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37Y1 -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37Y1
KR200482137Y1 KR2020140008021U KR20140008021U KR200482137Y1 KR 200482137 Y1 KR200482137 Y1 KR 200482137Y1 KR 2020140008021 U KR2020140008021 U KR 2020140008021U KR 20140008021 U KR20140008021 U KR 20140008021U KR 200482137 Y1 KR200482137 Y1 KR 200482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breathing
gas supply
crew
breath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557U (ko
Inventor
유영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8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3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잠수함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잠수함으로부터 해수면까지 연결되는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 상기 잠수함에 구비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을 해수면까지 끌어 올리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부재;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어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와 착탈방식으로 연결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APPARATUS OF SUPPLYING RESPIRATION GAS FOR EMERGENCY ESCAPE AND SUBMARIN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시 잠수함을 탈출한 승조원에게 수중상태에서 호흡용 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이 격침이나 기타 사고 등으로 인하여 부상을 못하는 경우에는, 수중상태에서 승조원은 탈출하여야 하는데, 높은 수압으로 인하여 질소 중독 등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잠수병 관련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함내 질소를 배출 할 수 있도록 천천히 부상을 해야 하지만, 별도의 호흡용 가스 용기를 휴대하지 않는 이상, 이는 불가능한 일이며, 잠수함의 경우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승조원이 개인별로 탈출용 호흡 용기 등을 지참하거나 구비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부상 기능에 문제가 발생된 잠수함으로부터 승조원들이 비상탈출을 할 경우, 잠수병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따른다.
잠수함용 통행구(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812호)
본 고안은 비상 시 잠수함을 탈출한 승조원에게 수중상태에서 호흡용 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비상 시 잠수함을 탈출한 승조원이 수중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호흡용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어 인체에 무해한 속도로 부상하여 잠수병과 같은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잠수함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잠수함으로부터 해수면까지 연결되는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 상기 잠수함에 구비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을 해수면까지 끌어 올리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부재;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어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와 착탈방식으로 연결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은, 일단부는 상기 잠수함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부력발생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은, 공압 호스일 수 있다.
상기 부력발생부재는, 평상 시에는 잠수함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비상 시 승조원의 탈출에 앞서 부력이 발생되어 해수면 위로 부상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생발생부재를 잠수함에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평상 시에는 잠수함에 상기 부력발생부재를 고정시키고, 비상 시 승조원의 탈출에 앞서 상기 부력발생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는,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라인으로부터 호흡용 가스를 공급하도록 가스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잠수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에 의하면, 비상 시 잠수함을 탈출한 승조원에게 수중상태에서 호흡용 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시 승조원에게 호흡용 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탈출 중인 승조원은 인체에 무해한 속도로 부상할 수 있어 잠수병과 같은 질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가 잠수함에 잠금 설치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의 작동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는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 연결라인(111), 커플링부재(120), 그리고 부력발생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시, 승조원은 수중상태에서 탈출하여야 하는데, 높은 수압으로 인해 질소 중독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잠수병 관련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무해한 속도로 천천히 부상을 해야 하지만, 승조원이 별도의 호흡용 가스 용기를 휴대하지 않는 이상 이는 불가능하다. 또한, 잠수함의 공간 제약 등의 이유로 개인별로 비상탈출용 호흡 용기를 구비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시 승조원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본 고안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가 고안되었다.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은 잠수함(1)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잠수함(1)으로부터 해수면까지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발생부재(130)는 잠수함(1)에 구비되되, 승조원의 탈출 시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을 해수면까지 끌어 올리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의 일단부는 상기 잠수함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부력발생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사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은 윈치 등의 관용의 구성에 감아 보관될 수 있으며, 필요 시 권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의 재질 및 형상은 특정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 부력발생부재(130)에 의해 해수면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이며, 내부로 호흡용 가스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공압 호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부력발생부재(130)는 평상시(즉, 비상탈출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잠수함(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비상시(즉, 비상탈출이 필요한 상황의 경우)에는 승조원의 탈출에 앞서 양성부력이 발생되어 해수면 위로 부상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로는 상기 부력발생부재(130)가 해수면 위로 부상되어, 잠수함(1)과 상기 부력발생부재(130) 사이로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은 직선 형태로 연결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해수유동 등을 고려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발생부재(130)가 평상시에 잠수함(1)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상기 부력발생부재(130)를 잠수함(1)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잠금부재(140)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140)는 평상 시에는 잠수함(1)에 상기 부력발생부재(130)를 고정시키나, 비상 시에는 승조원의 탈출에 앞서 상기 부력발생부재(1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결라인(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111)은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을 통해 공급되는 호흡용 가스를 비상탈출 중인 승조원에게 공급하도록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110)으로부터 분기된 호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라인(111)의 끝단에는 커플링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20)는 상기 연결라인(111)의 끝단에 구비되어 비상탈출 중인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M)와 신속한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데, 예컨대, 퀵커플링 등의 관용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부재(120)는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M)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라인(111)으로부터 호흡용 가스를 공급하도록 가스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비상탈출 중인 승조원이 개인별 호흡용 마스크(M)를 상기 커플링부재(120)에 연결시킬 경우에만 호흡용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의 작동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고안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승조원은 다음의 단계에 따라 비상 탈출을 실시할 수 있는데, 먼저, 비상 시 부력발생부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잠금 상태가 해제된 부력발생부재는 해수면까지 부상하게 되는데, 이로써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이 해수면까지 연결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승조원은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휴대용 마스크를 커플링에 연결시키면서 충분한 호흡용 가스를 공급받아 인체에 무해한 속도로 비상탈출을 실시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비상 시 잠수함을 탈출한 승조원에게 수중상태에서 호흡용 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시 승조원에게 호흡용 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탈출 중인 승조원은 인체에 무해한 속도로 부상할 수 있어 잠수병과 같은 질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인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M: 호흡용 마스크
1: 잠수함
110: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
111: 연결라인
120: 커플링부재
130: 부력발생부재
140: 잠금부재

