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572B1 - 수도 배관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 배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572B1
KR101280572B1 KR1020110002524A KR20110002524A KR101280572B1 KR 101280572 B1 KR101280572 B1 KR 101280572B1 KR 1020110002524 A KR1020110002524 A KR 1020110002524A KR 20110002524 A KR20110002524 A KR 20110002524A KR 101280572 B1 KR101280572 B1 KR 10128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inner step
flow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277A (ko
Inventor
우명배
Original Assignee
우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명배 filed Critical 우명배
Priority to KR102011000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5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의 고장시는 물론이거니와 중간밸브(30) 자체의 교체 및 수리시에도 유입관(10)으로부터의 유수의 분출을 철저히 차단하여 중간밸브(30)의 교체 작업의 용이함은 물론이거니와 유수의 낭비까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수도 배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 배관 장치{APPARATUS FOR WATER SUPPLY PIPES}
본 발명은 수도 배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기의 고장시는 물론이거니와 중간밸브 자체의 교체 및 수리시에도 유수의 분출 및 낭비를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수도 배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배관 장치는 유수의 유입과 배출을 가능케 하면서 어느 한 쪽의 배관 이상시 수리 및 교체를 위하여 대부분 중간밸브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는 유입관(10) 및 배출관(20) 사이에 중간밸브(30)가 구비되고, 배출관에는 예를 들어 계량기(90)가 장착되곤 한다.
즉, 유입관(10)을 경유한 유수가 중간밸브(30)를 경유하여 배출관(20)으로 흘러가 계량기(90)를 통해 유량이 측정되면서 각 가정 또는 사무실 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이때, 계량기(90)가 오동작되거나 고장날 경우를 대비하여 유입관(10) 및 배출관(20) 사이에는 중간밸브(30)가 장착되는데, 예를 들어 계량기(9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중간밸브(30)로서 유입관(10)을 밀폐시켜 유수가 분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계량기(90)를 수리 및 교체하고 다시 중간밸브(30)를 오픈시켜 유수가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는 주로 계량기(90)와 같은 기기의 고장만을 고려하여 중간밸브(30)로 하여금 유입관(10)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방적 설계로 이루어져 중간밸브(30) 자체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유입관(10)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수를 밀폐시킬 수가 없어 분출되는 유수로 인해 중간밸브(30)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이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수의 낭비까지 초래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밸브(30)가 유입관(10) 및 배출관(20) 사이에 결합되면서 핸들(35)의 정역회전에 따라 샤프트(34a)의 하단에 장착된 패킹(P)이 유입관(10)을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계량기(90)의 수리 및 교체시 핸들(35)을 조작하여 유입관(10)을 밀폐시킬 수는 있으나, 중간밸브(30) 자체가 고장날 경우 유입관(10)으로부터 중간밸브(30)를 분해시키는 순간 분출되는 유수의 분출을 막을 수가 없어, 중간밸브(30)의 교체 작업의 어려움은 물론이거니와 유수의 낭비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이다[미 설명부호 33b는 중간밸브(30)의 상단에 뚫려진 상측방향 관통공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량기의 고장시는 물론이거니와 중간밸브 자체의 교체 및 수리시에도 유수의 분출을 철저히 막아 자원낭비를 방지하면서 수리 및 교체 작업의 용이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 배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밸브의 고장시 핸들을 역회전시켜 상부 내부나사홈에 치합된 외부나사산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가 상승되도록 하여 승강볼이 유수압력에 의해 위로 올라와 중부 내부단턱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중부 조립관으로부터 상부 밸브체를 분리시키고 나아가 배출관을 분해시켜 더욱 간단히 수리 및 교체토록 할 수 있는 수도 배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내부단턱에 지지되면서 승강볼을 탄성적으로 상승시키는 압출 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유수압력이 약하거나 없더라도 압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유수의 흐름을 보다 긴밀하게 차단토록 할 수 있는 수도 배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수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도록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유입관 및 배출관과,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을 연통시키면서 개폐시키는 중간밸브를 포함하는 수도 배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밸브는
상기 유입관에 결합되며 하부 내부단턱을 지닌 하부 조립관과,
상기 하부 조립관에 결합되며 중부 내부단턱을 지닌 중부 조립관과,
상기 중부 조립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며 상부 내부나사홈 및 상측방향 관통공을 지닌 상부 밸브체와,
상기 상부 내부나사홈에 치합되는 외부나사산을 지니면서 상기 상측방향 관통공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중부 조립관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지닌 회전체와,
상기 상측방향 관통공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체에 고정된 핸들과,
