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286A - 비세정 장치 및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소자를 구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세정 장치 및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소자를 구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286A
KR20140048286A KR1020147004070A KR20147004070A KR20140048286A KR 20140048286 A KR20140048286 A KR 20140048286A KR 1020147004070 A KR1020147004070 A KR 1020147004070A KR 20147004070 A KR20147004070 A KR 20147004070A KR 20140048286 A KR20140048286 A KR 20140048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assembly
reservoir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831B1 (ko
Inventor
마틴 알. 호케
로버트 디. 쉴링
Original Assignee
라이노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노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이노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4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4Appliances for sand, mud, wax or foam baths; Appliances for metal baths, e.g. using metal salt solutions
    • A61H2033/048Baths using solutions, e.g.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1Cassett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세정 장치는 세정제를 장치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기계 모듈 및 저장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한편, 카트리지를 구비한 염분 공급원을 포함하며, 염분 공급원은 저장소 어셈블리에 카트리지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해 덮개가 폐쇄되면 카트리지를 천공시키는 덮개 어셈블리에 인근하여 기계 모듈 내에 배치된다. 비세정 장치의 작동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모조 캡슐은 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편향식 로드, 및 하우징 벽에 매달린 플랜지를 포함하고, 로드와 플랜지는 비세정 장치의 트리거 어셈블리를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비세정 장치 및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소자를 구비한 시스템{NASAL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WITH FAUX COLLAPSIBLE CARTRIDGE ELEMENT}
본 출원은 2011. 07. 18.자 출원된 미국 출원 시리얼 제61/508,767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은 2007. 3. 06.자 출원된 미국 출원 시리얼 제60/893,191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2008. 03. 05.자 출원된 미국 출원 시리얼 제 12/042,906호와 2008. 12. 11.자 출원된 미국 출원 시리얼 제61/121,643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2009. 12. 10.자 출원된 미국 출원 시리얼 제12/635,253호의 CIP 출원이며, 이 모든 출원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으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비세척(nasal lavage) 또는 비세정(鼻洗淨: nasal irrigation)으로 알려진 비강(鼻腔) 및 그 해부학적 구멍을 세척, 세정, 헹굼, 및 수화(水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강과 부비강 질병, 및 부비강 관련 증후군과 증상은 상당히 많은 환자수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실질적 직접 경비가 소요되고, 이 병에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충격을 주는 일반적인 임상학적 문제이다. 질병고통 집단의 4개의 주요범주는 다음과 같다: 1) 급성 및 만성 비부비동염을 가진 개인; 2)상기도감염(upper respiratory infections)을 가진 개인; 3)알레르기성 비염을 겪는 개인; 및, 4)만성 코골이 문제를 가진 개인. 이 4개의 범주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수백만에 이르며, 이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비출혈(鼻出血)을 겪고 있다.
피복 점막, 자극원, 및 이물질 입자를 세척하기 위해, 그리고 공기흐름을 개선하고 비출혈(鼻出血)을 완화할 목적으로 비개골(鼻介骨)을 수축하기 위해, 저염수 비강 및 부비강 욕(浴)이 말그대로 수천년간 많은 문화권에서 광범위하게 실행되어 왔다. 보다 최근래에는, 특히 약 1990년 이래에는, 상당수의 공동심의된 임상적 시도가 미국과 유럽의 선도적 의과대학과 연구센터에서 수행되어서 비세정의 실행 결과로서 비질환의 증세가 경감되었다는 일화적 주장이 적절한 근거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과학적 정밀조사를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비세정 방식이 흐름 염수에 비강을 노출시켜 부비강 관련 질병의 증세를 치료하기 위한 임상적으로 증명된 방법임을 나타내고 있다. 비세정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정확한 도구가 의학적, 과학적 연구 공동체를 통해서는 아직 잘 알려지있지 않지만, 이러한 도구는 다면적인 경향이 있고, 개별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비점막의 개선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많은 생리학적 효과를 포함하고 있어 염증 매개체와, 기타 비염, 천식, 및 기타 만성적 점막 반응의 촉발기의 병리학적 효과를 다음과 같이 감소시킨다. 첫째, 이러한 도구는 비강의 내부 전체를 헹구는 한편, 부비강을 비강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소공(小孔)을 차단하는 피복물(콧물, 코딱지 등)을 세척하며, 그 결과 부비강의 내용물이 적절하게 비강으로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부비강이 박테리아 군집화를 위한 번식지가 되는 유인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둘째, 이러한 도구는 비강에서 점막의 점성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내부 피복물의 형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셋째, 이러한 도구는 부비강으로 연결된 구멍을 포함하는 비강의 내표면에, 그리고 종종 부비강 자체에 소량의 염분 잔여물을 남긴다. 이러한 잔여물은 염분이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해하는 고유의 항균성 특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롭다. 넷째, 비개골(鼻介骨)과, 그리고 공기가 폐에 도달하기 전에 코를 통해 불어 넣어진 공기에 온기와 습기를 부여하는 관조직을 염분에 노출시킬 경우, 일반적으로 비개골과 관조직은 치수 감소가 발생하므로, 결과적으로 비출혈을 감소시킨다. 다섯째, 이러한 도구는 섬모 출렁임(beat) 빈도의 증가로 인해 점액 섬모 청정화를 향상시키고, 그 결과 자연적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점막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여섯째, 염분은 기균(氣菌), 바이러스성 입자, 자극원, 및 감염과 알레르기를 야기하는 기타 다른 이물질을 세척한다.
