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77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77A
KR20140051077A KR1020130123716A KR20130123716A KR20140051077A KR 20140051077 A KR20140051077 A KR 20140051077A KR 1020130123716 A KR1020130123716 A KR 1020130123716A KR 20130123716 A KR20130123716 A KR 20130123716A KR 20140051077 A KR20140051077 A KR 2014005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emergency escape
escape lock
winch
tensio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399B1 (ko
Inventor
필리프 리헬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잠수함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탈출 록을 구비한다. 잠수함에 대하여 고정된 보지수단을 구비한 보지장치가 잠수함구명복 상에 해제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하여 비상탈출 록 내에 배치되고, 여기서 보지수단의 자동해제를 위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잠수함{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특정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군용잠수함들에 있어서, 수중사고의 경우에 승무원이 그것들을 통해 잠수함을 떠날 수 있는, 비상탈출 록(lock)과 함께 이것들이 제공되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대책이다. 잠수함 밖으로의 비상탈출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람은 비상탈출 록으로 들어가고, 비상탈출 록이 범람함에 의해, 잠수함의 바깥환경과 비상탈출 록의 내부와의 사이에 압력보상이 이루어진 후, 바깥에 대하여 비상탈출 록을 폐쇄하고 있던 커버가 개방된다. 비상탈출 록에 위치한 사람이 개방된 비상탈출 록의 밖으로 떠올라 물 표면으로 부상할 수가 있다.
잠수함의 승무원들은 비상탈출 동안 통상적으로 잠수함구명복을 입는다. 예를 들면, DE 10 2010 023 518 A1 및 GB 2 441 959 A에 개시되어 있는 이러한 잠수함구명복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머리를 덮는 후드(hood)와 부력체로서 공기로 충전된 칼라(collar)를 갖는 전신복이다. 잠수함구명복의 후드는 마찬가지로 공기로 충전되고 또 다른 부력체는 물론 호흡공기저장체로서 역할을 한다.
잠수함구명복의 후드 및 칼라의 충전은 비상탈출 록 안에서 수행된다. 이것을 위하여, 비상탈출 록에는 공기공급장치가 제공되고, 그것에 잠수함구명복 상에 설계된 공기공급연결부가 연결된다. 비상탈출 록이 범람하는 동안,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잠수함구명복으로의 공기흐름은 잠수함구명복에 고려할 만한 부력을 주게 된다. 그러나, 비상탈출 록을 가득 차게 범람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잠수함구명복의 공기공급연결부가 비상탈출 록 내의 공기공급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탈출 록 내에 위치한 사람의 입장에서 거대한 육체적 노력을 수반하고, 특히 깊은 심해에서의 비상탈출에 있어서는 생명의 위험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비상탈출 록을 통한 비상탈출이 더욱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범위까지 잠수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에 특정된 구성들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잠수함의 다른 이점 있는 향상 점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종속항들에 특정된 구성들은 각 경우 그 자체는 물론 적절한 조합을 통해 청구항 1에 따른 잠수함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탈출 록을 포함하고, 그것을 통해 수중 사고의 경우에 승무원이 잠수함을 떠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된 아이디어는 잠수함의 일부분 상에 고정된 보지수단을 갖는 보지장치를 배치하는데 있고, 이것은 잠수함구명복을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잠수함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비상탈출 록 내의 잠수함 측 상에 고정되는 것을 말하며, 그것과 함께 보지장치의 보지수단은 비상탈출 록의 범람 동안 비상탈출 록 내에 있는 사람이 위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 대신, 이 사람은, 이 사람의 어떤 부위 상에 요구되는 어떠한 육체적 노력 없이, 부양력에 대하여 비상탈출 록 내의 소망하는 위치에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잠수함구명복이 이 보지수단을 통해 잠수함 구조체에 고정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 보지장치는 비상탈출 록의 고정된 구성요소일 수 있고 또는, 비상탈출 록 내에서 보지장치의 빠른 체결을 위하여 비상탈출 록 내의 그리고 보지장치 상의 적절한 체결수단의 존재와 함께, 그것은 또한 잠수함의 다른 위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여기서 후자의 경우에는, 비상탈출 록을 통한 잠수함의 비상대피 전에, 그것은 반드시 비상탈출 록 내로 운반되고 거기에 체결되어야만 한다.
