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63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63A
KR20140051063A KR1020130116365A KR20130116365A KR20140051063A KR 20140051063 A KR20140051063 A KR 20140051063A KR 1020130116365 A KR1020130116365 A KR 1020130116365A KR 20130116365 A KR20130116365 A KR 20130116365A KR 20140051063 A KR20140051063 A KR 2014005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esin
cylinder
injection molding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809B1 (ko
Inventor
유우지 사토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008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3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 B29C45/54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and plasticising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45/661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toggle mechanism for mould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3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498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51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성형재료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한다.
사출성형기는, 실린더(11)와, 실린더(11) 내에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81)와, 실린더(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20)와, 스크루(2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60)를 구비한다. 재료공급장치(81)는, 성형 사이클마다,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성형재료를 실린더(11) 내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출원은, 2012년 10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23310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성형재료(예를 들면 수지펠릿)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와, 실린더 내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를 구비한다. 스크루의 나사홈 내에 공급된 수지는,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보내지고, 실린더로부터의 열 등에 의하여 서서히 용융된다. 용융된 수지가 스크루의 전방으로 보내져, 실린더 전방부에 축적됨에 따라, 스크루가 후퇴된다. 그 후, 스크루가 전진되면, 스크루의 전방에 축적된 용융수지는, 실린더의 전단에 형성되는 노즐로부터 사출되고, 금형장치의 캐비티 공간에 충전된다. 충전된 용융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이 얻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51661호
실린더 내의 성형재료가 열열화되고, 탄화물 등의 이물질이 스크루에 부착되면, 어느 순간 이물질이 탈락되어 성형품에 혼입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성형재료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사출성형기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와,
상기 실린더 내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공급장치는, 성형 사이클마다,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성형재료를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재료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사출성형기에 탑재되는 사출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계량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루의 설정배압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수지의 사출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수지의 사출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사출성형기는,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으로 구성되는 금형장치를 폐쇄하는 형폐쇄공정, 금형장치를 체결하는 형체결공정, 금형장치 내에 용융수지를 유입시키는 충전공정, 유입시킨 수지에 압력을 가하는 보압공정, 보압공정 후에 금형장치 내에서 수지를 고화시키는 냉각공정, 다음의 성형품을 위한 용융수지를 계량하는 계량공정, 금형장치를 개방하는 형개방공정, 및 형개방 후의 금형장치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취출공정을 1사이클로 하고, 성형품을 반복하여 제조한다. 성형 사이클의 단축을 위하여, 계량공정은, 냉각공정 사이에 행해져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사출성형기에 탑재되는 사출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사출성형기는, 형체결장치 및 사출장치(10)를 가진다. 형체결장치는,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고정플래튼, 및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가동플래튼을 구비하고, 가동플래튼을 진퇴시켜, 가동금형을 고정금형에 접촉분리시킴으로써 형폐쇄, 형체결 및 형개방을 행한다. 형체결장치는, 전동모터 및 토글기구를 이용한 토글식, 유체압실린더를 이용한 직압식, 리니어모터 및 전자석을 이용한 전자식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출장치(10)는, 성형재료(예를 들면 수지펠릿)가 공급되는 실린더(11)와, 그 실린더(11)의 전단에 배치된 노즐(12)과, 실린더(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스크루(20)와, 실린더(11)를 가열하는 가열원으로서의 히터(h11~h13)와, 실린더(11)의 후방에 배치된 구동장치(60)를 포함한다.
스크루(20)는, 스크루 본체(21)와, 그 스크루 본체(21)보다 전방에 배치된 사출부(22)로 이루어지고, 후단의 축부(51)를 통하여 구동장치(60)와 연결된다. 스크루 본체(21)는, 플라이트부(23), 및 플라이트부(23)의 전단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압력부재(24)를 구비한다. 플라이트부(23)는, 막대형상의 본체부(23a), 및 그 본체부(23a)의 외주면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나선형상의 플라이트(23b)를 구비하고, 그 플라이트(23b)를 따라 나선형상의 나사홈(26)이 형성된다. 플라이트부(23)의 후단부터 전단에 걸쳐, 나사홈(26)의 깊이는 일정하여도 되고, 스크루 압축비가 일정하여도 된다.
