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340A -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340A
KR20190078340A KR1020170180200A KR20170180200A KR20190078340A KR 20190078340 A KR20190078340 A KR 20190078340A KR 1020170180200 A KR1020170180200 A KR 1020170180200A KR 20170180200 A KR20170180200 A KR 20170180200A KR 20190078340 A KR20190078340 A KR 20190078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training
marin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678B1 (ko
Inventor
원준희
구본홍
이성후
한차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to KR102017018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6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 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지휘 체계 훈련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TROLLING APPARATUS FOR MARINE TRAI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난 현장 지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고 현장을 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 구축과 이를 활용한 가상 훈련 체계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예컨대, 국내 외 시나리오 제작을 활용한 가상 소방 훈련시스템의 도입으로부터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육지와 더불어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해양사고와 관련된 가상훈련 시나리오 구축 및 이를 활용한 해양구조훈련 가능 방안의 모색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육지 및 해양을 막론한 재난 상황에 대비한 가상 훈련 체계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가상훈련시스템이 마련되었으며, 이를 통해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의 효율적인 사전 훈련이 가능해진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한편, 재난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선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의 사전 훈련뿐만 아니라, 재난 상황 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재난 현장 지휘의 중요성 또한 매우 크다 할 것이다.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의 효율적인 사전 훈련을 위한 가상훈련시스템은 마련되어 있는 반면, 이러한 가상훈련시스템을 활용하여 지휘 체계 훈련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 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는 지휘 체계 훈련 환경을 마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는,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으로부터 식별정보와 해상위치정보를 포함한 선박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선박제원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상기 선박제원정보가 상기 해상위치정보와 함께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해상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선박의 이동에 따른 선박이동경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선박이동경로가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에서 지원하는 위성측위시스템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 이동방향, 및 현재속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이 상기 해상훈련현장 내 위치한 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처리부는, 상기 선박간통신신호를 기초로 상기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처리부는, 상기 위경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2 이상의 선박이 설정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의 표시배율이 임계치 이상의 고배율로 확대된 경우, 상기 2 이상의 선박이 상호간에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선박 각각의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처리부는, 상기 2 이상의 선박 중 임의 선택된 특정 선박을 기준 선박으로 지정하며, 상기 기준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에서 상기 기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나머지 선박에 대한 상기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여, 확인된 이격 거리만큼 상기 나머지 선박의 위경도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의 동작 방법은,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으로부터 식별정보와 해상위치정보를 포함한 선박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선박제원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상기 선박제원정보가 상기 해상위치정보와 함께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 및 상기 해상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선박의 이동에 따른 선박이동경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선박이동경로가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에서 지원하는 위성측위시스템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 이동방향, 및 현재속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이 상기 해상훈련현장 내 위치한 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처리단계는, 상기 선박간통신신호를 기초로 상기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처리단계는, 상기 위경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2 이상의 선박이 설정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의 표시배율이 임계치 이상의 고배율로 확대된 경우, 상기 2 이상의 선박이 상호간에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선박 각각의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처리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선박 중 임의 선택된 특정 선박을 기준 선박으로 지정하며, 상기 기준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에서 상기 기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나머지 선박에 대한 상기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여, 확인된 이격 거리만큼 상기 나머지 선박의 위경도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서는,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 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지휘 체계 훈련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화면의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 관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 관제 시스템은, 해상통신망을 통해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부터 수신되는 선박정보를 기반으로 원격의 해상훈련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양사고 대응훈련에 대한 관제 환경을 제공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해상훈련관제장치(100)는 전자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해양사고 대응훈련에 대한 관제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해상훈련현장과는 별도로 지휘 체계 훈련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컴퓨터(PC) 또는 이러한 컴퓨터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해상훈련관제장치(10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부터 선박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해상통신망의 