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237A -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237A
KR20140049237A KR1020120115218A KR20120115218A KR20140049237A KR 20140049237 A KR20140049237 A KR 20140049237A KR 1020120115218 A KR1020120115218 A KR 1020120115218A KR 20120115218 A KR20120115218 A KR 20120115218A KR 20140049237 A KR20140049237 A KR 2014004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rudder
bearing
supply unit
sea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546B1 (ko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5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63H21/386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for handling lubrication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베어링을 프로펠러 후류에 의하여 유입되는 해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윤활시킬 수 있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프로펠러의 후방에 구비되는 방향타; 상기 방향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향타와 결합되는 방향타 회전축; 상기 방향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갖는 러더혼; 상기 방향타 회전축과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넥 베어링; 그리고, 상기 넥 베어링 중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넥 베어링의 윤활을 위하여 상기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된 넥 베어링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Ship including seawater supplying unit for lubricating a bearing}
본 발명은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베어링을 해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윤활시킬 수 있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파도나 바람 등 각종 교란력에 대항하여 계속해서 일정한 항로를 유지하고, 상기 선박을 선회, 정지 또는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된 기능을 발휘할 각종 선박용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선박용 장치 중 러더(Rudder), 즉 방향타는 프로펠러를 추진장치로 하는 선박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향타는 러더혼(Rudder Horn)에 결합되고, 상기 방향타와 상기 러더혼 사이에는 넥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넥 베어링은 해수에 의하여 윤활을 하게 되는데, 상기 선박이 운행될 때 상기 넥 베어링이 해수에 잠겨진 상태에서는 해수의 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에 상기 넥 베어링의 윤활작용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선박이 짐을 하역한 상태의 운항은 상기 넥 베어링이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넥 베어링에 해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상기 베어링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방향타 및 러더혼과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4096호(2012. 05. 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베어링을 프로펠러 후류에 의하여 유입되는 해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윤활시킬 수 있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프로펠러의 후방에 구비되는 방향타; 상기 방향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향타와 결합되는 방향타 회전축; 상기 방향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갖는 러더혼; 상기 방향타 회전축과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넥 베어링; 그리고, 상기 넥 베어링 중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넥 베어링의 윤활을 위하여 상기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된 넥 베어링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해수공급유닛은 상기 넥베어링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공급유로는 상기 러더혼 중 해수에 잠겨지는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과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결합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수유출홀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해수공급유닛은 상기 러더혼 중 해수에 잠겨지는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과 연결되는 제1 해수공급유로와,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결합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수유출홀과 연결되는 제2 해수공급유로와, 상기 제1 해수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제2 해수공급유로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해수공급유닛은 상기 러더혼의 내부 공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명에 따른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은 러더혼에 해수공급유닛이 설치됨으로써 프로펠러 후류에 의하여 유입되는 해수를 사용하여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베어링을 간단하게 윤활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특히, 러더혼 중 해수에 잠겨진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과 해수면 위로 노출된 상기 러더혼의 결합돌기에 형성된 해수유출홀을 해수공급유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해수유입홀로 유입된 해수가 프로펠러의 후류에 의한 유동압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해수유출홀로 배출되어 상기 베어링을 자동으로 윤활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박의 운행시 상기 해수가 자동으로 상기 베어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베어링을 윤활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러더혼과 방향타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고, 윤활불량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후미(1)에는 프로펠러(10), 방향타(40), 러더혼(50), 방향타 회전축(31), 넥 베어링 및 해수공급유닛(100)이 설치된다.
상기 프로펠러(10)는 선박 추진축(20)과 연결되어 바닷물 속에서 회전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방향타(40)는 상기 프로펠러(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좌우로 방향이 바뀌면서 선박의 진로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방향타 회전축(31)은 상기 방향타(40)와 결합되어 상기 방향타(40)를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러더혼(50)은 상기 방향타(4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더혼(50)은 일단이 상기 선박의 후미(1)에 고정되어 있는 러더혼 몸체(51)와, 상기 러더혼 몸체(51)에서 돌출되어 상기 방향타(40)를 지지하는 제1 결합돌기(53) 및 제2 결합돌기(55)를 포함한다.
상기 러더혼 몸체(51)의 내부공간(57)은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57)에는 상기 해수공급유닛(10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결합돌기(53)에는 방향타 회전 축이, 제2 결합돌기(55)에는 핀틀축 (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돌기(53)는 상기 방향타(4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55)는 상기 방향타(40)의 중간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넥 베어링은 상기 제1 결합돌기(53)와 상기 방향타 회전축(3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넥 베어링(60)과, 상기 제2 결합돌기(55)와 상기 방향타 회전축(3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넥 베어링(7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넥 베어링(60)은 상기 제1 결합돌기(53)의 관통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넥 베어링(70)은 상기 제2 결합돌기(55)의 관통홀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타 회전축(31)은 상기 제1 넥 베어링(60) 및 상기 제2 넥 베어링(70)의 내부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해수공급유닛(100)은 상기 넥 베어링 중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넥 베어링의 윤활을 위하여 상기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된 넥 베어링으로 해수를 공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선박이 짐을 하역한 상태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넥 베어링(60)과 상기 제2 넥 베어링(70)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넥 베어링(60)이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넥 베어링(60)이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한다.
상기 해수공급유닛(100)은 상기 제1 넥 베어링(60)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공급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공급유로는 상기 러더혼(50) 중 해수에 잠겨지는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51a)과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 결합돌기(5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수유출홀(53a)을 연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선박의 운행시 상기 프로펠러(10)의 후류로 인한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기 해수유입홀(51a)로 유입된 해수가 자연스럽게 상기 해수유출홀(53a)로 배출되어 상기 제1 넥 베어링(60)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1 넥 베어링(60)을 자동으로 윤활 시키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결합돌기 및 넥 베어링은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해수공급유닛(100)은 가장 하부에 배치되는 넥 베어링을 제외한 나머지 넥 베어링들에게 해수를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구성 중 해수공급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술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된 해수공급유닛(200)은 러더혼(50) 중 해수에 잠겨지는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51a)과 연결되는 제1 해수공급유로(210)와,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1 결합돌기(5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수유출홀(53a)과 연결되는 제2 해수공급유로(230)와, 상기 제1 해수공급유로(210)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제2 해수공급유로(230)로 펌핑하는 펌프(220)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공급유닛(200)은 선박의 운행시 프로펠러(10)의 후류로 인한 유동압력이 상기 해수유입홀(51a)과 상기 해수유출홀(53a)의 수두로 인한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펌프(220)를 임의적으로 가동시켜 해수를 제1 넥 베어링(60)으로 공급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해수공급유닛(200)은 선박의 내부 구성부품, 예를 들면 엔진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해수가 상기 제1 넥 베어링(60)으로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로펠러 (20) : 선박 추진축
(31) : 방향타 회전축 (32): 핀틀 축
(40) : 방향타 (50) : 러더혼
(51) : 러더혼 몸체 (53) : 제1 결합돌기
(55) : 제2 결합돌기 (60) : 제1 넥 베어링
(70) : 제2 넥 베어링 (100, 200) : 해수공급유닛
(210) : 제1 해수공급유로 (220) : 펌프
(230) : 제2 해수공급유로