다만, 압력부재(24)를 배치하지 않고, 스크루 본체(21)의 전체에 걸쳐서 플라이트부를 형성하여도 되고, 스크루 본체(21)는 후단부터 전단에 걸쳐, 수지가 공급되는 공급부, 공급된 수지를 압축시키면서 용융시키는 압축부, 용융된 수지를 일정량씩 계량하는 계량부로서 구별되어도 된다. 나사홈의 깊이는, 공급부에서 깊고, 계량부에서 얕으며, 압축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할수록 얕아진다.
사출부(22)는, 선단에 원추형의 부위를 구비한 헤드부(31), 그 헤드부(3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로드부(32), 그 로드부(32)의 주위에 배치된 역류방지링(33), 및 압력부재(24)의 전단에 장착된 씨일 링(체크 링)(34)으로 이루어진다.
계량공정 시에, 스크루(20)의 후퇴에 따라, 로드부(32)에 대하여 역류방지링(33)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씨일 링(34)으로부터 떨어지면, 사출부(2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지가 보내진다. 또, 사출공정 시에, 스크루(20)의 전진에 따라, 역류방지링(33)이 로드부(3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어, 씨일 링(34)에 맞닿게 되면, 수지의 역류가 방지된다.
실린더(11)의 후단의 근방에는, 성형재료 공급구로서의 수지공급구(14)가 형성되고, 그 수지공급구(14)는, 스크루(20)를 실린더(11) 내에 있어서의 전진한계 위치에 둔 상태에 있어서, 나사홈(26)의 후단부와 대향하는 개소에 형성된다. 수지공급구(14)에는, 실린더(11) 내에 수지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81)가 장착된다.
재료공급장치(81)는, 성형재료(예를 들면 수지펠릿)를 수용하는 호퍼(82), 호퍼(8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드실린더(83), 피드실린더(83)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는 통형상의 안내부(84), 피드실린더(83)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피드스크루(85), 및 피드스크루(85)를 회전시키는 피드모터(86) 등을 구비한다. 다만, 피드실린더(83)는, 반드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뻗어 있어도 되며, 출구측이 입구측보다 높아도 된다.
호퍼(82) 내로부터 피드실린더(83) 내에 공급된 수지는, 피드스크루(85)의 회전에 따라 피드스크루(85)의 나사홈을 따라 전진된다. 피드스크루(85)의 전단으로부터 안내부(84) 내로 보내진 수지는, 안내부(84) 내를 낙하하여, 실린더(11) 내에 공급된다. 다만, 피드실린더(83) 내에 공급된 수지는, 도시되지 않은 히터에 의하여 가열(예열)되어도 된다. 이 때, 수지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 예를 들면, 유리전이점 이하의 소정의 온도로 예열되어도 된다.
도 2는, 도 1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동장치(60)는, 실린더(11) 내에서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계량모터(61)를 포함한다. 계량모터(61)는, 서보모터이어도 된다. 계량모터(61)는, 서포트프레임(Fr)에 고정되는 고정자(62), 및 고정자(62)의 내측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회전자(63)를 포함한다. 회전자(63)의 후단에 고정되는 스플라인너트(64)는, 회전부재(65)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즉, 회전부재(65)는, 스플라인너트(64)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또한, 스플라인너트(64)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부재(65)는, 스크루(20)의 축부(51)의 후단에 커플링(52)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체(66)와, 연결체(66)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지지체(67)로 구성된다. 지지체(67)의 외주에는, 스플라인너트(64)와 결합하기 위한 스플라인홈(68)이 형성된다. 계량모터(61)의 회전은, 회전부재(65)를 통하여, 축부(51)에 전달되어, 스크루(20)가 회전된다. 그렇게 하면, 플라이트부(23)의 플라이트(23b)가 움직여, 플라이트부(23)의 나사홈(26) 내에 공급된 수지가 전방으로 보내진다.