경우, 해안선으로부터 원 거리(예: 100Km)에 해당하는 천해 혹은 외해까지의 해상영역을 커버리지로 확보하기 위한 통신망을 일컫는 것으로서, 어선, 연안 여객선, 소형선 등을 대상으로 예컨대, 전자해도,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및 해양안전정보 서비스 컨텐츠 제공하거나, 사고취약선박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해상통신망은 육상영역에서 상용화된 초고속 무선 통신 기술인 예컨대, Band28(700MHz대역) 주파수 대역의 LTE 기술을 활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또한, 해상통신망은 코어(Core) 시스템과 액세스(Access)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액세스 시스템은, DU(Digital Unit), RRU(Radio Unit), 고이득 안테나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코어(Core) 시스템은 육상영역을 커버리지로 하는 상용통신망의 코어 시스템을 활용한 것으로서, 예컨대,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EPC(Evolved Packet Core)와 기지국 및 제어국 등의 구성 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EMS(Element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EPC에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HSS(Home Subscriber Server), PCR(Policy Charging Rules), 및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 관제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 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는 지휘 체계 훈련 환경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해상훈련관제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는 선박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10), 선박정보를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시켜 표시 처리하는 정보처리부(20), 및 해상훈련현장에서의 선박의 이동경로를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시켜 표시 처리하는 이동처리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부(10), 정보처리부(20), 및 이동처리부(30)를 포함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1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해상훈련관제장치(100) 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해상훈련관제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해상통신망과 연계한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4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4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원격에서 관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해상훈련관제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부(10)는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부터 선박정보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10)는 지휘 체계 훈련을 위한 상황도가 실행되면,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부터 식별정보와 해상위치정보를 포함한 선박정보를 해상통신망을 통해서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해상위치정보는, 예컨대, 선박에서 지원하는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와, 이동방향, 및 현재속력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위치정보는 이처럼 위성측위시스템을 통해서 획득되는 정보 이외에, 각각의 선박이 해상훈련현장 내 위치한 타 선박과 예컨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서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박간통신신호는, 위성측위시스템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신호로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다루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지휘 체계 훈련을 위한 상황도를 실행함에 있어서, 상황도에 표시되는 지도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3에서는 상황도 내 지도를 선택할 수 있는 UI 화면을 예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20)는 선박정보를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시켜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처리부(20)는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 선박정보가 획득되면, 선박정보 내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선박제원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선박제원정보가 해상위치정보와 함께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선박심볼과 매칭된다는 것은, 상황도 내 선박심볼이 선택(클릭)되는 경우, 해당 선박에 대한 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되는 정보의 항목은 예컨대, 아래 [표 1]과 같으며, 실제 상황도에서 표시되는 UI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항목 설명 예시
선박 번호 선박 번호입니다. 33062
선박명 선박 이름입니다. RescueVessel
위도 선박 위치의 위도입니다. 35:08:60 N
경도 선박 위치의 경도입니다. 129:07:26 E
방위 선박의 방향입니다. 177.42
고도 선박의 고도입니다. 591.98
속력 선박의 속력입니다. 18.25
이동처리부(30)는 해상훈련현장에서의 선박의 이동경로를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시켜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처리부(30)는 선박정보 내 해상위치정보로부터 선박의 이동에 따른 선박이동경로를 확인하여, 확인된 선박이동경로가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박이동경로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형태(파란색 선)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처리부(30)는 이처럼 선박이동경로에 대한 표시를 처리함에 있어서, 해상위치정보 내 위경도정보와 함께, 전술한 선박간통신신호를 활용하게 된다.
즉, 이동처리부(30)는 해상위치정보 내 위경도정보를 이용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의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 선박이 서로 설정거리(예: 15m)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며, 상황도의 표시배율이 임계치 이상의 고배율로 설정되어 확대 처리된 상태인 경우, 해상훈련현장 내 선박들의 세부 위치를 고배율로 확대된 상황도에 정밀하게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박간통신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처리부(30)는 해상훈련현장 내 설정거리 이내로 근접한 선박들 중 특정 선박을 기준 선박으로서 임의 지정하고, 기준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에서 기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나머지 선박에 대한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처럼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나머지 선박에 대한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확인된 이격 거리만큼 나머지 선박 각각의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함으로써, 고배율로 확대된 상황도에 각각의 선박의 위치 관계를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의 구성에 따르면,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 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지휘 체계 훈련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정보 및 제원을 파악하여 훈련 시 정확하고 사실적인 훈련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선박 움직임을 파악하여 경로의 최적화를 통하여 재난상황 시 골든타임을 지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획득부(10)는 지휘 체계 훈련을 위한 상황도가 실행되면,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부터 식별정보와 해상위치정보를 포함한 선박정보를 해상통신망을 통해서 획득한다(S10-S20).
