는다.
또한 제2 어셈블리 밑창을 갖지 않는 갑피 어셈블리의 구성에서, 예컨대 부티 구성에서, 갑피 라이너의 밑창측 단부 영역과 갑피 바닥 적층체는 지그재그 스티치와 같은 공지의 스티치를 이용한 재봉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부티의 서로 다른 부분간의 접합 영역은, 예컨대 시임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 또는 시임을 덮는 시임 테이프에 의해, 밀봉되어야 한다. 별법으로서, 2개의 기능성층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서로 다른 부분간의 연결 영역에 액체 폴리머 재료를 사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갑피 어셈블리는,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신발류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류는 임의의 타입의 신발 또는 부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신발류는 통상적으로 전술한 갑피 어셈블리와, 이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된 밑창 유닛을 포함할 것이다. 밑창 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마련되거나 또는 공극이 나타나 있고, 밑창 유닛은 접착제 접합,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특히 갑피 어셈블리의 하면에 연결된다. 갑피 어셈블리의 하면은, 갑피 바닥의 밑창측 및/또는 갑피의 밑창측 단부 영역을 지칭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습기 이송 구조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공극과 액체 연통되어 있는 영역을 향해 측방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정의 및 시험 방법
신발류:
신발류는, 폐쇄된 갑피 부분(갑피)과, 갑피의 바닥측에 부착된 밑창 또는 밑창 유닛을 갖는 임의의 타임의 신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갑피는 발을 둘러싸고 발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주머니를 형성한다.
갑피 외부 재료:
갑피 외부 재료는 갑피의 외면 및 나아가서는 갑피 어셈블리의 외면을 형성하는 재료를 지칭한다. 갑피 외부 재료는, 가죽, 직물, 플라스틱, 또는 다른 공지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구성될 수 있다. 갑피 외부 재료는 일반적으로 투습성 재료로 제조된다. 갑피 외부 재료에 있어서 밑창측 하단부는, 밑창 또는 밑창 유닛의 상측 에지에 인접하는 영역, 혹은 갑피와 밑창 또는 밑창 유닛 사이의 경계면의 위에 있는 영역을 형성한다.
어셈블리 밑창(안창):
어셈블리 밑창은 갑피 바닥의 일부분이다.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은 어셈블리 밑창과 연결된다. 신발의 구성에 따라, 외부 재료층을 밑창 또는 밑창 유닛에 대해 폐쇄하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이 마련되고, 때로는 갑피의 내부 라이너를 밑창 또는 밑창 유닛에 대해 폐쇄하는 제2 어셈블리 밑창이 마련될 수 있다.
밑창:
신발은 적어도 하나의 겉창을 갖지만, 서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어 밑창 유닛을 형성하는 복수 종류의 밑창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겉창:
겉창은 밑창/밑창 유닛에 있어서 사용시에 바닥/지면에 닿거나 바닥/지면과의 주 접촉점을 이루는 구성 요소이다. 겉창은 바닥에 닿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면을 갖는다.
중창:
겉창이 직접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겉창과 갑피 어셈블리 사이에 중창이 삽입될 수 있다. 중창은 예를 들어, 쿠션 목적, 완충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충전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부티:
부티는 갑피 어셈블리의 양말형 내부 라이너이다. 부티는 신발류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는 갑피 어셈블리의 백형(bag type) 라이너를 형성한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부티가 마련된다. 이러한 부티는 방수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기능성층:
기능성층은, 예를 들어 멤브레인 또는 적절히 처리 혹은 마무리된 재료(예컨대, 플라즈마 처리된 직물)의 형태인 방수성 및/또는 투습성 층을 지칭한다. 또한, 기능성층은, 갑피 어셈블리의 갑피 바닥의 적어도 한 층을 형성하는 갑피 바닥 기능성층일 수 있다. 또한, 기능성층은, 갑피의 라이닝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갑피 기능성층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갑피 기능성층 및 갑피 바닥 기능성층은 모두, 다층, 일반적으로 2층, 3층 또는 4층 멤브레인 적층체 또는 기능성층 적층체의 부분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갑피 기능성층 및 갑피 바닥 기능성층은 각각 기능성층 부티의 일부분일 수 있다. 기능성층 부티 대신에, 갑피 기능성층 및 별도의 갑피 바닥 기능성층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층은, 특히 갑피 어셈블리의 밑창측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방수식으로 밀봉되어 있다. 갑피 바닥 기능성층 및 갑피 기능성층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기능성층에 적합한 재료는, 특히 예컨대 US-A-4,493,87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그 적층체를 비롯한,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이다. 기능성층은 예를 들어 US-A-3,953,566 및 US-A-4,187,39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미세다공질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US-A-4,194,04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능성층은 친수성 함침제 및/또는 친수성 층들이 구비된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세다공성 기능성층은 그 평균 기공 크기가 약 0.2 ㎛ 내지 약 0.3 ㎛인 기능성층이다.
적층체:
적층체는 일반적으로 상호 접착에 의해 서로 튼튼하게 접합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이다. 기능성층 적층체의 경우,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기능성층에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이 마련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은 주로 그 처리 중에 기능성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적층체를 2층 적층체라 한다. 3층 적층체는 2개의 직물층과 이들 직물층의 사이에 매설된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기능성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능성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 간의 접합은, 예를 들어 연속적인 투습성 접착제층에 의해 또는 불연속적인 비투습성 접착제층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점 형상 패턴 형태의 접착제가 기능성층과 직물층의 사이에, 또는 기능성층과 두 직물층의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그 자체로는 투습성을 갖지 않는 접착제의 균일층이 기능성층의 투습성을 막기 때문에, 접착제의 점 형상 또는 불연속적 도포가 선택된다.
배리어층:
배리어층은 보호 대상인 재료의 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으로 민감한 기능성층 또는 기능성층 적층체에까지, 특히 가루 형태의 물질이나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배리어의 역할을 한다.
방수성:
기능성층/기능성층 적층체/멤브레인은, 적어도 1×104 Pa의 물 유입 압력을 보장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기능성층/기능성층 적층체/멤브레인 상에 마련된 시임을 포함하여 방수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층 재료는 1×105 Pa을 초과하는 물 유입 압력을 보장한다. 물 유입 압력은 이하의 시험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100 ㎠의 기능성층의 샘플에 20±2℃의 증류수를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가한다. 물의 압력 증가는 분당 60±3 cm Ws이다. 이때, 물 유입 압력은 물이 처음으로 샘플의 다른 측에 나타나는 압력에 상당한다. 이 절차의 상세는 ISO-0811(1981)에 기재되어 있다.