구동장치(60)는, 실린더(11) 내에서 스크루(2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사출모터(71)를 포함한다. 사출모터(71)는 서보모터이어도 된다. 사출모터(71)는 도시되지 않은 통형상의 출력축을 가지고, 그 출력축에 볼나사축(72)이 스플라인 결합된다. 즉, 볼나사축(72)은, 사출모터(71)의 출력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또한, 사출모터(71)의 출력축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볼나사축(72)과 나사결합되는 볼나사너트(73)는, 로드셀(74)을 통하여 서포트프레임(Fr)에 고정된다. 로드셀(74)은, 서포트프레임(Fr)과 사출모터(7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루(20)의 배압(스크루(20)를 전방으로 누르는 압력)을 검출한다. 볼나사축(72)의 전단으로부터 동축적으로 뻗는 샤프트(75)는, 베어링(Br1, Br2)을 통하여 회전부재(6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진퇴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출모터(71)를 구동하면, 볼나사축(72)이 회전하면서 진퇴되어, 회전부재(65) 및 스크루(20)가 진퇴된다. 충전공정에서 스크루(20)가 진퇴될 때, 스크루(2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계량모터(61)를 구동하여 회전부재(65)의 회전을 멈추어도 된다. 다만, 계량모터(61)는 브레이크를 장착한 모터이어도 되고, 충전공정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제동력으로 회전부재(65)의 회전을 멈추어도 된다.
다만, 구동장치(60)는, 실린더(11) 내에서 스크루(20)를 회전시키거나 진퇴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그 구성은 도 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출성형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성형기의 동작(예를 들면 사출장치(10)의 동작이나 재료공급장치(81)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된다. 컨트롤러는, CPU,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메모리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로 실행시킴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계량공정에서는, 계량모터(61)를 구동하고, 스크루(20)를 회전시킨다. 스크루(20)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가 되도록 계량모터(61)에 전류가 공급된다. 스크루(20)의 설정 회전수는, 일정하여도 되고, 스크루(20)의 위치나 계량 개시 시부터의 경과시간 등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스크루(20)의 회전 개시와 동시에, 즉, 계량공정의 개시와 동시에, 피드모터(86)를 구동하여, 피드스크루(85)를 회전시켜도 된다. 즉, 계량공정의 개시와 동시에, 재료공급장치(81)가 재료의 공급을 개시하여도 된다.
실린더(11) 내에 공급된 수지는, 스크루(20)의 회전에 따라 스크루(20)의 나사홈(26)을 따라 전진됨과 함께, 히터(h11~h13)에 의하여 가열되어, 용융된다. 또, 수지는, 스크루 본체(21)에 있어서의 수지의 압력상승 개시 위치로부터 스크루 본체(21)의 전단에 걸쳐, 점차 가압된다. 압력상승 개시 위치는, 압력부재(24)로부터 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고, 스크루(20)의 회전수 등에 따라 변위한다. 압력부재(24)로부터 소정범위 내의 거리에 압력상승 개시 위치가 있으면, 수지의 용융상태가 안정화되어, 성형품의 중량이 안정화된다.
스크루(20)의 나사홈(26)을 따라 전진된 수지는, 압력부재(24)와 실린더(11)와의 사이의 수지 유로를 통과하고, 그 사이에 혼련된 후, 실린더(11)와 로드부(32)와의 사이의 수지 유로를 통과하여 전진되고, 스크루(20)의 전방으로 보내져, 실린더 전방부에 축적된다. 스크루(20)의 전방에 용융수지가 축적됨에 따라, 스크루(20)는 후퇴한다.
계량공정에서는, 사출모터(71)를 구동하여, 스크루(20)에 배압을 가하여, 스크루(20)의 급격한 후퇴를 억제한다. 이로써, 수지의 혼련성이 향상되고, 또, 수지중의 가스가 후방으로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스크루(20)의 배압이 설정배압이 되도록, 사출모터(71)에 전류가 공급된다.