비강을 세정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대기압에 대해 상대적으로 플러스 또는 정(正)의 값을 갖는 압력(정압), 및 대기압에 대해 상대적으로 마이너스 또는 부(負)의 값을 갖는 압력(부압). 정압은 2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첫째는 중력에 의한 것이고, 둘째는 만들어진 압력(제조 압력)에 의한 것이다. 부압은 진공 또는 흡입으로도 불리우며, 역시 2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첫째는 해부학적으로 코 흡입 또는 킁킁거리는 것에 의한 것이고, 둘째는 만들어진 흡입(제조 흡입)에 의한 것이다.
중력에 의존하는 정압 장치는 예를 들면 티포트(teapot)형 주둥이 끝을 일측 콧구멍에 삽입하여 염분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 비강 내에 염분이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 염분은 비중격(鼻中隔)의 후연(後緣) 주변에 흘러서 사용자의 타측 콧구멍으로 나온다. 중력 기반 장치의 일예가 네티 포트(neti pot)이다. 그러나, 이러한 헹굼이 필요하지만 다루기 어려운 물리적 위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비강 통로로부터 자유로이 흐르는 오수는 지저분하여 실질적인 소제 과정이 필요하다.
제조 압력에 의존하는 정압 장치의 경우, 일측 콧구멍 속으로 염분을 도입시키고, 비중격의 후연 부근에 염분을 제조 압력 하에서 강제로 두고, 이어서 타측 콧구멍으로 염분을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비강 내로 염분을 다시 펌프질 한다. 이러한 과정은 예를 들면 염분이 충전된 가요성 플라스틱 보틀의 노즐을 일측 콧구멍 내에 배치하고 염분을 짜내서 일측 콧구멍 내로 주입하고, 비강을 경유하여 타측 콧구멍으로 배출시켜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기계적 펌프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하에서 유사하게 염분을 비강에 강제로 공급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이 중력 강제식 흐름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물리적인 까다로움을 어느 정도 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결함의 문제와 부수적인 소제(cleaning) 어려움의 문제가 남는다. 또한, 스퀴즈 보틀에 의해 부여되는 가변적 압력이 비강 통로 전체에 걸쳐, 특히 유스타키오관 소공(小孔)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고, 고통스럽고, 심지어 해로운 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적절한 사용을 위해 어느 정도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부압, 제조 압력에 의존하는 초기 비세척 장치는 수용 보틀에, 또는 직접 비강에 흡입을 부여하여 제조 압력이 비강을 통해 염수용액을 도출하였으며,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크고, 비휴대용이며, 복잡하고, 조작하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참여하는 의료진 또는 의료보조진의 조작을 위해 감독과 보조지원을 요구한다.
단독형 휴대용 수집 장치에서, 중력식, 또는 해부학상, 또는 제조식과는 상관없이 정압 및 부압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용적 비세척 능력을 부여하는 실용적 장치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세정제를 장치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기계 모듈 및 저장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한편, 카트리지를 구비한 염분 공급원을 포함하며, 염분 공급원은 저장소 어셈블리에 카트리지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해 덮개가 폐쇄되면 카트리지를 천공(piercing)시키는 덮개 어셈블리에 인근하여 기계 모듈 내에 배치되는 비세정(鼻洗淨) 장치가 요구된다.
통제되고 부드러운 공급방식으로 비강을 안전하게 세척할 수 있고, 부드러운 동력공급식 흡입력 하에서 비강을 통해 세정제를 인출하고 신속하고도 용이한 처리를 도모하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오수를 수집할 수 있고, 광범위하고도 다양한 비(鼻) 치수에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편리한 휴대용 장치가 요구된다.