신발이 방수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US-A-5,329,807에 기술된 유형의 원심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될 수 있다.
투습성:
기능성층/기능성층 적층체는 150 ㎡×Pa×W-1 미만의 투습도수(Ret)를 갖는 경우에 투습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투습도는 호헨슈타인 스킨 모델(Hohenstein skin model)에 따라 시험된다. 이 시험 방법은 DIN EN 31092 (02/94)와 ISO 11092(1993)에 기술되어 있다.
심지 재료의 특성 및 심지 재료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예컨대, 필라멘트, 실, 또는 직물 등의 재료 또는 구조용 요소는, 수착, 확산 및/또는 모세관 현상 등의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습기를 이송할 수 있는 경우에,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것이라 한다. 따라서, 위킹 재료 또는 구조용 요소는, 제1 저장소로부터 액체상 또는 기체상의 습기를 취출하고, 이러한 습기를 그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로 인해,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제2 저장소까지 이송할 수 있다. 위킹 재료 또는 위킹 구조용 요소에서는, 통상적으로 습기가 중력에 대항하여 유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습기는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통상의 재료 혹은 구조용 요소는 얇은 관과 같은 좁은 공간을 갖거나, 또는 종이 또는 흡수성 직물 등과 같은 다공질 재료이다. 몇몇 비다공질 재료, 예컨대 몇몇 타입의 탄소 섬유 또는 나노 재료도,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별한 위킹 재료는, 본래 친수성을 갖는 재료 또는 친수화 처리된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가죽, 다공질 구조를 갖는 임의의 재료,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러한 섬유를 기반으로 한 표면 등이 있다.
직물에서의 수분의 이송율을 결정하는 방법이, DIN 54924(1997)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소정의 기간 내에 샘플에서의 물의 상승 높이를 결정한다. 본원에 위킹율이 언급되어 있다면, DIN 54924(1997)을 참조로 한 것이다.
위킹율은 이하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2개의 샘플 시편에 대하여 DIN 54924(1997)를 따라 결정되었다.
어셈블리 밑창 재료 두께(mm) 직물 중량(g/㎡) 위킹율 (cm/2시간)
Freudenberg사의
Vildoan SI 205E
80% PET와 20% CoPES의 혼합물 0.75-0.95 200-260 6.5
Guan Cao Yue사의 WP-white 44" 100% PES 0.8 173 6.5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의 앞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의 앞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의 앞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어셈블리 밑창을 구비하는 여러 예시적인 갑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이하의 모든 설명은 개략적이고 또한 치수 및 축척에 관하여 반드시 실제일 필요는 없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나타내어져 있다. 구성 요소의 설명은 대개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만 주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임의의 차이가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는다면, 제1 실시형태에 대한 구성 요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갑피 어셈블리(10)를 포함하는 신발(100)의 앞발 영역과 밑창 유닛(1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밑창 유닛(12)은 갑피 어셈블리(10)의 바닥측에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100)에서, 밑창 유닛(12)은 오버몰딩에 의해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되어 있고, 특히 액체 폴리머 재료를 갑피 어셈블리(10)의 바닥에 직접 사출함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사출된 폴리머 재료는 겉창(44)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동일한 구성이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별법으로서, 중창을 형성하는 액체 폴리머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갑피 어셈블리에 부착되어 있는 사전 제작된 겉창(44)을 갖는 밑창 유닛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사전 제작된 밑창 유닛(12)이 갑피 어셈블리(10)의 바닥에 접착함으로써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갑피 어셈블리(10)는 갑피(14)와 갑피 바닥(16)을 포함한다. 갑피 바닥(16)은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가 갑피(10)의 밑창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갑피의 상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갑피(14)의 상부는, 발이 삽입되는 폐쇄형 포켓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갑피(14)는 투습성 외부 재료층(18)과, 갑피 라이너를 형성하는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를 포함한다.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순으로, 메쉬층(22) 형태의 지지 직물층, 갑피 기능성층 또는 갑피 멤브레인(24), 및 갑피 라이너(26)층 형태의 지지 직물층을 포함한다. 외부 재료층(18)은 갑피(14)의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에 대해 내측으로 만곡된 밑창측 하단부 영역(18a)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는 그 내측에 있는 갑피 라이너층(26)과 그 외측에 있는 갑피 지지 메쉬층(22)의 사이에 갑피 기능성층(24)이 개재되어 있는 3층 적층체이다.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는, 갑피 기능성층(24)이 내측 또는 외측에 있는 지지 메쉬층(22) 또는 라이너층(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2층 적층체(20)일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적층체는, 발이 삽입되는 폐쇄행 포켓을 형성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20)는 폐쇄형 포켓을 형성하지 않지만, 지면으로부터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갑피(14)의 측부에서만 약간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층 갑피 바닥(16)은, 그 하측, 즉 밑창에 면하는 측에서부터, 그 상측, 즉 갑피 어셈블리의 내측을 향해 있는 측을 향하는 순으로, 제1 어셈블리 밑창(30)(제1 안창이라고도 함), 갑피 바닥 기능성층 또는 지지 직물층(36)에 의해 지지된 갑피 바닥 멤브레인(34)을 갖는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 및 제2 어셈블리 밑창(38)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갑피 바닥 기능성층(34)이 지지 직물체층(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2층 적층체이다. 별법으로서, 모든 실시형태에서,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도 3의 실시형태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직물층(36)과 제2 지지 직물층(36)의 사이에 갑피 바닥 기능성층(34)이 개재되어 있는 3층 적층체일 수 있다.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은,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가장자리 단부(30a)에, 스티치(28)에 의해, 예컨대 스트로벨 스티치 또는 지그재그 스티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갑피 어셈블리(10)의 제조 과정에서, 갑피(14)의 외부 재료층(18)은 제1 어셈블리 밑창(30)을 통하여 밑창 유닛(12)에 대하여 폐쇄된다.
