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140A -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 Google Patents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140A
KR20120018140A KR1020117026074A KR20117026074A KR20120018140A KR 20120018140 A KR20120018140 A KR 20120018140A KR 1020117026074 A KR1020117026074 A KR 1020117026074A KR 20117026074 A KR20117026074 A KR 20117026074A KR 20120018140 A KR20120018140 A KR 2012001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vapor
outsole
sole unit
vapor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757B1 (ko
Inventor
스태인 나베른니크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1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겉창 재료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아래에 겉창 부분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겉창층(41)으로서, 겉창층(4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세스(43)에 의해 둘레 영역 내의 두께가 저감되어 있고,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겉창층 관통 구멍(45)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겉창층을 포함하는,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15)을 제공한다. 이 밑창 유닛(15)은, 겉창층(41)의 리세스(4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리세스(43)의 높이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며 이물질이 밀고 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되어 있는 배리어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 수증기 투습성 배리어층(47)을 구비한다. 이 밑창 유닛(15)은, 리세스(43) 내에 있어서 배리어층(47) 상에 배치되며 겉창 재료보다 경도 및/또는 비중이 낮은 컴포트층 재료를 이용해 구성된 수증기 투습성 컴포트층(49)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SOLE UNIT FOR FOOT WEAR AND FOOT WEAR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신발류용 밑창 유닛과 이를 구비한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샤프트를 구비하여 샤프트 영역에 있어서 방수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땀 수분을 내보낼 수 있는 신발류가 잘 알려져 있다. 땀 수분이 밑창(sole) 영역에서도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겉창(outsole)을 포함하고, 그 위에 예를 들어 멤브레인 형태의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밑창 기능층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있어 왔다. 겉창에 미세 구멍 형태의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그에 상응하게 수증기 투습도가 제한된, 한 예가 EP 0 382 904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람의 발의 확연한 발한(發汗) 경향에 보다 잘 맞추기 위해, 미세 구멍에 비해 큰 관통 구멍을 겉창에 마련하여, 매우 높은 수증기 투습도를 달성하는 것이, EP 0 275 644 A2호에 제안되어 있다.
겉창의 관통 구멍이 커질수록, 겉창의 관통 구멍 위에 있는 방수성 멤브레인이,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을 통과한 돌멩이 등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어, 그 방수성을 잃게 될 우려가 커진다. 따라서, EP 0 275 644 A2호는, 예를 들어 메시 또는 펠트 재료로 구성된 보호층을, 겉창 및 그 관통 구멍과 그 위에 있는 멤브레인의 사이에 배치하여, 겉창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이물질이 멤브레인까지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신발 내부로의 물의 침투에 대비해 겉창의 큰 관통 구멍이 멤브레인에 의해 밀폐되어 있고, 이물질이 멤브레인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멤브레인의 밑에 보호층이 위치하는 다른 예가, WO 2004/028284 A1호, WO 2006/010578 A1호, WO 2007/147421 A1호 및 WO 2008/003375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모든 경우에서, 멤브레인의 일측에는, 촘촘한 재료 형태의 직물 백킹, 통상적으로는 호일 시트 혹은 자기 지지형 시트가 적층되어 있다. 멤브레인과 겉창의 관통 구멍 사이에 배치된 그물형 보호층이, 이물질의 멤브레인까지의 침투를 어느 정도 막는다. 멤브레인에 대한 보호를 개선하기 위해, 멤브레인과 그물형 보호층의 사이에, 예컨대 펠트층인 추가 보호층을 배치한다. 이로써 멤브레인의 이중 보호 시스템이 형성되며, 이 시스템에 포함된 2개의 중첩된 층은 각각 별도의 기술적 보호 기능을 갖는다.
이들 층용으로 선택된 재료뿐만 아니라 이들 층의 두께 및 내침투성값은, 특정한 실제 실시형태의 요건에 맞춰 정해져야 한다. 이는 공지의 해결책의 경우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해결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매우 큰 밑창 개구의 다른 예가 WO 2007/101624 A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예에 따르면 겉창의 큰 관통 구멍은 안정화 바 및/또는 안정화 격자에 의해 안정화된다. 상기 안정화 바 및/또는 안정화 격자는, 관통 구멍에 끼워진 수증기 투습성 직물 재료, 예컨대 펠트형 재료 등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 밑창 어셈블리는 샤프트에 접합되어 있고, 이 샤프트의 저부는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샤프트 저부 기능층으로 밀폐되어 있어, 전체 신발이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하게 된다.
용융 온도가 서로 다른 2 이상의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층으로서, 제1 섬유 성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용융 온도와 그보다 낮은 제1 연화 온도 범위를 가지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용융 온도와 그보다 낮은 제2 연화 온도 범위를 갖고,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연화 온도 범위는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연화 온도 범위보다 높으며, 제2 연화 온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 온도로 제2 섬유 성분을 열적으로 활성화함에 따라, 섬유층이 열적으로 압밀화되고, 열적으로 압밀화된 영역의 수증기 투습도가 유지되는 것인 섬유층이, 상기 직물 재료에 매우 적합하다. 겉창의 관통 구멍 또는 적절하게는 2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개개의 직물 재료 조각으로 밀폐하거나, 혹은 겉창의 모든 관통 구멍을 단일 직물 재료 조각으로 밀폐한다.
이 공지의 신발류의 직물 재료는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큰 개구를 갖는 겉창은 그 자체가 밑창 구조체의 안정화에 충분히 기여하지 못하므로, 제1 기능은 밑창 구조체를 안정화하는 것이다. 이는 직물 재료가 비교적 높은 자체 안정도를 갖게 형성되며 이러한 점이 밑창 구조체의 전체적 안정도에 유익하기 때문이다. 상기 직물 재료의 제2 기능은, 예를 들어 WO 2007/101624 A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최종 완성된 신발류에서, 밑창 구조체 위에 위치하며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멤브레인을, 예컨대 돌멩이 등의, 이물질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직물 재료는, 예를 들어 PES(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PA(폴리아미드) 및 폴리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적절히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WO 2007/101624 A1호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서, 직물 재료는, 두 가지 섬유 성분을 갖는 플리스(fleece) 형태의 섬유 어셈블리로 구성되는데, 상기 두 섬유 성분은 각각, 기계적으로 열적으로 압밀화되고 열 표면처리에 의해 추가적으로 표면 압밀화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해 구성된 것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1 섬유 성분은 섬유 어셈블리의 지지 성분을 형성하고,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섬유 성분은 압밀화 성분을 형성한다. 신발류는 그 제조 과정에서, 예를 들어 겉창을 사출 성형할 때, 비교적 높은 온도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실시형태는, 전체 섬유 어셈블리에 대한 열적 안정성을 적어도 180℃까지 보장하기 위해, 180℃를 상회하는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상기 두 섬유 성분 모두에 대해 사용한다. 다양한 용융 온도와 그에 따른 그보다 낮은 연화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한다. 이를 고려한 펠트형 재료의 실시형태에서는, 약 23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가 제1 섬유 성분으로 선택되고, 약 20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가 제2 섬유 성분으로 선택된다. 제2 섬유 성분은 시스(sheath)-코어(core) 섬유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섬유의 코어는 약 230℃의 연화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의 시스는 약 200℃의 점착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용융 온도가 서로 다른 두 섬유 부분을 갖는 이러한 섬유 성분을, "이성분(bico) 섬유"라고도 한다. 펠트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직물 재료에 관한 더 상세한 사항은,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WO 20007/101624 A1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첨부도면 11은, 개선 대상인 밑창 유닛(115)을 보여주는데, 이 밑창 유닛은, 수증기 투습성을 높이기 위해 겉창 관통 구멍(119)이 마련된 겉창(117)과, 겉창 관통 구멍(119)의 영역에서 겉창(117)의 상측에 마련된 배리어층(121)으로서, 이 배리어층(121)의 위에 위치하고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을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샤프트 구조에 있어서 밑창 유닛(115)에 접합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밑창은 통상적으로 샤프트 구조 상에 부착되거나 혹은 사출 성형된다. 내마모성과 밑창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는, 고무나 예컨대 폴리우레탄(PU) 등의 플라스틱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재료 각각은 비교적 단단하고 두꺼운 재료이다. 이러한 재료는 착용 및 보행의 쾌적성을 악화시킨다. 또한, 겉창 관통 구멍(119)은 비교적 큰 높이에 걸쳐 연장되므로, 겉창 관통 구멍(119)에 박힌 먼지를 제거하기가 어렵다.