Claims (7)

  1. 잠수함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잠수함으로부터 해수면까지 연결되는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
    상기 잠수함에 구비되며, 승조원의 탈출 시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을 해수면까지 끌어 올리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부재;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어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와 착탈방식으로 연결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은,
    일단부는 상기 잠수함의 호흡용 가스 배관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부력발생부재에 연결되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용 가스 공급라인은,
    공압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재를 잠수함에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평상 시에는 잠수함에 상기 부력발생부재를 고정시키고, 비상 시 승조원의 탈출에 앞서 상기 부력발생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는,
    승조원의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라인으로부터 호흡용 가스를 공급하도록 가스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잠수함.
KR2020140008021U 2014-11-04 2014-11-04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KR200482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21U KR200482137Y1 (ko) 2014-11-04 2014-11-04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21U KR200482137Y1 (ko) 2014-11-04 2014-11-04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57U KR20160001557U (ko) 2016-05-12
KR200482137Y1 true KR200482137Y1 (ko) 2016-12-19

Family

ID=5602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21U KR200482137Y1 (ko) 2014-11-04 2014-11-04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3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0768A (en) 1935-02-14 1936-02-11 William R Shultz Lifesaving equipment for marine vesse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789U (ko) * 1989-07-31 1991-03-25
KR100841812B1 (ko) 2006-10-11 2008-06-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통행구
DE102010023518A1 (de) * 2010-06-11 2011-12-15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rettungsanzug
KR101622757B1 (ko) * 2014-08-22 2016-05-19 한국과학기술원 선박 비상 탈출을 위한 라이프 라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0768A (en) 1935-02-14 1936-02-11 William R Shultz Lifesaving equipment for marine vesse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2978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57U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751B2 (en) Lifesaver backpack
CN104309780A (zh) 一种船用避险救生气囊
SE0701214L (sv) Säkerhetsanordning, dykutrustning och skyddsmetod vid SCUBA- dykning
CA2966047C (en) Stretcher
EP3468863B1 (en) Water rescue system
KR200482137Y1 (ko)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US6352460B1 (en) Neutral buoyancy recovery device
WO2010020823A3 (en) Vessel sinking prevention device
RU2682146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RU2657605C2 (ru) Средство спасания подвод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ъем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KR101737767B1 (ko) 운송체 침수 대비용 안전장치
CN210555515U (zh) 潜水服应急供气装置及可漂浮潜水服
KR20170071462A (ko) 선박의 생존 시스템
RU27066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яции отсеков аварийного подвод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KR20130012687A (ko) 구명동의
KR102123749B1 (ko) 수중 구조
KR101620689B1 (ko) 선박의 산소 공급 장치
WO2009141334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s
KR101676701B1 (ko) 선박용 비상 에어 공급 시스템
KR20150005500A (ko) 수중 통로를 갖춘 구조선
Sheldrake et al. Use of tethered SCUBA for scientific diving
JP2009161065A (ja) 小型船舶沈没防止用浮器
RU2226478C2 (ru) Комплекс для спасения команды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подъема и буксировки последнего
US1483404A (en) Ship's safety cabin
Humphrey et al. Use of surface-supplied gas for scientific d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