스크루(20)를 후퇴시키는 동안, 컨트롤러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센서로 스크루(20)의 위치를 감시한다. 스크루(20)가 계량완료 위치까지 후퇴하여, 스크루(20)의 전방에 소정량의 수지가 축적되면, 계량모터(61)의 구동이 정지되어, 스크루(20)의 회전이 정지되고, 계량공정이 완료된다.
충전공정에서는, 사출모터(71)를 구동하고, 스크루(20)를 전진시켜, 형체결상태의 금형장치 내의 캐비티 공간에 수지를 밀어 넣는다. 스크루(20)가 수지를 전방으로 누르는 압력(수지의 충전압)은, 로드셀(74)에 의하여 반력으로서 검출된다. 캐비티 공간에 충전된 수지는 냉각에 의하여 수축되기 때문에, 수축분의 수지를 보충하기 위하여, 보압공정에서는, 수지의 충전압이 설정압이 되도록, 컨트롤러가 사출모터(71)를 제어한다.
그런데, 실린더(11) 내의 수지가 열열화되어, 탄화물 등의 이물질이 스크루(20)에 부착되면, 어느 순간 이물질이 탈락되어 성형품에 혼입된다. 수지가 실린더(11)에 공급된 후 배출될 때까지의 평균시간(이하, "수지의 실린더 체류시간"이라고 한다)이 짧아질수록, 수지가 실린더(11) 내에서 열열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재료공급장치(81)는, 성형 사이클마다,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를 실린더(11) 내에 공급한다. 1쇼트분의 수지는, 1회의 성형에 사용되는 수지이다. 수지는, 금형장치에 형성되는 스프루나 러너를 거쳐, 캐비티 공간에 충전된다. 금형장치가 콜드러너 금형인 경우, 캐비티 공간에 충전되는 수지뿐만 아니라, 스프루나 러너에 충전된 수지도 고화되어, 형개방 후에 금형장치로부터 취출된다. 이로 인하여, 콜드러너 금형의 경우, 1쇼트분의 수지는, 1회의 성형에서 금형장치 내에 충전되는 수지이다. 한편, 금형장치가 스프루나 러너를 가열하는 핫러너 금형인 경우, 캐비티 공간에 충전된 수지만 고화되어, 성형품으로서 취출된다. 이로 인하여, 핫러너 금형의 경우, 1쇼트분의 수지는, 1회의 성형에서 캐비티 공간에 충전되는 수지이다.
재료공급장치(81)는, 성형 사이클마다,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를 실린더(11)내에 공급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소정의 회전수로 피드스크루(85)를 회전시킨다. 성형 사이클마다,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가 실린더(11)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수지의 실린더 체류시간이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화되므로, 수지의 실린더(11) 내에서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재료공급장치(81)가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의 공급을 완료한 후, 구동장치(60)가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을 완료하여도 된다. 수지의 공급완료 후, 잠시 동안, 스크루(20)가 회전되고, 나사홈(26) 내의 수지가 전진되어, 스크루(20)의 전방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계량공정의 완료 시에, 나사홈(26) 내에 남는 수지량이 적어, 수지가 나사홈(26) 내에 공급된 후 나사홈(26)의 전방으로 배출될 때까지의 평균시간(이하, "수지의 플라이트 체류시간"이라고 한다)을 단축할 수 있어, 수지의 실린더 체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만, 계량공정의 완료 시에 나사홈(26) 내에 남는 수지의 대부분은, 다음의 계량공정에서 스크루(20)의 전방으로 보내져도 된다.