또한, 제2 어셈블리 밑창(38)은, 그 외측 가장자리 단부에서, 스티치(40)에 의해, 예컨대 스트로벨 스티치 또는 지그재그 스티치에 의해, 갑피 라이너(20)의 밑창측 단부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갑피 어셈블리(10)의 제조 과정에서, 갑피(14)의 갑피 라이너(20)는 제2 어셈블리 밑창(38)을 통하여 밑창(12)에 대하여 폐쇄된다.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제2 어셈블리 밑창(38)의 바로 아래와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제2 어셈블리 밑창보다 측방 범위가 크다. 이로써,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의 밑창측 단부 영역에 대해, 예컨대 접착에 의해, 방수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갑피 바닥 기능성층(34)과 갑피 기능성층(24)의 사이에 방수성 밀봉이 형성된다.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의 밑창측 단부 영역의 밑면은,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상측에, 밀봉 접착제(42)에 의해 방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밀봉 접착제(42)는 스티치(40) 상에 중첩될 수 있고, 또는 스티치(40)의 측방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결과는, 방수성 뿐만 아니라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성층(24, 34)을 사용하는 경우에, 전면적으로 방수성을 갖고 전면적으로 투습성을 갖는 갑피 어셈블리(10)이다.
밀봉 접착제(42)는 갑피 지지 메쉬(22)를 관통하여, 2개의 기능성층(24, 34) 사이에 서로에 대한 방수성 밀봉을 제공하고,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를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에 고정 및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 제2 어셈블리 밑창(3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제1 및 제2 어셈블리 밑창에 단순히 접해 있다. 적어도,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가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제2 어셈블리 밑창(38)에 대해, 투습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예컨대 국소 접착에 의해, 약간 고정될 수 있다.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의 밑창측 단부 영역은,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로 인하여, 외층 재료층(18)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1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로써, 갑피(14)의 밑창측 단부 영역에 있어서, 내측의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와 외측의 외부 재료층(18) 사이에, 및/또는 내측의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와 외측의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사이에, 도면에 A로 표시되어진 사이 공간 또는 제1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영역 또는 사이 공간(A)은, 갑피(14)가 갑피 바닥(16)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갑피(14)의 밑창측 단부 영역을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의 외측 둘레는, 이러한 제1 영역 또는 사이 공간(A)의 내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1 영역 또는 사이 공간(A)은 대개 공기에 의해 또는 습기(액체상 및/또는 기체상의 수분)에 의해, 또는 공기/습기 혼합물에 의해 채워진다.
밑창 유닛(12)은, 갑피 어셈블리(10)의 바닥에 겉창(44)을 형성하도록 액체 폴리머 재료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18a)에 부착되어 있다. 별법으로서, 밑창 유닛(12)은 사전 제작된 밑창 유닛일 수 있고, 밑창 접착제를 이용하여 갑피 어셈블리(10)의 바닥에 접착될 수 있다.
밑창 유닛(12)은, 그 둘레 외측 영역을 형성하는 겉창(44)을 포함하는데, 이 겉창은,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이 배치되어 있는 곳인 갑피의 외부 재료층(18)의 만곡된 영역을 수용하도록, 그 상측에서 바깥쪽으로 약간 상향 연장되어 있다. 또한, 겉창(44)은 신발의 사용시에 지면에 접촉하는 트레드면(44a)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겉창(44)은, 바닥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순으로, 지지 바아층(46), 그리드층(48) 및 배리어층(50)이 배치되어 있는 중앙 절취부(X)를 갖는다. 밑창 유닛(12)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52a, 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 또는 공극(52a, 52b)은 트레드면(44a)에 형성되어 있고, 트레드면(44a)과 갑피 바닥 기능성층(34) 사이에서 습기의 교환을 용납한다. 관통 구멍 또는 공극(52a, 52b)은, 도면에서 B로 표시되어 있는, 갑피 바닥 기능성층(34) 아래의 제2 영역과 습기 이송이 이루어지게 접촉해 있다.
겉창(4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부재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2 이상의 부재, 예컨대 서로 다른 색상의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관통 구멍 또는 공극(52a, 52b)은 대응하게 높은 투습성을 허용하도록 가능한 크게 만들어진다. 밑창 유닛(12)에는, 관통 구멍 또는 공극(52a, 52b)에 침투할 수 있는, 예컨대 돌멩이 등의 이물질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를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배리어층(50)이 수평하게 가로지르고 있다. 배리어층(50)은 겉층(44) 안으로 약간 연장되어, 겉층에 고정되고 겉층에 튼튼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배리어층은, 열적으로 압밀화된 섬유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추가적으로 밑창 유닛(12)에 대한 안정화 재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밑창 유닛에 대한 추가적인 안정성은 지지 바아층(46) 및 그리드층(48)에 의해 제공된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개요가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는 습기 이송 구조(54a, 54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습기 이송 구조(54a, 54b)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갑피 기능성층 적층체(20)와 갑피(14)의 외부 재료층(18)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30a) 사이에 형성된 제1 영역 또는 사이 공간(A)을, 갑피 바닥 적층체(32) 아래의 제2 영역(B)과 연결하는 습기 유통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영역 또는 사이 공간(A)에 축적된 습기는, 이러한 습기 이송 구조(54a, 54b)를 통해 제2 영역(B)으로 빼내어질 수 있게 되고, 이 제2 영역에서는 밑창 유닛(12)에 형성된 관통 구멍/공극(52a, 52b)을 통해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별법으로서, 유사한 습기 이송 구조(54c, 54d)가, 도 2 및 도 3의 실시형태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의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에지 영역(18a)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습기 이송 구조(54c, 54d)는 바람직하게는 제1 어셈블리 밑창 내의 대응 습기 이송 구조(54a, 54b)와 수분 이송이 이루어지게 통해 있고, 제1 영역 또는 사이 공간(A)을 제2 영역(b)과 연결하는 습기 유통 경로를 더 지지한다. 갑피(14)의 외부 재료층(18)이 갑피 바닥 적층체(32) 아래의 영역 안으로 멀리 연장되어 있는 몇몇 실시형태에서는(도 3 참조), 습기 이송 구조(54c, 54d)만을 사용하고, 제1 어셈블리 밑창 내의 대응 습기 이송 구조(54a, 54b)를 생략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18a)가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측 둘레 영역(30a)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영역(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은,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18a)와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30a) 사이의 접합이 행해지는 구역, 예컨대 스티치(28), 접착제 등으로 덮인 시임, 및 또는 용접이 행해지는 시임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 영역(56)은 상기 시임(28)에 인접한 외부 재료층(18) 및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영역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영역(56)은,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이 밑창 유닛(12)과 접촉하게 될 정도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관통 구멍 및/또는 공극(52a, 52b)이 마련된 밑창 유닛(12)을 갖는 신발류에서, 연결 영역(56)은, 밑창 유닛(12)을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할 때,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30a)이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내측 가장자리 영역(30b)을 둘러싸서 관통 구멍/공극(52a, 52b)을 덮게 될 정도까지, 안쪽으로 이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이, 밑창 유닛(12) 부착용의, 예컨대 아교 또는 접착제 등의 접합 재료에 대해, 및/또는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밑창 유닛(12)을 마련하는 데 사용되는 액체 폴리머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도록,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불투과성은, 제1 영역(A)에서부터, 갑피 바닥 적층체(32) 아래의 제2 영역(B)으로의 습기 이송이 크게 방해받지 않는 정도로, 임의의 접합 재료 및/또는 액체 폴리머 재료의 외부 재료층(18)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으로의 침투를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밑창 유닛(12)은 갑피 어셈블리(10)에 밑에서부터 부착된다. 이에 따라,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의 하측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바닥측에 대해 불투과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재료층(18)을 제1 어셈블리 밑창(30)과 연결하는 영역도, 겉창(44) 사출용 액체 폴리머 재료에 대해 및/또는 밑창 접착제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임(28)은 액체 폴리머 겉창 재료 또는 밑창 접착제와 접촉하게 되는 외부 재료층(18)의 영역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밑창 유닛을 부착할 때, 배리어층(50)은 제1 어셈블리 안창에 대하여 압박되므로, 액체 폴리머 재료 및/또는 밑창 접착제의 연결부(28)로의 침투가 도 3의 실시형태에서도 방지된다.
