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551A -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0551A KR20140050551A KR1020130123107A KR20130123107A KR20140050551A KR 20140050551 A KR20140050551 A KR 20140050551A KR 1020130123107 A KR1020130123107 A KR 1020130123107A KR 20130123107 A KR20130123107 A KR 20130123107A KR 20140050551 A KR20140050551 A KR 20140050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re
- meth
- film
- resin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to protect an active side of a device or waf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12—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 H01L2224/02122—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being formed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02163—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being formed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on the bonding area
- H01L2224/022—Protective coating, i.e. protective bond-through coating
- H01L2224/02215—Material of the protective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헤이즈와 선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여, 고정밀 표시 장치에 배치해도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번쩍임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 흐려짐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방현층의 표면에,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합계 길이가 100㎛ 이상인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한다.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1㎟당 1 이상 존재하고 있다.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공연속상 구조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은 1 내지 70㎛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0.5mm 폭의 광학빗을 사용한 사상성 측정기로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 70 내지 100%, 헤이즈 10 내지 40%, 전체 광선 투과율 70 내지 100%를 가질 수도 있다.
방현층의 표면에,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합계 길이가 100㎛ 이상인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한다.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1㎟당 1 이상 존재하고 있다.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공연속상 구조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은 1 내지 70㎛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0.5mm 폭의 광학빗을 사용한 사상성 측정기로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 70 내지 100%, 헤이즈 10 내지 40%, 전체 광선 투과율 70 내지 100%를 가질 수도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서의 번쩍임이나 외부광원의 투영을 방지하는 데 적합한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면에서의 외경의 투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 또는 경화성 수지의 혼합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정반사를 방지하여 방현성을 발현시키고 있다. 그러나, 화소 크기가 미세한 고정밀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표면 요철 크기에서는 화면의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 등의 화상 품위 저하를 초래한다. 즉, 고정밀 표시 장치의 경우, 종래의 표면 요철 크기는, 고정밀 표시의 화소 크기와 오더적으로 가까워, 표면 요철에 의한 렌즈 효과에 의해 번쩍임이 발생한다. 또한, 코트층 내부 및 표면 구조에 있어서 미립자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투과 산란광의 분포는 직진 투과광을 중심으로 가우스 분포를 이루고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미립자 크기에서는, 직진 투과광 부근의 산란이 증가되어, 화소의 윤곽이 애매해져 문자 흐려짐이 발생한다. 또한, 투과 산란광의 강도 분포는, 첨가하는 미립자 크기에 의존하여, 보다 작은 미립자에서는 직진 투과광 주위의 산란이 감소되어 번쩍임이 저감하고, 보다 큰 미립자에서는 직진 투과광 부근의 산란이 증가되어 번쩍임이 발생한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첨가하는 미립자의 크기를 미세하게 하거나, 입경 분포가 샤프한 미립자 등을 사용하거나 하여, 표면의 요철 형상을 제어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립자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이 작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방현성과의 양립이 곤란해짐과 함께, 비용면에서도 불리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15307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평균 입경 15㎛ 이하의 투명 미립자를, 상기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두께의 피막 중에 함유하는 안티글레어층이며, 상기 피막 중, 공기와 접촉하는 편측에 상기 투명 미립자가 편재되어 표면 미세한 요철 구조를 형성한 안티글레어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편광판 또는 타원 편광판의 적어도 편측에 구비한 광학 부재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안티글레어층에서는, 입자 크기에 따라 투과 산란광의 강도 분포를 컨트롤하기 때문에, 표시면에서의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238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방현성 및 고콘트라스트를 실현할 수 있는 표면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 필름으로서, 투광성 기체 상에 방현층이 적층된 방현 필름이며, 상기 방현층이 수평 방향의 그물코의 치수가 10 내지 150㎛인 공연속체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방현층이 적어도 제1 상과 제2 상을 갖고 있는 방현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제막 시에 방현층 중에서 무기 성분을 응집시켜 공연속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문헌에 있어서의 「공연속체 구조」란, 종래의 방현층과 비교하여, 표면 요철 형상의 볼록 부분의 경사가 작고 완만한 구조라고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의 공연속체 구조는, 무기 성분의 응집에 수반하는 대류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대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물코의 치수와 그물의 굵기(폭)에 균일성을 갖게 할 수 없다. 따라서, 번쩍임을 저감시키는 작은 크기의 요철과 오더적으로 번쩍임을 강조하는 큰 크기의 요철은 공존 하게 되어, 본질적으로 번쩍임의 저감과 방현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그물코의 치수가 작은 경우는 번쩍임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충분한 방현성을 발휘시킬 수 없다. 한편, 그물코의 치수가 큰 경우는 표면 요철 크기가 화소 크기와 오더적으로 가까워지기 때문에, 번쩍임을 저감시킬 수 없다.
한편, 비상용의 수지 성분의 스피노달 분해를 이용하여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고, 일본 특허 제4377578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있으며, 입사광을 등방적으로 투과하여 산란하고, 적어도 1개의 중합체와 적어도 1개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분리 구조를 갖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적어도 1개의 중합체와 적어도 1개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당한 조건에서 스피노달 분해시키고, 그 후 상기 전구체를 경화시키면, 상간 거리에 규칙성을 갖는 상분리 구조 및 그의 상 구조에 대응한 표면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 이러한 규칙성을 갖는 상분리 구조를 갖는 방현층을 고정밀 표시 장치(구체적으로는, 150ppi의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장착하면, 표시면의 번쩍임과 문자 흐려짐을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이 문헌에는, 상분리의 진행에 수반하여 공연속 구조를 형성하고, 상분리가 더 진행되면, 액적상 구조가 형성되는 점, 표면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또한 표면 경도를 높이는 점에서는, 적어도 섬상 도메인을 갖는 액적상 구조가 유리하며, 섬상 도메인의 형성에 의해, 건조 후에는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문헌에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한 상분리를 유기시키기 위한 건조 온도로서는, 용매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어, 30 내지 20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4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에서는 60℃ 또는 80℃에서 건조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25195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내지 1000000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중량 분자량 1000 내지 100000이며 또한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경화물에 의해 구성된 방현성 막이며, 표면에 있어서 평균 폭 0.1 내지 30㎛의 끈 형상의 볼록부가 랜덤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끈 형상의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전체 표면에 대하여 50% 이하인 방현성 막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도, 적어도 섬상 도메인을 갖는 액적상 구조가 유리하고, 섬상 도메인의 형성에 의해, 건조 후에는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문헌에는, 대류 및 상분리를 유기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 상온 또는 실온에서 방치한 후에, 용매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어, 30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정도의 범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에서는 10초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60℃ 또는 70℃, 풍속 3m/분의 방폭 오븐 내에서 건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 및 4의 방현 필름에서는, 150ppi의 해상도보다 높은 고정밀 표시 장치(예를 들어, 200ppi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에서는, 방현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번쩍임을 저감시킬 수 없다. 특히, 일반적으로 표시면과 방현층의 거리가 커질수록 번쩍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표시 장치의 보호 또는 프로텍트 필름(구입 후에 사용자가 표시면에 부착하는 필름)에서는, 점착층의 개재 등에 의해, 표시면과의 거리가 커서, 번쩍임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고정밀 표시 장치 중에서도 유기 EL 패널은 화소의 발광 강도가 높기 때문에 번쩍임이 발생하기 쉬워, 방현성이나 문자 흐려짐의 억제의 양립이 곤란하여, 특허문헌 3 및 4의 방현 필름으로는 양립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이즈와 선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여, 고정밀 표시 장치(예를 들어, 200ppi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에 배치해도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번쩍임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 흐려짐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 EL 패널(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고정밀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해도 방현성과 내번쩍임성을 양립할 수 있고, 내찰상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비상용의 수지 성분의 스피노달 분해를 이용한 종래의 방현 필름이 고정밀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방현성과 내번쩍임성을 양립할 수 없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검토했다. 종래의 상분리에 의한 요철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액적상의 구조가 비교적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이었다. 상분리는 코트액에 균일하게 용해됨으로써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있는 수지의 혼합물이 용제의 증발에 수반하여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되고, 스피노달 분해를 일으킴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다. 계 전체가 동시에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되고, 도막면 내에서 균질한 상분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비교적 주기적이고 또한 균일한 크기의 표면 요철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200ppi 이상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화소 크기에 대하여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로 표면 요철 형상의 크기를 작게 하면, 방현성이 저하되고, 외광이 표시면에 투영되어 화질이 손상되어 버린다. 