세정제를 장치에 충전하기 위해 용이하게 수송가능한 캡슐을 이용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비세정 장치 및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치에 개폐 덮개와 염분 농축 캡슐이 수용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덮개 폐쇄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기계 모듈, 특히 그 기계 모듈의 바닥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염분 농축 갭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캡슐을 도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모조 캡슐 소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비세정(鼻洗淨) 장치 또는 제어기(A)를 도시하며, 여기서 바람직한 염분용액은 비세정, 비세척을 위해 사용자의 비강에 전달되고, 비강을 떠나면 수집 저장소에 수집된다. 이러한 염분 기반 요법은 자체로 공지된 것이지만, 그 대상물 전달 시스템은 용액의 보틀을 요하는 장치와는 반대로, 툴의 휴대성 강화를 위해 일회용 카트리지 농축물 공급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신규한 것이다. 종래 공지의 시스템은 사전에 만들어진 공급 보틀을 이용하거나 스퀴즈 보틀 또는 네티 포트(neti pot)에서 소금 팩을 혼합하는 것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세정 장치(A)는 기계 모듈 어셈블리(10), 상부 저장소 어셈블리(12), 및 하부 저장소 어셈블리(14)로된 3개의 주요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기계 모듈(10)은 사용자의 콧구멍을 비(鼻) 베게 또는 노즐(22)에 결합하기 위한 비(鼻)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하며, 여기서 비 베게 또는 노즐(22)은 콧구멍 속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콧구멍 개구 둘레를 밀봉하게 되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온/오프 스위치(24)는 하부 저장소(14)를 비우게 하고(그 내용물을 배출하고) 하부 저장소(14)와 사용자의 비강에 차동압력을 부여하는 소형 펌프를 구동시키고, 또한 유동체 방출 밸브(72)(도 4)를 구동시켜 상부 저장소로부터 하부 저장소로 연결되는 전체 유동체 통로를 통해 염분의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스위치(24)는 2단식 액튜에이터가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1단은 펌프를 시동시키고, 제2단은 상부 저장소로부터 기계 모듈을 경유하여 궁극적으로는 하부 저장소(14)로 이어지는 유동체의 흐름을 위해 밸브(72)를 개방한다. 물을 힌지식 덮개(26)의 개방을 통해 상부 저장소(12)에 주입하고 염분 농축 캡슐(도 5)을 삽입하여 덮개를 폐쇄하면 농축물이 물과 함께 혼합물이 되며, 그 결과 세정용 등장성(isotonic) 염분 용액을 형성하기 위한 염분 혼합이 이루어진다.
도 2는 소제(cleaning) 목적으로 어셈블리를 해체할 때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노즐(22)은 노즐 포스트(28)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노즐 포스트(28)는 동축 턴테이블 장착부(30)에 매달리며, 동축 턴테이블 장착부(30)는 동축 턴테이블 수용기(32)와 밀봉결합되도록 장착되고, 그 결과 세정제는 먼저 제1노즐(22)로부터 일측 콧구멍으로 전달되고 콧구멍으로부터 제2노즐(22)을 통해 수용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동축 턴테이블 장착부(30)는 용이하게 회전가능하여 비강을 통과하는 흐름 방향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역전시킬 수 있다. 노즐들 중 일 노즐은 항상 턴테이블 위치와 관계없이, 유동체를 전달(공급)할 수 있는 반면, 타 노즐은 항상 유동체를 수용한다. 따라서, 제1노즐은 항상 인터페이스에서 세정제 공급 채널(33)과 연통하고, 타 노즐은 항상 세정제 오수 채널(35)과 연통한다.
기계 모듈 어셈블리(10)는 개폐 덮개(26)를 가진 카트리지 또는 캡슐 타워 어셈블리(40)를 포함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카트리지(B)가 타워 내에 수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덮개(26)가 개방되고 캡슐(B)이 덮개 폐쇄 및 캡슐 천공(piercing)에 앞서 수용된 것을 도시한다. 정품(authentic) 캡슐(B)은 신규한 것으로 미사용된 캡슐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조립되면서 세정제가 장전될 때, 시스템은 사용자의 비강에 대해 밀봉될 때 유동체 압력에 대해 폐쇄된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다소의 진공을 초래하는 차동형 부압이 하부 저장소(14)에 부여되고, 그에 따라서 유동체가 상부 저장소(12)로부터 기계 모듈(10), 비 인터페이스(30), 사용자의 비강을 경유하여 하부 저장소(14)로 낙하한다. 차동 압력의 양은 상대적으로 경미하지만, 사람의 비강 저항과 상부 저장소(12)에서 배출되는(evacuating) 세정제로 인한 기울어지는 헤드 압력을 모두 합한 힘의 조합을 극복하기에는 정확히 충분하다.물의 6 인치 내지 24인치 사이의 어느 부압이 적합할 것이다. 하부 저장소(14)는 기계 모듈(10)에 대해 기밀해야 하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밀부에 대해서는 바요넷(bayonet) 방식의 비틀림 장착부가 효과적이며, 기밀부는 이 경우 하부 저장소 개구(42)의 상부 외측 테투리와 접촉하는 모듈(10)의 하부벽 상에 배치되는 탄성중합체 결합밀봉부(10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요넷(44)은 유입구 플랜지(43)에 배치되고, 모듈 유출구 포트(39)에서 바요넷 수용 슬롯(37)에 수용된다(도 6). 하부 저장소(14)는 또한 저장소 내부에 소제를 위한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바닥벽에 위치하는 플러그(46)를 포함한다(도 4). 동작 중에, 먼저 하부 저장소는 개구(42)와 기계 모듈(10) 사이에서 약간의 회전각도로 정렬되고, 이후 도 1에 도시한 위치로 다소 회전되어 기계 모듈(10)에 삽입된다. 접촉식 "클릭"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저장소가 모듈(10)에 대해 적절하게 밀봉되었음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비틀림 클릭 지시에 의해 상부 저장소(12)도 하부 저장소와 마찬가지로 기계 모듈(10)에 적용되며, 유사하게 탄성중합체 밀봉부로 모듈(10)에 대해 밀봉되어 세정제가 사용 중에 또는 사용 전에 저장소(12)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동체가 상부 저장소로부터 배출될 때 공기가 상부 저장소로 인입되어 세정제가 시스템을 통해 적절히 낙하해야할 목적 때문에 상부 저장소가 기밀하게 밀봉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도 1, 도 3 및 도 4에서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부 저장소(12)는 타워 어셈블리(40) 주변에 근접하여 수용된다.