액체 폴리머 재료 및/또는 밑창 접착제에 대한 불투과성에 의해, 종래에 사용되던 다른 재료에 비해 화학적으로 보다 강렬한 밑창 유닛(12) 부착용 접합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몰딩 또는 사출용 액체 폴리머 재료에 관하여는, 전술한 불투과성에 의해,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용융 또는 연화 영역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재료가 외부 재료층(18) 및/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 의해 형성된 층구조를 관통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이러한 재료는 내측의 기능성층(24, 34)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는, 불투과성층(58)이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의 외측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바닥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불투과성층(58)은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30a)의 연결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불투과성층은 외부 재료층(18)을 제1 어셈블리 밑창(30)과 연결하는 시임(28)을 덮는다. 밑창 유닛(12)을 부착할 때, 불투과성층(58)은 임의의 밑창 유닛(12) 부착용 접합 재료 및/또는 겉창(44) 사출용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액체 폴리머 재료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일부 예에서, 불투과성층은, 폴리우레탄계 재료 또는 실리콘계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며 접착에 의해 부착되는 테이프 또는 필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불투과성층은, 액체 또는 점성 접착제 재료, 예컨대 폴리우레탄 및/또는 반응성 핫멜트형 접착제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건조 및/또는 경화 및/또는 불림 이후에, 이러한 접착제 재료는, 액체 또는 점성 밑창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는 층을 형성한다. 적절한 액체 또는 점성 접착제는 충분히 높은 점성을 가져야 한다. 예컨대, 밑창 유닛을 갑피 어셈블리에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밑창 접착제는 100,000을 상회하는 분자량을 갖는 접착제이다. 이러한 접착제는 불투과성층을 마련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로는 하기의 접착제/접착제 시스템이 있다: Fuller Ultraflex 4320 + Fuller Hardener FCUV, Kommerling Koraplast 188, ZHONG BU type PL 755 + 8% hardener 318.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불투과성층(58) 대신에 링형의 보호 요소(58')가 사용된다. 이러한 링형 보호 요소(58')는,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30a)이 서로 연결된 후에, 적절한 접착제, 특히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링형 보호 요소(58')는,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의 외측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바닥측으로부터 도포된다. 이에 의해,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둘레 영역(30a)의 사이에 형성된 시임(28)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임(28)에 바로 인접한 영역을 덮는 불투과성 시일이 마련된다. 연결부(28)가 갑피 어셈블리(10)의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영역 상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링형 보호 요소(58')를 도포하는 것이 더 쉽다. 이러한 이유로,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갑피의 외부 재료층(18)은 거의 갑피 바닥 적층체(32) 아래의 영역에 이르게 비교적 멀리 아래로 연장된다.
그 밖의 모든 양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2의 실시형태에도 적용되는 도 1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외부 재료층(18)은 매우 길고, 실제로 갑피 라이너(20)보다 길다. 외부 재료층(18)은, 갑피 어셈블리(10)가 거의 수직한 연장 범위로부터 통상적으로 갑피 바닥(16)을 형성하는 거의 수평한 연장 범위로 변화하는 하측의 만곡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외부 재료층(18)은 실제로 갑피 바닥 적층체(32) 아래의 영역을 향해 측방 내측으로 연장된다. 외부 재료층(18)은, 밑창 유닛(12)이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밑창 유닛(12)에서 관통 구멍 및/또는 공극(52a, 52b)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 상에 중첩되어 있는, 갑피 바닥(16)의 측방 내향 영역에까지 들어가는 정도로, 갑피 바닥 적층체(32) 아래의 영역에 이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 영역(56), 즉 연결부에 인접한 영역을 포함하고 겉창(44) 사출용의 임의의 액체 폴리머 재료 및/또는 임의의 밑창 접착제와 접촉하게 되는 영역이, 연결부(28)와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의 외측/바닥측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겉창(44)을 사출할 때, 액체 밑창 재료의 침투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배리어층(50)을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의 바닥측에 대해 압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밑창 접착제를 사용하여 밑창 유닛(12)을 부착할 때, 밑창 접착제가 밑창 유닛(12)의 외측 둘레 영역에만 도포되고, 배리어층(50)이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에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는 도포되어 있지 않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압 조건하에서 밑창 유닛(12)을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할 때, 배리어층(50)은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에 대해 압박된다. 이에 따라, 액체 폴리머 재료 및/또는 밑창 접착제가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를 향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투과성 시일이 마련된다.