한편, 방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볼록 형상의 경사각을 크게 하면, 헤이즈가 상승되어, 문자 흐려짐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번쩍임은 요철 구조의 크기가 오더적으로 화소 크기에 가까운 경우에 렌즈 효과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추측이지만, 요철 형상이 화소에 걸쳐져 존재하는 경우, 각 화소의 투과광이 요철 형상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굴절되어, 본래 RGB의 혼색으로서 평가자의 눈에 도달해야 할 색이나 밝기가 요철 구조의 피치나 경사에 따라 랜덤하게 변동되어 느껴지는 현상을 번쩍임으로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철 구조가 화소보다 충분히 작은 경우 화소에 걸쳐진 요철은 존재하기는 하지만, 비율이 적고 또한 굴절도 작기 때문에, 번쩍임은 느끼기 어렵다. 한편, 요철 구조가 화소보다 충분히 큰 경우는, 요철 형상의 경사가 크면, 투과광이 크게 굴절되어 렌즈 효과를 발생하지만, 경사가 작아질수록 투과광의 굴절도 적어 번쩍임은 느끼기 어려워진다. 극단적인 케이스를 생각하면 알기 쉽지만, 경사각이 한없이 제로에 접근하면, 그것은 거의 평면으로 되어 번쩍임이 해소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방현 필름에서는, 액적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번쩍임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밝혀내어, 공연속상 구조(공연속 구조 또는 공연속상 상분리 구조)에 주목했다. 즉, 공연속상 구조를 포함하는 상분리 구조에 있어서, 화소 크기에 따라 조정은 필요하나,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는 볼록부의 폭을 화소보다 충분히 작은 폭으로 조정함으로써, 폭 방향은 번쩍임을 발생시키는 인자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한편, 볼록부의 길이(지속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경사는 단부 이외에는 원리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역시 번쩍임은 발생하기 어렵다. 특히, 공연속상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액적상 구조에서도, 섬상 도메인의 길이가 큰 경우는 단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욱 번쩍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폭 방향의 크기는 작기는 하지만, 공연속상 구조나 길이가 큰 섬상 도메인부는 막면 방향으로 크게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방현성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공연속상 구조는, 경사부가 본질적으로 적은 구조이기 때문에, 광을 산란시키는 인자가 적어, 폭 방향과 동일 정도의 크기를 갖는 액적상의 표면 요철 구조에 비교하면, 헤이즈가 낮기 때문에 문자 흐려짐을 일으키기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방현층의 표면에,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합계 길이가 100㎛ 이상인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밀하게 형성함으로써, 헤이즈와 선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여, 고정밀 표시 장치(예를 들어, 200ppi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에 배치해도,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번쩍임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 흐려짐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형성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표면에 갖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이며,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합계 길이가 100㎛ 이상임과 함께,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1㎟당 1 이상 존재한다.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공연속상 구조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이 1 내지 70㎛일 수도 있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있어서,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와 다른 볼록부의 길이비가, 전자/후자=100/0 내지 50/50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0.5mm 폭의 광학빗을 사용한 사상성 측정기로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 70 내지 100%, 헤이즈 10 내지 40%, 전체 광선 투과율 70 내지 100%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지 성분은,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지방족 유기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방향족 유기산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중합체와,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적어도 2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합체 중 적어도 2개의 성분이 액상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경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JIS Z8803에 준거한 점도(25℃)가 3000mPa·s 이하인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200ppi의 해상도를 갖는 표시 장치에 배치했을 때, 방현층이 표시면으로부터 0.05mm 이상의 거리를 갖고 있어도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일 수도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필름을 더 포함하고, 이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방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방현 필름에 있어서, 투명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표시 장치(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배치되는 보호 또는 프로텍트 필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는, 복수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용매의 증발에 수반하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현 필름의 제조 방법도 포함된다.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메트)아크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은, 각각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현층의 표면에,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합계 길이가 100㎛ 이상인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밀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헤이즈와 선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여, 고정밀 표시 장치(예를 들어, 200ppi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에 배치해도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번쩍임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 흐려짐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 등의 고정밀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해도 방현성과 내번쩍임성을 양립할 수 있고, 내찰상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유기 EL 패널 등의 고정밀 표시 장치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해도 상기 특성을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비상용의 수지 성분의 스피노달 분해를 이용한 종래의 방현 필름(비교예 2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의 레이저 반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의 레이저 반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의 레이저 반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의 레이저 반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의 레이저 반사 현미경 사진이다.
[방현층]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을 포함하고, 이 방현층은,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형성된 길고 가는 형상(또는 장척상) 볼록부를 표면에 갖고 있으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에 의해 형성된 표면 요철 구조에 의해 방현성을 발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100㎛ 이상의 합계 길이를 가짐과 함께, 방현층의 표면에서 밀한 상태에서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헤이즈와 선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여, 고정밀 표시 장치에 배치해도 방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번쩍임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 흐려짐도 억제할 수 있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형성되고, 방현층의 표면에 있어서, 길고 가는 형상(끈 형상 또는 선상) 볼록부가 대략 그물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방현층의 표면은, 이차원 네트워크적으로 그물코상 구조(마치 머스크멜론 껍질의 그물코상 모양), 즉 불규칙한 복수의 루프상(예를 들어, 연속된 루프상, 또는 일부가 결락된 루프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처럼 관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방현층은, 그 표면에 있어서,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100㎛ 이상(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의 합계 길이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1㎟당 1 이상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복수 가질 수도 있지만, 방현층의 전체면이 공연속상 구조인 경우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길이는 무한 길이로 되어, 어느 영역에서 측정해도 존재하는 수는 1로 된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합계 길이」란, 연속하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에 있어서, 분지된 각 가지의 길이를 합계한 전체 길이를 의미한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분지 구조는, 적어도 1개의 분지가 있으면 되지만,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그물코상으로 분지되어, 공연속상 구조(공연속 구조 또는 공연속상 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공연속상 구조」란, 제조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탕이 되는 액적상의 볼록 구조가 상분리의 과정에서 연결됨으로써 형성된 연속 구조(또는 그물코상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모든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공연속상 구조일 필요는 없고, 바탕이 되는 액적상의 볼록 구조(즉, 분지를 갖지 않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나, 대략 원상 볼록부나 타원상 볼록부 등의 길고 가는 형상이 아닌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가짐으로써, 액적상 구조(또는 해도 구조)의 섬상 볼록부에 비하여, 단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되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공연속상 구조에서는, 단부의 경사도 작은 구조이기 때문에,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있어서,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와 다른 볼록부(바탕이 되는 액적상의 볼록부)의 길이비는, 예를 들어 전자/후자=100/0 내지 10/9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0 내지 30/70(예를 들어, 99/1 내지 30/7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50(예를 들어, 95/5 내지 5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70/30(특히 100/0 내지 90/10) 정도이며, 대략 100%(예를 들어, 면 전체가 공연속상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는 볼록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볼록부의 전체 길이(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길이와 다른 볼록부의 길이의 합계)에 대하여 50%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90%)이다. 길이비가 작고,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액적상 구조의 비율이 많아지기 때문에, 방현성을 향상시키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에 의해 형성된 공연속상 구조는, 통상적으로 동일 정도의 직경을 갖는 그물코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공연속상 구조의 각 그물코의 평균 직경(공연속상 구조의 각 그물코가 타원상이나 직사각 형상 등의 이방 형상인 경우,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의 평균값)은, 예를 들어 1 내지 70㎛(예를 들어,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예를 들어, 3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특히 10 내지 20㎛) 정도일 수도 있다. 그물코의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고, 지나치게 작으면, 방현성이 저하되기 쉽다.