상기 하부 조립관 및 중부 조립관의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하부 내부단턱을 향하여 하강할 경우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중부 내부단턱에 맞닿을 경우 유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승강볼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량기의 고장시는 물론이거니와 중간밸브 자체의 교체 및 수리시에도 유수의 분출을 철저히 막아 자원낭비를 방지하면서 수리 및 교체 작업의 용이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핸들을 정회전시켜 상부 내부나사홈에 치합된 외부나사산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가 하강되도록 하여 승강볼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중부 내부단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유수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배출관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계량기의 교체 및 수리시 승강볼이 중부 내부단턱에 밀착되도록 하여 유수의 흐름을 철저히 차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간밸브의 고장시 핸들을 역회전시켜 상부 내부나사홈에 치합된 외부나사산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가 상승되도록 하여 승강볼이 유수압력에 의해 위로 올라와 중부 내부단턱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유수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중부 조립관으로부터 상부 밸브체를 분리시키고 나아가 배출관을 분해시킨 후 간단히 중간밸브를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체가 정회전될 경우 승강볼이 샤프트의 하강에 의존되어 중부 내부단턱으로부터 이격되는 반면 회전체가 역회전될 경우 승강볼이 샤프트의 상승과 더불어 유입관의 유수압력에 의존되어 중부 내부단턱에 맞닿아, 유수를 통과 및 차단토록 함으로써 중간밸브의 교체 및 수리를 보다 수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수의 낭비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 내부단턱에 지지되면서 승강볼을 탄성적으로 상승시키는 압출 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유수압력이 약하거나 없더라도 압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유수의 흐름을 보다 긴밀하게 차단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의 하강에 의존되어 승강볼이 하강될 경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수를 배출관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승강볼의 승강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중부 조립관의 내주연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부여하여 보다 원활한 유수의 흐름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볼의 외주연에 끼워지면서 승강볼이 상승할 경우 중부 내부단턱에 맞닿아 밀착되는 오링을 구비하여 유수의 차폐를 더욱 긴밀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도록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유입관(10) 및 배출관(20)을 구비하고, 이들 유입관(10) 및 배출관(20)을 연통시키면서 개폐시키는 중간밸브(30)를 포함한다.
유수는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어 중간밸브(30)의 오픈에 따라 배출관(20)을 경유하여 예를 들면 계량기를 통해 유량이 측정되면서 각 가정,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 공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중간밸브(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0)에 결합되며 하부 내부단턱(31a)을 지닌 하부 조립관(31)과, 하부 조립관(31)에 결합되며 중부 내부단턱(32a)을 지닌 중부 조립관(32)과, 중부 조립관(32)에 결합됨과 동시에 배출관(20)에 연통되며 상부 내부나사홈(33a) 및 상측방향 관통공(33b)을 지닌 상부 밸브체(33)와, 상부 내부나사홈(33a)에 치합되는 외부나사산(34b)을 지니면서 상측방향 관통공(33b)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중부 조립관(32)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34a)를 지닌 회전체(34)와, 상측방향 관통공(33b)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노출된 회전체(34)에 고정된 핸들(35)과, 하부 조립관(31) 및 중부 조립관(32)의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하부 내부단턱(31a)을 향하여 하강할 경우 유입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수를 배출관(2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중부 내부단턱(32a)에 맞닿을 경우 유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승강볼(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장치는 계량기의 고장시는 물론이거니와 중간밸브(30) 자체의 교체 및 수리시에도 유입관(10)으로부터의 유수의 분출을 철저히 차단하여 중간밸브(30)의 교체 작업의 용이함은 물론이거니와 유수의 낭비까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핸들(35)을 정회전시켜 상부 내부나사홈(33a)에 치합된 외부나사산(34b)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34a)가 하강되도록 하여 승강볼(36)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중부 내부단턱(3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유수가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어 배출관(2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고, 반면 중간밸브(30)의 고장시 핸들(35)을 역회전시켜 상부 내부나사홈(33a)에 치합된 외부나사산(34b)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34a)가 상승되도록 하여 승강볼(36)이 유수압력에 의해 위로 올라와 중부 내부단턱(32a)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유수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중부 조립관(32)으로부터 상부 밸브체(33)를 분리시키고 나아가 배출관(20)을 분해시킨 후 간단히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이때, 유수의 분출은 승강볼(36)과 중간 내부단턱의 밀착으로 차단되어 중간밸브(30)의 교체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의 낭비 또한 철저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계량기의 고장시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승강볼(36)은 핸들(35)의 조작에 의해 회전체(34)가 정회전될 경우 샤프트(34a)의 하강에 의존되어 중부 내부단턱(3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반면 회전체(34)가 역회전될 경우 샤프트(34a)의 상승과 더불어 유입관(10)의 유수압력에 의존되어 중부 내부단턱(32a)에 