도 3의 실시형태는 또한, 갑피(14)를 밑창 유닛(12)에 대해 폐쇄하는 데 제2 어셈블리 밑창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더 정확하게는,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는 또한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2 어셈블리 밑창(38)의 기능을 제공한다.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 및 (예컨대, 갑피 기능성 적층체의 형태인) 갑피 라이너(20)는 연결부(40)에서, 임의의 공지의 방법으로, 예컨대 스티치 시임(40)을 제공하는 (스트로벨 스티치 또는 지그재그 스티치와 같은) 재봉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40)를 방수성을 갖게 만들기 위해, 밀봉 재료(42),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를, 갑피 바닥 기능성층 적층체(32)와 갑피 라이너(20)를 연결하는 연결부(40)에 도포한다. 밀봉 재료는 액체 상태로 도포되어 연결부(40)에 침입한다. 경화후, 밀봉 재료(42)는 갑피 바닥 적층체(32)와 갑피 라이너(20) 사이의 연결부(40)를 방수성을 갖게 만든다. 다른 타입의 밀봉 재료(42), 특히 시임 테이프 또는 밀봉 접착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갑피 바닥 적층체(32)와, 일측에서는 갑피 라이너(20)와의 사이에, 타측에서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의 사이에, 직접 연결이 불필요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갑피 바닥 적층체(32)와 갑피 라이너(20)에 의해 형성된 라이너 구조는, 외부 재료층(18)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 의해 형성된 외부 구조의 내부에 간단히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갑피 라이너(20) 및 외부 재료층(18)을 포함하는 갑피(14)가, 기본적으로 라스트 상에 놓여 있고, 이후에 갑피 바닥 적층체(30)를 [연결부(40)를 방수성을 갖게 하여] 갑피 라이너에 부착하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을 외부 재료층(18)에 부착함으로써 바닥측에서 폐쇄되는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또한, 사전 제작된 방수성 및 투습성 겸비 부티가 갑피 어셈블리(30)의 외층 구조(18, 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티 타입의 신발 구성에 매우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갑피 바닥 적층체(32)가 3층 적층체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2층 적층체도 사용될 수 있다. 역으로, 도 3의 3층 적층체(32)가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와도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의 모든 양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가 도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3의 실시형태에도 적용되는 도 1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어셈블리 밑창(30)을 구비하는 여러 예시적인 갑피 어셈블리(10)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갑피 어셈블리는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1 어셈블리 밑창은, 비록 각 실시형태에 다르게 구성되어 있지만, 동일한 도면부호 30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갑피의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은 18a로 표시되어 있다.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 제1 어셈블리 밑창(30) 사이의 연결부는 각 도면에서 28로 표시되어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갑피의 외부 재료층(18)에는 습기 이송 구조(54)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이러한 습기 이송 구조가 54a, 54b, 54c, 54d로 표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4에서는, 습기 이송 구조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도면 부호 54만을 사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각각의 습기 이송 구조(54a, 54b, 54c, 54d)가,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임의의 습기 이송 구조(54)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14 중 임의의 도면에 예시적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는 다양한 습기 이송 구조(54)를 동일한 갑피 어셈블리에 조합할 수도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전체적으로, 습기에 대하여 위킹 특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재료는 습기 이송 구조(54)를 형성한다.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완전한 갑피 바닥(16)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재료는, 제1 저장소로부터 액체상 또는 기체상의 습기를 취출하고, 이러한 습기를 그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로 인해, 그 연장 방향을 따라서 제2 저장소까지 이송할 수 있는 경우에,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것이라 한다(상기 내용 참조). 이러한 위킹 재료의 예로는, 면과 같은 친수성 천연 섬유와, 친수성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친수성 합성 수지, 또는 친수화 처리된 임의의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들 모든 재료는 충분한 위킹 효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어셈블리 밑창으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안정성 및 가요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습기 이송 구조가 마련되는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습기를 이송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습기의 이송을 허용할 수 있는 또는 촉진할 수도 있는 습기 도관 구조, 예컨대 채널 구조 또는 위킹 필라멘트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가능 방안으로서,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에는, 습기 도관 구조, 예컨대 채널형 구조, 위킹 필라멘트의 배열체 및/또는 적절한 공극 및/또는 리세스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원칙적으로는 위킹 효과가 "거시적인" 습기 도관 구조에 의해 달성되므로, 그 분자간 또는 "미세" 구조로 인하여 심지 재료의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제1 어셈블리 밑창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은 심지어 불투습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습기 이송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거시적인 습기 도관 구조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고 위킹 특성을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는 관점에서, 모든 가능 방안을 조합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는 필라멘트 또는 실(60a, 60b, 60c)의 배열체가 마련되어 있다(단지 3개의 필라멘트만이 예시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필라멘트(60a, 60b, 60c)는 위킹 특성을 갖는데, 즉 그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습기를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위킹 특성은 기본적으로, 워킹 필라멘트가 필라멘트 또는 실의 구조의 특정 형상 및/또는 위킹 특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다. 전술한 모든 재료는 그러한 위킹 필라멘트를 이루는 잠재적 후보이지만, 신발의 설계에 있어서 어셈블리 밑창에 필요한 충분한 안정성 및 가요성을 제공하지 않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위킹 필라멘트(60a, 60b, 60c)가, 그 자체로 위킹 특성을 가질 필요가 없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기본 재료에 통합되기 때문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위킹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거나 또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을 가로질러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킹 필라멘트(60a, 60b, 60c) 외에, 적어도 내측의 외부 재료층의 밑창측 단부 영역(18a)에도, 위킹 필라멘트(60d, 60d, 60e)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들 위킹 필라멘트(60c, 60d, 60e)는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위킹 필라멘트(60a, 60b, 60c)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 의해 제1 습기 이송 구조(54)가 제공되고, 외부 재료층(18)에 의해 제2 습기 이송 구조(54)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습기 이송 구조(54, 54)는 서로 습기 연통 관계로 있다. 이 때문에,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제2 습기 이송 구조의 위킹 필라멘트(60c, 60d, 60e)는 외부 재료층(18)의 하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즉 연결부(28)를 향하여 배향되어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바와 같은 위킹 필라멘트의 배열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습기 이송 구조(54)는 전체적으로 제1 어셈블리 밑창을 덮을 필요가 없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장 많은 습기가 축적될 것으로 예상되는 앞발의 영역에만, 습기 이송 구조(54)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습기 이송 구조(5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만 제1 어셈블리 밑창(30)이 있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좌우 방향 양측의 앞발 영역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 밑창은 위킹 특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이들 영역에 2개의 습기 이송 구조(54, 54)를 형성한다. 다른 모든 영역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어떠한 특정의 위킹 특성도 없는 종래의 안창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습기 이송 구조(54)를 제공하는 영역과, 제공하지 않는 그 외의 영역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어떠한 특정의 위킹 특성도 갖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어떠한 습기 도관 구조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단지 앞발 영역만이 2개의 물 이송 구조(54)를 구비한다. 이들 물 이송 구조(54)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갑피 바닥(16)에 걸쳐 있다. 이에 따라, 갑피 바닥(16)의 좌우측에 축적된 습기는, 밑창 유닛(12)에 형성된 관통 구멍 및/또는 공극(52a, 52b)에 겹쳐지는 갑피 바닥(16)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이송된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종래의 안창 재료로 이루어진 중앙 영역(30b)을 포함하여, 어떠한 특정의 습기 이송 구조도 제공하지 않는다. 중앙 영역(3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킹 특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외주 영역(30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외주 영역은 습기 이송 구조(54)를 제공한다. 이러한 습기 이송 구조(54)는,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단부 영역(18)과의 조인트(28)에 인접하여 있다.