모듈(10)의 하부 벽(71)(도 4)은 개구(42)와 대향하는 2개의 유동체 개구를 포함한다. 제1개구는 펌프 유입 포트(73)로서 펌프(70)에 의해 저장소(12)로부터 공기를 도출하기 용도이고, 제2개구는 유동체 유출 포트(75)로서 사용자 비강을 세척한 세정제 오수가 저장소(14)로 낙하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용도이다. 공기 유입 포트는 플로트 밸브 및 커버(79)에 의해 보호되어 세정제가 모듈(10)로 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배터리는 접근용 도어(100)를 통해 교체가능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덮개(26)는 전형적으로 랫치 캐치 어셈블리(latch catch assembly)가 포함된 푸쉬버튼(50)을 통해 개방된다. 덮개(26)는 결합부재(52, 54)를 포함하며, 이 결합부재(52, 54)는 특별히 캡슐(B)의 특정 영역과 결합하여 정품 캡슐(B)이 사용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기능하고, 결합부재(52, 54)는 캡슐 및 전기적 기계적 스위치와 협동하여 유동체 흐름 및 펌프 동작을 인에이블 하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캡슐(B)은 파쇠가능한 플라스틱 하우징(63)과 이 하우징(63)에 밀봉되는 천공(piercing) 가능한 포일(foil) 덮개(65)로 구성된다. 캡슐 타워 어셈블리(40)는 오목형 시트 구역(56)을 구비하며, 이 시트 구역(56)은 캡슐의 전체 외부 구조와 상대 결합하여 타워 어셈블리 내에서 캡슐과 밀접하게 감합하고, 그에 따라서 파쇠, 천공, 및 적절한 캠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시트(56)에 복수의 티드(teeth) 또는 블레이드(77)가 수용되어 덮개의 폐쇄 운동을 통해 캡슐이 압축되고 파쇠되면서 포일을 천공하며, 그 결과 농축물의 흐름을 인에이블 또는 가능하게 한다. 캡슐 압축으로 인해 밀봉 농축물이 천공(piercing) 하에서 캡슐로부터 폭발하고, 그 결과 세정제 혼합물의 출력도 용이하게 한다.
특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비정품 캡슐을 배척하는 록아웃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개의 서로 다른 독립적 록아웃 액튜에이터가 본 실시예에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정품 캡슐이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시키기 위해 하나 내지 네개 중 개별적으로 어느 조합을 포함하여도 이 부분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범위에 속한다.
캡슐(B)(도 6 및 도 7)은 트리거용 돌기 또는 버튼(64)으로서 도시한 일차 구동 버튼과, 하부벽 플랜지(66)로서 도시한 이차 구동 플랜지를 포함한다. 버튼(64)은 스위치 액튜에이터(60)를 트리거 하기 위한 용도이고, 플랜지(66)는 스위치 로드(62)를 구동(actuate)하기 위한 용도이다. 덮개(26)가 폐쇄되면, 덮개 결합 부재 또는 트리거(54)가 버튼(64)과 결합하고, 그에 따라서 트리거(54)는 캡슐(B)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면서 다소 미끄럼 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슬라이드(67)는 또한 레버(69) 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덮개(26)가 더욱 폐쇄되면, 슬라이드(67)는 링키지(67) 상에 가압되어 2개의 독립적인 결과를 낳는다. 링키지(60)의 단부는 이동하여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24)에 가압하는 것을 금지하는 물리적 록아웃 부재(미도시)를 밀어낸다. 온/오프 스위치의 성공적인 이동에 의해 장치(A)를 동작하는 것을 실패하게 하는 것은 제1보호용 독립 액튜에이터이다. 링키지의 단자 단부는 또한 상개형(常開形)(미도시)으로서 덮개 폐쇄 상태에서 전기회로 차단기의 벨로우즈 커버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링키지(60)에 의해 차단기가 폐쇄되는 것의 실패는 시스템 펌프에 대한 전원 공급을 금지하게 된다. 하부 저장소와 유동체 통로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지 않으면 세정제가 통과될 수 없다. 링키지 회로 차단기는 제2보호용 독립 액튜에이터이다.