맞닿아, 유수를 통과 및 차단토록 하여 중간밸브(30)의 교체 및 수리를 보다 수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수의 낭비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 내부단턱(31a)에 지지되면서 승강볼(36)을 탄성적으로 상승시키는 압출 스프링(37)을 더 포함하여 유수압력이 약하거나 없더라도 압출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의해 유수의 흐름을 보다 긴밀하게 차단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승강볼(36)은 샤프트(34a)의 하강에 의존되어 하강될 경우 유입관(10)으로부터 유입된 유수를 배출관(20)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면서 승강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중부 조립관(32)의 내주연을 향해 돌출된 돌기(36a)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승강볼(36)의 외주연에 끼워지며 승강볼(36)이 상승할 경우 중부 내부단턱(32a)에 맞닿아 밀착되는 오링(R1)을 포함하여 유수의 차폐를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입관(10), 하부 조립관(31), 중부 조립관(32), 승강볼(36), 상부 밸브체(33) 및 배출관(20) 등은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오링(R2, R3, R4)이 그 사이에 추가로 개재되어 유수의 누출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칭을 수도 배관 장치라고 하였지만, 기름 또는 기타 유체를 배송하는 배관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관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수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수도 배관 장치의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10 : 유입관 20 : 배출관
30 : 중간밸브 31 : 하부 조립관
31a : 하부 내부단턱 32 : 중부 조립관
32a : 중부 내부단턱 33 : 상부 밸브체
33a : 상부 내부나사홈 33b : 상측방향 관통공
34 : 회전체 34a : 샤프트
34b : 외부나사산 35 : 핸들
36 : 승강볼 36a : 돌기
37 : 압출 스프링 R1, R2, R3, R4 : 오링
90 : 계량기

Claims (5)

  1. 유수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도록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유입관(10) 및 배출관(20)과, 상기 유입관(10) 및 배출관(20)을 연통시키면서 개폐시키는 중간밸브(30)를 포함하는 수도 배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밸브(30)는
    상기 유입관(10)에 결합되며 하부 내부단턱(31a)을 지닌 하부 조립관(31)과,
    상기 하부 조립관(31)에 결합되며 중부 내부단턱(32a)을 지닌 중부 조립관(32)과,
    상기 중부 조립관(32)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관(20)에 연통되며 상부 내부나사홈(33a) 및 상측방향 관통공(33b)을 지닌 상부 밸브체(33)와,
    상기 상부 내부나사홈(33a)에 치합되는 외부나사산(34b)을 지니면서 상기 상측방향 관통공(33b)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중부 조립관(32)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34a)를 지닌 회전체(34)와,
    상기 상측방향 관통공(33b)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체(34)에 고정된 핸들(35)과,
    상기 하부 조립관(31) 및 중부 조립관(32)의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하부 내부단턱(31a)을 향하여 하강할 경우 상기 유입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수를 상기 배출관(2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중부 내부단턱(32a)에 맞닿을 경우 유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승강볼(3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평상시 상기 핸들(35)을 정회전시켜 상기 상부 내부나사홈(33a)에 치합된 상기 외부나사산(3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34a)가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볼(36)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중부 내부단턱(3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유수가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2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중간밸브(30)의 고장시 상기 핸들(35)을 역회전시켜 상기 상부 내부나사홈(33a)에 치합된 상기 외부나사산(3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34a)가 상승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볼(36)이 유수압력에 의해 위로 올라와 상기 중부 내부단턱(32a)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중부 조립관(32)으로부터 상기 상부 밸브체(33)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출관(20)을 분해시킨 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배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볼(36)은 상기 핸들(35)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체(34)가 정회전될 경우 상기 샤프트(34a)의 하강에 의존되어 상기 중부 내부단턱(3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반면 상기 회전체(34)가 역회전될 경우 상기 샤프트(34a)의 상승과 더불어 상기 유입관(10)의 유수압력에 의존되어 상기 중부 내부단턱(32a)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배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부단턱(31a)에 지지되면서 상기 승강볼(36)을 탄성적으로 상승시키는 압출 스프링(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배관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볼(36)은 상기 샤프트(34a)의 하강에 의존되어 하강될 경우 상기 유입관(10)으로부터 유입된 유수를 상기 배출관(20)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면서 승강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중부 조립관(32)의 내주연을 향해 돌출된 돌기(36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배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볼(36)의 외주연에 끼워지며 상기 승강볼(36)이 상승할 경우 상기 중부 내부단턱(32a)에 맞닿아 밀착되는 오링(R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배관 장치.