각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형상(방현층 표면의 이차원상)은, 통상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곡선부를 갖는 끈 형상(선상 또는 섬유상)이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평균 폭은 0.1 내지 30㎛이며, 표시 장치의 화소에 따라 상기 범위로부터 선택하여 번쩍임을 억제 가능한 작은 폭으로 조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특히 0.1 내지 5㎛) 정도이다. 폭이 지나치게 크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고, 지나치게 작으면, 방현성이 저하된다. 또한, 액적상 볼록부는 연결될 때에 계면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표면 형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액적상 볼록부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연속상 구조의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폭은 바탕이 되는 액적상 볼록부의 크기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평균 높이는, 예를 들어 0.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 내지 3㎛(특히 0.1 내지 2㎛) 정도이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경사각은, 예를 들어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정도이다. 볼록부의 높이가 높고, 경사가 커지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다.
방현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체 볼록부의 면적 비율은, 전체 표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 내지 99.9%(예를 들어, 30 내지 99.8%),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5%(예를 들어, 80 내지 99%),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특히 95 내지 98%) 정도이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간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방현성이 저하되기 쉽고, 지나치게 크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크기 또는 형상(분지의 유무 등), 면적은, 현미경 사진에서 관찰되는 이차원적인 형상에 기초하여 측정 또는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평균값은 임의의 10개소 이상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또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와 다른 볼록부의 길이비는, 1㎟의 영역에서 각 길이를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또는 공연속상 구조)는, 액적상 구조가 연결되어 연속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각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형상은, 볼록부의 정점이 연결된 산등성이 형상(능선상)의 부분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길이는, 상기 능선 부분의 길이로서 측정할 수 있고, 공연속상 구조의 그물코 직경은, 상기 능선 부분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경사각은, JIS 규격에 준거한 표면 조도계(예를 들어, (주)도요 세미쯔제 「서프콤」)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지 성분)
방현층은 상분리 가능한 복수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방현층의 상분리 구조는, 액상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습식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지 성분으로서는, 상분리 가능한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지만, 전술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내찰상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중합체 성분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성분)
중합체 성분으로서는,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유기산 비닐에스테르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올레핀계 수지(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함),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2,6-크실레놀의 중합체 등),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셀룰로오스카르바메이트류, 셀룰로오스에테르류 등), 실리콘 수지(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의 디엔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에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폴리스티렌,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등), 스티렌계 단량체와 다른 중합성 단량체[(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디엔류 등]의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 수지), 스티렌과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스티렌계 수지에는, 폴리스티렌, 스티렌과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과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AS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에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C1 - 10알킬;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에는,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 무수 말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C1- 6알킬, 특히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 정도)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유기산 비닐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프로피온산비닐 등),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계 수지의 유도체에는,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이 포함된다.
비닐에테르계 수지로서는,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프로필에테르, 비닐t-부틸에테르 등의 비닐C1 - 10알킬에테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비닐C1 - 10알킬에테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비닐알킬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를 들 수 있다.
할로겐 함유 수지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환상 올레핀(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예를 들어, 입체적으로 강직한 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등), 상기 환상 올레핀과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에틸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프로필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어 상품명 「아톤(ARTON)」, 상품명 「제오넥스(ZEONEX)」등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에는,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등)를 베이스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는, 테레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C2- 4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C2 - 4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호모 폴리에스테르, C2 - 4알킬렌아릴레이트 단위(C2 - 4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C2 - 4알킬렌나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예를 들어, 50중량% 이상)으로서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 등]를 예시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C2 - 4알킬렌아릴레이트의 구성 단위 중, C2 - 4알킬렌글리콜의 일부를, 폴리옥시C2 - 4알킬렌글리콜, C6 - 10알킬렌글리콜, 지환식 디올(시클로헥산디메탄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등), 방향환을 갖는 디올(플루오레논 측쇄를 갖는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알킬렌옥시드 부가체 등) 등으로 치환한 코폴리에스테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일부를,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비대칭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등의 지방족 C6 -12 디카르복실산 등으로 치환한 코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는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아디프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ε-카프로락톤 등의 락톤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통상 비결정성 코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C2 - 4알킬렌아릴레이트계 코폴리에스테르 등) 등과 같이 비결정성이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나일론 46,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디카르복실산(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등)과 디아민(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릴렌디아민)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에는, ε-카프로락탐 등의 락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호모 폴리아미드에 한하지 않고 코폴리아미드일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 유기산에스테르(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C1 - 6유기산에스테르 등), 방향족 유기산에스테르(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벤조에이트 등의 C7 -12 방향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무기산 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인산셀룰로오스, 황산셀룰로오스 등)를 예시할 수 있고, 아세트산·질산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의 혼합산 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에는, 셀룰로오스카르바메이트류(예를 들어, 셀룰로오스페닐카르바메이트 등), 셀룰로오스에테르류(예를 들어,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C2 - 4알킬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C1 - 6알킬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염, 벤질셀룰로오스, 아세틸알킬셀룰로오스 등)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로서는, 통상적으로 비결정성이며,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중합체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성형성 또는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성분으로서는,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또는 경화성 화합물과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합체는, 관능기를 주쇄에 갖고 있을 수도 있고, 측쇄에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관능기는, 공중합이나 공축합 등에 의해 주쇄에 도입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측쇄에 도입된다. 이러한 관능기로서는, 축합성기나 반응성기(예를 들어, 히드록실기, 산 무수물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 중합성기(예를 들어, 비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기, 부테닐, 알릴 등의 C2 - 6알케닐기,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등의 C2 - 6알키닐기, 비닐리덴 등의 C2 - 6알케닐리덴기, 또는 이들의 중합성기를 갖는 기((메트)아크릴로일기 등)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 중, 중합성기가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를 측쇄에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응성기나 축합성 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관능기의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 히드록실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 아미노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 에폭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나 올레핀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상기 관능기를 공중합이나 그래프트 중합으로 도입한 수지일 수도 있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에폭시기나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카르복실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나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나 아미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 중, 에폭시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시클로C5 - 8알케닐(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C1 - 4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C2 - 6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C1 - 4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아민 등의 C3 - 6알케닐아민, 4-아미노스티렌, 디아미노스티렌 등의 아미노스티렌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나 비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이나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산 무수물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특히 (메트)아크릴계 수지((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와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에폭시시클로알케닐(메트)아크릴레이트나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카르복실기 일부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한 중합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 일부에, 3,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아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를 반응시키고, 측쇄에 광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특히 중합성기)의 도입량은, 열가소성 수지 1kg에 대하여, 0.001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3몰 정도이다.
이들 중합체는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중합체는 복수의 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중합체는, 액상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중합체는, 서로 비상용일 수도 있다. 복수의 중합체를 조합하는 경우, 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조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공 온도 부근에서 서로 비상용의 복수의 중합체, 예를 들어 서로 비상용의 2개의 중합체로서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지가 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인 경우, 제2 수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메트)아크릴계 수지(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상기 폴리C2 - 4알킬렌아릴레이트계 코폴리에스테르 등)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중합체가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인 경우, 제2 중합체는, 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상기 폴리C2 - 4알킬렌아릴레이트계 코폴리에스테르 등) 등일 수도 있다. 복수의 수지의 조합에 있어서, 적어도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C2 - 4알킬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생성된 상분리 구조는, 활성 광선(자외선, 전자선 등)이나 열 등에 의해 최종적으로 경화되어, 경화 수지를 형성한다. 그로 인해, 방현층에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화 후의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복수의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예를 들어 서로 비상용의 중합체 중 한쪽 중합체(제1 수지와 제2 수지를 조합하는 경우, 특히 양쪽 중합체)가 경화성 수지 전구체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측쇄에 갖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중합체와 제2 중합체의 비율(중량비)은, 예를 들어 전자/후자=1/99 내지 99/1,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95/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90/1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20/80 내지 80/20 정도, 특히 30/70 내지 70/30 정도이다.