덮개가 폐쇄동작을 연속하여 진행함에 따라서, 결합부재(52)는 플랜지(66)와 결합하고, 그에 따라서 플랜지(66)는 액튜에이터 로드(62)에 대해 가압되고 그 결과 로드가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또한 제2회로 차단기(미도시)가 폐쇄된다. 결합부재(52)는 오목부(52C)에 의해 이격된 대향 결합 돌기 또는 표면(52A, 52B)을 포함한다. 폐쇄 과정 중에 정품 플랜지(66)가 표면(52A, 52B)에 브릿지(bridge)되지 않는 한, 덮개가 완전히 폐쇄될 때, 오목부(52C)는 결합부재가 로드(62)의 단자 단부(81)를 이동시키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다시 설명하면, 결합 표면(52A, 52B)은 실질적으로 플랜지(66)에만 결합하고, 이어서 플랜지(66)는 단자 단부(81)와 결합하며, 그 결과 덮개 폐쇄와 함께 로드(62)의 하향 가압이 야기된다. 사용된 또는 파쇠된 캡슐(B)은 플랜지(66)의 원시 위치로부터 변형되기 쉬우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플랜지는 폐쇄중에 단부(81)를 놓칠 수 있다. 주목하는 바와 같이, 로드(62)의 이동 목적은 로드(62)의 반대 단자 단부(미도시)가 상개형(미도시)의 제2회로 차단기의 벨로우즈 커버와 결합하는 것이며, 이 경우 회로 차단기가 폐쇄되지 않는 한 펌프(7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금지된다. 플랜지(66), 로드(62) 및 제2회로 차단기 사이에서의 성공적인 협동 동작은 제3 독립 시스템 록아웃 액튜에이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밸브(72)가 개방될 때까지 세정제는 상부 저장소로부터 흐를 수 없다. 온/오프 스위치(24)는 사용자에 의해 완전 온(on) 위치로 가압되면 밸브(72)를 개방하는 링키지(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는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정품 캡슐만이 스위치(24)가 구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정당하게 인에이블된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밸브(72)가 성공적으로 개방되는 것은 제4독립 록아웃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협동적 구조를 통해 정품으로서 적합하게 혼합된 위생 농축물을 시스템 내에서 이용하는 것을 보장한다. 정품 캡슐(B)이 타워 어셈블리 내에 적절하게 삽입된 이후, 액튜에이터(60, 62)는 온/오프 스위치(24)와 펌프(70) 모두를 인에이블 할 수 있도록 동작(또는 조작)된다. 동작(또는 조작) 중에,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24)를 가압하고, 먼저 펌프를 초기화하여 하부 저장소(14)로부터 공기를 소거 또는 배출하기 시작한다. 양쪽 액튜에이터 어셈블리가 인에이블링 구동에 반하여 스프링으로 편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신의 콧구멍에 인터페이스를 적절히 밀봉시킨 경우 사용자는 약간의 진공을 느낄 수 있다. 스위치(24)의 연속적인 가압을 통해 모듈(10)에서 기계적 링키지(미도시)를 완성하여 밸브(72)의 개방을 완성적으로 인에이블(또는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서 세정제가 이후 기계 모듈의 유동체 통로를 경유하고, 사용자 비강을 경유하여 하부 저장소(14) 내로 흐르기 시작한다. 상부 저장소의 투명 측벽을 통해 유동체를 관찰하는 것에 의하거나, 상부 저장소(12)가 비워짐에 따라서 밸브(72)를 통해 주변공기의 당김에 의해 형성되는 주변 공기압에 대한 시스템 밀봉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감이와서, 상부 저장소로부터 유동체가 배수된 것이 명백할 때까지, 세정 공정이 지속된다. 펌프에 대한 전력은 배터리 팩(80)에 의해 제공되며, 다만 다른 실시예로서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가진 코드 및 플러그의 실시예 역시 대안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이산형 록아웃 액튜에이터 중 선택된 부분을 대신하여,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센서 및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과 같은 전기 제어 시스템을 대안으로서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범위에 속한다.
도 8은 결합 표면(52A, 52B)을 통해 결합할 용도를 가진 캡슐 플랜지부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플랜지가 이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하우징 버팀대(59)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이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버팀대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실시예를 테스트하기 위한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실시예 또는 캡슐이 도시되어 있다. 모조 카트리지 또는 캡슐(80)은 캡슐의 버튼(64) 효과를 자극하기 위해 제1스프링 편향식 로드(82)를 수용하는 하우징(90)과, 캡슐 플랜지(66)의 동작을 자극하기 위한 벽(84)으로 구성된다. 모조 캡슐(80)은 기계 모듈(10)의 타워 어셈블리(40) 내에 수용되어 덮개(26)가 폐쇄될 때 캡슐(B)의 버튼(64)이 링키지와 플랜지(84)를 트리거 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 편향식 로드(82)의 단자 단부가 링키지(60)를 트리거하는 것을 가능하게(또는 인에이블)하고 플랜지(66)가 행하는 것과 같이 로드(62)를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또는 인에이블) 한다. 장치(A)를 성공적으로 테스트하면, 장치로부터 모조 캡슐(80)을 제거하고, 이후 이 모조 캡슐은 제2장치 또는 다른 추가의 장치(A)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로드(82)는 로드 튜브 또는 샤프트(86)에 근접 수용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은 완전 연장된 위치로 스프링(88)에 의해 편향된다. 로드는 하우징의 중앙선으로부터 옵셋된 각도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며, 여기서 하우징은 측벽 슬롯(94)이 형성된 측벽(92)을 포함하며, 슬롯(94)에서는, 교차 핀(96)이 샤프트(86) 내에서 로드(82)를 유지한다. 슬롯(94)은 결합부재(52)와 관련하여 적절한 기능적 위치에 로드(82)의 단자 단부를 위치결정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상기 개시된 특징 및 기타 특징 또는 기능, 또는 그 대체물의 변형, 및 조합으로 다른 형태의 시스템의 형성 또는 응용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17)

  1. 세정제를 장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비세정(鼻洗淨) 장치로서,
    상기 비세정 장치는 기계 모듈 및 저장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한편, 캡슐을 포함하는 염분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염분 공급원은 상기 저장소 어셈블리에 캡슐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해 덮개가 폐쇄되면 상기 캡슐을 개방하는 덮개 어셈블리에 인근하여 상기 기계 모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 어셈블리는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상부 저장소와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하부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비(鼻)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계 모듈에 연관하여 배치되어 상기 상부 저장소로부터 상기 기계 모듈을 경유하고, 상기 비 인터페이스를 경유하고, 다시 상기 기계 모듈을 경유하여 상기 하부 저장소로 연결되는 유동체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모듈은 배출 펌프 및 카트리지 타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라지 타워 어셈블리는 덮개 어셈블리와 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상기 펌프의 동작을 인에이블 하는 한편 상기 캡슐 타워 어셈블리 내에 카트리지가 수용되면서 상기 덮개가 폐쇄되면 상기 유동체 통로의 개방을 인에이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덮개가 폐쇄되면 상기 캡슐과 결합되도록 배치된 액튜에이터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는 상기 기계 모듈의 록아웃 스위치를 트리거하고, 상기 록아웃 스위치는 상기 타워 어셈블리에 정품 캡슐의 존재가 없으면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모듈은 상기 온/오프 스위치와 연관되어 상기 상부 저장소로부터 상기 기계 모듈로 유동체 흐름을 제어하는 유동체 방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덮개가 폐쇄되면 회로 차단기를 폐쇄하는 작동 링키지를 포함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기계 모듈 내에서의 전기 회로 접촉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링키지는 상기 캡슐의 일차 구동 버튼과 결합하도록 배치된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링키지는 상기 캡슐의 이차 작동 플랜지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모듈은 상기 하부 저장소로부터 상기 기계 모듈로 세정제의 상승을 금지하기 위한 플로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장소는 벽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소는 상기 카트리지 타워 어셈블리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세정 장치.