이 보지수단은 비상탈출 록을 떠나기 위하여 잠수함구명복으로부터 해제되어 지는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보지수단을 자동해제하기 위하여 설계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점 있게, 이 제어장치는 비상탈출 록의 바깥커버의 개구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따라서 이 커버가 비상탈출 록의 탈출개구를 해제하는 위치로 회전될 때, 제어장치는 작동되고 보지수단의 해제가 시작되는 것으로서, 즉 잠수함 구조체에 대한 잠수함구명복의 연결이 해제된다. 더 이점 있게는, 이 설계는 또한 제어장치가 비상탈출 록 내의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장치에 의한 보지수단의 자동해제는, 보지수단이 비상탈출 록 내에 남아 있고 그리고 잠수함 내에 아직 남아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비상탈출 록 내에서 잠수함의 비상탈출을 위하여 이용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잠수함구명복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 보지수단이 잠수함 측 상에서 해제되고, 따라서 보지수단은 잠수함 구조체로부터 분리되어 지며, 그들은 아직 잠수함구명복에 연결되어 있는 그러한 설계가 예상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잠수함 구조체에 잠수함구명복의 고정된 연결을 만들고 이와 같이 비상탈출 록 내의 사전결정된 위치에 사람을 보지하는 어떠한 수단도 보지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지수단으로서 비상탈출 록 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보지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잠수함 구조체에 연결가능하고 그것의 자유단부가 잠수함구명복에 체결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인장수단(텐션 수단)을 포함한다. 이 인장수단과 관련하여, 그것은 예를 들면 그들의 길이방향 확장에 대한 횡으로 유연성이 있고 그러므로 비상탈출 록 내에 위치한 사람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를 필수적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인장수단의 인장로딩의 방향으로의 움직임만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 벨트, 끈 또는 케이블의 경우일 수 있다. 잠수함구명복에 해제가능한 연결을 허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이것을 위하여 해제가능한 폐쇄체를 갖는 모든 부착장치들은 인장수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기구로서 고려된다. 따라서, 부착장치와 관련하여, 그것은 예를 들면 잠수함구명복 상에 형성된 탭에 간단히 걸 수 있고 인장수단과 잠수함구명복 사이의 확실한 연결을 보장하는 카라비너(karabiner) 또는 스냅 족쇄의 경우일 수 있고, 여기서 그러나 이 연결은 기구의 폐쇄체 또는 스냅부분의 적절한 작동으로 빠르게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지장치는 윈치를 포함하고, 그 위에 인장수단이 감긴다. 이것은, 만약 비상탈출 록을 떠날 때 보지수단이 여전히 위로 부상하려는 사람의 잠수함구명복에 대하여 비상탈출 록 내에 연결되어 있고, 부유절차의 시작 후, 제어장치에 의해, 단지 해제된다면, 특히 이점이 있다. 비상탈출 록의 범람 동안 및 그 내부의 뒤이은 압력보상 동안, 인장수단은 비상탈출 록의 바닥 위에 서 있는 사람과 함께 그리고 잠수함구명복 상에 인장수단이 기구를 통해 체결되어 있는 윈치 상에 감겨지고, 이 인장수단은 인장되고 이 위치에 있는 사람을 안전하게 보지한다. 이 상태에 있는 윈치는 전형적으로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 윈치의 고정은, 인장수단이 사람을 부상하게 하는 잠수함구명복으로부터 해제되기 전에, 사람이 부상을 시작할 때, 인장수단이 윈치로부터 풀려 지도록, 비상탈출 록을 떠나기 위하여 해제된다.