JP 9-140404 A호에는, 밑창 영역에서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갖고,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요소를 포함한 샤프트 저부를 갖는 샤프트 구조와, 천공 겉창층을 구비하며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밑창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요소는 3층 구조를 가지며, 중간층으로서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그 위에는 촘촘한 직물층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성긴 직물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데, 본 참조문헌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요소는, 예컨대 겉창층의 구멍을 통해 침투한 돌멩이 등의 이물질로 인한 파괴 작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민감한 멤브레인을 어느 정도 기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겉창층과 밑창측 샤프트 하단부 영역의 사이에는, 중창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중창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앙 영역이 코르크나 스펀지 등의 재료로 대체되어 있는 것이다. 코르크가 바스러지는 경향이 있어, 민감한 멤브레인에 기계적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의 한 원인이 될 수 있고, 겉창층의 구멍을 통해 유입된 물로 스펀지나 코르크가 완전히 흠뻑 적셔져, 보행 쾌적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밑창 어셈블리의 무게의 현저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도, 코르크나 스펀지는 천공 겉창층, 특히 큰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겉창층에 비해, 수증기 투습성이 비교적 낮은 재료이므로, 큰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겉창층으로 확보 가능한 수증기 투습성을 거스른다. 겉창층의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이 코르크나 스펀지층에 형성된 경우, 각각의 겉창층 관통 구멍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게 코르크나 스펀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 구멍에 이르는 비교적 긴 전체 길이를 따라 먼지가 박힐 수 있어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지워고, 다른 한편으로는,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비교적 소규모의 기계적인 보호만을 제공하는 성긴 직물층에 이르기까지 방해 없이 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성긴 직물층을 통과하지 않은 이물질도, 보호 대상인 멤브레인에 국부적으로 응력을 가하는 식으로 뛰어올라 성긴 직물층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량화 및/또는 발밑 완충 작용의 강화로 인하여 쾌적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밑창 유닛의 위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형태의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층에 대한 기계적인 보호가 향상되고, 이와 아울러 밑창 관통 구멍에 박힌 먼지가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신발류 밑창을 제공한다.
이는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밑창 유닛에 의해 달성되어, 청구항 23에 따른 본 발명의 신발류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나타내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은,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겉창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및/또는 아래에 겉창 부분이 배치되어 마련된 겉창층을 구비하는데, 이 겉창층은 밑창 유닛의 트레드면의 반대편인 겉창층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세스에 의해 둘레 영역 내의 두께가 저감된 것이며,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겉창층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밑창 유닛은, 상기 겉창층의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의 높이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며 이물질이 밀고 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되어 있는 배리어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 수증기 투습성 배리어층을 더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밑창 유닛은, 상기 리세스 내에 있어서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며 겉창 재료보다 경도 및/또는 비중이 낮은 컴포트층 재료를 이용해 구성된, 수증기 투습성 컴포트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유닛은,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층이 샤프트 저부에 마련되어 있는 샤프트 구조에서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에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겉창 재료의 내마모성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겉창 재료와 같은 수준으로 밑창 안정화에 기여할 필요가 없는 컴포트층의 재료로 겉창층의 리세스의 용적의 일부분을 대체한 결과, 제조 대상인 밑창 유닛에 경량화 및/또는 발밑 완충 작용의 강화가 요구되는 가에 따라, 컴포트층 용으로 선택되는 재료는 겉창층에 비해 경량화되거나 및/또는 연성 탄력성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류 디자이너는 겉창층의 재료의 경우와는 달리 밑창 유닛의 일부분에 대해 무게 및/또는 발밑 쾌적성을 고려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해결 수단에서는,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과 배리어층이 소정 간격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과 배리어층은 원칙적으로는 컴포트층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겉창층과 컴포트층의 사이에, 즉 최종 완성된 신발에서 밑창 유닛의 위에 위치하는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리어층이 배치되고, 배리어층과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의 사이에 컴포트층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배리어층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에 바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 비해, 배리어층은 훨씬 더 성기거나 및/또는 튼튼하고 가능하다면 더 거친 재료로 유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배리어층과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의 사이에 있고, 특히 우수한 발밑 완충 작용이 달성되어야 하는 경우에,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컴포트층이, 안에 넣어진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을 성긴 및/또는 거친 배리어층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밑 완충 작용을 좋게 하고자 그에 상응하게 연질의 컴포트층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배리어층은 밑창 유닛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배리어 재료도 또한 밑창 유닛을 안정화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높은 수증기 투습성을 허용하는 압밀도를 지닌 열적으로 압밀화된 섬유 재료를 배리어 재료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리어 재료에는 관통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수증기 투습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섬유 재료에 관통 구멍이 마련되더라도, 이러한 관통 구멍은, 겉창층의 관통 구멍에 비해, 경우에 따라 컴포트층이 실질적으로 수증기 불투습성인 재료로 구성될 때에는 컴포트층의 관통 구멍에 비해,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여하튼, 배리어층은 겉창층 관통 구멍에 침입한 먼지가 컴포트층 관통 구멍에 침입하는 것에 대비한 더트 배리어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먼지는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겉창층의 관통 구멍에만 박히게 될 수 있으므로, 관통 구멍이 밑창 유닛의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밑창 디자인의 경우에 비해, 먼지를 다시 제거하기가 훨씬 더 용이하다. 이는 특히, 일반적으로 전체 두께가 보다 큰 밑창의 뒤꿈치 영역에 적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생크 부재가 컴포트층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혹은 컴포트층에 통합될 수도 있다. 특히 뒷굽이 있는 신발의 경우에는, 필요한 비틀림 안정성과 휨 안정성을 신발에 부여하기 위해, 생크 부재가 필요하다. 생크 부재는 특히 금속으로 제조되고 날카로운 날을 지닐 수 있어, 샤프트 저부 영역의 멤브레인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컴포트층으로 인해 이러한 우려가 배제된다. 물론, 생크 부재는, 수증기의 밑창 유닛 투과에 가능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수증기 투습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 재료의 수증기 투습도는 컴포트층의 천공이 불필요해질 정도로 충분히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가죽, 오픈셀 폼 재료, 수증기 투습성 직물 메시 재료, 수증기 투습성 직물 플리스 재료, 수증기 투습성 펠트 재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층방향으로 루프가 서로 어긋나 있는 다층 드론 루프 편직물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각 층의 루프가 일제히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상기 다층 구조는, 수증기 투습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돌멩이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양호하게 막을 수 있고, 못, 파편 등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침입을 막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밑창 유닛 상의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을 상기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된 수증기 투습성 직물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특히 컴포트층이 본래 수증기 투습성을 갖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컴포트층에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며 겉창층 관통 구멍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가능한 많은 수의 겉창층 관통 구멍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을 동일 크기로 하고 서로 정렬시킨 경우에, 밑창 유닛의 전체 수증기 투습도가 가장 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폴리우레탄(PU)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발포 재료일 수도 있음)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밑창 유닛이 매우 우수한 발밑 완충 작용을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 즉 컴포트층 재료가 연성 탄력성을 가져야 하는 경우, PU 스펙트럼에서 PU의 연성 탄력성 등급을 선택할 수 있고, 혹은 연성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EVA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밑창 또는 밑창 유닛이 가벼워야 한다는 추가적인 요건이 있는 경우, 컴포트층 용으로 발포 플라스틱 재료를 선택한 수 있다. 