  13. 비세정 장치의 작동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모조 캡슐로서:
    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편향식 로드, 및
    하우징 벽에 매달린 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와 플랜지는 비세정 장치의 트리거 어셈블리를 구동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캡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선으로부터 옵셋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캡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치수를 가진 단자 단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드와 연관된 교차 핀(cross pin)이 수용되는 측벽 슬롯을 구비한 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샤프트에 스프링 편향식 로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7. 제13항에 있어서,
    비세정 장치와 연관되고, 상기 비세정 장치는 힌지식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장치에서 캡슐이 배치되면서 상기 덮개가 폐쇄되면 상기 로드 및 플랜지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록아웃 액튜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캡슐.
KR1020147004070A 2011-07-18 2012-07-17 비세정 장치 및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소자를 구비한 시스템 KR102079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08767P 2011-07-18 2011-07-18
US61/508,767 2011-07-18
PCT/US2012/047055 WO2013012859A1 (en) 2011-07-18 2012-07-17 Nasal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with faux collapsible cartridge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286A true KR20140048286A (ko) 2014-04-23
KR102079831B1 KR102079831B1 (ko) 2020-02-20

Family

ID=4755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070A KR102079831B1 (ko) 2011-07-18 2012-07-17 비세정 장치 및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소자를 구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9833380B2 (ko)
EP (1) EP2734252B1 (ko)
JP (1) JP5999787B2 (ko)
KR (1) KR102079831B1 (ko)
CN (1) CN103764193B (ko)
AU (1) AU2012284195C1 (ko)
BR (1) BR112014001341B1 (ko)
CA (1) CA2842298C (ko)
IL (1) IL230521A0 (ko)
MX (1) MX354213B (ko)
MY (1) MY168354A (ko)
RU (1) RU2608438C2 (ko)
WO (1) WO20130128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843A1 (ko) * 2017-11-13 2019-05-16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9552S1 (en) * 2010-05-03 2015-09-22 Rhinosystems, Inc. Portion cup
BR112014001341B1 (pt) * 2011-07-18 2020-10-20 Rhinosystems Inc dispositivo de irrigação nasal
USD776252S1 (en) * 2012-07-17 2017-01-10 Rhinosystems, Inc. Nasal irrigation device
US10279155B1 (en) 2012-11-02 2019-05-07 Michael B. Siegel Methods and systems for bathing nose and sinus passages
US10537462B1 (en) * 2015-11-06 2020-01-21 Wildhatch, LLC Colostomy appliance with flushable insert
USD911180S1 (en) * 2017-09-29 2021-02-23 Polisport Plásticos, Sa Fuel can
CN109010004B (zh) * 2018-07-12 2020-09-11 孙晓丹 一种鼻科药水冲洗器
CN109044807B (zh) * 2018-09-19 2021-01-26 枣庄市肿瘤医院 一种鼻腔护理设备
CN109620699B (zh) * 2018-12-28 2021-03-19 苏州雾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鼻腔清洁护理器
CN111888238A (zh) * 2020-07-24 2020-11-06 深圳市康时医疗器械有限公司 洗鼻器
US11207057B1 (en) 2020-08-07 2021-12-28 Cyrano Medical, Inc. Nasopharyngeal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CN112022682B (zh) * 2020-09-11 2022-11-04 漯河市第一人民医院 一种耳鼻喉科治疗用鼻腔清洗装置
USD950711S1 (en) * 2021-06-11 2022-05-03 ChongQing Moffy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Nasal irrigator
WO2023003963A1 (en) * 2021-07-20 2023-01-26 Rhinosystems, Inc. Nasal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for diagnostic applications
CN117883273A (zh) * 2022-10-08 2024-04-16 深圳市威尔达塑胶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洗鼻器
CN115531182A (zh) * 2022-10-14 2022-12-30 上海朔茂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双重压力保护的正压双头鼻腔清洗器及其使用方法
USD991445S1 (en) * 2023-03-07 2023-07-04 Shenzhen Shufang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Nasal irrig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662B1 (en) * 2001-01-30 2002-07-16 Anthony Solazzo Continuous irrigation Y-tubing control valve device and system
US6748944B1 (en) * 2000-05-03 2004-06-15 Dellavecchia Michael Anthony Ultrasonic dosage device and method
EP1607117A1 (en) * 2003-03-27 2005-12-21 Bioactis Limited Powder medicine applicator for nasal cavity
US20080221507A1 (en) * 2007-03-06 2008-09-11 Rhin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sal Irrigation
US20090281485A1 (en) * 2006-11-06 2009-11-12 Aadvark Medical, Llc Irrigation and aspiration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8891A (en) 1917-06-18 1917-12-04 Herbert B Nichols Nasal douche.
