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826A - 잠수함용 통행구 - Google Patents

잠수함용 통행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826A
KR20080032826A KR1020060098839A KR20060098839A KR20080032826A KR 20080032826 A KR20080032826 A KR 20080032826A KR 1020060098839 A KR1020060098839 A KR 1020060098839A KR 20060098839 A KR20060098839 A KR 20060098839A KR 20080032826 A KR20080032826 A KR 2008003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support plate
support
tube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812B1 (ko
Inventor
신규섭
서동식
박장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8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4Superstructure
    • B63G8/06Conning-t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용 통행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행구의 설치를 위해 잠수함의 외부케이싱(1)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0)과, 상기 가이드홀(10)이 직하방 압력선체(2)에 설치되며 상면 일측에 해치(7a)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a)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6a)의 해치(7a) 둘레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 둘레에 안착테(14)가 결합되는 지지관(4) 및 상기 지지관(4)의 내측에 확장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단부 둘레에 외주면이 상기 지지관(4)의 내벽에 수밀을 위해 실링재(11)가 밀착 설치되는 연장관(3)과, 상기 연장관(3)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해치(7b)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에 외부케이싱(1)의 가이드홀(10)에 형합되는 커버부재(17) 및 상면 삼방향에 지지브라켓(15)이 연장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b)와, 상기 연장관(3)의 외부 확장을 위해 하단부가 서포트플레이트(6a)의 상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단부 지지브라켓(15)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5) 및 상기 유압실린더(5)의 제어를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5)의 일측에 고압호스(8)로 연결되는 유압밸브(9)가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의 압력선체와 외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평상시 이동통로 및 비상시 탈출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통행구를 외부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하여 잠수함에 통행구를 설치할 높이가 확보되지 않는 위치나 소형 잠수함에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통행구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을 비상탈 출 용도로 통행구를 이용할 때만 잠수함 외부의 해수 공간으로 연장함으로써 잠수함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잠수함 내부로 연장할 때 소요되는 공간을 다른 장비설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 뿐만 아니라 연장관을 고정관 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해치를 닫음으로써 배수공간도 약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르는 배수시간도 약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가지고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잠수함용 통행구{Passing apparatus for submarine}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링부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케이싱 2 : 압력선체
3 : 연장관 4 : 지지관
5 : 유압실린더 6a,6b : 서포트플레이트
7a,7b : 해치 8 : 고압호스
9 : 유압밸브 10 : 가이드홀
11 : 실링재 12: 가이드링
13 : 충격방지링 14 : 안착테
15 : 지지브라켓 16 : 지지테
17 : 커버부재
본 발명은 잠수함용 통행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의 압력선체와 외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평상시 이동통로 및 비상시 탈출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통행구를 외부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하여 통행구 구성에 따르는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잠수함에 형성되는 통행구는 잠수함 내부로 승조원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통로 역할 및 정비시 장비 이동을 위한 통로 역할, 그리고 잠수함의 해저 사고시 탈출을 위한 통로 역할 등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통행구를 탈출통로로이용하기 위해서는 승조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확보되어야 하고, 탈출 심도에서 충수, 압력평형, 배수 가능한 설비 및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탈출을 위한 통행구의 경우 보통 잠수함의 사령탑(Bridge fin/Sail)에 설치하게 되나 최근 잠수함 내부에 압력격벽이 설치됨에 따라 탈출통로가 설치되는 상기 사령탑 구역의 반대쪽에도 탈출통로가 요구되면서 지금까지는 기존에 설치된 이동통로와 구조통로를 탈출통로의 용도로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구조적으로 잠수함에 최소 승조원의 신장을 상회할만한 정도로 잠수함의 외부케이싱과 압력선체 사이에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사령탑 이외의 구역에 통행구를 자유롭게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데에서 비롯되는 문제점일 것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의 압력선체와 외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평상시 이동통로 및 비상시 탈출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통행구를 외부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하여 통행구 구성에 따르는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행구의 설치를 위해 잠수함의 외부케이싱에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이 직하방 압력선체에 설치되며 상면 일측에 해치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해치 둘레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 둘레에 안착테가 결합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의 내측에 확장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단부 둘레에 외주면이 상기 지지관의 내벽에 수밀을 위해 실링재가 밀착 설치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해치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에 외부케이싱의 가이드홀에 형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면 삼방향에 지지브라켓이 연장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와, 상기 연장관의 외부 확장을 위해 하단부가 서포트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단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어를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에 고압호스로 연결되는 유압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된 일련의 잠수함용 통행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 잠수함용 통행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링부의 확대단면도이 고, 도 4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평면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통행구의 설치를 위해 잠수함의 외부케이싱(1)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0)과, 상기 가이드홀(10)이 직하방 압력선체(2)에 설치되며 상면 일측에 해치(7a)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a)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6a)의 해치(7a) 둘레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 둘레에 안착테(14)가 결합되는 지지관(4) 및 상기 지지관(4)의 내측에 확장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단부 둘레에 외주면이 상기 지지관(4)의 내벽에 수밀을 위해 실링재(11)가 밀착 설치되는 연장관(3)과, 상기 