이 윈치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고정을 위하여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이 브레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유압식으로 작동되게 설계되는데, 즉 보지장치 내에 정지상태로 배치된 브레이크 내에 배치된 브레이킹 몸체가, 윈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유압 흐름에 의해 윈치의 회전이동가능부분 상에 가압된다. 브레이크의 이 설계는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잠수함구명복 상에 체결된 인장수단의 해제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보지장치는 이점 있게 잠수함의 선체구조상에 체결가능하고 제1 인장수단의 기구상에 형성된 폐쇄체에 연결되는 제2 인장수단을 포함한다. 이 제2 인장수단은 잠수함구명복 상에 체결된 제1 인장수단과 마찬가지로 벨트, 끈 또는 케이블일 수 있고, 비상탈출 록 내에 위치되고 비상탈출 록의 바닥에 서 있는 사람이 범람이 완료되기를 그리고 그 내부의 압력보상이 완료되기를 기다릴 때, 제1 인장수단의 기구 상에 형성된 폐쇄체에 축 처진 상태로 연결되는, 따라서 인장되지 않는 그러한 길이로 설계된다. 만약 이 사람이 잠수함을 떠나기 위하여 비상탈출 록 내에서 부상하면, 제2 인장수단이 인장되고, 이 수단에 의해 인장력이 폐쇄체 상에 또는 폐쇄체의 해제 메커니즘 상에 미치고 이 힘이 폐쇄체를 개방하며, 따라서 제1 인장수단이 잠수함구명복으로부터 해제되고 잠수함구명복 내의 이 사람은 비상탈출 록의 밖으로 수면까지 자유롭게 부상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제2 인장수단은 제1 인장수단보다 통상적으로 더 짧다.
사람이 비상탈출 록을 통해 잠수함을 떠난 후, 비상탈출 록을 떠날 때 풀려 진 이 인장수단은 이 비상탈출 록을 통해 운반되어져야 할 다음 사람에게 이것의 범람 동안 비상탈출 록 내에서 이 사람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가 가능해 져야만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점 있는 개발에 따르면, 제1 인장수단이 감겨 져있는 윈치가 그 윈치 상에 인장수단의 자동 감기를 위한 인출장치를 포함한다.
이 인출장치는 이점 있게 바람직하게는 한쪽 끝이 윈치의 회전가능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끝은 보지장치의 정지부분에 또는 잠수함 본체에 연결되는 스프링소자에 의해 형성된다. 이 스프링소자와 관련하여, 사람이 비상탈출 록 내에서 부상할 때 윈치의 회전으로 제1 인장수단이 풀릴 때 인장되고, 그리고 제1 인장소자가 잠수함구명복으로부터 해제될 때 이완되는 칸틸레버(외팔보) 소자의 경우일 수 있고, 이 수단에 의해 윈치는 회전 움직임으로 설정되어 지고, 이것과 함께 인장수단은 다시 윈치 상에 감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잠수함구명복의 공기공급연결부가 비상탈출 록 내의 공기공급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비상탈출 록 내에 위치한 사람의 입장에서 거대한 육체적 노력을 수반하지 않을 수 있는 비상탈출 록을 통한 비상탈출이 더욱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그 안에 설계된 비상탈출 록을 갖는 잠수함에 대하여 매우 단순화한 기본스켓치도이고,
도 2는 비상탈출 록이 범람하는 동안, 잠수함의 비상탈출 록 내의 잠수함구명복 안의 사람에 대하여 매우 단순화한 기본스켓치 도면이고,
도 3은 비상탈출 록의 밖으로 탈출 상에 있는 사람과 함께 도 1에 따른 도면이고, 및
도 4는 단순화하여 도시한 보지장치에 대한 절결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잠수함(2)은 그것의 상측에 타워(4)를 포함한다. 이 타워(4) 내에는 비상탈출 록(6)이 형성되고, 수중사고의 경우에 승무원은 이 비상탈출 록을 통해 잠수함(2)을 떠날 수가 있다. 이것을 위하여, 도 1에서 잠수함에 대한 정확한 크기비율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것을 위하여 확대된 비상탈출 록(6)이 미도시된 잠수함(2)의 내압선각의 내부로부터 잠수함(2)의 바깥으로 통로를 형성한다. 이 비상탈출 록(6)은 타워(4)의 하단으로부터 그것의 상단(8) 까지 타워(4) 내에서 수직으로 확장하고 있다. 그것의 하단에서, 비상탈출 록(6)은 커버(10)에 의해 잠수함(2)의 내압선각에 압력밀착식으로 폐쇄되어 있다. 타워(4)의 상단에 설계된 비상탈출 록(6)의 탈출개구(12)는 커버(14)에 의해 압력밀착식으로 폐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상탈출 록(6)의 내부에는 보지장치(16)가 배치되어 있고 이것은 비상탈출 록(6)의 범람 동안 비상탈출 록(6) 내에 사람의 서 있는 위치에서 비상탈출을 위하여 비상탈출 록(6) 내에 위치한 사람(18)을 안전하게 보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사람(18)은 사고가 난 잠수항해 중의 잠수함의 밖으로의 비상탈출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잠수함구명복(20)을 입고 있다.
