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698B1 -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 Google Patents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698B1
KR100954698B1 KR1020090114458A KR20090114458A KR100954698B1 KR 100954698 B1 KR100954698 B1 KR 100954698B1 KR 1020090114458 A KR1020090114458 A KR 1020090114458A KR 20090114458 A KR20090114458 A KR 20090114458A KR 100954698 B1 KR100954698 B1 KR 100954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flow
water
guid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09011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means being rotable, rising, and having internal threads which co-operate with threads on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에서 누수 발생 시 그 누수가 발생된 배수관의 양단에 연통된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와 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 중 물의 유동 시 먼저 유동되는 쪽의 다기능 제수밸브인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에 설치된 이종기능수행 몸체에서 제공하는 소화전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유로교체작업을 위해 양측의 유동로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의 소화전기능도 동시에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동로(101)가 형성된 양단에 배수관(P)이 연통되는 밸브케이싱(100)과; 상기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와 연통되는 것으로, 내부에 승강공간(201)이 형성된 플랜지부(200)와; 상기 플랜지부(200)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300)와; 상기 회동부(300)의 하측에 고정되는 밸브로드(400)와; 상기 밸브로드(400)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300)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밸브디스크(500)와; 상기 플랜지부(20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승강공간(201)과 연통되는 중계유동로(231)를 갖는 분기관(230)과; 상기 분기관(230) 상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분기관(230)의 중계유동로(231)와 연통되는 유출로(610)를 갖고, 상부에 덮개(620)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대(631)가 구비된 이종기능수행 몸체(600);로 이루어진 다기능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디스크(5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디스크(500)가 상기 유동로(101)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도 상기 유동로(101)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200)의 승강공간(201) 쪽으로 물(W)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소화전, 드레인, 제수밸브, 화재, 안전사고

Description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Water control valve of multiple functions with the flow water information means}
본 발명은 배수관에서 누수, 라인증설공사 및 관세척 등의 요인으로 배수관의 교체 발생 시 그 교체될 배수관의 양단에 연통된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와 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 중 물의 유동 시 먼저 유동되는 쪽의 다기능 제수밸브인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에 설치된 이종기능수행 몸체에서 제공하는 소화전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유로교체작업을 위해 양측의 유동로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의 소화전 기능과 더불어 드레인기능도 동시에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수도용 또는 기타 배관시설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그 누수가 발생되는 유로 구간의 양측(또는 유수진행방 쪽)을 폐쇄시켜 유로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하는 제수밸브와 화재진압을 위해 물을 급수(給水)하는 소화전이 별도로 설치되어 제공됨으로써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개별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인도 상에 설치되는 소화전에 보행자가 부딪힐 경우 안전사고까지 야기되는 위험성을 내포할 뿐만 아니라 인도 상에 노출된 소화전은 훼손율이 높고, 제수밸브와 소화전의 중복되는 개수로 인해 유지관리 또한 어려움으로써, 도소 상에 설치되는 소화전의 설치개수를 최소화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특허등록제 0912107호)된 다기능 제수밸브에 의해 해소되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는 유동로(11)가 형성된 양단에 배수관이 연통되는 밸브케이싱(10); 상기 밸브케이싱(10)의 유동로(11)와 연통되는 것으로, 내부에 승강공간(21)이 형성된 플랜지부(20); 상기 플랜지부(20)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30); 상기 회동부(30)의 하측에 고정되는 밸브로드(40); 상기 밸브로드(40)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케이싱(10)의 유동로(11)를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50);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승강공간(21)과 연통되는 중계유동로(22a)를 갖는 분기관(22); 및 상기 분기관(22) 상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분기관(22)의 중계유동로(22a)와 연통되는 유출로(61)를 갖고, 상부에 덮개(62)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대(63)가 구비되며, 측부에 상기 유출로(61)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용 밸브(64)를 갖는 이종기능수행 몸체(60)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구성되는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는 제수밸브에 소화전기능이나 드 레인기능 등의 다중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소화전과 드레인용 관을 별도로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 