US1487252A (en) 1921-05-11 1924-03-18 Lillian Langel Medical appliance
US1502163A (en) 1922-12-19 1924-07-22 William P Sprague Nasal douche
US1603758A (en) 1925-02-12 1926-10-19 Adela B Fisher Nasal suction irrigator
US1607726A (en) 1926-07-19 1926-11-23 Suszko Alexander De Nasal syringe
US2078180A (en) 1933-10-24 1937-04-20 Kronenberg Isaac Bert Medical apparatus
US2280992A (en) 1940-01-08 1942-04-28 Russell M Wright Apparatus for treating nasal organs
ES208987Y (es) 1975-01-10 1976-08-16 Baya Pena Dispositivo para la limpieza y desinfeccion de las fosas nasales.
USD270283S (en) 1980-01-28 1983-08-23 Schering Corporation Nasal nozzle
US4403611A (en) 1980-07-17 1983-09-13 Babbitt Gerald J Sinus evacuator apparatus
US4655197A (en) 1982-12-01 1987-04-07 Snyder Laboratories, Inc. Lavage system with variable frequency, flow rate and pressure
US4637814A (en) 1985-04-05 1987-01-20 Arnold Leiboff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stinal irrigation
SU1409278A1 (ru) * 1985-10-09 1988-07-15 А. Д. Левин Отсасыватель
US5788683A (en) 1994-03-23 1998-08-04 Martin; Richard A. Sinus aspiration/irrigation
US5746721A (en) 1995-02-15 1998-05-05 C.R. Bard, Inc. Pulsed lavage pump with integral power source and variable flow control
CH691885A5 (de) 1996-10-09 2001-11-30 Samuel Wennek Vorrichtung zum Spülen von Nasenhöhlen und Nasennebenhöhlen.
US6238377B1 (en) 1997-01-27 2001-05-29 Jin-Zhou Liu Nasal-nasopharyngeal cleaning system
US5928190A (en) 1997-08-13 1999-07-27 Shirley Davis Sinus vacuum flush
US6099494A (en) 1997-08-20 2000-08-08 Stryker Corporation Pulsed irrigator useful for surgical and medical procedures
US5899878A (en) 1998-06-24 1999-05-04 Bradley Pharmaceuticals, Inc. Nasal irrigation system
WO2000051672A1 (en) 1999-03-03 2000-09-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21568D0 (en) 2001-09-06 2001-10-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USD440874S1 (en) * 1999-07-29 2001-04-24 The Gillette Company Container
US6561188B1 (en) 2000-08-21 2003-05-13 Ellis Alan D Nasal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20151836A1 (en) 2001-02-01 2002-10-17 Burden Bill E. Portable aspirating and irrigating apparatus and method
US6520384B2 (en) 2001-04-30 2003-02-18 Ketan C. Mehta Apparatus and method for nasal rinse
US6688497B2 (en) 2001-04-30 2004-02-10 Ketan C. Mehta Apparatus and method for tissue rinse
US6907879B2 (en) 2002-02-04 2005-06-21 Ndt Agent delivery and aspiration device
ATE442174T1 (de) * 2002-02-22 2009-09-15 G W Pharma Ltd Spenderanordnung und vorrichtung
US7029705B2 (en) 2002-07-30 2006-04-18 Fuhr Allan H Nasal hygiene method and composition
FR2877579B1 (fr) 2004-11-09 2007-01-19 Jose Bensoussan Dispositif d'aspiration de secretions nasales
US20080081079A1 (en) * 2006-10-02 2008-04-03 Byung Kwon Cha Portable saline nasal spray
US20080119782A1 (en) 2006-10-25 2008-05-22 Steinman Christopher P Method for delivering solutions to a patient
US7959597B2 (en) 2006-11-06 2011-06-14 Aardvark Medical, Llc Irrigation and aspiration device and method
WO2008063405A1 (en) * 2006-11-20 2008-05-29 Bayer Healthcare Llc Test-sensor cartridge
GB0623732D0 (en) *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WO2008091652A2 (en) 2007-01-24 2008-07-31 Acclarent,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eatment and/or diagnosis of disorder of the ear, nose and throat
CA2688689C (en) * 2007-05-16 2015-06-30 Mystic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unit dose dispensing containers
WO2009078163A1 (ja) * 2007-12-17 2009-06-25 Resource One Inc. 薬液注入装置の動作確認装置
WO2010035252A2 (en) * 2008-09-26 2010-04-01 Stamford Devices Limited A nebuliser system
US20100114016A1 (en) * 2008-10-30 2010-05-06 Med-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Nasal Passages of Children