도 11의 예에서도,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종래의 안창 재료로 이루어진 중앙 영역(30b)을 포함하여, 어떠한 특정의 습기 이송 구조도 제공하지 않는다. 중앙 영역(30b)은, 복수의 습기 이송 도관(62a, 62b, 62c)의 배열체의 형태의 습기 도관 구조(54)가 마련된 외주 영역(30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들 습기 이송 도관(62a, 62b, 62c)은, 기본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제1 어셈블리 밑창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정향되어 있다. 밑창 유닛(12)이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된 후에, 습기 이송 도관(62a, 62b, 62c)은, 갑피 바닥 적층체(32) 하방의 영역(B)으로 연장되고, 밑창 유닛(12)에 형성된 관통 구멍 및/또는 공극(52a, 52b)과 습기 연통되어 있다. 습기 이송 도관(62a, 62b, 62c)은,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바닥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갑피 어셈블리의 저면도에서 보인다.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중앙 영역(30b)을 향하여 이러한 채널 내에서 이송된 습기가 효율적으로 외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2의 예는, 습기 이송 도관(62a, 62b, 62c)이 바닥측이 아닌,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1의 예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습기 이송 도관(62a, 62b, 62c)은, 도 12에 도시된 갑피 어셈블리의 저면도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중앙 영역(30b)을 향하여 그러한 습기 도관 채널(62a, 62b, 62c)에서 이송된 습기는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중앙 영역(30b)에 형성된 공극(64)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예들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예에 각각 대응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주 영역(30a)에 형성된 습기 도관 채널(62a, 62b, 62c)의 배열체에 의해 형성된 제1 습기 이송 구조(54)에 더하여, 외부 재료층(18)의 밑창측 가장자리 영역(18a)에 제2 습기 이송 구조(54)를 형성하는 습기 도관 채널(62d, 62e, 62f)의 배열체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1 및 제2 습기 이송 구조(54, 54)의 습기 도관 채널(62a, 62d; 62b, 62e; 62e, 62f)은 모두 기본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정향되어 있고,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습기가 제1 영역(A)으로부터 제2 영역(B)으로 효과적으로 이송된다.

Claims (30)

  1. 신발류(100)용 갑피 어셈블리(10)로서,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과 갑피 바닥(16)을 갖는 갑피(14)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은 상기 밑창 바닥(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갑피(14)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을 갖는 외부 재료층(18)과, 갑피 라이너(20)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 바닥(16)은 제1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30)과,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34)을 구비한 갑피 바닥 적층체(32)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의 상기 외부 재료층(18)은 상기 제1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3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상기 갑피(14)의 상기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은, 상기 외부 재료층(18)과 상기 갑피(14)의 상기 갑피 라이너(20) 사이, 및/또는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갑피(14)의 상기 갑피 라이너(20) 사이에 있는 제1 영역(A)에서부터, 상기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34) 아래의 제2 영역(B)으로 습기를 빼내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습기 이송 구조(54; 54a, 54b)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바닥의 기능성층(34) 아래의 상기 제2 영역(B)은, 밑창 유닛(12)이 상기 갑피 어셈블리(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밑창 유닛(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52a, 52b), 또는 공극이 나타나는 영역과, 습기 투과가 가능하게 연통해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밑창 유닛(12)이 상기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재료층(18)과 갑피(14)의 상기 갑피 라이너(20) 사이, 및/또는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갑피(14)의 상기 갑피 라이너(20)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영역(A)이, 밑창 재료(44) 및/또는 밑창 접착제에 의해 덮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은 적어도 상기 습기 이송 구조(54)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킹(wicking)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킹 재료는, 친수성 천연 섬유, 친수성 합성 수지, 친수화 처리된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 및/또는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은 적어도 상기 습기 이송 구조(54)에, 적어도 하나의 습기 도관 구조(60, 6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도관 구조(60, 62)는 적어도 하나의 위킹 필라멘트(62), 공극 및/또는 리세스(64)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적어도 상기 습기 이송 구조(54)의 측방 내측의 영역(30b)에서, 투습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상기 영역(30b)에 공극(6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이송 구조(54)는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 전체에 걸쳐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이송 구조(54)는, 2 시간당 1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시간당 2 c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 시간당 3 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시간당 4 cm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시간당 5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시간당 6 cm 이상의 습기 이송율을 제공하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료층(18)은 상기 밑창 바닥 적층체(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라이너(20)는, 제2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24)을 구비한 갑피 라이너 적층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료층(18)은 상기 갑피 라이너(20)보다 짧은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은 상기 밑창 바닥 적층체(32)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료층(18)의 상기 밑창측 단부 영역(18a)은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 바람직하게는 재봉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료층(18)의 상기 밑창측 단부 영역(18a)은, 밑창(12) 부착용으로 사용되는, 아교 또는 접착제 등의 접합 재료에 대해, 및/또는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밑창(12)을 마련하는 데 사용되는 액체 폴리머 재료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도록,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료층(18)의 상기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연결 영역(56)을 덮는 불투과성층(58)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료층(18)의 상기 밑창측 단부 영역(18a)과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밑창측 연결 영역(56) 상에 상기 불투과성층(5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층(56)은, 불투과성 테이프 또는 필름, 접착 테이프, 밀봉 용도로 사용되는 테이프,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 필름을 포함하는 배리어, 폴리에틸렌, 도포 및 솔벤트의 증발에 의한 건조 이후에 탄성 건조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분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32)는, 직물 지지층(36)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34)을 갖는 2층 적층체인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32)는, 제1 직물 지지층(36a)과 제2 직물 지지층(3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기능성층(34)을 갖는 3층 적층체인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바닥 적층체(32)의 위에 제2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38)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습성 어셈블리 밑창(38)과 상기 갑피 라이너(20)의 밑창측 단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재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32)와 상기 갑피 라이너(20)의 밑창측 단부 영역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층(34)과 상기 제2 기능성층(24)은 방수성 접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6.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라이너(20)의 밑창측 단부 영역과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32)는, 추가적인 어셈블리 밑창을 사용하지 않고서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라이너(20)는,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32)와 투습성 및 방수성 겸비 유닛을 형성하는 갑피 라이너 적층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라이너(20)의 상기 밑창측 단부 영역과 상기 갑피 바닥 적층체(32)는, 재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10).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갑피 어셈블리(10)와, 상기 갑피 어셈블리(10)에 부착된 밑창 유닛(12)을 포함하는 신발류(100)로서, 상기 밑창 유닛(12)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52a, 52b)가 마련되거나 또는 공극이 나타나 있고, 상기 밑창 유닛(12)은 접착제 접합, 몰딩, 또는 사출에 의해 특히 상기 갑피 어셈블리(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100).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습기 이송 구조(54)는, 상기 제1 어셈블리 밑창(3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및/또는 상기 밑창측 외부 재료 단부 영역(18a)에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로(52a, 52b) 또는 상기 공극과 액체 연통되어 있는 상기 영역(B)을 향해 측방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100).