구동장치(60)는,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을, 스크루(20)의 후퇴속도가 감속되어 스크루(20)가 후퇴되지 않게 될 때까지 행하여도 된다. 스크루(20)가 후퇴하지 않게 될 때까지 스크루(20)가 회전되므로, 계량공정 완료 시에 나사홈(26) 내에 수지가 거의 남지 않아, 수지의 플라이트 체류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재료공급장치(81)가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의 공급을 완료한 후, 구동장치(60)가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을 완료하는 경우, 계량공정의 후반에서는 계량공정의 전반에 비하여, 나사홈(26) 내에 존재하는 수지의 양이 적어진다. 이로 인하여, 스크루(20)의 전방으로 수지를 보내는 속도가 느려져, 스크루(20)의 후퇴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스크루(20)의 후퇴속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계량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스크루(20)의 설정 회전수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높아져도 된다. 스크루(20)의 설정 회전수는,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높아져도 된다.
다만, 스크루(20)의 설정 회전수는, 계량공정의 처음부터 높게 설정되어도 되고, 일정하여도 된다. 스크루(20)의 설정 회전수가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계량시간을 단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린더(11) 내에 있어서의 수지의 전진속도가 빠르고, 실린더(11) 내에 있어서의 수지의 용융 개시점이 전방측(노즐(12)측)이 되며, 수지의 용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수지가 열열화되기 어렵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계량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루의 설정배압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스크루(20)의 후퇴 개시 시각(t2) 이후의 스크루 위치의 시간변화를 함께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시각(t1)에서 스크루(20)가 회전 개시되어, 계량공정이 개시된다. 계량공정의 개시와 함께, 수지가 나사홈(26)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전방으로 보내지기 시작하여, 계량공정의 개시 전(보압공정 후)에 실린더(11)의 전단부나 노즐(12) 등에 남는 수지와 합쳐진다. 그렇게 하면 스크루(20)의 전방에 축적되는 수지의 압력으로, 스크루(20)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새로운 수지와, 이전의 수지가 합쳐지는 부분에서의 기포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계량공정의 개시 시각(t1)으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이 높게 설정되어도 된다. 그 후,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은, 스크루(20)의 후퇴를 허용하기 위하여, 낮게 변경되어도 된다.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은, 스크루(20)의 후퇴 개시 후(시각(t2) 이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낮아져도 된다.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이 완만하게 낮아지므로, 스크루(20)가 갑자기 후퇴하지 않아, 스크루(20)의 전방에 축적되는 수지의 밀도 편차가 적고, 또, 수지 중의 가스가 후방으로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낮아져도 되고, 단계적으로 낮아져도 된다.
도 3에서는, 계량공정의 완료 시에 나사홈(26) 내에 수지가 거의 남지 않도록, 스크루(20)가 후퇴하지 않게 되는 시각(t3)까지,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이 행하여진다.
계량공정에 있어서의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은, 사용자가 설정하여도 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컨트롤러가 보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계량공정 완료 시의 스크루(20)의 설정배압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컨트롤러가 계량공정 개시부터 계량공정 완료까지의 스크루의 설정배압을 자동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이상, 사출성형기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재료공급장치는, 피드스크루를 포함하지만, 진공 로더를 포함하여도 되고,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사출장치는, 스크루·인라인방식의 것이지만, 스크루·프리플라스티시제이션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스크루·프리플라스티시제이션 방식에서는, 가소화 실린더 내에서 용융된 수지를 사출실린더에 공급하고, 사출실린더로부터 금형장치 내에 용융수지를 사출한다. 스크루·프리플라스티시제이션 방식에서는, 가소화 실린더 내에 스크루가 배치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루(20)의 회전 개시와 동시에, 즉, 계량공정의 개시와 동시에, 재료공급장치(81)가 수지의 공급을 개시하고, 계량공정의 도중에 수지의 공급이 완료되지만, 계량공정의 개시 전에 수지의 공급이 완료되어도 된다. 즉, 재료공급장치(81)가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의 공급을 완료한 후, 구동장치(60)가 스크루(20)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을 개시하여도 된다. 계량공정의 개시 전에 수지의 공급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스크루(20)가 후퇴하지 않게 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이 짧아, 계량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성형 사이클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공급장치(81)는, 수지의 실린더 체류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계량공정의 직전(예를 들면 보압공정, 충전공정 등)에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수지를 실린더(11) 내에 공급하여도 된다.