또한,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로서는, 상기 비상용의 2개의 중합체 이외에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나 다른 중합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예를 들어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0℃ 정도(예를 들어, 50 내지 18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50℃ 이상(예를 들어, 70 내지 2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예를 들어, 100 내지 170℃ 정도)인 것이 유리하다.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1,0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
경화성 수지 전구체로서는,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나 전자선 등) 등에 의해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 등에 의해 경화 또는 가교되어 수지(특히 경화 또는 가교 수지)를 형성 가능한 다양한 경화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전구체로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수지[에폭시기, 중합성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알콕시실릴기, 실라놀기 등을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예를 들어, 에폭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 등], 활성 광선(자외선 등)에 의해 경화 가능한 광경화성 화합물(광경화성 단량체, 올리고머 등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등)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광경화성 화합물은, EB(전자선) 경화성 화합물 등일 수도 있다. 또한, 광경화성 단량체, 올리고머나 저분자량일 수도 있는 광경화성 수지 등의 광경화성 화합물을, 간단히 「광경화성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에는, 예를 들어 단량체, 올리고머(또는 수지, 특히 저분자량 수지)가 포함되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단관능성 단량체[(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단량체,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교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적어도 2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 (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교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 내지 6 정도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올리고머 또는 수지로서는, 비스페놀 A-알킬렌옥시드 부가체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형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노볼락형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형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광경화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단시간에 경화할 수 있는 광경화성 화합물,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단량체, 올리고머나 저분자량일 수도 있는 수지 등), EB 경화성 화합물이다. 특히, 실용적으로 유리한 수지 전구체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다. 또한, 내찰상성 등의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경화성 화합물(광경화성 수지)은, 분자 중에 2 이상(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정도)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적어도 2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분자량으로서는, 중합체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5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정도이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점도(JIS Z8803에 준거한 25℃의 점도)는 100 내지 10000mPa·s(특히 500 내지 8000mPa·s)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적어도 3000mPa·s 이하의 점도를 갖는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점도(JIS Z8803에 준거한 25℃의 점도)는, 예를 들어 100 내지 3000mPa·s,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800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mPa·s(특히 1000 내지 2300mPa·s) 정도이다.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기 곤란해진다. 저점도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생성되기 쉬운 메커니즘은, 명백하지 않으나, 저점도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건조 공정에서의 도포액의 용융 유동성, 특히 상분리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자유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스피노달 분해를 촉진시켜, 액적상 구조로부터 공연속상 구조로까지 진행하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비율은, 수지 성분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특히 15 내지 25중량%) 정도이다.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스피노달 분해의 상분리에 수반하는 초기 요철 형성이 억제되고, 용융에 의해 볼록부가 연결되는 기회가 감소되기 때문에,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형성이 곤란해지고, 지나치게 적으면, 도포액의 용융 유동성이 저하됨으로써,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형성이 곤란해진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그 종류에 따라, 경화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에서는 아민류, 다가 카르복실산류 등의 경화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광경화성 수지에서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관용의 성분,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또는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경화제 등의 경화제의 함유량은, 경화성 수지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부(특히 1 내지 5중량부) 정도이고, 3 내지 8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 촉진제, 예를 들어 3급 아민류(디알킬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등), 포스핀계 광중합 촉진제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1개의 중합체 및 적어도 1개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 중 적어도 2개의 성분이, 가공 온도 부근에서 서로 상분리되는 조합으로 사용된다. 상분리되는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a) 복수의 중합체끼리 서로 비상용으로 상분리되는 조합, (b) 중합체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비상용으로 상분리되는 조합이나, (c) 복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끼리 서로 비상용으로 상분리되는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조합 중, 통상적으로 (a) 복수의 중합체끼리의 조합이나, (b) 중합체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조합이며, 특히 (a) 복수의 중합체끼리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상분리시키는 양자의 상용성이 높은 경우,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 과정에서 양자가 유효하게 상분리되지 않아, 방현층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또는 경화 수지)는, 통상적으로 서로 비상용이다. 중합체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비상용으로 상분리되는 경우에, 중합체로서 복수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적어도 1개의 중합체가 수지 전구체(또는 경화 수지)에 대하여 비상용이면 되고, 다른 중합체는 상기 수지 전구체와 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비상용의 2개의 열가소성 수지와, 경화성 화합물(특히 복수의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경화 후의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상기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 중 한쪽 중합체(특히 양쪽 중합체)가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에 관여하는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도 있다.
중합체를 서로 비상용의 복수의 중합체에 의해 구성하여 상분리하는 경우,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비상용의 복수의 중합체 중 적어도 1개의 중합체와 가공 온도 부근에서 서로 상용되는 조합으로 사용된다. 즉, 서로 비상용의 복수의 중합체를, 예를 들어 제1 수지와 제2 수지로 구성하는 경우,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적어도 제1 수지 또는 제2 수지의 어느 한쪽과 상용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양쪽 중합체 성분과 상용할 수도 있다. 양쪽 중합체 성분에 상용하는 경우, 제1 수지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주성분으로 한 혼합물과, 제2 수지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주성분으로 한 혼합물의 적어도 2상으로 상분리된다.
선택한 복수의 중합체의 상용성이 높은 경우,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 과정에서 중합체끼리 유효하게 상분리되지 않아, 방현층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된다. 복수의 중합체 상분리성은, 양쪽 성분에 대한 양용매를 사용하여 균일 용액을 제조하고, 용매를 서서히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잔존 고형분이 백탁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간편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중합체와, 수지 전구체의 경화에 의해 생성한 경화 또는 가교 수지는 서로 굴절률이 상이하다. 또한, 복수의 중합체(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굴절률도 서로 상이하다. 중합체와 경화 또는 가교 수지의 굴절률의 차, 복수의 중합체(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굴절률의 차는, 예를 들어 0.001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5 정도일 수도 있다.
중합체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비율(중량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자/후자=5/95 내지 95/5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60/40 정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50/50, 특히 10/90 내지 40/60 정도이다.
[방현 필름]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적어도 방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방현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방현층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투명 필름을 더 포함하고, 이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방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방현층에는, 방현층의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관용의 첨가제,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 입자, 안정제(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충전제, 가교제, 커플링제, 착색제, 난연제, 활제, 왁스, 방부제, 점도 조정제, 증점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방현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예를 들어, 1 내지 10㎛) 정도일 수도 있고, 통상적으로 2 내지 10㎛(특히 3 내지 7㎛) 정도이다. 또한, 방현층 단독으로 방현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 방현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투명 필름)
투명 필름(투명 지지체 또는 기재 시트)으로서는, 유리, 세라믹스 외에, 수지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상기 방현층과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투명 필름으로서는, 투명성 중합체 필름,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등], 폴리술폰계 수지[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PES) 등],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폴리에테르케톤(P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PC),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아톤(ARTON), 제오넥스(ZEONEX) 등], 할로겐 함유 수지(폴리염화비닐리덴 등),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등), 아세트산비닐 또는 비닐알코올계 수지(폴리비닐알코올 등) 등으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투명 필름은 1축 또는 2축 연신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투명 필름은, 저복굴절률의 지지 필름이다.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투명 필름으로서는, 미연신 필름을 예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PET, PBT 등),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특히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류(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3- 4유기산 에스테르) 등으로 형성된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이차원적 구조의 투명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광학층)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광산란성도 높다. 특히, 투과광을 등방적으로 투과하여 산란시키면서, 특정한 각도 범위에서의 산란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투과상의 선명성도 높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다른 광학층(예를 들어, 편광판, 위상차판, 도광판, 반사 방지판, 저굴절률층 등의 광로 내에 배치되는 다양한 광학 요소)과 조합하여 광학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광학 요소 중 적어도 한쪽 광로면에 상기 방현 필름을 배치 또는 적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상차판 중 적어도 한쪽 면에 방현 필름을 적층할 수도 있고, 도광판의 출사면에 방현 필름을 배치 또는 적층할 수도 있다.