결국 컴포트층도 또한 바깥쪽에서 흘겨보았을 때 밑창에서 보여질 수 있는 전형적인 내부 밑창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의 관통 구멍은, 컴포트층 관통 구멍으로 이물질의 침입에 대항하는 경사 벽부를 이루게 하는, 경사 각도를 밑창 유닛의 트레드면에 대해 이루며 컴포트층을 통해 연장된다. 이와 같이 컴포트층 관통 구멍을 구성하면, 컴포트층은 그 일부분이, 밑창 유닛의 위에 있는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에까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겉창층 관통 구멍 및/또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의 면적이 0.5 ㎠ 이상이다. 그러나, 겉창층 관통 구멍 및/또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은 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즉 그 면적이 1 ㎠ 이상, 혹은 5 ㎠ 이상, 혹은 20 ㎠ 이상, 혹은 40 ㎠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수증기가 투과 가능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에는 겉면에까지 이르는 횡방향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밑창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밑창층이 이에 상응하게, 예컨대 횡방향 배출 구멍을 갖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컴포트층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인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공기가 투과 가능한 층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구조체는 수평 방향으로도 공기가 투과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는, 시트형 구조체와, 이 시트형 구조체로부터 수직으로 및/또는 0°와 90°사이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구조체의 스페이서 요소는 터프트(tuft)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스페이서 요소에 의해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2개의 시트형 구조체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구조체는 압밀화되어 형성된 루프 편직물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구조체는 파도 혹은 톱니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리어층은 밑창 유닛을 기계적으로 안정화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리어층은 용융 온도가 서로 다른 2 이상의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1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용융 온도와 그보다 낮은 제1 연화 온도 범위를 가지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용융 온도와 그보다 낮은 제2 연화 온도 범위를 갖고, 상기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연화 온도 범위는 상기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연화 온도 범위보다 높다. 상기 섬유 어셈블리는, 제2 연화 온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 온도로 제2 섬유 성분을 열적으로 활성화함에 따라, 열적으로 압밀화되고, 열적으로 압밀화된 영역의 수증기 투습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겉창층은 고무, PU(폴리우레탄),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TR(기능성 고무), 가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는, 겉창층이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는 다양한 폴리우레탄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겉창은 내마모성 뿐만 아니라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트층이 보행 동작과 관련하여 신발의 사용자에게 완충 작용을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 적절한 탄력성을 갖는 탄성 재료, 예컨대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PU(폴리우레탄) 등이 컴포트층 용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겉창층은 트레드면을 갖는 실제 겉창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중창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 겉창층 아래에는 고무 또는 그 밖의 몇몇 밑창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하나로 혹은 2 이상의 겉창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제 겉창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제 겉창 또는 겉창 부분은 내마모성이 커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 저부 기능층이 마련되어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샤프트 저부를 구비하는 샤프트 구조와, 전술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샤프트 구조의 밑창측 단부 영역에 접합되는 밑창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신발류의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저부 기능층에 방수식으로 접합된 샤프트 기능층을 구비하여, 신발류가 전체적으로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컴포트층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유닛과,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샤프트 저부 기능층이 밑창측 샤프트 단부 영역에 마련된 샤프트를 구비한 신발류로서, 상기 밑창 유닛은 샤프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저부 기능층이 마련되어 있는 샤프트 단부 영역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샤프트 저부 기능층은 적어도 컴포트층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 컴포트층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인 신발류를 제공한다. 이로써 실제로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 컴포트층과 샤프트 저부 기능층의 사이에 수증기 투습도를 낮추는 접착제가 없으므로, 수증기 투습도가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신발류는 샤프트 저부 기능층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수증기 투습성 샤프트 상부 재료 내에, 이 샤프트 상부 재료의 상당 영역에 걸쳐 연장되며 샤프트 저부 기능층에 방수식으로 접합되어 있거나 혹은 샤프트 저부 기능층에 접합되어 부티(bootie)를 형성하는 샤프트 기능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발류는 (발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개구는 제외) 전체적으로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갖는다.
정의 및 시험 방법
신발류:
발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개구와 적어도 하나의 밑창 혹은 밑창 유닛을 포함하는 폐쇄된 상측 부분(샤프트 구조)을 갖는 발 덮개.
샤프트 상부 재료:
샤프트 구조의 샤프트 외표면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가죽, 직물, 플라스틱, 그 밖의 공지의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혹은 이들 재료와 함께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투습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 샤프트 상부 재료에 있어서 밑창측 하단부는, 밑창 또는 밑창 유닛의 상측 에지에 인접하고 샤프트와 밑창 또는 밑창 유닛 사이의 경계면의 위에 있는 영역을 형성한다.
설치 밑창(안창):
설치 밑창은 샤프트 저부의 일부분이다. 적어도 샤프트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이 설치 밑창에 고정된다.
밑창:
신발은 적어도 하나의 겉창을 갖지만, 서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어 밑창 유닛을 형성하는 복수 종류의 밑창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겉창:
겉창은 밑창 영역에 있어서 바닥/지면에 닿거나 바닥/지면과의 주 접촉점을 이루는 부분이다. 겉창은 바닥에 닿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면을 갖는다.
부티:
부티는 샤프트 구조의 양말형 내측 라이너이다. 부티는 신발류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는 샤프트 구조의 백형(bag type) 라이너를 형성한다.
기능층 :
예를 들어 멤브레인 또는 적절히 처리 혹은 마무리된 재료(예컨대, 플라즈마 처리된 직물)의 형태인 방수성 및/또는 수증기 투습성 층. 샤프트 저부 기능층의 형태의 기능층은 샤프트 구조에 있어서 샤프트 저부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지만, 샤프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이닝하는 샤프트 기능층으로서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샤프트 기능층 뿐만 아니라 샤프트 저부 기능층은 다층, 일반적으로 2, 3 또는 4층의 멤브레인 적층체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샤프트 기능층 및 샤프트 저부 기능층은 각각 기능층 부티의 일부분일 수 있다. 기능층 부티 대신에, 샤프트 기능층 및 별도의 샤프트 저부 기능층을 사용하면, 이들 기능층은 예컨대 샤프트 구조에서의 밑창측 하부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방수식으로 밀봉된다. 샤프트 저부 기능층 및 샤프트 기능층은 동일한 혹은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층을 위한 적절한 재료는 특히, 발행된 공보 US-A-4,725,418 및 US-A-4,493,87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이고,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그 적층체 등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능층은 예를 들어 발행된 문헌 US-A-3,953,566 및 US-A-4,187,39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미세다공성 팽창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능층은 친수성 함침제 및/또는 친수성 층을 갖는 팽창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이용하여 구성된다(예를 들어 발행된 공보 US-A-4,194,041 참조). 미세다공성 기능층은 그 평균 기공 크기가 약 0.2 ㎛ 내지 약 0.3 ㎛인 기능층이다.