US7981077B2 (en) * 2008-12-11 2011-07-19 Rhin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sal lavage
PL2482870T3 (pl) * 2009-09-29 2018-05-30 Admetsys Corporation System i sposób rozróżniania pojemników w podawaniu leków
US9789295B2 (en) * 2010-11-02 2017-10-17 Yuchen Zhou Customized skin care and method to provide same
GB201110848D0 (en) * 2011-06-24 2011-08-10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beverage capsules for use therein
BR112014001341B1 (pt) * 2011-07-18 2020-10-20 Rhinosystems Inc dispositivo de irrigação nasal
MX346268B (es) * 2011-11-02 2017-03-13 Sanofi Aventis Deutschland Pistón para un cartucho para el uso en un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US20130290210A1 (en) * 2012-04-27 2013-10-31 Furstper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pre-employment assessment
USD702548S1 (en) * 2012-10-30 2014-04-15 Straumann Holding Ag Packaging for a dental component
US9320382B2 (en) * 2013-07-15 2016-04-26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70662B2 (en) * 2014-02-28 2018-09-11 Beyond Twenty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US20160244250A1 (en) * 2015-02-21 2016-08-25 Michael Francis Dolan, JR. Disposable Single Serve Coffee Pod Usage Indicator and Messag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944B1 (en) * 2000-05-03 2004-06-15 Dellavecchia Michael Anthony Ultrasonic dosage device and method
US6419662B1 (en) * 2001-01-30 2002-07-16 Anthony Solazzo Continuous irrigation Y-tubing control valve device and system
EP1607117A1 (en) * 2003-03-27 2005-12-21 Bioactis Limited Powder medicine applicator for nasal cavity
US20090281485A1 (en) * 2006-11-06 2009-11-12 Aadvark Medical, Llc Irrigation and aspir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80221507A1 (en) * 2007-03-06 2008-09-11 Rhin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sal Irrig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843A1 (ko) * 2017-11-13 2019-05-16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KR20190054412A (ko) * 2017-11-13 2019-05-22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1341B1 (pt) 2020-10-20
AU2012284195C1 (en) 2017-06-22
AU2012284195B2 (en) 2016-12-15
CA2842298A1 (en) 2013-01-24
MX2014000726A (es) 2014-05-22
RU2608438C2 (ru) 2017-01-18
US20180036201A1 (en) 2018-02-08
IL230521A0 (en) 2014-03-31
KR102079831B1 (ko) 2020-02-20
US20190365965A1 (en) 2019-12-05
MX354213B (es) 2018-02-15
US11413377B2 (en) 2022-08-16
JP2014523786A (ja) 2014-09-18
CN103764193A (zh) 2014-04-30
MY168354A (en) 2018-10-31
CN103764193B (zh) 2016-09-21
US20120330239A1 (en) 2012-12-27
BR112014001341A2 (pt) 2017-10-31
JP5999787B2 (ja) 2016-09-28
AU2012284195A1 (en) 2014-02-06
RU2014101414A (ru) 2015-08-27
EP2734252A4 (en) 2015-11-11
US9833380B2 (en) 2017-12-05
US20170239429A9 (en) 2017-08-24
EP2734252A1 (en) 2014-05-28
CA2842298C (en) 2019-07-16
WO2013012859A1 (en) 2013-01-24
US10383984B2 (en) 2019-08-20
EP2734252B1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831B1 (ko) 비세정 장치 및 모조 접철식 카트리지 소자를 구비한 시스템
RU2471472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омывания носа
ES2599980T3 (es) Aspirador nasal
JP6734196B2 (ja) 鼻灌注アセンブリーおよびシステム
US20140121592A1 (en) Irrigation assembly
US10478547B2 (en) Irrigation assembly
KR20090011745A (ko) 콧물 흡인 장치
US11179513B2 (en) Irrigation assembly
US20230039082A1 (en) Nasal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with faux collapsible cartridge element
WO2011071681A1 (en) Nasal rinse apparatus
KR20140040050A (ko) 2중형 지방흡입장치
CN107469166A (zh) 一种鼻腔负压吸引管
KR20100135694A (ko) 콧 속에 서식하는 세균을 소독하여 주거나 청소하여 주는 코 소독기
KR100894562B1 (ko) 액체 분무 장치
CN108175684A (zh) 鼻窦灌洗器及鼻科手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