이 보지장치(16)는, 도면에는 확실하지 않지만, 비상탈출 샤프트(6) 내에 고정식으로 고착된 윈치(24) 상에 감겨져 있는 케이블(22) 형태의 인장수단을 포함한다. 스냅 족쇄(26)가 케이블(22)의 단부에 체결된다. 비상탈출 록(6)의 범람 동안, 그리고 비상탈출 록(6)의 뒤이은 압력보상 동안, 스냅 족쇄(26)가 그 안에 위치한 사람(18)의 허리를 둘러싸는 영역 내의 잠수함구명복(20) 상에 배치된 탭(28)에 체결된다.
이 스냅 족쇄(26)는 폐쇄체(30)를 포함하고, 그 위에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면상에 두 개의 바우(bow)들(32, 34)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22)은 바우(32) 상에 체결된다. 바우(34)는 잠수함구명복(20)의 탭(28)상의 스냅 족쇄(26)를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이것을 위하여 두 부분으로 설계되어 있는데, 바우의 한 부분(36)은 폐쇄체(30)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바우부분(36)에 연결부재(40)를 통해 관절식으로 연결된 바우부분(38)은 폐쇄체(30) 상에 해제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폐쇄체(30)로부터 바우부분(38)을 해제하기 위하여 폐쇄체(30) 상에 작동레버(42)가 제공된다.
비상탈출 록(6)의 범람 동안 그리고 그 안의 압력보상 동안 윈치(24)는 비상탈출 록(6) 내에 앞서 언급한 위치에 있는 사람(18)을 보지하기 위하여 고정되어 진다.
이것을 위하여 브레이크(44)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24)의 바깥 측에 배치된 두 브레이크 패드들(46)에 의해 역할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그러나 도시된 두 패드들(46)은 브레이크(44)의 어떤 특정한 구조적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하지 않은 것은 브레이크(44)와 관련하여 그것은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유압작동브레이크(44)의 경우이기 때문이고, 이것은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보여줄 것이다.
케이블(22) 외에도, 케이블(48)의 형태로 된 제2 인장수단이 스냅 족쇄(26)의 바우(32) 상에 체결된다. 이 케이블(48)은 다른 측 단부가 보지장치(16)에 고정식으로 체결된다. 이 케이블(48)은 케이블(22) 보다 더 짧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보지장치(16)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비상탈출을 위하여, 잠수함구명복(20) 내의 사람(18)은 비상탈출 록(6)으로 들어가고 내압선각에 대한 하부해치를 커버(10)로 폐쇄한다. 그 후, 그는 자기를 잠수함구명복(20) 상에 제공된 탭(28)에 스냅 족쇄(26)의 개방 바우(34)를 걸고 그리고 바우부분(38)이 스냅 족쇄(26)의 폐쇄체(30) 상에 고정되는 폐쇄위치로 바우부분(38)을 회전함에 의해 보지장치(16)에 그 스스로를 연결한다. 그 다음 잠수함구명복(20)은 윈치(24)에 감긴 케이블(22)에 연결된다. 사람(18)은, 윈치(24)로부터 케이블(22)이 되 풀릴 수 없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수단으로 브레이크(44)를 조작한다.