특히, 방현층에 내찰상성이 부여되어 있는 방현 필름은, 보호 필름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편광판의 2매의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한쪽 보호 필름 대신에, 방현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광학 부재), 즉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면에 방현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광학 부재)로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편광판의 양면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표시면에서의 번쩍임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광학 요소(편광판 등)에 높은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광학층은, 상기 투명 필름 대신 사용할 수도 있고, 투명 필름 외에 광학층을 더 적층할 수도 있다.
(점착층)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의 다른 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방현층의 투명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방현 필름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각종 터치 패널 표시 장치의 보호 필름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점착층은, 관용의 투명한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올레핀계 점착제(변성 올레핀계 점착제 등),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 성분(천연 고무, 합성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과, 점착 부여제(테르펜 수지, 로진계 수지, 석유 수지, 변성 올레핀계 수지 등)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C2 - 10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구성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메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 중합성 니트릴 화합물[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등), 비닐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 방향족 비닐류(예를 들어, 스티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성분[1관능의 R3SiO1 /2(화학식 중 R은, 메틸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등의 아릴기 등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함)와 4관능의 SiO2를 포함하는 MQ 레진 등] 및 실리콘 레진 성분(2관능의 R2SiO 단독, 또는 2관능의 R2SiO와 1관능의 R3SiO1 /2을 조합한 오일상 또는 고무상 성분 등)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성분은 가교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들 점착제 중, 광학 특성이나 리워크성 등의 점에서,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특히 25 내지 50㎛) 정도이다.
점착층은, 다른 쪽 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쪽 면의 일부(예를 들어, 주연부)에 형성할 수도 있고 어느 것이든 좋다. 또한, 주연부에 형성하는 경우, 접착을 위한 취급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방현 필름의 주연부에 프레임상 부재(예를 들어, 주연부에 플라스틱 시트를 적층)를 형성하고, 프레임상 부재에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방현 필름의 특성)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의 표면에 상분리 구조에 대응한 미세한 요철 구조가 대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표면 반사에 의한 외경의 투영을 억제할 수 있어, 방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방현성의 평가는, 육안에 의한 형광등의 투영에 의한 평가 및 JlS K7105에 따라 글로스 미터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방현층)은, 60°글로스가 30 이상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특히 52 내지 55) 정도일 수도 있다. 글로스가 지나치게 작으면,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번쩍임 및 문자 흐려짐의 평가는, 해상도 200ppi 정도의 고정밀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고, 보다 간단하게는 300ppi 정도의 고정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200ppi의 해상도를 갖는 표시 장치에 배치했을 때, 방현층이 표시면으로부터 0.05mm 이상(특히 0.1 내지 0.4mm 정도) 이격되어도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성의 확보와, 번쩍임의 저감 및 문자 흐려짐 회피라는 특성을 최적의 레벨로 실현하는 광학 특성으로서는, 투과상 선명도,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이 특정한 범위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 필름의 투과상 선명도는, 0.5mm 폭의 광학빗을 사용한 경우, 70 내지 10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0%(예를 들어, 75 내지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특히 80 내지 90%) 정도이다. 투과상 선명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투과광의 흐려짐이 많아지고, 고정밀 표시 장치에 사용하면, 화소의 윤곽이 흐려지기 때문에,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다.
투과상 선명도란, 필름을 투과한 광의 흐려짐이나 왜곡을 정량화하는 척도이다. 투과상 선명도는, 필름으로부터의 투과광을 이동하는 광학빗을 통하여 측정하여, 광학빗의 명암부의 광량에 의해 값을 산출한다. 즉, 필름이 투과광을 흐려지게 하는 경우, 광학빗 위에 결상되는 슬릿의 상은 굵어지기 때문에, 투과부에서의 광량은 100% 이하로 되고, 한편, 불투과부에서는 광이 누설되기 때문에 0% 이상으로 된다. 투과상 선명도의 값 C는 광학빗의 투명부의 투과광 최대값 M과 불투명부의 투과광 최소값 m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정의된다.
C(%)=[(M-m)/(M+m)]×100
즉, C의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방현 필름에 의한 상의 흐려짐이 작다 [참고 문헌; 스가, 미타무라, 도장 기술, 1985년 7월호].
상기 투과상 선명도 측정의 측정 장치로서는, 스가 시껭끼(주)제 사상성 측정기 ICM-1DP를 사용할 수 있다. 광학빗으로서는, 0.125 내지 2mm 폭의 광학빗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의 헤이즈는, 예를 들어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특히 20 내지 30%) 정도이다. 헤이즈를 지나치게 높이면, 번쩍임 및 문자 흐려짐이 발생하기 쉽고, 헤이즈가 지나치게 작으면, 방현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예를 들어, 85 내지 95%), 특히 90 내지 100%(예를 들어, 90 내지 99%) 정도이다.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은, JIS K7105에 준거하여, 닛본 덴쇼꾸 고교(주)제, NDH-5000W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성 필름(방현층)의 연필 경도(750g 하중)는, JIS K5400에 준거하여, 예를 들어 H 이상(특히 2H 이상)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H 내지 4H, 바람직하게는 2H 내지 3H 정도일 수도 있다.
(방현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복수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지지체(특히 투명 필름) 상에 도포하고, 용매의 증발에 수반하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경화하는 경화 공정을 더 거쳐 얻어진다.
상세하게는, 건조 공정에서는, 복수의 수지 성분(특히 중합체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과 용매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특히 균일 용액 등의 액상 조성물 또는 혼합액)을 사용하여, 이 수지 조성물의 액상(또는 균일 용액이나 그 도포층)으로부터, 용매를 건조 등에 의해 증발 또는 제거하는 과정에서, 농도의 농축에 수반하여, 스피노달 분해에 의한 상분리가 발생하여, 상간 거리(피치 또는 그물코 직경)가 비교적 규칙적인 상분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공연속상 구조는, 용매가 증발된 후의 수지 조성물의 용융 유동성이 높아지는 건조 조건이나 처방을 설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습식 스피노달 분해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1개의 중합체와 적어도 1개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와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액 또는 수지 조성물(균일 용액)을 지지체에 코팅하고, 도포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로서 박리성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현층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방현층 단독으로 구성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고, 지지체로서 비박리성 지지체(바람직하게는 투명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지지체와 방현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의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매의 증발 온도를 높게 하거나, 수지의 일부에 점성이 낮은 성분을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상분리 구조가 연결된 공연속상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요철 구조가 공연속상 구조로 되는 이유는, 추측이지만, 용매가 증발된 후에도 수지 성분의 유동성이 상실되지 않고, 열에 의해 요철 구조가 용융되어 그들이 연결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노달 분해에 있어서, 상분리의 진행에 수반하여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상분리가 더 진행되어 조대화되면, 연속상이 스스로의 표면 장력에 의해 비연속화되어, 액적상 구조(구상, 진구상, 원반상이나 타원체상 등의 독립상의 해도 구조)로 된다. 따라서, 상분리의 정도에 따라, 공연속상 구조와 액적상 구조의 중간적 구조(상기 공연속상으로부터 액적상으로 이행되는 과정의 상 구조)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현층의 상분리 구조는, 건조의 초기 과정에 있어서는 해도 구조(액적상 구조, 또는 한쪽 상이 독립 또는 고립된 상 구조), 공연속상 구조(또는 그물코 구조)일 수도 있고, 공연속상 구조와 액적상 구조가 혼재된 중간적 구조일 수도 있다. 이들 상분리 구조에 의해 용매 건조 후에는 방현층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과정에 있어서, 용매 건조 후라도 수지 조성물이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건조의 온도가 높고, 또는 수지 성분으로서 저점도 성분을 더 함유시킴으로써, 표면의 미세한 요철이 용융되어 연결되어, 원래 공연속이었던 구조에서도 더욱 연속성을 증가시킨 요철 구조로 변이시킬 수 있다.
습식 스피노달 분해에 있어서, 용매는, 상기 중합체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종류 및 용해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적어도 고형분(복수의 중합체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 반응 개시제, 기타 첨가제)을 균일하게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이면 된다. 그러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물, 알코올류(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 아세테이트류, 술폭시드류(디메틸술폭시드 등), 아미드류(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용매는 혼합 용매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혼합액)로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가용한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서로 비상용의 복수의 중합체와,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액 중의 용질(중합체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 반응 개시제, 기타 첨가제)의 농도는, 상분리가 발생하는 범위 및 유연성이나 코팅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중량%(특히 20 내지 40중량%) 정도이다.