여기서, 해상위치정보는, 예컨대, 선박에서 지원하는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와, 이동방향, 및 현재속력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위치정보는 이처럼 위성측위시스템을 통해서 획득되는 정보 이외에, 각각의 선박이 해상훈련현장 내 위치한 타 선박과 예컨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서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지휘 체계 훈련을 위한 상황도를 실행함에 있어서, 상황도에 표시되는 지도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앞서 예시한 도 3에서는 상황도 내 지도를 선택할 수 있는 UI 화면을 예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정보처리부(20)는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로 선박정보가 획득되면, 선박정보 내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선박제원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선박제원정보가 해상위치정보와 함께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S30-S40).
여기서, 선박심볼과 매칭된다는 것은, 상황도 내 선박심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선박에 대한 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되는 정보의 항목은 예컨대, 앞서 예시한 [표 1]과 같으며, 실제 상황도에서 표시되는 UI의 형태는 앞서 예시한 도 4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동처리부(30)는 선박정보 내 해상위치정보로부터 선박의 이동에 따른 선박이동경로를 확인하여, 확인된 선박이동경로가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50-S60).
이때, 선박이동경로는 앞서 예시한 도 5에서와 같은 UI 형태(파란색 선)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처리부(30)는 이처럼 선박이동경로에 대한 표시를 처리함에 있어서, 해상위치정보 내 위경도정보와 함께, 전술한 선박간통신신호를 활용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처리부(30)는 해상위치정보 내 위경도정보를 이용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선박들의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 선박이 서로 설정거리(예: 15m)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며, 상황도의 표시배율이 임계치 이상의 고배율로 설정되어 확대 처리된 상태인 경우, 해상훈련현장 내 선박들의 세부 위치를 고배율로 확대된 상황도에 정밀하게 표시하기 위해 선박간통신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S51-S53).
이때, 이동처리부(30)는 해상훈련현장 내 설정거리 이내로 근접한 선박들 중 특정 선박을 기준 선박으로서 임의 지정하고, 기준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에서 기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나머지 선박에 대한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S54).
이어서, 이동처리부(30)는 이처럼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나머지 선박에 대한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확인된 이격 거리만큼 나머지 선박 각각의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함으로써, 위경도정보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고배율로 확대된 상황도에 각각의 선박의 위치 관계를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S5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 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지휘 체계 훈련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정보 및 제원을 파악하여 훈련 시 정확하고 사실적인 훈련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선박 움직임을 파악하여 경로의 최적화를 통하여 재난상황 시 골든타임을 지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해양사고 대응훈련과 관련하여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들의 훈련상황을 전자해도 기반의 상황도를 통해서 관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해상훈련관제장치
10: 획득부 20: 정보처리부
30: 이동처리부

Claims (11)

  1.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으로부터 식별정보와 해상위치정보를 포함한 선박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선박제원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상기 선박제원정보가 상기 해상위치정보와 함께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해상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선박의 이동에 따른 선박이동경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선박이동경로가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에서 지원하는 위성측위시스템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 이동방향, 및 현재속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이 상기 해상훈련현장 내 위치한 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처리부는,
    상기 선박간통신신호를 기초로 상기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리부는,
    상기 위경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2 이상의 선박이 설정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의 표시배율이 임계치 이상의 고배율로 확대된 경우,
    상기 2 이상의 선박이 상호간에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선박 각각의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리부는,
    상기 2 이상의 선박 중 임의 선택된 특정 선박을 기준 선박으로 지정하며,
    상기 기준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에서 상기 기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나머지 선박에 대한 상기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며,
    확인된 이격 거리만큼 상기 나머지 선박의 위경도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