적층체 :
적층체는 일반적으로 상호 접착에 의해 서로 튼튼하게 접합 혹은 연결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이다. 기능층 적층체의 경우,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층에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이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 또는 백킹은 주로 가공 중에 기능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적층체를 2층 적층체라 한다. 3층 적층체는 2개의 직물층과 이들 직물층의 사이에 매설된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 간의 접합은, 예를 들어 연속적인 수증기 투습성 접착제층에 의해 또는 불연속적인 수증기 불투습성 접착제층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점 형상 패턴 형태의 접착제가 기능층과 직물층 또는 두 직물층의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그 자체로는 수증기 투습성을 갖지 않는 접착제의 균일층이 기능층의 수증기 투습성을 막기 때문에, 접착제의 점 형상 또는 불연속적 도포가 선택된다.
배리어층 :
배리어층은 보호 대상인 재료의 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으로 민감한 기능층 또는 기능층 멤브레인에까지, 특히 가루 형태의 물질이나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배리어의 역할을 한다.
방수성:
기능층/기능층 적층체/멤브레인은, 적어도 1×104 Pa의 물 유입 압력을 보장한다면, 필요에 따라 기능층/기능층 적층체/멤브레인 상에 마련된 시임을 포함하여 방수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층 재료는 1×105 Pa을 초과하는 물 유입 압력을 보장한다. 물 유입 압력은, 20±2℃의 증류수를 100 ㎠의 기능층의 샘플에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가하는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물의 압력 증가는 분당 60±3 cm 수두이다. 이때, 물 유입 압력은 물이 처음으로 샘플의 다른 측에 나타나는 압력에 상당한다. 이 절차의 상세한 사항은 1981년 ISO 표준 0811에 규정되어 있다.
신발이 방수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US-A-5 329 807에 기술된 유형의 원심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할 수 있다.
투습성:
재료, 특히 기능층/기능층 적층체는 150 ㎡×Pa×W-1 미만의 수증기 투습도수(Ret)를 가지면 수증기 투습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수증기 투습도는 호헨슈타인 스킨 모델(Hohenstein skin model)에 따라 시험된다. 이 시험 방법은 DIN EN 31092 (02/94)와 ISO 11092(1993)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유닛의 층, 즉 겉창층, 배리어층 및 컴포트층의 수증기 투습도 값은 DIN EN ISO 15496(09/2004)의 컵 방법을 이용해 시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배리어층은 4000 g/㎡ㆍ24 h 이상의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다. 유용한 실시형태에서는, 7000 g/㎡ㆍ24 h 또는 10000 g/㎡ㆍ24 h 이상의 수증기 투과도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밑창 유닛과, 우수한 샤프트 저부 기능층 혹은 샤프트 저부 기능층 적층체를 포함하는 신발 저부 구조를 가진 신발류의 일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저부 기능층 혹은 샤프트 저부 기능층 적층체를 포함한 밑창 구조체는, 그 증기 투과율(MVTR)이 0.4 g/h 내지 3 g/h 범위이고, 0.8 g/h 내지 1.5 g/h의 범위일 수 있으며, 유용한 실시형태에서는 1 g/h이다.
전체 신발의 수증기 투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특허문헌 EP 0 396 716 B1에 명시된 측정 방법을 이용해, 밑창 유닛의 수증기 투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신발의 밑창 유닛만의 수증기 투습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EP 0 396 716 B1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측정 셋업을 이용하여 2개의 연속적인 측정 시나리오로, 즉 일단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을 구비하는 신발을 측정하고, 다음번에 수증기 불투습성 밑창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신발을 측정하는 시나리오로, EP 0 396 716 B1에 기술된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후에, 두 측정간의 차이를,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의 수증기 투습도에 의거한 수증기 투습도의 분율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각 측정 시나리오는 EP 0 396 716 B1에 기술된 측정 방법, 즉 후술하는 연속 단계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1. 적어도 12시간 동안 공조된 공간(23℃, 50% 상대 습도)에 신발을 둠으로써 신발의 상태를 조정함.
2. 인레이 밑창(풋베드) 제거
3. 신발 내부에 알맞도록 되어 있으며, 신발에 있어서 발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개구의 영역에서, 물 및 수증기 시일을 형성하는 방수성 및 수증기 불투습성을 지닌 밀봉 플러그(예를 들어 플렉시글라스 및 팽창성 커프)로 밀봉될 수 있는,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라이닝 재료를 신발에 삽입함.
4. 라이닝 재료에 물을 채우고, 신발에 있어서 발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개구에 밀봉 플러그를 끼워 밀봉함.
5.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35℃로 유지하면서 소정 기간(3시간) 동안 세워 둠으로써 물을 채운 신발을 사전 처리함. 주변 공간의 조건도 마찬가지로 23℃ 및 50%의 상대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시험 중에 팬으로부터 적어도 2 m/s 내지 3 m/s의 평균 풍속으로 나오는 강한 정면풍에 신발을 노출시킴(상기 세워 둔 신발 주위에 형성되어 수증기의 통과를 상당히 방해하는 임의의 휴지 공기층을 파괴함).
6. 사전 처리 후에 상기 밀봉 플러그를 끼워 밀봉한 물을 채운 신발의 무게를 다시 잰다[중량(m2)(g)].
7. 신발을 재차 세워 두고 단계 5)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3 시간 동안 실제 시험 단계를 행함.
8. 3시간의 시험 단계 후에 물을 채운 밀봉된 신발의 무게를 다시 잰다[중량(m3)(g)].
9. 관계식 M=(m2-m3) [g]/3(h)에 따라 3시간의 시험 시간 중에 신발에서 빠져나간 수증기량 3h(m2-m3) [g]으로부터 신발의 수증기 투과율을 결정.
먼저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을 갖는 전체 신발에 대해 수증기 투습도의 값(값 A)을 측정하고, 뒤이어 수증기 불투습성 샤프트 저부 구조체를 갖는 전체 신발에 대해 수증기 투습도의 값(값 B)을 측정하도록, 2개의 측정 시나리오를 행한 후에,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에 대한 수증기 투습도 값을 단지 차(A-B)의 계산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수증기 투습도를 측정하는 동안에, 신발 또는 밑창의 아래의 연속면과 신발 또는 밑창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밑창을 따라 송풍 공기가 보다 잘 흐르게 하거나 혹은 실제로는 조금이라도 흐르게 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신발을 세우거나 혹은 신발을 격자 구조체 상에 놓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측정에 포함된 산포도를 보다 잘 추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시험 셋업마다 어느 하나의 신발에 대해 반복 측정을 행하고 그로부터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각 신발에 대한 측정 셋업으로 적어도 2회의 측정을 행하여야 한다. 모든 측정은, 예를 들어 1 g/h의 실제값에 대해 ±0.2 g/h의 측정 결과의 자연 변동을 갖는 것으로 가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동일한 신발에 대해 0.8 g/h 내지 1.2 g/h의 측정값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변동에 대해 영향을 주는 인자는, 시험을 수행하는 사람, 또는 샤프트의 상측 에지의 밀봉의 품질에 좌우될 수 있다. 하나의 동일한 신발에 대한 다수의 개별 측정값을 기록함으로써, 실제값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밑창 유닛의 수증기 투습도에 대한 모든 값은 사이즈 43(프랑스 사이즈)의 일반적으로 끈을 묶은 남성화에 기초하지만, 이 사이즈는 표준화된 것은 아니고 상이한 제조업자의 신발에서는 실제 사이즈가 다를 수 있다.