인도에서 요구되는 소화전의 설치공간 또한 필요치 않아 소화전에 보행자가 부딪히는 위험가능성과 장애물을 낮춰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다기능 제수밸브(A1)와 제 2다기능 제수밸브(A2) 사이를 연통하는 제 1배수관(P1)에 누수, 라인증설공사 및 관세척 등의 요인으로 교체를 해야될 경우 제 1다기능 제수밸브(A1) 및 제 2다기능 제수밸브(A2)를 차단시켜 제 1배수관(P1)의 유로교체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 1다기능 제수밸브(A1)가 설치된 주변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제 1다기능 제수밸브(A1)는 밀폐차단된 상태 즉, 밸브디스크(50)가 밸브케이싱(10)의 유동로(11)를 밀폐시켜 차단한 상태이기 때문에 제 2배수관(P2)을 통해 흐르는 물(W)은 제 1다기능 제수밸브(A1)로 유입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제 1다기능 제수밸브(A1)의 소화전기능을 화재진압 시에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에서 누수, 라인증설공사 및 관세척 등의 요인으로 배수관의 교체 발생 시 그 교체될 배수관의 양단에 연통된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와 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 중 물의 유동 시 먼저 유동되는 쪽의 다기능 제수밸브인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에 설치된 이종기능수행 몸체에서 제공하는 소화전 기능 및 드레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밸브디스크가 유동로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유동로를 통해 플랜지부의 승강공간 쪽으로 물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는, 유동로가 형성된 양단에 배수관이 연통되는 밸브케이싱과; 상기 밸브케이싱의 유동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하측에 고정되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로드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밸브케이싱의 유동로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플랜지부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승강공간과 연통되는 중계유동로를 갖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 상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분기관의 중계유동로와 연통되는 유출로를 갖고, 상부에 덮개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대가 구비된 이종기능수행 몸체;로 이루어진 다기능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디스크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디스크가 상기 유동로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유동로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의 승강공간 쪽으로 물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제 1적용예에 따른 상기 유동수 안내수단은 상기 유동로가 형성된 밸브케이 싱에 밀폐접촉되는 상기 밸브디스크의 일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유동공간이다.
제 2적용예에 따른 상기 유동수 안내수단은 상기 밸브디스크의 일측면의 중앙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디스크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밀폐단이 돌출되고, 그 돌출된 밀폐단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종기능수행 몸체에는 개폐용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이종기능수행 몸체의 유출로를 개폐시킨다.
본 발명은 배수관에서 누수, 라인증설공사 및 관세척 등의 요인으로 배수관의 교체 발생 시 그 교체될 배수관의 양단에 연통된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와 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 중 물의 유동 시 먼저 유동되는 쪽의 다기능 제수밸브인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에 설치된 이종기능수행 몸체에서 제공하는 소화전 기능및 드레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유로교체작업을 위해 양측의 유동로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의 소화전기능도 동시에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구성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의 제 1적용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구성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의 제 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는 밸브케이싱(100), 플랜지부(200), 회동부(300), 밸브로드(400), 밸브디스크(500), 분기관(230), 이종기능수행 몸체(600) 및 유동수 안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케이싱(100)은 내부에 유동로(101)가 형성되고, 그 형성된 유동로(101)의 양단에 배수관(P)이 연통되어 유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밸브케이싱(10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승강공간(201)이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부(200)는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도면에서처럼, 상부플랜지(210) 및 하부플랜지(220)로 분리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체결을 통해 결합시켜 제공한다. 이때, 결합되는 상부플랜지(210) 및 하부플랜지(220) 사이에는 패킹링을 구비하여 유동되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제공한다.
상기 회동부(300)는 후술되는 밸브디스크(500)를 상하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전달하여 주는 개폐용 핸들(H)이 고정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에 사각형상 및 오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을 갖는 핸들캡(310)이 구비되고, 하단 외주연을 따라 걸림대(320)가 돌출된다.
또한, 회동부(300)는 플랜지부(2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회동부(300)의 걸림대(32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안착공간에 회동부(300)의 걸림대(320) 부분이 안착된 상태에서 홀더(33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부(300)와 홀더(330) 사이에는 패킹링을 구비하여 유동되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제공한다.