  6.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으로부터 식별정보와 해상위치정보를 포함한 선박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선박제원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상기 선박제원정보가 상기 해상위치정보와 함께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 및
    상기 해상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선박의 이동에 따른 선박이동경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선박이동경로가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 내 선박심볼과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에서 지원하는 위성측위시스템을 기반으로 계산된 위경도정보, 이동방향, 및 현재속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선박이 상기 해상훈련현장 내 위치한 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처리단계는,
    상기 선박간통신신호를 기초로 상기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리단계는,
    상기 위경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상훈련현장에 위치한 2 이상의 선박이 설정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전자해도 기반 상황도의 표시배율이 임계치 이상의 고배율로 확대된 경우, 상기 2 이상의 선박이 상호간에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선박 각각의 위경도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리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선박 중 임의 선택된 특정 선박을 기준 선박으로 지정하며,
    상기 기준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선박에서 상기 기준 선박과 송수신한 선박간통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나머지 선박에 대한 상기 기준 선박과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며,
    확인된 이격 거리만큼 상기 나머지 선박의 위경도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훈련관제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80200A 2017-12-26 2017-12-26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00A KR102030678B1 (ko) 2017-12-26 2017-12-26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00A KR102030678B1 (ko) 2017-12-26 2017-12-26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340A true KR20190078340A (ko) 2019-07-04
KR102030678B1 KR102030678B1 (ko) 2019-11-08

Family

ID=6725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200A KR102030678B1 (ko) 2017-12-26 2017-12-26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6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550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3278A (ko) * 2013-12-20 2015-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더기반 관제시스템에서 어선 입출항 통보용 해양경비안전망의 정보와 결합한 자동적 레이더 융합 추적처리 방법
KR20150139323A (ko) * 2014-06-03 2015-12-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성 통신과 애드혹 통신을 활용한 선박 충돌 방지 방법
KR20170019992A (ko) * 2015-08-13 2017-02-22 고윤호 비콘 태그를 이용한 연근해 선박의 입출항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550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3278A (ko) * 2013-12-20 2015-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더기반 관제시스템에서 어선 입출항 통보용 해양경비안전망의 정보와 결합한 자동적 레이더 융합 추적처리 방법
KR20150139323A (ko) * 2014-06-03 2015-12-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성 통신과 애드혹 통신을 활용한 선박 충돌 방지 방법
KR20170019992A (ko) * 2015-08-13 2017-02-22 고윤호 비콘 태그를 이용한 연근해 선박의 입출항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678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8384B2 (en) Simulation system and testing method of AIS signals for airborne receiver
CN105190344B (zh) 准确位置信息的装置间传送
JP6199402B2 (ja) フロアプラン上へのap配置を最適化および能率化(streamline)するための方法
US9451577B2 (en)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7852228A (zh) 卫星通信位置报告和寻呼
CN105116390B (zh) 面向海用雷达标校的测量值与ais真值点对构建方法
KR101103333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상교통정보 제공방법
CN106991185A (zh) Ota网站的酒店经纬度信息维护方法及系统
CN108028698A (zh) 在没有指南针的情况下捕获leo卫星
CN108769928B (zh) 基于船舶位置的海域通信波束协同控制方法和系统
US20150119081A1 (en) Situational awareness personal service
JP61719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318860A (zh) Lora终端定位方法、系统以及lora物联网管理平台
CN110892760A (zh) 基于深度学习定位终端设备
CN109496303A (zh) 监听数据的展示方法及装置及无人机监听系统
KR20160113841A (ko) 드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7508788A (zh) 用于保护ads‑b消息的隐私的系统和方法
CN106131793A (zh) 一种室内定位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9872360A (zh) 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终端
CN107966719B (zh) 一种基于信号解码和概率筛选的单星定位增强系统及方法
CN109827573B (zh) 坐标系的判断方法、系统及应用
KR20190078340A (ko) 해상훈련관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357459A1 (en) A device, a system,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interfering devices in position measurements
Alamgir et al. Chittagong university teachers' bus tracking system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CN104540222A (zh) 基于虚拟采样点的室内终端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