경도
쇼어 A 및 쇼어 D에 대한 경도 시험(DIN 53505, ISO 7619-1, DIN EN ISO 868)
원리:
쇼어 경도는 소정 스프링력을 받은 특정 형상의 물체의 침입에 대한 저항이다. 쇼어 경도는 수치 100과 시험력의 작용하에 있는 상기 침입체의 침입 깊이(mm)를 0.025 mm의 눈금값으로 나눈 값의 차이다.
쇼어 A 시험은 35°의 꼭지각을 갖는 절두형 원뿔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한편, 쇼어 D 시험은 30°의 꼭지각을 갖고 끝단반경이 0.1 mm인 원뿔을 침입체로서 사용한다. 침입체는 연마된 경화강으로 구성된다.
[측정식]
Figure pct00001
h: mm, F: mN
식에서
HS는 쇼어 경도
HSA는 쇼어 A 경도
HSD는 쇼어 D 경도
적용 범위:
다양한 경도 범위에서 두 쇼어 경도 시험의 분해능이 서로 다르므로, 쇼어 A 경도 > 80의 재료는 쇼어 D에 따라 시험받는 것이 유리하고, 쇼어 D 경도 < 30의 재료는 쇼어 A에 따라 시험받는 것이 유리하다.
경도 스케일 용도
쇼어 A 연질 고무, 매우 무른 플라스틱
쇼어 D 경질 고무, 연질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이제 단지 본 발명의 구현의 비제한적인 예인 것으로 여겨지는 실시형태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을 이용하면, 경량화 및/또는 발밑 완충 작용의 강화로 인하여 쾌적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밑창 유닛의 위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형태의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기능층에 대한 기계적인 보호가 향상되고, 이와 아울러 밑창 관통 구멍에 박힌 먼지가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샤프트와 본 발명의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을 구비하는 신발의 실시형태의 사시도로서, 밑창 유닛이 샤프트에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밑창 유닛의 제1 실시형태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마찬가지로 밑창 유닛이 샤프트에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밑창 유닛의 제2 실시형태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마찬가지로 밑창 유닛이 샤프트에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구조에 접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밑창 유닛의 제3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구조에 접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밑창 유닛의 제4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이며 컴포트층으로서 유용한 투기성 층의 제1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이며 컴포트층으로서 유용한 투기성 층의 제2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이며 컴포트층으로서 유용한 투기성 층의 제3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이며 컴포트층으로서 유용한 투기성 층의 제4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이며 컴포트층으로서 유용한 투기성 층의 제5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샤프트 구조에 마찬가지로 접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개선 대상인 밑창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측, 하측, 우측, 좌측 등과 같은 용어는 각 도면에서의 특정 도시에만 적용되며, 절대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샤프트(13)와 본 발명의 밑창 유닛(15)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신발(1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경사 상방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1은 밑창 유닛(15)이 샤프트(13)에 고정되기 이전의 조립 단계에 있는 신발(11)을 보여준다. 신발(11)은 발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개구(17)를 구비한다. 도 1은 밑창 유닛(15)의 트레드면에 관한 특정 토포그래피로서, 순전히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은 겉창층 관통 구멍(16)에 관한 토포그래피를 보여준다. 그러나, 밑창 유닛(15)의 수증기 투습도를 양호하게 하여 신발 내부로부터 밑창 유닛(15)을 통해 땀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개선하려면, 겉창층 관통 구멍(16)이 매우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유닛(15)이 샤프트(13)에 접합되기 전에, 샤프트(13)의 하단부는 샤프트 저부(19)로 밀폐된다. 샤프트 저부(19)에는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예컨대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도 2와 도 3에 도시) 형태의 샤프트 저부 기능층이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13)와 샤프트 저부(19)는 샤프트 구조(22)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은 적어도 2층의 적층체인 구성요소로서 가공된다.
신발류의 전족부의 단면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는, 밑창 유닛(15)의 구성 뿐만 아니라 샤프트 구조의 구성에 관해서도 서로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2와 도 3에는, 첫 번째로는 밑창 유닛(15)이 샤프트 구조(22)에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신발이 각각 도시되어 있고, 두 번째로는 풋베드 없이 신발(1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밑창이 샤프트 구조(22)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인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밑창이 샤프트 구조(22)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으며, 도 2와 도 3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밀봉 수단을 적절히 맞춰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두 실시형태의 샤프트 구조(22)는 각각, 수증기 투습성 샤프트 상부 재료(23)와, 이 샤프트 상부 재료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샤프트 멤브레인(25) 형태인 샤프트 기능층, 그리고 이 샤프트 기능층의 내측면 상에 있는 샤프트 라이너(27)를 구비한 샤프트(13)를 함께 포함한다. 두 경우 모두, 샤프트 저부(19)는, 중간층으로서 마련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과, 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의 일측 면에 마련된 지지 직물층(35), 그리고 그 타측 면에 마련된 지지 네트(37)를 구비한 3층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를 포함한다. 또한, 층수를 달리한, 예컨대 2층의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두 경우 모두, 전체 샤프트 저부(19)(도 2)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프트 저부(19)의 안창(29)이, 샤프트 멤브레인(25) 및 샤프트 라이너(27)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에 시임(31)(예를 들어 스트로벨 시임 또는 지그재그 시임)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두 실시형태는, 각 샤프트 저부(19)의 구성과 각 밑창 유닛(15)의 구성과 관련하여 서로 다르다. 이들 두 실시형태는 또한 샤프트 구조(22)와 밑창 유닛(15) 간의 접합에 관해서도 서로 다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하단부를 바람직한 형태로 설치하는 기능으로 인해 흔히 설치 밑창이라고도 하는 안창(29)의 기능은, 3층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상부 재료(23)의 밑창측 하단부는 시임(31)의 앞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종단되어, 샤프트 상부 재료(23)의 밑창측 하단부에 대한 샤프트 멤브레인(25)의 밑창층 하단부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샤프트 상부 재료(23)와 시임(31)간의 간격에는, 액체 플라스틱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네트밴드(39)가 걸쳐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겉창층(41)을 이용하여 구성된 밑창 유닛(15)을 포함하고, 도 2에서 아래쪽에 있는 겉창층의 표면은 트레드면(42)으로서 구성되며, 트레드면(4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겉창층의 상측에는 리세스(43)가 마련되어 있고, 이 리세스로 인해 이 리세스(43)의 영역에서 겉창층(42)의 두께가 감소된다. 