또한, 회동부(300)의 하측에는 후술되는 밸브로드(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로드(400)는 외주연에 나사산(410)이 형성된 것으로, 상단부가 회동부(30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공간에 연결고정되어 회동부(300)가 회동 시 함께 회동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회동부(300)의 하측에 고정연결된 밸브로드(400)는 플랜지부(2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210)에 관통되어 플랜지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공간(201)에 내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밸브디스크(500)는 안내공간(510)이 측상에 형성되되, 그 형성된 안내공간(510)을 통해 승강공간(201)에 내재되는 밸브로드(400)가 나선결합됨으로써, 회동부(300)의 회동 시 플랜지부(200)의 승강공간(201)에서 밸브로드(400)를 따라 승강되어,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밸브디스크(500)는 나선결합된 밸브로드(400)와 함께 회전하지 않 고, 승강공간(201)에서 안전하게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승강공간(201)을 이루는 하부플랜지(220)의 내부 양측의 수직부분을 따라 안내레일(221)을 돌출시키고, 밸브디스크(500)의 양측단에는 안내레일(221)과 대향되는 위치에 안내레일(221)이 내입되는 레일홈(520)을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배수관(P)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유로교체작업을 위해 그 누수가 발생된 어느 하나의 배수관(P)의 양단에 연통된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와 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 중 물(W)의 유동 시 먼저 유동되는 쪽의 다기능 제수밸브(여기서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라 가정)인 전측의 다기능 제수밸브에 설치된 이종기능수행 몸체(600)에서 제공하는 소화전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물(W)의 유동 시 먼저 물(W)이 접촉되는 측면인 밸브디스크(5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밸브디스크(500)가 유동로(101)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유동로(101)를 통해 플랜지부(200)의 승강공간(201) 쪽으로 물(W)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비되는 유동수 안내수단은 다양한 적용예를 갖는데, 이중 제 1적용예에 해당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은 유동로(101)가 형성된 밸브케이싱(100)에 밀폐접촉되는 부분인 밸브디스크(500)의 일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유동공간(501)을 형성하여 제공한다.
즉,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를 밸브디스크(500)가 하강하여 밀폐시킨 경우 밸브디스크(500)의 타측면의 가장자리 부근은 밸브케이싱(100)의 타측 유동로(101) 부분에 밀착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물(W)의 유동을 차단하나, 밸브디스 크(500)의 일측면은 밸브디스크(500)의 방사상을 따라 형성된 4개의 유동공간(501)을 통해 유동되어 플랜지부(200)의 승강공간(201) 쪽으로 유입됨으로써, 그 플랜지부(200)의 승강공간(201)과 연통된 분기관(230)의 중계유동로(231)를 거쳐 유출로(610)를 통해 물(W)이 계속 유동되도록 제어하여 소화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유동공간(501)의 개수는 도면에서처럼 4개 정도가 형성되었으나 이는, 배수관(P)을 통해 유동되는 물(W)의 유동량에 따라 가감 조절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적용예에 해당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은 밸브디스크(500)의 일측면의 중앙부분에 안쪽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디스크(500)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밀폐단(502)이 돌출되고, 그 돌출된 밀폐단(502)을 관통하는 관통구멍(503)으로 이루어진다. 이 또한, 앞에서 언급한 제 1적용예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밸브디스크(500)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밸브디스크(500)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을 갖으며, 바닥에 안내공간(510)과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부싱체결구(530) 및 그 부싱체결구(530)의 측부를 통해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주연에 나사홈(541)이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부싱(540)이 추가로 구비되어, 부싱(540)의 관통구멍을 통해 밸브로드(400)가 나선결합되어 상하이동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밸브디스크(500)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유동로(101)에서 승강공간(201) 쪽으로 유동되는 물이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밸브디스크(500)가 접촉되는 밸브케이싱(100)의 바닥에는 밀폐용 홈(102)을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밀폐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분기관(230)은 후술되는 이종기능수행 몸체(600)와 연통되는 부재로서, 플랜지부(2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21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201)과 연통되는 중계유동로(231)를 갖는다.
이러한 분기관(23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플랜지(22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종기능수행 몸체(600)는 분기관(230) 상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분기관(230)의 중계유동로(231)와 연통되는 유출로(610)를 갖고, 상부에 덮개(620)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대(631)가 구비된 밀폐판(630)이 상측에 체결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덮개(620)의 측부를 따라 파지용 돌기(621)를 일체로 구비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이종기능수행 몸체(600)에는 볼밸브와 같은 개폐용 밸브(640)가 설치되어, 이종기능수행 몸체(600)의 유출로(61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제공된다.