KR1020147005659A 2011-07-29 2011-07-29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 KR20140052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63170 WO2013017155A1 (en) 2011-07-29 2011-07-29 Upper assembly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002A true KR20140052002A (ko) 2014-05-02

Family

ID=4462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659A KR20140052002A (ko) 2011-07-29 2011-07-29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283411A1 (ko)
EP (1) EP2736367A1 (ko)
JP (1) JP2014521417A (ko)
KR (1) KR20140052002A (ko)
CN (1) CN103717100A (ko)
CA (1) CA2842451A1 (ko)
RU (1) RU2014107747A (ko)
WO (1) WO2013017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2517A1 (en) * 2015-04-17 2016-10-20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673376B1 (ko) * 2015-05-27 2016-11-08 주식회사 학산 투습방수기능을 가진 신발
ITUB20152773A1 (it) * 2015-08-03 2017-02-03 Geox Spa Calzatura impermeabile e traspirante
US10624418B2 (en) 2016-01-25 2020-04-21 Cole Haan Llc Shoe having features for increased flexibility
KR101807844B1 (ko) * 2016-07-07 2017-12-11 주식회사 학산 통기성이 향상된 신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18874A (zh) * 2016-10-13 2017-02-22 陈茂双 全方位包裹、环保的鞋及其生产工艺
US10711380B2 (en) 2017-07-13 2020-07-14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embroidered tape segments
CN108078059B (zh) * 2017-12-08 2021-04-27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功能的童鞋
US10736380B2 (en) 2018-07-03 2020-08-1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and embroidered edges
US10786043B2 (en) 2018-07-03 2020-09-29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thermally bonded ribb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10619280B2 (en) 2018-07-03 2020-04-14 Under Armour, Inc. Method of making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and embroidered edges
US10758007B2 (en) 2018-07-03 2020-09-0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thermally bonded ribb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10736381B2 (en) 2018-07-03 2020-08-1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directional tensioning
US10716362B2 (en) 2018-07-03 2020-07-2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having nodes and links
WO2020014095A1 (en) * 2018-07-09 2020-01-16 Invista Textiles (U.K.) Limited Thermally conductive cushion
CN112533505B (zh) * 2018-08-15 2023-03-17 伊科斯克有限公司 鞋类物品
US10993497B2 (en) 2018-11-15 2021-05-04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loops for string lasting
US11484091B2 (en) * 2019-01-28 2022-11-01 Columbia Insurance Company Waterproof sho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1439206B2 (en) 2019-12-17 2022-09-13 Under Armour, Inc.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20210177095A1 (en) * 2019-12-17 2021-06-17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20230354961A1 (en) * 2020-02-19 2023-11-09 Ecco Sko A/S A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EP4106570A1 (en) * 2020-02-19 2022-12-28 Ecco Sko A/S Breathable and waterproof footwear
WO2024042556A1 (en) * 2022-08-22 2024-02-29 W. L. Gore & Associati S.R.L. Waterproof and water vapour-permeable footwear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1873A (en) 1945-04-24 1951-02-13 Arthur J Holman Lens grinding tool and method
SE392582B (sv) 1970-05-21 1977-04-04 Gore & Ass Forfarande vid framstellning av ett porost material, genom expandering och streckning av en tetrafluoretenpolymer framstelld i ett pastabildande strengsprutningsforfarande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CA1191439A (en) 1982-12-02 1985-08-06 Cornelius M.F. Vrouenraets Flexible layered product
KR890001484A (ko) * 1987-07-08 1989-03-27 존 에스. 캠벨 방 수 화
JPH0387407U (ko) * 1989-12-26 1991-09-05
US5329807A (en) 1993-06-18 1994-07-19 W. L. Gore & Associates, Inc. Centrifuge test apparatus for footwear and apparel
IT239378Y1 (it) * 1995-02-21 2001-02-26 Gore W L & Ass Srl Calzatura con tomaia e suola impermeabili in grado di consentire latraspirazione del vapore verso l'esterno
EP0729716B1 (de) * 1995-03-02 2000-10-11 Akzo Nobel N.V. Schuhwerk mit Laminateinbettung in Sohlenspritzmasse
DE19513413C1 (de) * 1995-04-08 1997-03-20 Akzo Nobel Nv Wasserdichtes Laminatformteil und Verwendung desselben in Schuhen
US5784809A (en) * 1996-01-08 1998-07-28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ing boot
IT241753Y1 (it) * 1996-03-19 2001-05-17 Gore W L & Ass Srl Calzatura permeabile al vapore migliorata
US20040058102A1 (en) * 1996-11-12 2004-03-25 Baychar Moisture transfer liner for alpine boots, snowboard boots inline skates, hockey skate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8569190B2 (en) * 1996-11-12 2013-10-29 Solid Water Holdings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liner for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6048810A (en) * 1996-11-12 2000-04-11 Baychar;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liner for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20040200094A1 (en) * 1996-11-12 2004-10-14 Baychar Softboots and waterproof /breathable moisture transfer composite and liner for in-line skates, ice-skates, hockey skates,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5738937A (en) * 1996-11-12 1998-04-14 Baychar; Waterproof/breathable liner and in-line skate employing the liner
US20050034330A1 (en) * 1996-11-12 2005-02-17 Baychar Running shoes, hiking shoes and boots,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having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characteristics
US5897412A (en) * 1997-11-19 1999-04-27 Shapiro; Charles Shoe repair composite material
AU4918000A (en) * 1999-08-16 2001-03-13 W.L. Gore & Associates Gmbh Footwear with sealed sole constru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A2351343C (en) * 1999-09-21 2009-11-03 Nottington Holding B.V. Waterproof and moisture-permeable sho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IT1317329B1 (it) * 2000-04-13 2003-06-16 Nottington Holding Bv Calzatura traspirante.