겉창층(41)은 상기 리세스(43)의 영역에 겉창층(41)의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겉창층 관통 구멍(45)이 마련되어 있어, 이 지점에서 겉창층(41)은 수증기 투습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겉창층 관통 구멍(45)은, 겉창층(41)과 더 나아가 밑창 유닛(15)에서 상응하게 높은 수증기 투습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가능한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겉창층 관통 구멍(45)에 들어온 돌멩이 등의 이물질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을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것인 배리어층(47)의 적어도 일부분이 리세스(43)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리어층(47)은 전술한 열적으로 압밀화된 섬유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에 대한 기계적인 보호부로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밑창 유닛(15)에 대한 안정화 재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리세스(43)의 내부와 배리어층(47)의 상측에 컴포트층(49)이 있고, 예를 들어 컴포트층(49)이 수증기 불투습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컴포트층에는 컴포트층(49)의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마련되어 있다. 컴포트층(49)이 밑창 유닛(15)의 무게 감소에 기여하는가, 혹은 발밑 완충 작용에 관련된 보행 쾌적성의 향상에 기여하는가, 혹은 양자 모두에 기여하는가에 따라, 컴포트층(49)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겉창층의 재료보다 경량인 재료, 혹은 겉창층의 재료보다 연질인 재료, 혹은 경량이며 연질인 재료이다. 발밑 완충 작용을 개선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컴포트층용으로 유용한 재료의 예로 EVA가 있다. 겉창층 재료에 비해 중량을 감소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응하게 낮은 비중을 갖는 발포 플라스틱이 적합하다. 겉창층 재료에 대하여 중량 감소와 발밑 완충 작용의 개선을 달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포 EVA가 적합하다. 그러나, 사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재료가 다수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특히 겉창이 사출 성형에 의해 부착되는 신발류를 위해 고안된 것이다. 신발의 제조에서, 겉창층(41)의 재료는, 샤프트 구조(22)의 하면에서의 적정 위치에 배치 가능하며 사출 성형의 작업 이전에 배리어층(47) 및 컴포트층(49)이 놓여지는, 사출 성형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해, 샤프트 저부(21)에 사출 성형되는 겉창층 혹은 예컨대 중창 등의 다른 밑창층의 액체 밑창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우선 도 2에 좌우측 가장자리가 높게 묘사되어 있는 겉창층(41)의 형상이 생성되고, 다음에, 사출 성형된 겉창층 재료는 샤프트 상부 재료(23)의 밑창측 하단부에까지와, 네트밴드(39)의 전체에 걸쳐서와, 그리고 네트밴드(39)의 뒤에 있고 샤프트 상부 재료(23)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샤프트 멤브레인(25)의 하단부에까지 침입할 수 있을 정도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이 위치에서 한편으로는 겉창층(41)과 샤프트 멤브레인(25)의 사이에 방수성 접합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샤프트 멤브레인(25)과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의 사이에 시임(31) 너머로 뻗는 방수성 접합부를 형성한다. 액체 밑창 재료가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에까지 침입하여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을 방수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액체 밑창 재료는 지지 직물층(35)이 아닌 지지 네트(37)까지만 침입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는 그 지지 네트(37)가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의 하향 측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겉창층(41)과 컴포트층(49)은 각각 관통 구멍(45, 51)을 구비하며, 이들 관통 구멍은 크기가 동일할 뿐만 아니라 서로 정렬되어 있고, 즉 최대한으로 서로 겹쳐져 있다. 이로써 밑창 유닛(15)의 수증기 투습도가 매우 높아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은, 예를 들어 겉창층(41)과 컴포트층(49)의 토포그래피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만 겹쳐져 있어도 충분하다.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에 관하여 염두하여야 할 사항은, 밑창 유닛(15)에 대해 수증기 투습도가 보장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겹침을 확보하는 것 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는, 지지 네트(37)가 아래쪽에 면해 있고, 즉 밑창 유닛(15)에 면해 있고, 사출 성형 작업 동안에 액체인 밑창 재료가 지지 네트에 침입할 수 있을 정도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 밑창 재료는 네트밴드(39), 시임(31) 및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의 주변 영역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유동하고, 네트밴드(39)를 지나 샤프트 멤브레인의 대응 영역에까지 침입할 뿐만 아니라, 지지 네트(37)를 지나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의 대응 영역에까지 침입하여, 밀봉 작업시에 시임(31)을 비롯해 상기 두 영역을 밀봉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겉창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개시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과 샤프트 멤브레인(25) 사이에 방수성 접합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샤프트 저부(19)는, 안창 기능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샤프트 멤브레인 적층체(33)에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샤프트 멤브레인(25) 및 라이너(27)에 시임(스트로벨 시임 또는 지그재그 시임일 수 있음)(31)으로 접합되어 있는 안창(29) 설치 밑창에 의해 구현된다는 점이,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샤프트 저부(19)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멤브레인(25)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과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의 주변 영역은 방수처리 접합제(53)에 의해 방수식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방수처리 접합제(53)도 또한 지지 직물층(35)이 아닌 지지 네트(37)만을 통과하여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에 이르러 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을 방수처리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는,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21)의 상측에 지지 네트(37)가 위치하고 그 하측에 지지 직물층(35)이 위치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는 안창(29)의 하측, 즉 안창(29)에 있어서 밑창 유닛(15)에 면하는 측에 위치한다. 또한, 방수처리 접착제(53)는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를 샤프트 구조(22)에 고정하는 역할도 하며, 그 결과 추가적인 접착제가 불필요해진다.
도 3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밑창측 상부 재료 단부 영역은 영구 접착제(55)에 의해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의 주변 가장자리의 하측에 영구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밑창 유닛(15)의 겉창층(41)은, 겉창층(41)의 상측의 주변 영역에 도포된 밑창 접착제(57)에 의해, 샤프트 상부 재료(23)의 밑창측 하단부 영역에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샤프트 저부(19)의 주변 영역에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밑창 유닛(15)은 겉창층 관통 구멍(45)의 사이에 있는 겉창층 부분의 형태가 도 2에 도시된 밑창 유닛(15)과 다른데, 도 2의 경우에는 스터드의 형태를 갖고 도 3의 경우에는 보다 좁은 바아의 형태를 갖는다. 전반적으로, 이는 밑창 유닛(15)의 기능 및 신발(11)의 기능과 관련하여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사항이다. 두 경우 모두 겉창층 관통 구멍(45)의 전체 면적이 동일 크기로 된다면, 실질적으로 수증기 투습도가 동일해질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컴포트층(49)이 본래 수증기 투습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을 갖는 컴포트층(49)을 포함하는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층방향으로 루프가 서로 어긋나 있는 다층 직물로 구성된 직물층과 같이, 본래 수증기 투습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컴포트층(49)을 포함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두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저부 멤브레인 적층체(33)(도 2)가 안창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스트로벨 시임(31)에 의해 안창(29)이 샤프트 하단부에 접합되어 있다(이러한 이유로 흔히 스트로벨 안창이라고도 함).