연장관(3)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해치(7b)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에 외부케이싱(1)의 가이드홀(10)에 형합되는 커버부재(17) 및 상면 삼방향에 지지브라켓(15)이 연장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b)와, 상기 연장관(3)의 외부 확장을 위해 하단부가 서포트플레이트(6a)의 상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단부 지지브라켓(15)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5) 및 상기 유압실린더(5)의 제어를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5)의 일측에 고압호스(8)로 연결되는 유압밸브(9)가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 압력선체(2)와 외부케이싱(1) 사이에 설치되는 통행로는 설치 높이 및 조건에 따라 연장관(3)을 1단 이상의 다단형태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링재(11)는 연장관(3)의 신축시 외주면에 수밀강화를위한 다수의 가이드링(12)을 설치하게 되며 또한 상기 실링재(11)가 밀착되는 서포트플레이트(6a)의 상면에는 연장관(3) 복귀시 충격을 완화를 위해 상면에 충격방지링(13)이 환설된 지지테(16)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높이가 확보되지 않는 위치, 즉 외부케이싱(1)과 압력선체(2) 또는 소형 잠수함에 평소에는 이를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비상시에는 탈출통로로 이용하기 위한 통행구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외부케이싱(1)에 도 4에 도시된 커버부재(17)의 형상과 같은 가이드홀(1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홀(10)의 직하방 압력선체(2)에 해치(7a)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a)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6a)의 해치(7a) 둘레에는 연장관(3)이 확장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관(4)을 고정하게 되며 상기 연장관(3)의 하단부 둘레에 신축시 수밀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실링재(11)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관(3)의 상단부에는 상기 연장관(3)의 확장 이동과 함께하며 상면 일측에 해치(7b)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에 외부케이싱(1)의 가이드홀(10)에 형합되는 커버부재(17) 및 상면 삼방향에 지지브라켓(15)이 연장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b)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연장관(3)의 신축을 위해 서포트플레이트(6a)의 상면과 지지브라켓(15) 사이에 유압실린더(5)를 설치하여 이를 고압호스(8)로 유압밸브(9)와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로 제공되는 본 발명은 잠수함에 통행구를 설치할 높이가 확보되지 않는 위치나 소형 잠수함에 외부 확장형 통행구를 설치하여 평소에는 이를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비상시에는 탈출통로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통행구를 잠수함의 외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승조원이 해치(7a)를 통해 통행구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통행구의 내부에 물을 채워 압력평형을 유지한 후 해치(7b)를 열고 탈출한 다음 상기 통행구의 연장관(3)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내부에 채워진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행로의 외부 확장이 자유롭도록 연장관(3)의 신축을 위한 유압실린더(5)를 간섭을 피해 통행로의 둘레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연장관(3) 신축시 상기 연장관(3)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케이싱(1)의 가이드홈 및 가이드링(12)에는 삼방향의 홈 및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5)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유압라인에유량분배기(Flow Divider)(미도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통행구를 평상시 이동통로로 이용할 때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5)를 닫힘 상태로 가압한 상태에서 압력을 차단하고 잠금(locking) 할 수 있도록 한 유압밸브(9) 역시 압력선체(2) 내부에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 확장형 배치를 통해 충수, 압력평형, 배수 등 연속 탈출 과정에서 배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장관(3) 삽입후 해치(7b)를 닫음으로써 배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운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탈출 용도로 통행구를 이용할 때만 잠수함 외부의 해수 공간으로 연장함으로써 잠수함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잠수함 내부로 연장할 때 소요되는 공간을 다른 장비설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외부 확장형의 경우 연장관(3)을 고정관 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해치(7b)를 닫음으로써 배수공간도 약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르는 배수시간도 약 절반으로 줄이게 되는 잇점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잠수함의 압력선체와 외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평상시 이동통로 및 비상시 탈출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통행구를 외부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하여 잠수함에 통행구를 설치할 높이가 확보되지 않는 위치나 소형 잠수함에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통행구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을 비상탈출 용도로 통행구를 이용할 때만 잠수함 외부의 해수 공간으로 연장함으로써 잠수함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잠수함 내부로 연장할 때 소요되는 공간을 다른 장비설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 뿐만 아니라 연장관을 고정관 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해치를 닫음으로써 배수공간도 약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르는 배수시간도 약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가지고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통행구의 설치를 위해 잠수함의 외부케이싱(1)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0)과, 상기 가이드홀(10)이 직하방 압력선체(2)에 설치되며 상면 일측에 해치(7a)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a)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6a)의 해치(7a) 둘레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 둘레에 안착테(14)가 결합되는 지지관(4) 및 상기 지지관(4)의 내측에 확장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단부 둘레에 외주면이 상기 지지관(4)의 내벽에 수밀을 위해 실링재(11)가 밀착 설치되는 연장관(3)과, 상기 연장관(3)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해치(7b)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에 외부케이싱(1)의 가이드홀(10)에 형합되는 커버부재(17) 및 상면 삼방향에 지지브라켓(15)이 연장 결합된 서포트플레이트(6b)와, 상기 연장관(3)의 외부 확장을 위해 하단부가 서포트플레이트(6a)의 상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단부 지지브라켓(15)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5) 및 상기 유압실린더(5)의 제어와 잠금을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5)의 일측에 고압호스(8)로 연결되는 유압밸브(9)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통행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선체(2)와 외부케이싱(1) 사이에 설치되는 통행로는 설치 높이 및 조건에 따라 연장관(3)을 1단 이상의 다단형태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통행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11)는 외주면에 수밀강화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링(12)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통행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11)가 밀착되는 서포트플레이트(6a)의 상면에 연장관(3) 복귀시 충격을 완화를 위해 상면에 충격방지링(13)이 환설된 지지테(1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통행구.