이 사람(18)은 그 다은 잠수함구명복(20) 상에 제공된 공기공급연결부를 비상탈출 록(6) 내에 위치한 공기공급장치에 연결하는데, 여기서 잠수함구명복(20) 상의 공기공급연결부와 공기공급장치는 도면의 복장성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다. 뒤이어 비상탈출 록(6)의 범람과 잠수함(2)의 외부환경 및 그 내부의 압력보상이 수행된다. 이 잠수함구명복(20)은 칼라와 후드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범람 및 압력보상 동안에 비상탈출 록(6) 내에서 부유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잠수함구명복(20) 상에 체결되어 있는 보지장치(16)의 케이블(22)에 의해 이점 있게 방지되고, 잠수함구명복(20) 내의 이 사람(18)은 비상탈출 록(6) 내의 언급된 그의 위치에 보지된다.
비상탈출 록(6) 내의 압력보상이 완료된 후, 비상탈출 록(6)의 상부커버(14)가 개방되고 탈출개구(12)를 해제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뒤이어 윈치(24) 상의 브레이크(44)도 해제된다. 이제 잠수함구명복(20) 내의 이 사람(18)은 비상탈출 록(6) 내에서 부유되고, 여기서 케이블(22)이 윈치(24)로부터 풀린다. 우선 축 처지게 걸려있는 케이블(48)이 이것에 의해 팽팽하게 되고, 스냅 족쇄(26)의 폐쇄체(30)의 작동레버(42)에 인장력을 가하며, 이 수단에 의해 폐쇄체(30)가 스냅 족쇄(26)의 바우(34)의 바우부분(38)을 해제한다. 이제 이것은 회전개방될 수 있고, 이 수단에 의해 스냅 족쇄(26)가 잠수함구명복(20) 상의 탭(28)에서 해제된다. 이제 이 사람(18)은 더 이상 보지장치(16)에 연결되지 않으며, 비상탈출 록(6)의 탈출개구(12)를 통해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
윈치(24)로부터 케이블(22)을 감는 동안,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윈치(24) 상에 케이블(22)을 자동으로 감기 위한 인출장치를 형성하는 스프링소자가 텐션(긴축)되어 진다. 잠수함구명복(20)에 케이블(22)의 연결이 해제된 후, 이 스프링소자가 풀어지고, 이 수단에 의해 케이블(22)은 다시 윈치(24) 상에 감겨지고 따라서 다시 뒤이어 비상탈출 록(6)으로 들어가는 사람을 보지하기 위한 소망의 짧은 길이를 갖게 된다.
2: 잠수함 4: 타워
6: 비상탈출 록 10, 14: 커버
12: 탈출개구 16: 보지장치
18: 사람 20: 잠수함구명복
22, 48: 케이블 24: 윈치
26: 스냅 족쇄 28: 탭
30: 폐쇄체 32, 34: 바우
36, 38: 바우부분 40: 연결부재
42: 작동레버 44: 브레이크
46: 브레이크 패드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비상탈출 록(6)을 구비한 잠수함(2)에 있어서, 잠수함에 대하여 고정된 보지수단을 구비한 보지장치(16)가 잠수함구명복(20) 상에 해제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하여 비상탈출 록(6) 내에 배치되고, 여기서 보지수단의 자동해제를 위한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항에 있어서, 보지장치(16)는 잠수함 구조체에 연결되고 그 자유단부에는 잠수함구명복(20) 상에 체결가능한 기구를 구비한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2항에 있어서, 보지장치(16)는 그 위에 인장수단이 감겨지는 윈치(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3항에 있어서, 윈치(24)는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지장치(16)는 잠수함의 선박 구조체에 체결가능하고 제1 인장수단의 기구 상에 형성된 폐쇄체(30)에 연결되는 제2 인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5항에 있어서, 제2 인장수단은 제1 인장수단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3항에 있어서, 윈치(24)는 윈치(24) 상에 인장수단의 자동감기를 위한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7항에 있어서, 인출장치는 스프링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인장수단 상에 체결된 기구는 스냅 족쇄(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130123716A 2012-10-22 2013-10-17 잠수함의 비상탈출 록에 구비된 탈출수단 KR101639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9266.2 2012-10-22
DE102012219266.2A DE102012219266B3 (de) 2012-10-22 2012-10-22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77A true KR20140051077A (ko) 2014-04-30
KR101639399B1 KR101639399B1 (ko) 2016-07-13

Family

ID=4930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716A KR101639399B1 (ko) 2012-10-22 2013-10-17 잠수함의 비상탈출 록에 구비된 탈출수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722268B8 (ko)
KR (1) KR101639399B1 (ko)
AU (1) AU2013245571B2 (ko)
DE (1) DE102012219266B3 (ko)
ES (1) ES2676722T3 (ko)
PL (1) PL2722268T3 (ko)
TR (1) TR201810817T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68A (ko) * 2015-11-03 2018-07-05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수중 구조