도 2와 도 3의 개략적인 단면도는, 샤프트 구조를 간략히 보여주도록 좌측 샤프트부와 샤프트 저부만이 도시되어 있는 점에서 일부분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우측 샤프트부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4와 도 5는 샤프트 구조에 접합될 수 있는 밑창 유닛(15)만을 각각 보여주는데, 이 샤프트 구조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따른 샤프트 구조이거나, 도 3에 따른 샤프트 구조이거나, 또는 유사한 샤프트 구조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와는 달리,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밑창 유닛(15)은,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겉창층(41)의 트레드면(42)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트레드면(42)에 대해 경사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모든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은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면에, 도 5의 좌측에 있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51)과 도 5의 우측에 있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은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 각도를 갖는다. 이로써, 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이 모든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을 일측에서만 리세스(43)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던 것에 비해,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을 양측에서 겉창층(41)의 리세스(43)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경사 배향된 실시형태에서, 경사 각도, 컴포트층(49)의 두께 및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의 직경은,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이물질의 침입에 대항하는 경사 벽부로 되도록 서로 맞춰져야 하며; 즉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은 트레드면(42)에 대해 또는 각각 배리어층(45)에 대해 수직하고, 배리어층(45)의 침입에 성공한 이물질이 더 이상 방해받는 일 없이 컴포트층(49)을 통과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없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컴포트층(49)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의 형태인 투기성 층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 반복예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투기성 층(40)으로서 유용한 스페이서 구조체(60)를 이용하여 구성된 도 6에 도시된 컴포트층(49)의 실시형태에서, 하부 시트형 구조체(64)는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고 대략 반구 형상인 돌출부 혹은 융기부(65)를 구비하고, 이 융기부의 상측 정점은 상측 지지면을 형성한다. 상기 일 실시형태의 스페이서 구조체(60)는, 처음에 시트형으로 형성된 루프 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딥 드로잉 작업에 의해, 도시된 형상으로 만들어진 이후에, 이 스페이서 구조체를 장착한 밑창 유닛(15)을 구비하는 신발로 보행하는 동안에 받게 되는 하중 하에서도 그 형상을 유지할 정도로 강성을 띠게 되는 중실형 재료로 구성된다. 딥 드로잉 작업에 추가하여, 다른 수단, 즉 소기의 형상 및 강성으로 경화되는 합성 수지를 이용하는 함침 작업 혹은 열성형을 통한 성형 및 경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투기성 층(40)으로서 유용하며 그 상하측의 지지면이 2개의 서로 평행한 투기성 시트형 구조체(62, 6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스페이서 구조체(60)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컴포트층(49)의 예를 예시하는데, 상기 투기성 시트형 구조체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시트형 구조체(62, 64)는 지지 섬유(66)에 의해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식으로 동일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지지 섬유(66)의 적어도 일부가 시트형 구조체(62, 64)의 사이에 적어도 거의 수직한 스페이서로서 배치되어 있다. 지지 섬유(66)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가요성의 성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공기는 시트형 구조체(62, 64)를 통과하여 지지 섬유(66)의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시트형 구조체(62, 64)는 오픈셀 직조 혹은 편조 직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페이서 구조체(60)는 Tylex 또는 Mueller Textil에서 시판하는 스페이서 니트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 구조체(60)는 도 6에 도시된 스페이서 구조체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루프가 형성되게 편조된 섬유 또는 루프가 형성되게 편조된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성형 루프 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 성형 루프 니트를 예컨대 합성 수지를 이용한 함침 혹은 열성형을 통해, 도시된 형태로 만들고, 이러한 형태로 압밀화한 것이다.
도 9는 지그재그 혹은 톱니형 프로파일 갖는 스페이서 구조체(60)의 실시형태로서, 본래 평탄한 재료를, 상측 및 하측의 정점(60a, 60b)이 각각 이 스페이서 구조체(6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지지면을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형태의 스페이서 구조체(60)도 또한 앞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성형되고 소기의 강성에 이르게 되도록 압밀화될 수 있다.
도 10은 투기성 층(40)으로서 유용하며 본 발명의 컴포트층(49)으로서도 유용한 스페이서 구조체(60)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스페이서 요소는 돌기 또는 상방 융기부가 아닌 하나의 하측 시트형 구조체(68)와, 이 시트형 구조체(68) 상에 세워져 있는 섬유 터프트(70)에 의해 형성되며, 섬유 터프트의 상측 자유 단부가 함께 상측 지지면을 형성한다. 섬유 터프트(70)는 하측 시트형 구조체(68)에 식모(植毛) 가공을 행함으로써 부가될 수 있다.

Claims (24)

  1.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15)으로서,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겉창 재료를 이용한 구성과, 아래에 겉창 부분이 배치되는 구성 중 어느 한 구성 혹은 양 구성을 모두 갖는 겉창층(41)으로서, 겉창층(4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세스(43)에 의해 둘레 영역 내의 두께가 저감되어 있고,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겉창층 관통 구멍(45)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겉창층;
    겉창층(41)의 리세스(4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리세스(43)의 높이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며, 이물질이 밀고 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되어 있는 배리어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수증기 투습성 배리어층(47); 및
    리세스(43) 내에 있어서 배리어층(47) 상에 배치되며, 겉창 재료보다 경도와 비중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가 낮은 컴포트층 재료를 이용해 구성되는 수증기 투습성 컴포트층(49)
    을 포함하는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수증기 투습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가죽, 오픈셀 폼 재료, 수증기 투습성 직물 편조 재료, 수증기 투습성 직물 플리스 재료, 수증기 투습성 펠트 재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층방향으로 드론 루프(drawn loop)가 서로 어긋나 있는 다층 니트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된 수증기 투습성 직물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에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며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수증기 불투습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이 컴포트층에는 그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며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폴리우레탄(PU)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발포 재료, 또는 비발포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의 관통 구멍은, 컴포트층 관통 구멍(51)으로 이물질의 침입에 대항하는 경사 벽부를 이루게 하는, 경사 각도를 밑창 유닛(15)의 트레드면에 대해 이루며 컴포트층(49)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51)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의 적어도 하나의 면적이 0.5 ㎠ 이상인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51)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의 적어도 하나의 면적이 5 ㎠ 이상인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51)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의 적어도 하나의 면적이 20 ㎠ 이상인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겉창층 관통 구멍(45)과 컴포트층 관통 구멍(51)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의 적어도 하나의 면적이 40 ㎠ 이상인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컴포트층(49)은,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60)의 형태인 투기성 층(40)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60)는, 시트형 구조체(62)와, 이 시트형 구조체(62)로부터 수직하게 및/또는 0°와 90°사이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요소(65, 66)를 구비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구조체(60)의 스페이서 요소(65)는 터프트(tuft)로서 형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7. 제14항에 있어서, 투기성 스페이서 구조체(60)는, 서로 평행하며 스페이서 요소(66)에 의해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2개의 시트형 구조체(62, 64)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구조체(60)는 압밀화된 성형 루프 니트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구조체(60)는 파도 또는 톱니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배리어층(47)은 밑창 유닛(15)을 기계적으로 안정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47)은 용융 온도가 서로 다른 2 이상의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제1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용융 온도와 그보다 낮은 제1 연화 온도 범위를 가지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용융 온도와 그보다 낮은 제2 연화 온도 범위를 갖고, 상기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연화 온도 범위는 상기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연화 온도 범위보다 높으며,
    상기 섬유 어셈블리는, 제2 연화 온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 온도로 제2 섬유 성분을 열적으로 활성화함에 따라, 열적으로 압밀화되고, 열적으로 압밀화된 영역의 수증기 투습도가 유지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겉창층(41)은 고무, PU(폴리우레탄),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TR(기능성 고무), 가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인 수증기 투습성 밑창 유닛.
  23. 샤프트 저부 기능층(21)이 마련되어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겸비한 샤프트 저부(19)를 구비하는 샤프트 구조(22)와, 샤프트 구조(22)의 밑창측 단부 영역에 접합되는 제1항 내지 제2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밑창 유닛(15)을 포함하는 신발류.