KR1020110002524A 2011-01-11 2011-01-11 수도 배관 장치 KR10128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24A KR101280572B1 (ko) 2011-01-11 2011-01-11 수도 배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24A KR101280572B1 (ko) 2011-01-11 2011-01-11 수도 배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277A KR20120081277A (ko) 2012-07-19
KR101280572B1 true KR101280572B1 (ko) 2013-07-02

Family

ID=4671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524A KR101280572B1 (ko) 2011-01-11 2011-01-11 수도 배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53B1 (ko) * 2020-11-30 2021-09-09 (주)대상누수탐지기술 유체 주입용 연결 장치
KR102324092B1 (ko) * 2020-06-04 2021-11-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계량기용 다단 유량 제어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47U (ko) 2017-04-13 2018-10-23 우성스텐코리아 주식회사 수도 배관 장치
KR102137546B1 (ko) 2018-06-18 2020-07-27 우성스텐코리아 주식회사 수도 배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878U (ko) * 1993-07-07 1995-02-17 이장기 부동전
JPH08319662A (ja) * 1995-05-25 1996-12-03 Sekisui Chem Co Ltd 真空式下水道のウォータブロック防止構造
KR20000008210U (ko) * 1998-10-16 2000-05-15 송병규 관붙임 앵글 밸브
KR100270843B1 (ko) * 1998-09-25 2000-11-01 김영판 동파방지가 부설된 밭기반 전용 수도미터기 보호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878U (ko) * 1993-07-07 1995-02-17 이장기 부동전
JPH08319662A (ja) * 1995-05-25 1996-12-03 Sekisui Chem Co Ltd 真空式下水道のウォータブロック防止構造
KR100270843B1 (ko) * 1998-09-25 2000-11-01 김영판 동파방지가 부설된 밭기반 전용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000008210U (ko) * 1998-10-16 2000-05-15 송병규 관붙임 앵글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92B1 (ko) * 2020-06-04 2021-11-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계량기용 다단 유량 제어 밸브
KR102299953B1 (ko) * 2020-11-30 2021-09-09 (주)대상누수탐지기술 유체 주입용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277A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572B1 (ko) 수도 배관 장치
CN104315164B (zh) 具有多种功能的截止阀
KR200432835Y1 (ko) 제수밸브
KR101930393B1 (ko) 플러그 밸브
TW201430249A (zh) valve
CN105927767B (zh) 一种低阻力倒流防止器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CN104500812B (zh) 低功耗电动阀门
CN203686316U (zh) 用于气液联动执行器的紧急液压手动操作模块
CN202418601U (zh) 大口径截止阀门
KR20190026315A (ko) 고압가스 저장탱크용 압력제거 기능을 갖춘 안전밸브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KR20090060727A (ko)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CN105020415B (zh) 一种多功能调节截止阀
KR101083501B1 (ko) 밸브용 실란트 주입장치
KR101124915B1 (ko) 수도계량기용 역류방지 밸브
US20110023984A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branching water pipe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supply
KR200244645Y1 (ko) 역류 방지 밸브
KR101674109B1 (ko) 밸브용 디스크 밀림방지 장치
KR20080095558A (ko) 유량조절카트리지
KR200297329Y1 (ko) 급속 공기배출식 에어벤트
KR20200028682A (ko) 유동 유체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KR101316763B1 (ko) 수도 배관 장치
JP2015004161A (ja) ボールタップ及び防波板
KR20190092156A (ko) 측면 실링구조를 갖는 전자식 제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