10 사출장치
11 실린더
20 스크루
21 스크루 본체
22 사출부
23 플라이트부
24 압력 부재
26 나사홈
60 구동장치
61 계량 모터
71 사출 모터
74 로드셀
81 재료공급장치

Claims (3)

  1.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와,
    상기 실린더 내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공급장치는, 성형 사이클마다,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성형재료를 상기 실린더 내에 공급하는, 사출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장치가 1쇼트분과 동일 양의 성형재료의 공급을 완료한 후,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을 완료하는, 사출성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계량공정을, 상기 스크루의 후퇴속도가 감속되어 상기 스크루가 후퇴하지 않게 될 때까지 행하는, 사출성형기.
KR1020130116365A 2012-10-22 2013-09-30 사출성형기 KR101506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3107A JP6026220B2 (ja) 2012-10-22 2012-10-22 射出成形機
JPJP-P-2012-233107 201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63A true KR20140051063A (ko) 2014-04-30
KR101506809B1 KR101506809B1 (ko) 2015-03-27

Family

ID=5056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365A KR101506809B1 (ko) 2012-10-22 2013-09-30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6220B2 (ko)
KR (1) KR101506809B1 (ko)
CN (1) CN103770274B (ko)
TW (1) TWI583527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5869A (en) * 1977-05-26 1978-12-19 Kobe Steel Ltd Operation of vented in-line screw type injection machine
JPH0725110B2 (ja) * 1989-02-28 1995-03-22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可塑物の射出成形方法
JP3292629B2 (ja) * 1995-07-04 2002-06-17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計量制御装置
JP3536125B2 (ja) * 2000-03-21 2004-06-07 株式会社ニイガタマシンテクノ 電動式射出成形機の自動パージ方法および自動パージ装置
JP4139746B2 (ja) * 2003-07-30 2008-08-27 株式会社松井製作所 合成樹脂成形機用樹脂原料の供給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WO2005037519A1 (ja) * 2003-10-16 2005-04-2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電動射出成形機及びそれによる成形方法
JP2006192784A (ja) 2005-01-14 2006-07-27 Miyoko Ichikawa マイクロ成形機用特殊射出ユニット
JP5207799B2 (ja) * 2008-03-31 2013-06-12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インラインスクリュー式射出成形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10100596A (ko) * 2010-03-04 2011-09-1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사출 성형 방법
JP5565699B2 (ja) * 2010-10-04 2014-08-06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電動式射出装置のパー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3730A (ja) 2014-05-12
CN103770274B (zh) 2017-04-12
TW201416216A (zh) 2014-05-01
JP6026220B2 (ja) 2016-11-16
TWI583527B (zh) 2017-05-21
KR101506809B1 (ko) 2015-03-27
CN103770274A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498B2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device
JP5913062B2 (ja) 射出成形機、射出成形システム、および原料計量装置
KR101534926B1 (ko) 사출성형기
KR102269352B1 (ko) 사출성형기
TW201343364A (zh) 射出成形機
CN106626220A (zh) 一种注塑装置
JP2009234063A (ja) 射出成形機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KR101506809B1 (ko) 사출성형기
JP5924588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KR101273164B1 (ko) 사출성형기의 스크류 제어 방법
JP5908384B2 (ja) 射出成形機の管理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JP6054215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機の設定支援装置
CN106985332B (zh) 注射成型机
CN106626320A (zh) 一种热熔装置
CN114953383A (zh) 注射成型机
JP6177586B2 (ja) 射出成形機
JP4736500B2 (ja) プリプラ式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9006526A (ja) プリプラ式射出成形装置
CN106626242A (zh) 一次性塑胶成型模具
CN106626271A (zh) 一种注塑成型模具
JP2004291356A (ja) 連続可塑化式射出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