유연 또는 도포 방법으로서는, 관용의 방법, 예를 들어 스프레이, 롤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로드 코터, 리버스 코터, 바 코터, 콤마 코터, 딥 스퀴즈 코터,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터, 실크스크린 코터법, 침지법, 스프레이법, 스피너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바 코터법이나 그라비아 코터법 등이 범용된다.
상기 혼합액을 유연 또는 도포한 후,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스피노달 분해에 의한 상분리를 유기시킬 수 있다. 용매의 증발은, 방현층의 표면에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가열하고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200℃(예를 들어, 40 내지 150℃)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지만,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80℃를 초과하는 온도, 예를 들어 82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105℃(특히 90 내지 100℃)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분(특히 1.8 내지 10분) 정도이다. 건조 온도나 시간이 지나치게 작으면, 수지 성분에 대한 열량의 부여가 불충분해져, 수지 성분의 용융 유동성이 저하되어,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형성이 곤란해진다. 한편, 건조 온도나 시간이 지나치게 크면, 일단 형성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한층 더 유동에 의해 높이를 저하시키지만, 구조는 유지된다. 그로 인해, 높이를 바꾸어 방현성이나 미끄럼성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적당한 시간 건조함으로써, 수지 성분을 용융 유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열량을 부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용매의 증발을 수반하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 및 공연속상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분리 구조의 도메인간의 평균 거리에 규칙성 또는 주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경화 공정에서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된 상분리 구조는, 전구체를 경화시킴으로써 즉시 고정화할 수 있다. 전구체의 경화는,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가열, 광조사 등,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상기 상분리 구조를 갖는 한, 적당한 범위, 예를 들어 50 내지 150℃ 정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상분리 공정과 마찬가지의 온도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광조사는, 광경화 성분 등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자외선, 전자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범용적인 노광원은, 통상적으로 자외선 조사 장치이다. 또한, 광조사는, 필요하면,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행할 수도 있다.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의 경우에는, 딥(Deep) UV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레이저광원(헬륨-카드뮴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의 광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사광량(조사 에너지)은, 도막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50 내지 10000mJ/㎠,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000mJ/㎠,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0mJ/㎠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경우, 관용의 방법, 예를 들어 전술한 유연 또는 도포 방법을 사용하여, 투명 필름의 다른 쪽 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하드 코트성을 갖고, 방현성이 높다. 또한, 투과광을 등방적으로 투과하여 산란시키면서, 특정한 각도 범위에서의 광산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과상의 선명성이 우수하고, 표시면에서의 문자 흐려짐이 적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다양한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LCD) 장치, 유기 EL 표시(OLED)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200ppi 이상(특히 300ppi 이상)의 고정밀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번쩍임이나 문자 흐려짐에 의해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이들 표시 장치 중, 고정밀 표시 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터치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이기도 한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함), 유기 EL 표시 장치(터치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이기도 한 유기 EL 장치를 포함함)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광을 이용하여, 액정 셀을 구비한 표시 유닛을 조명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일 수도 있고, 표시 유닛을 조명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을, 표시 유닛을 개재하여 도입하고, 표시 유닛을 투과한 투과광을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하여 표시 유닛을 조명할 수 있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전방의 광로 내에 상기 방현 필름이나 광학 부재(특히 편광판과 방현 필름의 적층체)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부재와 표시 유닛 사이, 표시 유닛의 전방면 등에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배치 또는 적층할 수도 있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냉음극관 등의 관상 광원,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점상 광원 등)으로부터의 광을 한쪽 측부로부터 입사시키고 전방면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한 도광판(예를 들어, 단면 빗 형상의 도광판)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하면, 도광판의 전방면측에는 프리즘 시트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도광판의 이면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출사면측에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통상적으로 광원으로부터 전방의 광로 내에 상기 방현 필름이나 광학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과 표시 유닛 사이, 표시 유닛의 전방면 등에 상기 방현 필름이나 광학 부재를 배치 또는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특히 효과적이다. 유기 EL은, 발광층이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구성되어 있고, 유기 화합물 중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한 여기자(엑시톤)에 의해 발광한다. 발광층에 사용되는 발광 재료는, 고분자 재료일 수도 있고, 저분자 재료일 수도 있다. 또한, 유기 EL은, 각 화소마다 발광 소자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발광 소자는, 통상적으로 음전극/전자 주입층/전자 수송층/발광층/정공 수송층/정공 주입층/양전극/유리판이나 투명한 플라스틱판 등의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기 EL은, 헤테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전자와 정공을 각각 별도의 층에 가두고 있다. 상기 헤테로 구조는 더블 헤테로 구조일 수도 있다.
전극으로서는, 통상적으로 양극으로서 ITO 등의 금속 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으로서 Al, Mg, Ag나 Li 합금 등의 금속이 사용된다. 각 층의 재료로서는, 통상적으로 디아민, 안트라센, 금속 착체 등의 유기물 등이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정공 수송층은 옥사디아졸·트리아졸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공 저지층은 페난트린 유도체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펀트 재료는 DCM2[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 쿠마린 6, 페릴렌 등일 수도 있다. 전극간의 각 층의 두께는 수nm 내지 수백nm이며, 전체 1㎛ 이하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으면 된다.
구동 방식으로서는, TFT(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 소자를 각 화소에 배치하여 구동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이나, 직교시킨 스트라이프 전극에 타이밍을 맞추어 전류를 흘림으로써 그 교점의 각 화소를 순차 구동하는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어느 한 구동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이 유기 EL에 유용한 이유로서는, 유기 EL은 화소의 발광 강도가 높은 데다가, 화소 자체가 발광하여, 액정과 같은 컬러 필터를 통과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유기 EL은 광에 지향성이 없고, 번쩍이기 쉽기 때문에, 종래의 방현 필름에서는, 유기 EL의 번쩍임을 억제하면, 방현성이 저하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화소의 배열이 펜타일 배열(1개의 화소를 GR 또는 GB의 2색으로 구성하고 교대로 깐 배열)인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이 표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애프터 마켓용 보호 또는 프로텍트 필름(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의 보호 필름)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이 표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면으로부터의 거리(표시면과 방현층의 거리)가 0.05mm 이상(특히 0.1 내지 0.4 정도) 이격되어 사용되는 보호 필름(최표면에 배치되고, 또한 점착층을 개재함으로써, 표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필름)에 특히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을 이하의 항목으로 평가했다.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크기 및 면적]
필름 표면의 반사형 레이저 현미경 사진에 기초하여, 1㎟당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존재의 유무를 관찰함과 함께, 공연속상 구조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에 대해, 임의의 10개소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1㎟의 영역에서,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와 다른 볼록부의 길이비를 측정했다.
볼록부의 면적은, 비접촉 표면·층 단면 형상 계측 시스템[(주)료까 시스템제 「VertScan」]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이 시스템에서는, 표면 형상을 광간섭을 사용하여 3차원적으로 계측할 수 있고, 화상 처리적으로 볼록부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점도]
B형 점도계(도쿄 게끼(주)제 「BL형」)를 사용하여, JIS Z8803에 준거하여, 25℃의 점도를 측정했다.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 미터(닛본 덴쇼꾸(주)제, 상품명 「NDH-5000W」)를 사용하여, JIS K7136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투과상(사상) 선명도]
광학 필름의 사상 선명도를, 사상 측정기(스가 시껭끼(주)제, 상품명 「ICM-1T」)를 사용하여, JIS K7105에 기초하여, 필름의 제막 방향과 광학빗의 빗살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필름을 설치하여 측정을 행했다. 사상 측정기의 광학빗 중, 0.5mm 폭의 광학빗에 있어서의 사상 선명도를 측정했다.
[60°글로스]
JIS K7105에 준거하여, 글로스 미터(호리바 세이사꾸쇼(주)제 「IG-320」)를 사용하여 평가했다.
