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550A -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550A
KR20140048550A KR1020120114639A KR20120114639A KR20140048550A KR 20140048550 A KR20140048550 A KR 20140048550A KR 1020120114639 A KR1020120114639 A KR 1020120114639A KR 20120114639 A KR20120114639 A KR 20120114639A KR 20140048550 A KR20140048550 A KR 2014004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vessel
terminal device
tracking
movement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기
장지엽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550A/ko
Publication of KR2014004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After Sevice)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서 제공하도록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기 및 인공위성에 의해 수집되는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으로서,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IS수신기, 위성기지국 및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저장부와, 수동 조작에 따라 명령 및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AIS수신기와 인공위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서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제공함으로써, AIS수신기로부터 80Km 거리 이상에 위치한 선박에 대해서도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므로 선박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선박에 필요 자재를 선적하거나 사후서비스 인력을 파견하는 처리를 신속히 진행하게 된다.

Description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Ship Moving Path}
본 발명은 선박 이동 경로 추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After Sevice)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서 제공하도록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상에서 운행하는 해당 선박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야 만이 해당 선박에 필요 자재를 보내거나 인력을 파견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선박건조회사에서 건조된 선박을 시운전하는 경우 선박 자동 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해당 선박 자동 식별장치는 지상에 설치된 AIS수신기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운행중인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되, AIS수신기로부터 80Km 거리 이내에 위치한 선박에 대해서는 해당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는 항구 및 연안에서 선박 충돌방지 및 선박 관제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박건조회사에서는 선박 시운전시 AIS수신기를 이용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지만, 선박이 AIS수신기로부터 80Km의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AIS수신기는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여서 선박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므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화 통화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선박이 AIS수신기로부터 80Km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전화 통화에 의해 위치 파악할 뿐 지속적인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고, 선박의 이동 경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해당 선박의 이동 경로나 항구 체류기간이 길어지면 해당 선박으로 필요 자재를 선적하거나 사후서비스 인력을 파견함에 있어서 장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혼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AIS수신기와 인공위성을 통해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서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함으로써 AIS수신기로부터 80Km 거리 이상에 위치한 선박에 대해서도 선박 이동 경로를 효율적으로 추적하도록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기 및 인공위성에 의해 수집되는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으로서,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IS수신기, 위성기지국 및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저장부와, 수동 조작에 따라 명령 및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해당 추적 대상 선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AIS수신기와 위성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추적 대상 선박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에 제공하고,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기 및 인공위성에 의해 수집되는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으로서,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단말장치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해당 추적 대상 선박 정보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AIS 수신기와 위성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한 추적 대상 선박의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에 의하면, 상기 지도상 선박 위치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 운용일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항해 목적지 정보에 의거하여 추적 대상 선박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일을 산출하되 선박의 항적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한 도착 예정일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에 의하면, 상기 지도상 선박 이동 경로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상 선박 이동 경로에 대하여 항적 보정 처리하여서 실제 운항 항적과 유사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선박 자동 AIS수신기와 인공위성을 통해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서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제공함으로써 AIS수신기로부터 80Km 거리 이상에 위치한 선박에 대해서도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므로, 선박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서 선박에 필요 자재를 선적하거나 사후서비스 인력을 파견하는 처리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의 운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의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된다.
AIS수신기(10)는 80Km 거리 이내에 위치한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통신망(40)을 통해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전송한다.
인공위성(30)은 선박에 설치된 인마세트C 장비와의 통신에 의해 획득한 선박 위치 정보를 위성기지국(20)에 전송하고, 위성기지국(20)은 인공위성(30)으로부터 수신된 선박 위치 정보를 통신망(40)을 통해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전송한다.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단말장치(60)에 의해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AIS수신기(10)와 위성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선박의 위치 정보를 자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단말장치(6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단말장치(60)에 제공하고,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단말장치(60)에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하는 경우, 위성기지국(20)에 추적 대상 선박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신청을 하면 인공위성(30)을 통해 해당 추적 대상 선박에 대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장치(60)는 개인용 컴퓨터, 테블릿 PC 등의 통신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단말장치(60)는 통신망(40)을 통해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접속하여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의해 제공되는 선박 이동경로 추적 서비스를 이용한다. 