  24. 제23항에 있어서, 신발류가 전체적으로 방수성 및 수증기 투습성을 갖게 되도록, 샤프트 저부 기능층(21)에 방수식으로 접합된 샤프트 기능층(25)이 샤프트(13)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
KR1020117026074A 2009-04-01 2010-03-31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KR101457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5890A DE102009015890A1 (de) 2009-04-01 2009-04-01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und damit versehenes Schuhwerk
DE102009015890.1 2009-04-01
PCT/EP2010/054359 WO2010112568A1 (de) 2009-04-01 2010-03-31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und damit versehenes schuhwe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140A true KR20120018140A (ko) 2012-02-29
KR101457757B1 KR101457757B1 (ko) 2014-11-03

Family

ID=4227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074A KR101457757B1 (ko) 2009-04-01 2010-03-31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036631A1 (ko)
EP (1) EP2413728B1 (ko)
JP (1) JP5540069B2 (ko)
KR (1) KR101457757B1 (ko)
CN (1) CN102378583B (ko)
AU (1) AU2010230187B2 (ko)
CA (1) CA2755855C (ko)
DE (1) DE102009015890A1 (ko)
RU (1) RU2499536C2 (ko)
UA (1) UA105522C2 (ko)
WO (1) WO2010112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6151A1 (de) * 2010-01-29 2011-08-04 W. L. Gore & Associates GmbH, 85640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DE102010044260A1 (de) * 2010-09-03 2012-03-08 Ecco Sko A/S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IT1403989B1 (it) * 2010-09-28 2013-11-08 Geox Spa Calzatura traspirante con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IT1402785B1 (it) * 2010-11-19 2013-09-18 Geox Spa Calzatura traspirante con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KR20140052002A (ko) * 2011-07-29 2014-05-02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신발류용 갑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류
CN102771950A (zh) * 2012-08-10 2012-11-14 昆山乔锐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鞋底
CN102920099A (zh) * 2012-10-22 2013-02-13 杨治安 鞋的透气防臭
US20140250564A1 (en) * 2013-03-11 2014-09-11 The North Face Apparel Corp. Waterproof Taped Glove and Mitten with Laminated Leather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DE102013207155B4 (de)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DE102013207163B4 (de)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chuhoberteil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US9955749B2 (en) 2014-01-14 2018-05-01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y feedback outsole
DE102014202432B4 (de) 2014-02-11 2017-07-27 Adidas Ag Verbesserter Fußballschuh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US20160302517A1 (en) * 2015-04-17 2016-10-20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6307667B2 (ja) * 2015-09-18 2018-04-04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用部材、及び、靴
US20170172259A1 (en) * 2015-12-17 2017-06-22 Pou Chen Corporation Multi-Axis Automatic Shoe Sol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USD808136S1 (en) * 2016-06-03 2018-01-23 Ecco Sko A/S Sole for footwear
USD822966S1 (en) * 2016-11-22 2018-07-17 Native Canada Footwear Ltd. Shoe sole
IT201700044532A1 (it) * 2017-04-24 2018-10-24 Geox Spa Calzatura con tomaia almeno parzialmente impermeabilizzata
DE102018122832B4 (de) * 2017-09-28 2024-03-14 Mizuno Corporation Sohlenstruktur für Schuhe und Schuhe mit dieser Sohlenstruktur
TWM614614U (zh) * 2021-01-21 2021-07-21 加拿大商 維喜鞋業有限公司 鞋面外觀多變化的透濕防水鞋
US20220395053A1 (en) * 2021-06-11 2022-12-15 Zhejiang Komanqi Biotechnology Co., Ltd. Breathable sole, mold for processing breathable 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reathable so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2582B (sv) 1970-05-21 1977-04-04 Gore & Ass Forfarande vid framstellning av ett porost material, genom expandering och streckning av en tetrafluoretenpolymer framstelld i ett pastabildande strengsprutningsforfarande
US4421742A (en) 1977-02-08 1983-12-20 Dr. Werner Freyberg Chemische Fabrik Delitia Nachf. Phosphine producing pesticid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US4525940A (en) * 1982-09-19 1985-07-02 Hideto Mochizuki Beach sandals
CA1191439A (en) 1982-12-02 1985-08-06 Cornelius M.F. Vrouenraets Flexible layered product
JPH0518962Y2 (ko) 1987-01-20 1993-05-19
ITPD20020246A1 (it) 2002-09-24 2004-03-25 Geox Spa Struttura di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per calzature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US4918981A (en) 1988-10-28 1990-04-24 W. L. Gore & Associates, Inc.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in wearing apparel
IT1232798B (it) 1989-02-17 1992-03-05 Pol Scarpe Sportive Srl Struttura di suola traspirante/impermeabile per calzature.
US5329807A (en) 1993-06-18 1994-07-19 W. L. Gore & Associates, Inc. Centrifuge test apparatus for footwear and apparel
DE4415918A1 (de) * 1994-05-05 1995-11-09 Werner Schaedlich Rundstricker Mehrschichtiges Stoffgebilde
JP3725224B2 (ja) 1995-11-29 2005-12-07 ジオックス エス.ピイ.エイ.
IT1293474B1 (it) * 1997-05-09 1999-03-01 Nottington Holding Bv Calzatura traspirante perfezionata
JP4578757B2 (ja) * 2002-02-14 2010-11-10 ジオックス エス.ピイ.エイ. 靴底及び靴
DE10240802A1 (de) * 2002-08-30 2004-04-15 W.L. Gore & Associates Gmbh IR reflektierendes Material
JP4459784B2 (ja) * 2004-03-30 2010-04-28 拓道 山口 履物
ITPD20040208A1 (it) 2004-07-30 2004-10-30 Geox Spa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per calzature
ITPD20050228A1 (it) * 2005-07-26 2007-01-27 Geox Spa Calzatura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e acqueo
DE102006010007A1 (de) * 2006-03-03 2007-09-06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verbund und damit aufgebautes Schuhwerk
DE202007000668U1 (de) 2006-03-03 2007-03-29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stabilisierungsmaterial
CA2789106C (en) * 2006-03-03 2015-05-19 W.L. Gore & Associates Gmbh Composite shoe sole, footwear constructed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7137604A1 (en) * 2006-05-29 2007-12-06 Geox S.P.A. Vapor-permeable and waterproof sole for shoes, shoe manufactured with the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ole and the shoe
ES2434031T3 (es) 2006-06-20 2013-12-13 Geox S.P.A. Elemento permeable al vapor destinado a ser utilizado en la composición de suelas para calzado, suela dotada de dicho elemento permeable y calzado dotado de dicha suela
ITPD20060274A1 (it) 2006-07-06 2008-01-07 Geox Spa Calzatura, del tipo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e acqueo
DE102008027856A1 (de) * 2008-06-11 2009-12-24 W. L. Gore & Associates Gmbh Schuh mit Belüftung im unteren Schaftbereich und dafür verwendbares luftdurchlässiges Abstandsgebil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5855A1 (en) 2010-10-07
CA2755855C (en) 2015-01-06
EP2413728B1 (de) 2016-07-13
AU2010230187B2 (en) 2013-01-24
WO2010112568A1 (de) 2010-10-07
JP2012522551A (ja) 2012-09-27
CN102378583A (zh) 2012-03-14
KR101457757B1 (ko) 2014-11-03
JP5540069B2 (ja) 2014-07-02
UA105522C2 (uk) 2014-05-26
DE102009015890A1 (de) 2010-10-14
RU2011144094A (ru) 2013-05-10
RU2499536C2 (ru) 2013-11-27
CN102378583B (zh) 2017-05-10
EP2413728A1 (de) 2012-02-08
AU2010230187A1 (en) 2011-10-20
US20130036631A1 (en)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757B1 (ko)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JP5923091B2 (ja) 靴、靴用のソール組立体、ソール組立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靴を製造する方法
KR101532000B1 (ko) 복합체 슈즈 밑창, 이로 구성된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US8312644B2 (en) Shoe-reinforcement material and barrier unit, composite shoe sole, and footwear constituted thereof
US9717301B2 (en) Composite shoe sole, footwear constituted thereof and method producing the same
KR101406269B1 (ko) 신발류용 밑창 유닛
RU2615056C1 (ru) Предмет обуви с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м слоем и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м участком в нижней периферийной области верха
KR101652569B1 (ko) 신발용 갑피 조립체 및 갑피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
DK2328435T3 (en) SHOES WITH VENTILATION in the lower shank portion
US20130059116A1 (en) Shoe-Reinforcement Material and Barrier Unit, Composite Shoe Sole, and Footwear Constituted Thereof
JP6346217B2 (ja) 靴、靴用のソール組立体、ソール組立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靴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