[연필 경도]
JIS K5400에 준거하여, 하중 750g으로 연필 경도를 측정했다.
[방현성]
방현성의 판정은, 루버가 없는 노출된 형광등을 방현 필름에 투영하고, 그 정반사광의 눈부심을 육안으로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 눈부심을 느끼지 않음
○: 눈부심을 약간 느낌
×: 눈부심이 느껴짐
[번쩍임]
표시면에 있어서의 번쩍임의 판정은, 315ppi의 해상도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갖는 스마트폰(삼성 전자(주)제 「갤럭시 NEXUS」) 상에, 얻어진 방현 필름을 배치하고, 육안으로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 번쩍임이 느껴지지 않음
○: 번쩍임이 약간 느껴짐
×: 번쩍임이 느껴짐
[문자 흐려짐]
표시면에 있어서의 문자 흐려짐의 판정은, 315ppi의 해상도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갖는 스마트폰(삼성 전자(주)제 「갤럭시 NEXUS」) 상에, 얻어진 방현 필름을 배치하고, 육안으로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 문자 흐려짐이 느껴지지 않음
○: 문자 흐려짐이 약간 느껴짐
×: 문자 흐려짐이 느껴짐
실시예 1
측쇄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 일부에, 3,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아크릴레이트를 부가시킨 화합물; (주)다이셀제 「사이크로마 P(ACA)320M」, 고형분 49.6중량%] 5.65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아세틸화도=2.5%, 프로피오닐화도=46%,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 75000; 이스트만사제 「CAP-482-20」) 1.2중량부, 다관능 아크릴계 UV 경화성 화합물(다이셀 사이텍(주)제 「DPHA」, 점도 5250mPa·s) 4중량부, 아크릴계 UV 경화성 화합물(다이셀 사이텍(주)제 「PETIA」, 점도 1100mPa·s) 2.77중량부, 광개시제(바스프(BASF)사제 「이르가큐어907」) 0.53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MEK) 25중량부와 1-부탄올 12.15중량부의 혼합 용제에 용해했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24를 사용하여 두께 100㎛의 PET 필름(도요 보세끼(주)제 「A4300」) 위에 유연한 후, 95℃의 오븐 내에서 2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두께 약 7㎛의 코트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코트층에, 고압 수은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10초간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했다.
반사형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바, 코트층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전체가 공연속상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즉, 1㎟당 1개의 연속하는 그물코상의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체 볼록부 중,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의 비율은 대략 100%이었다. 이 표면 구조에 있어서, 공연속상 구조에 있어서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은 약 5㎛이며, 전체 표면의 과반의 영역(약 98%)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고정밀 유기 EL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얻어진 시트를 부착한 바, 표시의 번쩍임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실내의 형광등의 투영이 없고, 방현성도 우수하여, 문자 흐려짐도 느껴지지 않았다.
실시예 2
측쇄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사이크로마 P(ACA)320M] 5.65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CAP-482-20) 1.2중량부, 다관능 아크릴계 UV 경화성 화합물(DPHA) 6중량부, 실리콘 함유 아크릴계 UV 경화성 화합물(다이셀 사이텍(주)제 「EB1360」, 점도 2100mPa·s) 0.77중량부, 광개시제(이르가큐어907) 0.53중량부를 MEK 25중량부와 1-부탄올 12.15중량부의 혼합 용제에 용해했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24를 사용하여 두께 100㎛의 PET 필름(A4300) 위에 유연한 후, 9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두께 약 7㎛의 코트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코트층에, 고압 수은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10초간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했다.
반사형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바, 코트층의 표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에 액적상 상분리 구조(액적상 구조)를 갖는 공연속상 상분리 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즉, 1㎟당 1개의 연속하는 그물코상의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와 다른 볼록부의 길이비는, 전자/후자=80/20 정도이었다. 이 표면 구조에 있어서, 공연속상 구조에 있어서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은 약 4㎛이며, 전체 표면의 과반의 영역(약 89%)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고정밀 유기 EL 스마트폰 위에 얻어진 시트를 부착한 바, 표시의 번쩍임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실내의 형광등의 투영이 없어, 방현성도 우수했다.
비교예 1
건조 온도를 70℃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한 방법으로 UV 경화한 코트층을 제작했다. 투과형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바, 코트층은 액적상 상분리 구조를 갖고 있었다.
또한, 고정밀 유기 EL 스마트폰 위에 얻어진 시트를 부착한 바, 실내의 형광등의 투영이 없어, 방현성도 우수하고, 문자 흐려짐도 없었지만, 표시의 번쩍임이 느껴졌다.
비교예 2
측쇄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사이크로마 P(ACA)320M] 5.65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CAP-482-20) 1.2중량부, 다관능 아크릴계 UV 경화성 화합물(DPHA) 6.77중량부, 광개시제(이르가큐어 907) 0.53중량부를 MEK 25중량부와 1-부탄올 12.15중량부의 혼합 용제에 용해했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24를 사용하여 두께 100㎛의 PET 필름(A4300) 위에 유연한 후, 90℃의 오븐 내에서 2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두께 약 7㎛의 코트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코트층에, 고압 수은 램프(아이그라픽스사제)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10초간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했다.
반사형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바, 코트층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적상 상분리 구조를 갖고 있었다.
또한, 고정밀 유기 EL 스마트폰 위에 의해 얻어진 시트를 부착한 바, 실내의 형광등의 투영이 없어, 방현성도 우수하고, 표시의 번쩍임도 느껴지지 않았지만, 문자 흐려짐이 현저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방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방현 필름은, 방현성이 우수하고, 번쩍임 및 문자 흐려짐도 억제할 수 있는 것에 반하여, 비교예의 방현 필름은, 번쩍임 또는 문자 흐려짐이 발생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다양한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LCD) 장치, 음극관 표시 장치, 유기 또는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표면 전계 디스플레이(SED), 리어 프로젝션 텔리비전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방현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PC 모니터나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에 유용하고, 고정밀 표시 장치에 대하여 방현성과 내번쩍임성 및 문자 흐려짐 억제를 양립할 수 있기 때문에, 카 내비게이션용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방현 필름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특히, 방현층이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내찰상성도 우수한 데다가 매우 정밀도 높은 표시 장치(예를 들어 300ppi 이상)에 있어서, 표시면과의 간격이 이격되어 있어도, 상기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의 애프터 마켓용 보호 필름(프로텍트 필름)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Claims (13)
- 복수의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수반하여 형성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를 표면에 갖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이며,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분지 구조를 갖고 또한 합계 길이가 100㎛ 이상임과 함께,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상기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1㎟당 1 이상 존재하는, 방현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가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공연속상 구조의 그물코의 평균 직경이 1 내지 70㎛인, 방현 필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지 구조를 갖는 길고 가는 형상의 볼록부와 다른 볼록부의 길이비가, 전자/후자=100/0 내지 50/50인, 방현 필름.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5mm 폭의 광학빗을 사용한 사상성 측정기로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 70 내지 100%, 헤이즈 10 내지 40%, 전체 광선 투과율 70 내지 100%를 갖는, 방현 필름.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지 성분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지방족 유기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방향족 유기산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중합체와,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적어도 2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합체 중 적어도 2개의 성분이 액상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경화되어 있는, 방현 필름.
- 제5항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JIS Z8803에 준거한 점도(25℃)가 3000mPa·s 이하인 저점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방현 필름.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0ppi의 해상도를 갖는 표시 장치에 배치했을 때, 방현층이 표시면으로부터 0.05mm 이상의 거리를 갖고 있어도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
- 제7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유기 EL 표시 장치인, 방현 필름.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더 포함하고, 방현층이 이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현 필름.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필름의 다른 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방현 필름.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배치되는 보호 또는 프로텍트 필름인, 방현 필름.