KR101941780B1 (ko) 2017-08-04 2019-04-12 정종대 잠수함의 부상자용 비상 탈출 승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3971A1 (de) * 2014-09-26 2016-03-31 Thyssenkrupp Ag Außenbord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r Außenbord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48686A (fr) * 1912-09-26 1913-02-07 Marcellus Fouquet Dispositif et appareils pour le sauvetage des hommes à bord d'un submersible coulé
GB1546884A (en) * 1977-05-12 1979-05-31 Morgan A R Apparatus for facilitating escape od a person from a submerged submarine vehicle
GB2104948A (en) * 1981-06-23 1983-03-16 Dhb Construction Limited Tether management cage
KR20080032826A (ko) * 2006-10-11 2008-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통행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48303A (ko) *
US1948934A (en) * 1929-01-30 1934-02-27 John F O'rourke Submarine airlock
US5328298A (en) * 1993-07-07 1994-07-12 Maffatone Anthony N Safe ascent/decompression device
GB2441959B (en) * 2006-09-21 2011-06-15 Survitec Group Ltd Submarine escape suits
DE102010023518A1 (de) * 2010-06-11 2011-12-15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rettungsanz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48686A (fr) * 1912-09-26 1913-02-07 Marcellus Fouquet Dispositif et appareils pour le sauvetage des hommes à bord d'un submersible coulé
GB1546884A (en) * 1977-05-12 1979-05-31 Morgan A R Apparatus for facilitating escape od a person from a submerged submarine vehicle
GB2104948A (en) * 1981-06-23 1983-03-16 Dhb Construction Limited Tether management cage
KR20080032826A (ko) * 2006-10-11 2008-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통행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68A (ko) * 2015-11-03 2018-07-05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수중 구조
KR101941780B1 (ko) 2017-08-04 2019-04-12 정종대 잠수함의 부상자용 비상 탈출 승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722268T3 (pl) 2018-10-31
KR101639399B1 (ko) 2016-07-13
EP2722268A1 (de) 2014-04-23
EP2722268B1 (de) 2018-05-02
AU2013245571A1 (en) 2014-05-08
DE102012219266B3 (de) 2014-01-16
ES2676722T3 (es) 2018-07-24
AU2013245571B2 (en) 2017-09-07
TR201810817T4 (tr) 2018-08-27
EP2722268B8 (de)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597B2 (en) Marine safety device attachment with automatic release capability
EP0145461A2 (en) Rescue device
RU2479463C1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JP7268146B2 (ja) 水難救助用馬蹄形救命ブイ及び関連する救助ロープアセンブリ
KR101639399B1 (ko) 잠수함의 비상탈출 록에 구비된 탈출수단
AU2015298510B2 (en) Recovery system
DK156041B (da) Redningsvest eller redningskrans
WO2015162425A1 (en) Life jacket attachment
SE412884B (sv) Livreddningsanordning for fartyg
US7001235B2 (en) Surface marker buoy apparatus
US4000533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US3703736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US4017924A (en) Life saving equipment for vessels
KR200443191Y1 (ko) 구명부력로프를 구비한 방수복
US6202588B1 (en) Apparatus for marking the location of submerged articles
GB2528898A (en) Man overboard recovery system
KR101412248B1 (ko) 부력을 이용한 구명선 이탈장치
GB2336134A (en) Life saving apparatus
US200301761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eople in distressin the sea
KR101917890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WO1995013958A1 (en) Rescue system for mounting on a vessel
GB2536924A (en) Recovery system
KR101866743B1 (ko) 이동성이 향상된 구명벌
US1863019A (en) Submarine distress signal
JPH03235795A (ja) 救命筏用装着式耐氷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