Claims (4)

  1. 프로펠러의 후방에 구비되는 방향타;
    상기 방향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향타와 결합되는 방향타 회전축
    상기 방향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갖는 러더혼;
    상기 방향타 회전축과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넥 베어링; 그리고,
    상기 넥 베어링 중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넥 베어링의 윤활을 위하여 상기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된 넥 베어링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 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유닛은 상기 넥베어링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공급유로는 상기 러더혼 중 해수에 잠겨지는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과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결합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수유출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유닛은 상기 러더혼 중 해수에 잠겨지는 측면 하부영역에 형성된 해수유입홀과 연결되는 제1 해수공급유로와,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결합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해수유출홀과 연결되는 제2 해수공급유로와, 상기 제1 해수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제2 해수공급유로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유닛은 상기 러더혼의 내부 공간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KR1020120115218A 2012-10-17 2012-10-17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KR101808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18A KR101808546B1 (ko) 2012-10-17 2012-10-17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18A KR101808546B1 (ko) 2012-10-17 2012-10-17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37A true KR20140049237A (ko) 2014-04-25
KR101808546B1 KR101808546B1 (ko) 2017-12-13

Family

ID=5065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218A KR101808546B1 (ko) 2012-10-17 2012-10-17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397A (ko) * 2021-01-15 2022-07-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방향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492A (ja) * 1999-11-09 2001-05-15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舵のネックベアリングの海水潤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397A (ko) * 2021-01-15 2022-07-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방향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546B1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430A (ko) 해수 시스템 및 이 해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부유 선박
KR101979186B1 (ko) 해양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배열체 및 그러한 것을 정비하는 방법
US10227124B2 (en) Propulsion unit for an aquatic vehicle comprising a hydraulic fluid conditioning module and a conditioning control method
CN101915138A (zh) 柴油机机油泵吸油口装置
KR20140049237A (ko) 베어링 윤활용 해수공급유닛을 갖는 선박
US7494391B2 (en) Propulsion unit for outboard motor
KR20190069818A (ko) 동력분배기
JP4603021B2 (ja) ポンプ
FI123875B (fi) Järjestely potkuriakselin tiivistämiseksi
KR101616337B1 (ko) 선박용 냉각시스템
KR102152855B1 (ko) 감속기의 비상중력윤활공급관의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205618374U (zh) 深水液压驱动水泵
CN105517891A (zh) 螺旋桨装置
KR20160116224A (ko) 선박용 추진장치
US10179636B2 (en) Propulsion unit for an aquatic vehicle having a mobile casing and a hydraulic fluid conditioning module
RU2693609C2 (ru) Подшипник для насоса и способ модернизации подшипника для насоса
JP2002234493A (ja) ポッドプロペラ推進システムのシール装置
JP2017172732A (ja) 水潤滑スラスト軸受,軸受装置及び回転機械
KR100894356B1 (ko) 선박용 압축공기 윤활 시스템
JP6664907B2 (ja) 空気発生装置
KR101029677B1 (ko) 선박 주기관 윤활유 저장탱크
KR20160032781A (ko) 선박용 추진장치
Thomson et al. Eliminating the Sterntube in New Deep Sea Ship Construction
KR101722375B1 (ko) 선박용 추진장치
JP2017040321A (ja) カットレス軸受の取り外し方法およびカットレス軸受の取り外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