KR1020060098839A 2006-10-11 2006-10-11 잠수함용 통행구 KR10084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39A KR100841812B1 (ko) 2006-10-11 2006-10-11 잠수함용 통행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39A KR100841812B1 (ko) 2006-10-11 2006-10-11 잠수함용 통행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826A true KR20080032826A (ko) 2008-04-16
KR100841812B1 KR100841812B1 (ko) 2008-06-26

Family

ID=3957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839A KR100841812B1 (ko) 2006-10-11 2006-10-11 잠수함용 통행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8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130B1 (ko) * 2004-08-05 2010-09-03 호발트스벨케-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20140051077A (ko) * 2012-10-22 2014-04-30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KR101500579B1 (ko) * 2010-10-15 2015-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케이싱 도어
KR101508243B1 (ko) * 2010-10-15 2015-04-06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KR200477745Y1 (ko) * 2010-10-27 2015-07-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캡스탄 장치
FR3021951A1 (fr) * 2014-06-06 2015-12-11 Dcns Cellule de sas de dimensions reduites, notamment pour vehicule sous-marin
CN116022316A (zh) * 2022-12-08 2023-04-28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一种带有调压装置的软质救援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37Y1 (ko) 2014-11-04 2016-1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KR102614413B1 (ko) 2016-12-30 2023-12-14 한화오션 주식회사 잠수함의 압력 챔버를 이용한 선원 탈출 장치 및 탈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6205A1 (de) * 1967-03-10 1969-06-19 Rheinstahl Nordseewerke Gmbh Schwer ortbares Unterwasserfahrzeug
US3613640A (en) 1969-08-08 1971-10-19 Subcom Inc Communicating passage for submersible vessels
DE102004037951B4 (de) * 2004-08-05 2006-05-04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130B1 (ko) * 2004-08-05 2010-09-03 호발트스벨케-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잠수함
KR101500579B1 (ko) * 2010-10-15 2015-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케이싱 도어
KR101508243B1 (ko) * 2010-10-15 2015-04-06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KR200477745Y1 (ko) * 2010-10-27 2015-07-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캡스탄 장치
KR20140051077A (ko) * 2012-10-22 2014-04-30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잠수함
FR3021951A1 (fr) * 2014-06-06 2015-12-11 Dcns Cellule de sas de dimensions reduites, notamment pour vehicule sous-marin
CN116022316A (zh) * 2022-12-08 2023-04-28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一种带有调压装置的软质救援舱
CN116022316B (zh) * 2022-12-08 2024-04-26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一种带有调压装置的软质救援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812B1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812B1 (ko) 잠수함용 통행구
FI78341B (fi) Foerfarande och torn foer tillvaratagande och separerande av olja, gas och vatten fraon utbrottshaol i havsbotten.
CN205918986U (zh) 中节水马桶水箱
RU182432U1 (ru)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дренчерный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м приводом
KR20140000713U (ko) 부구
KR100980130B1 (ko) 잠수함
KR20130045318A (ko) 극지용 시추선
KR101974072B1 (ko) 플립업 타입 차수문
CN207092134U (zh) 水囊式调压装置
EP2636591B1 (en) Damper structure for a sealed derrick
KR101803937B1 (ko) 맨홀 장치
KR100954698B1 (ko)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CN103261019A (zh) 封闭式钻塔结构的温度和压力监控系统
CN103313910A (zh) 用于极地船的封闭式钻塔结构
JP6679949B2 (ja) 浮体構造物の係留構造
CN217053604U (zh) 一种伸缩式消防栓
KR101231637B1 (ko) 밀폐형 데릭의 댐퍼구조
CN204225202U (zh) 一种负压抑制器
KR102566789B1 (ko) 취수탑의 건식 작업용 챔버
CN214301840U (zh) 一种装配式城市地下管廊预制结构
KR100659657B1 (ko) 부동급수전용 밸브
JP2002227253A (ja) 弁座を有する非圧縮型水抜栓の弁構造
IT202100028268A1 (it) Dispositivo per impianti idrico-fognari
KR20110083826A (ko) 공기관의 자동 폐쇄장치
KR20150133933A (ko) 문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