- 복수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용매의 증발에 수반하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방현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건조 공정에 있어서, 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가열하는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31496 | 2012-10-19 | ||
JP2012231496A JP6190581B2 (ja) | 2012-10-19 | 2012-10-19 | 防眩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0551A true KR20140050551A (ko) | 2014-04-29 |
KR102022917B1 KR102022917B1 (ko) | 2019-09-20 |
Family
ID=5056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3107A KR102022917B1 (ko) | 2012-10-19 | 2013-10-16 |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190581B2 (ko) |
KR (1) | KR102022917B1 (ko) |
CN (1) | CN103777255B (ko) |
TW (1) | TWI607232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5344A (ko) | 2017-03-15 | 2019-11-06 |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 수용성 조성물, 그 경화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경화물, 및 아실포스핀산염 |
KR20200026997A (ko) * | 2017-08-04 | 2020-03-11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00123168A (ko) | 2018-02-16 | 2020-10-28 |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 라디칼 중합개시제,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 경화물, 그 제조 방법, 및 화합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63384B2 (ja) * | 2013-08-19 | 2017-07-12 |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 レーザ溶接装置、原子力プラントの炉内構造物の保全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
JP2016075807A (ja) * | 2014-10-07 | 2016-05-12 |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JP6797567B2 (ja) * | 2016-06-06 | 2020-12-09 | 株式会社ダイセル |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
JP6924202B2 (ja) * | 2016-11-01 | 2021-08-25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光学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機器ならびに転写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10720058B (zh) | 2017-08-04 | 2022-06-21 | 株式会社大赛璐 | 防眩膜 |
KR102282272B1 (ko) | 2017-08-04 | 2021-07-28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102282055B1 (ko) | 2017-08-04 | 2021-07-28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WO2019026471A1 (ja) | 2017-08-04 | 2019-02-07 | 株式会社ダイセル | 防眩フィルム |
JP6985407B2 (ja) * | 2017-10-25 | 2021-12-22 | 株式会社ダイセル | 触感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体並びに指滑り性向上方法 |
KR102600830B1 (ko) * | 2017-10-25 | 2023-11-10 | 주식회사 다이셀 |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
JP2019105692A (ja) * | 2017-12-11 | 2019-06-27 | 株式会社ダイセル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JP2019203931A (ja) * | 2018-05-21 | 2019-11-28 | 株式会社ダイセル |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
JP2019207381A (ja) * | 2018-05-30 | 2019-12-05 | 株式会社ダイセル | 防眩性積層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
CN112578576B (zh) * | 2020-12-02 | 2023-12-05 | 明月镜片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高硬度膜层结构的树脂镜片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5307A (ja) | 2000-01-31 | 2001-08-10 | Nitto Denko Corp | アンチグレア層及び光学部材 |
JP2006103070A (ja) * | 2004-10-01 | 2006-04-20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 |
JP2007187746A (ja) * | 2006-01-11 | 2007-07-26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225195A (ja) | 2007-03-14 | 2008-09-25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9276772A (ja) * | 2001-12-17 | 2009-11-26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
JP4377578B2 (ja) | 2001-12-17 | 2009-12-02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防眩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
KR20100127293A (ko) * | 2008-03-25 | 2010-12-03 |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방현성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JP2011013238A (ja) | 2009-06-01 | 2011-01-20 | Tomoegawa Paper Co Ltd |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
JP2012093570A (ja) * | 2010-10-27 | 2012-05-17 | Konica Minolta Opto Inc | 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61618A (en) * | 1969-06-30 | 1972-05-09 | Firestone Fire And Rubber Co T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JP4217097B2 (ja) * | 2003-04-03 | 2009-01-28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防眩性フィルム |
JP2009244382A (ja) * | 2008-03-28 | 2009-10-22 | Sharp Corp | 機能性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
JP2010066470A (ja) * | 2008-09-10 | 2010-03-25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20110096403A1 (en) * | 2009-10-22 | 2011-04-28 | Lin Cheng | Anti-glare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5593125B2 (ja) * | 2010-06-03 | 2014-09-17 | 株式会社巴川製紙所 | 光学積層体、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
-
2012
- 2012-10-19 JP JP2012231496A patent/JP6190581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0-15 TW TW102137096A patent/TWI607232B/zh active
- 2013-10-16 KR KR1020130123107A patent/KR1020229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0-21 CN CN201310495269.7A patent/CN10377725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5307A (ja) | 2000-01-31 | 2001-08-10 | Nitto Denko Corp | アンチグレア層及び光学部材 |
JP2009276772A (ja) * | 2001-12-17 | 2009-11-26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
JP4377578B2 (ja) | 2001-12-17 | 2009-12-02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防眩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
JP2006103070A (ja) * | 2004-10-01 | 2006-04-20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 |
JP2007187746A (ja) * | 2006-01-11 | 2007-07-26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225195A (ja) | 2007-03-14 | 2008-09-25 | Daicel Chem Ind Ltd | 防眩性膜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00127293A (ko) * | 2008-03-25 | 2010-12-03 |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방현성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JP2011013238A (ja) | 2009-06-01 | 2011-01-20 | Tomoegawa Paper Co Ltd |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
JP2012093570A (ja) * | 2010-10-27 | 2012-05-17 | Konica Minolta Opto Inc | 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5344A (ko) | 2017-03-15 | 2019-11-06 |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 수용성 조성물, 그 경화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경화물, 및 아실포스핀산염 |
KR20210118210A (ko) * | 2017-08-04 | 2021-09-29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10115065A (ko) * | 2017-08-04 | 2021-09-24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10118211A (ko) * | 2017-08-04 | 2021-09-29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10118208A (ko) * | 2017-08-04 | 2021-09-29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00026997A (ko) * | 2017-08-04 | 2020-03-11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10118209A (ko) * | 2017-08-04 | 2021-09-29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CN114265135A (zh) * | 2017-08-04 | 2022-04-01 | 株式会社大赛璐 | 防眩膜 |
US11313995B2 (en) | 2017-08-04 | 2022-04-26 | Daicel Corporation | Anti-glare film |
KR20220099583A (ko) * | 2017-08-04 | 2022-07-13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US11733431B2 (en) | 2017-08-04 | 2023-08-22 | Daicel Corporation | Anti-glare film |
KR20230146672A (ko) * | 2017-08-04 | 2023-10-19 | 주식회사 다이셀 | 방현 필름 |
KR20200123168A (ko) | 2018-02-16 | 2020-10-28 |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 라디칼 중합개시제,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 경화물, 그 제조 방법, 및 화합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777255B (zh) | 2017-03-01 |
JP6190581B2 (ja) | 2017-08-30 |
KR102022917B1 (ko) | 2019-09-20 |
TWI607232B (zh) | 2017-12-01 |
CN103777255A (zh) | 2014-05-07 |
JP2014085371A (ja) | 2014-05-12 |
TW201418757A (zh) | 201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2917B1 (ko) |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6700215B2 (ja) | 防眩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30023024A (ko) | 뉴튼링 방지 필름 및 터치패널 | |
TW202111486A (zh) | 觸控面板筆用書寫片、觸控面板、觸控面板系統、顯示裝置及觸控面板筆用書寫片之揀選方法 | |
JP2010066470A (ja) |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080003319A (ko) | 광학 적층체,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
JP2010066469A (ja) |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I780268B (zh) | 防眩薄膜以及其製造方法及用途 | |
US9891352B2 (en) | Anti-glar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JP2008197662A (ja) |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 | |
JP2017219622A (ja) |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 |
JP2010128363A (ja) | 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高精細ディスプレイ | |
JP6824939B2 (ja) |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 |
JP2019105695A (ja)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
TWI672519B (zh) | 抗水印薄膜及觸控面板顯示器 | |
JP2019113877A (ja)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
TW202042018A (zh) | 觸控面板筆用書寫片、觸控面板、觸控面板系統及顯示裝置,以及觸控面板筆用書寫片之揀選方法 | |
WO2019116662A1 (ja)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
WO2021014776A1 (ja) |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 |
TWI780269B (zh) | 防眩薄膜以及其製造方法及用途 | |
JP2019113875A (ja)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
JP6597075B2 (ja) | 帯電防止性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帯電防止性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用いた表示装置 | |
JP2019113874A (ja)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
JP2019113876A (ja) |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