단말장치(60)는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추적 대상의 선박을 지정하고,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요청하여 추적 대상 선박에 대한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제공받아서 화면에 지도상 선박 위치를 표시하고,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제공받아서 화면에 지도상 선박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그리고,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추적 대상 선박으로부터 이메일 전송되는 선박 운항일정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선박 운영일정 정보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의 항해 목적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단말장치(60)에 제공하는 경우에 선박 운용일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항해 목적지 정보에 의거하여 추적 대상 선박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일을 산출하되 선박의 항적을 시뮬레이션하여 해당 도착 예정일 정보를 단말장치(60)에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AIS수신기(10)는 선박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에, AIS수신기(10)에 의해 선박 위치 정보를 1분 단위로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제공하는 경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해당 AIS수신기(10)를 통해 수집된 선박 위치를 지도상에 연결하여 표시하면 실제 항적과 거의 유사하게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30)을 통한 선박 위치 정보 수집은 일정 시간 주기로 수집되기 때문에 해당 선박 위치를 그대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경우 자연스럽지 못하게 선박 이동 경로가 표출될 수 있다. 이에,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인공위성(30)을 통해 일정 주기로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우에 항적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실제 운항 항적과 유사하게 변환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단말장치(6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60)로 하여금 화면을 통해 선박 이동 경로를 실제 운항 항적과 유사하게 지도상에 표시케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1), 통신부(52), 저장부(53), 입력부(54) 및 표시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51)는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의 제반 구동을 관할하되,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부(52)는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40)을 통해 AIS수신기(10), 위성기지국(20) 및 단말장치(60)와 통신한다.
저장부(53)는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을 제어부(51)에 제공하며,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입력부(54)는 시스템 운영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인가되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51)에 입력한다. 그리고, 표시부(55)는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제반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해당 추적 대상 선박 정보를 저장부(53)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해 AIS수신기(10)와 위성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추적 대상 선박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5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서, 통신부(52)를 통한 단말장치(6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하고,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해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단말장치(60)에 제공하는 경우에 저장부(5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 운용일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항해 목적지 정보에 의거하여 추적 대상 선박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일을 산출하되 선박의 항적을 시뮬레이션하여 해당 도착 예정일 정보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해 위성기지국(20)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우에 항적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실제 운항 항적과 유사하게 변환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한다.
먼저,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의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해당 추적 대상 선박 정보를 저장부(53)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0). 이때,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한 단말장치(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시운전 대상 선박 및 인도 후 보증기간에 있는 선박을 추적 대상 선박으로 지정하되, 인공위성(30)을 통한 위치 정보 수집 대상 선박에 대해서는 선주사로부터 위치수집동의서를 접수한 경우에만 추적 대상 선박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의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해 AIS수신기(10)와 위성기지국(20)으로부터 수집한 추적 대상 선박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5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0). 이때, AIS수신기(10)는 추적 대상 선박이 80Km 내의 거리에 위치한 경우에 자동으로 선박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제공하고, 80Km 이상을 벗어난 거리에 위치한 추적 대상 선박에 대해서는 위성기지국(20)이 인공위성(30)에 의해 수집된 선박 위치 정보를 일정 주기로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에 제공한다.
또한,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의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한 단말장치(6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60)로 하여금 화면에 지도상 선박 위치를 표시케 한다(S300). 이때, 제어부(51)는 저장부(5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 운용일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항해 목적지 정보에 의거하여 추적 대상 선박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일을 산출하되 선박의 항적을 시뮬레이션하여 해당 도착 예정일 정보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아울러,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의 제어부(51)는 통신부(52)를 통한 단말장치(6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60)로 하여금 화면에 지도상 선박 이동 경로를 표시케 한다(S400). 이때, 제어부(51)는 위성기지국(20)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우에, 항적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실제 운항 항적과 유사하게 변환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6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50)은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AIS수신기와 인공위성을 통해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서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제공하되, AIS수신기에 의해 80Km 거리 이내에 위치한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위성기지국을 통해 80Km 거리 이상에 위치한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함으로써, AIS수신기로부터 80Km 거리 이상에 위치한 선박에 대해서도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므로 선박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선박에 필요 자재를 선적하거나 사후서비스 인력을 파견하는 처리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건조회사에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주에게 인도한 선박의 사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경우에 AIS수신기와 인공위성을 통해 수집한 선박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서 선박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제공함으로써, AIS수신기로부터 80Km 거리 이상에 위치한 선박에 대해서도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므로 선박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선박에 필요 자재를 선적하거나 사후서비스 인력을 파견하는 처리를 신속히 진행하게 된다.
10; AIS수신기 20; 위성기지국
30; 인공위성 40; 통신망
50;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 51; 제어부
52; 통신부 53; 저장부
54; 입력부 55; 표시부
60; 단말장치