또한, 연결대(631)와 연결되는 소방호스(A)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호스용 고정너트(650)을 구비하여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다기능 제수밸브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구성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의 제 1적용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구성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의 제 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00 : 밸브케이싱 11,101 : 유동로
102 : 밀폐용 홈 20,200 : 플랜지부
21,201 : 승강공간 210 : 상부플랜지
220 : 하부플랜지 221 : 안내레일
22,230 : 분기관 22a,231 : 중계유동로
30,300 : 회동부 310 : 핸들캡
320 : 걸림대 40,400 : 밸브로드
410 : 나사산 50,500 : 밸브디스크
501 : 유동공간 502 : 밀폐단
503 : 관통구멍 510 : 안내공간
520 : 레일홈 530 : 부싱체결구
540 : 부싱 541 : 나사홈
60,600 : 이종기능수행 몸체 61,610 : 유출로
62,620 : 덮개 621 : 파지용 돌기
630 : 밀폐판 63,631 : 연결대
64,640 : 개폐용 밸브 650 : 호스용 고정너트

Claims (4)

  1. 유동로(101)가 형성된 양단에 배수관(P)이 연통되는 밸브케이싱(100)과; 상기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와 연통되는 것으로, 내부에 승강공간(201)이 형성된 플랜지부(200)와; 상기 플랜지부(200)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300)와; 상기 회동부(300)의 하측에 고정되는 밸브로드(400)와; 상기 밸브로드(400)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300)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밸브케이싱(100)의 유동로(101)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밸브디스크(500)와; 상기 플랜지부(20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승강공간(201)과 연통되는 중계유동로(231)를 갖는 분기관(230)과; 상기 분기관(230) 상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분기관(230)의 중계유동로(231)와 연통되는 유출로(610)를 갖고, 상부에 덮개(620)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대(631)가 구비된 이종기능수행 몸체(600);로 이루어진 다기능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디스크(5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디스크(500)가 상기 유동로(101)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유동로(101)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200)의 승강공간(201) 쪽으로 물(W)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포함하되,
    그 포함되는 유동수 안내수단은 상기 밸브디스크(500)의 일측면의 중앙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디스크(500)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밀폐단(502)이 돌출되고, 그 돌출된 밀폐단(502)을 관통하는 관통구멍(50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기능수행 몸체(600)에는 개폐용 밸브(640)가 설치되어, 상기 이종기능수행 몸체(600)의 유출로(610)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KR1020090114458A 2009-11-25 2009-11-25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KR100954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458A KR100954698B1 (ko) 2009-11-25 2009-11-25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458A KR100954698B1 (ko) 2009-11-25 2009-11-25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698B1 true KR100954698B1 (ko) 2010-04-23

Family

ID=4222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458A KR100954698B1 (ko) 2009-11-25 2009-11-25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0858A (zh) * 2012-10-19 2013-01-30 瑞安市良精石化机械厂 一种泄压式管道快速启闭装置
CN102966790A (zh) * 2012-11-24 2013-03-13 青岛华冠阀门有限公司 可更换上密封式消防阀
CN108953641A (zh) * 2018-07-11 2018-12-07 王欣 一种精确控制流量的控水阀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704B2 (ja) * 1990-03-09 1999-07-05 矢野技研株式会社 流体輸送経路変更工法並びにその工法に使用する整流部材
KR100912107B1 (ko) * 2009-03-03 2009-08-13 이상록 다기능 제수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704B2 (ja) * 1990-03-09 1999-07-05 矢野技研株式会社 流体輸送経路変更工法並びにその工法に使用する整流部材
KR100912107B1 (ko) * 2009-03-03 2009-08-13 이상록 다기능 제수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0858A (zh) * 2012-10-19 2013-01-30 瑞安市良精石化机械厂 一种泄压式管道快速启闭装置
CN102966790A (zh) * 2012-11-24 2013-03-13 青岛华冠阀门有限公司 可更换上密封式消防阀
CN108953641A (zh) * 2018-07-11 2018-12-07 王欣 一种精确控制流量的控水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925B1 (ko)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KR100954698B1 (ko)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KR200456133Y1 (ko)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KR100912107B1 (ko) 다기능 제수밸브
KR101280572B1 (ko) 수도 배관 장치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US6192916B1 (en) Flow-limiting float valve
KR101282303B1 (ko) 교체 및 수리 용이한 상수도용 부동전
US20040069354A1 (en) Pipe fitting
JP2001073418A (ja)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GB2479704A (en) Hydrant valve
JP4547651B2 (ja) 弁装置
KR102571067B1 (ko) 제수밸브 일체형 옥외소화전
KR200488794Y1 (ko) 수전용 역류 방지장치
KR100659657B1 (ko) 부동급수전용 밸브
KR102393706B1 (ko)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JP4157643B2 (ja) 不凍水栓柱
JP2004027581A (ja) 地下式消火栓
KR101097385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304839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100991897B1 (ko)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102088432B1 (ko) 지하매설 소화전용 접이식 토출구
KR101797601B1 (ko) 건축물의 소방 자동 밸브장치
KR200356017Y1 (ko) 배수관조립체
KR200206610Y1 (ko) 역지 제수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