GB2363050B (en) * 2000-06-05 2002-05-08 Eddie Chen Waterproof shoe
US20010049886A1 (en) * 2000-06-09 2001-12-13 Eddie Chen Waterproof shoe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6474002B2 (en) * 2000-06-09 2002-11-05 Eddie Chen Waterproof shoe having a waterproof but vapor-permeable lining sleeve
IT1317368B1 (it) * 2000-10-10 2003-06-16 Nottington Holding Bv Struttura di calzatura impermeabile con suola o intersuola stampatasulla tomaia.
US20040049942A1 (en) * 2002-09-18 2004-03-18 Eddie Chen Shoe having waterproof breathable shell
US6810604B2 (en) * 2002-11-21 2004-11-02 Eddie Chen Shoe having a hollow insole component
US6851205B2 (en) * 2003-01-29 2005-02-08 Eddie Chen Shoe having a cup member connected to the bottom of a waterproof breathable lining
DE10306913B3 (de) * 2003-02-19 2004-10-28 Sympatex Technologies Gmbh Wasserdichter Schuh mit gebuggtem Innenschaft
US6836916B2 (en) * 2003-03-28 2005-01-04 Eddie Chen Process for making a waterproof shoe
DE10321491A1 (de) * 2003-05-13 2004-12-09 W.L. Gore & Associates Gmbh Wasserdichtes Schuhwer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ITPD20030312A1 (it) * 2003-12-30 2005-06-30 Geox Spa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ITPD20040014A1 (it) * 2004-01-22 2004-04-22 Geox Spa Calzatura con suola e tomaia traspiranti ed impermeabili
US20070294920A1 (en) * 2005-10-28 2007-12-27 Soft shell boots and waterproof /breathable moisture transfer composites and liner for in-line skates, ice-skates, hockey skates,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ITPD20050228A1 (it) * 2005-07-26 2007-01-27 Geox Spa Calzatura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e acqueo
DE202007000668U1 (de) * 2006-03-03 2007-03-29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stabilisierungsmaterial
FR2903866B1 (fr) * 2006-07-21 2009-03-20 Salomon Sa Chaussure respiro-etanche
ITPD20060437A1 (it) * 2006-11-23 2008-05-24 Geox Spa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calzatura utilizzante detta suola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detta suola e detta calzatura
CN201042231Y (zh) * 2007-04-27 2008-04-02 林永渐 吸震透气型鞋中底
DE102008027856A1 (de) * 2008-06-11 2009-12-24 W. L. Gore & Associates Gmbh Schuh mit Belüftung im unteren Schaftbereich und dafür verwendbares luftdurchlässiges Abstandsgebilde
DE102008029296A1 (de) 2008-06-20 2009-12-24 W. L. Gore & Associates Gmbh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US20100011619A1 (en) * 2008-07-16 2010-01-21 Peter Bastianelli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DE102009015890A1 (de) * 2009-04-01 2010-10-14 W. L. Gore & Associates Gmbh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und damit versehenes Schuhwerk
IT1396032B1 (it) * 2009-10-15 2012-11-09 Geox Spa Suola per calzature impermeabile e traspirante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FR2952790B1 (fr) * 2009-11-23 2012-01-06 Salomon Sas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EP2342984A1 (de) * 2010-01-11 2011-07-13 Masai Marketing & Trading AG Sohleneinsatz für Gehgerät
DE102010006150A1 (de) * 2010-01-29 2011-08-04 W. L. Gore & Associates GmbH, 85640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DE102010006151A1 (de) * 2010-01-29 2011-08-04 W. L. Gore & Associates GmbH, 85640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CN103442608A (zh) * 2011-03-04 2013-12-11 萨洛蒙股份有限公司 具有改良鞋帮的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7155A1 (en) 2013-02-07
US20140283411A1 (en) 2014-09-25
JP2014521417A (ja) 2014-08-28
CA2842451A1 (en) 2013-02-07
RU2014107747A (ru) 2015-09-10
CN103717100A (zh) 2014-04-09
EP2736367A1 (en)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2002A (ko)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
KR101652569B1 (ko) 신발용 갑피 조립체 및 갑피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
JP5923091B2 (ja) 靴、靴用のソール組立体、ソール組立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靴を製造する方法
RU2615056C1 (ru) Предмет обуви с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м слоем и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м участком в нижней периферийной области верха
CN102740719B (zh) 用于鞋类的鞋统结构以及包括该结构的鞋类
CN101426390B (zh) 复合鞋底、由其制成的鞋及其制造方法
TW201225868A (en) Vapor-permeable shoe with waterproof and vapor-permeable sole
KR20090082895A (ko) 신발용 투습방수성 창, 상기 창을 사용한 신발, 및 상기 창 및 상기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1421453A (zh) 鞋稳定材料和以此制造的阻挡单元,复合鞋底和鞋
KR20120018140A (ko)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KR20140077837A (ko) 모노필라멘트 신발 라이닝
KR20140066711A (ko) 직접 부착 방수 신발
RU2501503C1 (ru) Узел верха обуви, а также содержащая его обувь
TW201607445A (zh) 用以提供防水透氣鞋之部件的方法,以該方法所提供之防水透氣鞋之部件,及具備該鞋之部件的防水透氣鞋底
WO2015028045A1 (en)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9950486U (zh) 防水透气的鞋
JP6346217B2 (ja) 靴、靴用のソール組立体、ソール組立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靴を製造する方法
TH32244A (th) รองเท้าที่ไอซึมผ่านไ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