Claims (6)

  1.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기 및 인공위성에 의해 수집되는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으로서,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IS수신기, 위성기지국 및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박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저장부와,
    수동 조작에 따라 명령 및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해당 추적 대상 선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AIS수신기와 위성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추적 대상 선박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에 제공하고,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4.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기 및 인공위성에 의해 수집되는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선박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으로서,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단말장치로부터 추적 대상 선박을 지정받고서 해당 추적 대상 선박 정보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AIS수신기와 위성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한 추적 대상 선박의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위치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이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박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상의 선박 이동 경로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선박 위치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 운용일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항해 목적지 정보에 의거하여 추적 대상 선박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일을 산출하되 선박의 항적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한 도착 예정일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선박 이동 경로를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상 선박 이동 경로에 대하여 항적 보정 처리하여서 실제 운항 항적과 유사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이동 경로 추적 방법.
KR1020120114639A 2012-10-16 2012-10-16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8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639A KR20140048550A (ko) 2012-10-16 2012-10-16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639A KR20140048550A (ko) 2012-10-16 2012-10-16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550A true KR20140048550A (ko) 2014-04-24

Family

ID=5065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639A KR20140048550A (ko) 2012-10-16 2012-10-16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5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88A (ko) * 2015-03-18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별 항적 추출 및 전시 시스템
KR20180117933A (ko) * 2017-04-20 2018-10-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상 선박의 운항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07834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네비웍스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2237B1 (ko) * 2020-06-09 2021-01-13 주식회사 콤라인 선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6108A (ko)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콤라인 선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44599B1 (ko) 2023-09-13 2024-03-08 (주)와이오엘 수출입 화물 운송을 위한 글로벌 공급망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88A (ko) * 2015-03-18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별 항적 추출 및 전시 시스템
KR20180117933A (ko) * 2017-04-20 2018-10-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상 선박의 운항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07834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네비웍스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6108A (ko)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콤라인 선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02237B1 (ko) * 2020-06-09 2021-01-13 주식회사 콤라인 선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251649A1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콤라인 선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44599B1 (ko) 2023-09-13 2024-03-08 (주)와이오엘 수출입 화물 운송을 위한 글로벌 공급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550A (ko)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A2776434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chronicling the activities of field technicians
CN101742255B (zh) 电力现场作业视频自动监控系统
JP5069936B2 (ja) 資材保管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WO2013052451A4 (en) Data cent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having real time enhanced reality tablet
US20140330604A1 (en) Operato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N109656252A (zh) 一种基于agv的中控调度系统和定位导航方法
CN204408502U (zh) 应用蓝牙定位进行自动巡逻之机器人监控系统
CN106225766A (zh) 基于3s技术的构筑物沉降监测分析监管方法
CN111652439B (zh) 一种派送点派件量的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KR101890283B1 (ko) 실내외 측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측위시스템
CN112541684A (zh) 一种基于bim的应急调度指挥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CN104951883B (zh) 一种采用机器视觉技术的土石坝工程施工调度辅助系统
CN107219825A (zh) 自我控制
KR20140048547A (ko) 선박 운항 항적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3316160B (zh) 一种基于mr的基站设备的运维方法、系统及存储介质
JP2012027274A (ja) 送電線巡視支援システム
JP5691882B2 (ja) 緊急指令システム
CN103886418A (zh) 一种引航员海上作业监控方法及装置
CN110910042A (zh) 基于gps技术的电力野外高空作业行为评估方法及系统
JP2020198024A (ja) 遠隔管制システムおよび遠隔管制方法
JP2007028723A (ja) 点検工事管理装置、点検工事管理システム、及び点検工事管理方法
KR101774642B1 (ko) 점검자용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자용 시설물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CN204777030U (zh) 用于仓储系统的声光结合定位系统
KR102103643B1 (ko) 센서를 이용한 물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