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206A - 압박붕대 및 압박붕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박붕대 및 압박붕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206A
KR20140048206A KR1020147001299A KR20147001299A KR20140048206A KR 20140048206 A KR20140048206 A KR 20140048206A KR 1020147001299 A KR1020147001299 A KR 1020147001299A KR 20147001299 A KR20147001299 A KR 20147001299A KR 20140048206 A KR20140048206 A KR 2014004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ndage
elastic
nonwoven
n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윌리암 리차드슨
크리스찬 스테프슨
데이비드 마이클 워데
마리타 메이스터
마이클 피터 윌헬름 클로에펠스
Original Assignee
카를 오토 브라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란터(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853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482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를 오토 브라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란터(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를 오토 브라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4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61F13/0099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f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non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04H13/001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 D04H13/003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thods
    • D04H13/005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thods by need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딩층과 탄성 압박층을 포함하는 2층형 압박 붕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정맥성 다리 궤양과 같이 상처 또는 기타 병소(lesions)에 대한 치료 및 관리에서 상기 붕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압박 붕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용이하기 수행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박붕대 및 압박붕대 제조방법{COMPRESSION BANDAG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딩층과 탄성 압박층을 포함하는 2층형 압박 붕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정맥성 다리 궤양과 같이 상처 또는 기타 병소(lesions)에 대한 관리 및/또는 치료와 관련하여 상기 붕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압박 붕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압박 붕대는 치료를 용이하기 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압박 요법은 정맥성 다리 질병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변성 및 혈관 변성을 최소화하거나 역행시키는 그 능력으로 인해, 하지(下肢:lower limb)에 대해 등급형 외부 압박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많은 압박 붕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4층형 붕대감기로서, 시간을 두고 지속적 압박 레벨이 실현되도록 탄성층이 수반된 고압박 붕대감기 시스템이 정맥성 다리 궤양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서 광범위하게 용인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4층형 압박 붕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 패딩 붕대 - 이 층은 피부와 직접 접촉하며, 부드럽고 편안하고, 높은 흡수성을 가지며, 발과 발목에서 뼈가 현저히 들어나는 부분과 같이 높은 압박의 위험이 있는 영역을 보호한다.
ii) 크레이프 붕대(crepe bandage) - 이 층은 단순히 추가 흡수성을 제공하고 패딩층을 매만지는 작용을 한다.
iii) 탄성의 확장성 붕대 - 이 부분은 큰 확장성 붕대로서 특정 방식으로 상처에 도포(부가)될 때 하지에 대해 등급형 압박을 제공한다.
iv) 탄성의 응집성 붕대 - 이 층은 부가적인 압박을 제공하며, 적절한 위치에 붕대를 유지하는 한편 보호층을 제공한다.
그러나, 4층 압박 요법은 필요한 층 수로 인해 치료할 때 작업량이 커지고, 또한 그에 따라서 환자의 이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제한성(옷과 신발)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불쾌감을 주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보다 적은 층을 이용하는 압박 요법 시스템은 이러한 단점을 경감시켜 줄 것이다. 또한, 보다 적은 층을 사용하는 압박 요법 시스템은 보다 적은 원재료를 요구하게 되고, 그 도포(또는 붕대 감기)에 있어서도 보다 용이하고(보다 적은 층은 부정확하게 층을 도포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도포에 따른 소비시간도 보다 적어진다.
또 다른 공지된 붕대로는 우르고 메디컬(Urgo Medical)에 의해 제조된 KTwo 압박 시스템이 있다. 이 붕대는 제1층("케이 테크-K Tech"라 불리운다) 및 제2층("케이 프레스-K Press" 라 불리운다)를 포함한다. 케이 테크는 와딩(wadding)과 보통의 탄성 압박 패브릭으로 형성된 복합층이며, 케이 테크 제품에서, 2개 층은 손으로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의료용 붕대로는 이상적 밴드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개선된 붕대 재료가 필요하다. 하기 설명하는 본 발명의 붕대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층들은 재료를 파괴하지 않고는 분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은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한 2층형 압박 붕대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패딩층은 탄성특성의 지나친 감소 없이 탄성 붕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탄성층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푹신한 패딩층을 탄성 패브릭에 고정하는 한편, 탄성 패브릭을 인장 상태하에서 스트레칭된 형태로 두어 탄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예비 스트레칭 단계가 없다면 패딩 패브릭은 탄성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패딩층과 같이 부직포 재료층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니들 펀칭가공에 의해 섬유 배트를 니들링한다. 이러한 섬유 배트 또는 섬유 질량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겠지만 통상적으로는 카아드/크로스폴더 루트 (card/crossfolder route)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배트는 여러 층의 카아드형 웹(carded web)을 포함하며, 그 웹의 개수는 니들링 이후 최종 면적당 무게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니들펀칭 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섬유가 다운 스트로크 중에 연속적인 웹 층을 통과할 때 니들의 미늘에 걸린 섬유길이 중 일부를 이전하여 섬유를 기계적으로 걸리게 한다. 이 공정을 통해 니들 보드의 길이와 폭이 형성되며, 여기서 니들 보드는 분당 다운 스트로크의 개수로 곱한 수천개의 바늘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반대 측면에 생성되는 섬유다발을 종종 니들 플러그라 칭한다. 2층형 붕대의 제조에 있어서, 종래 접근방법은 일 스텝으로 배트 층들을 탄성층에 니들링하는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배트가 탄성 패브릭에 직접 니들링될 때 전이된 섬유는 목표 게이지를 달성할 때는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패딩층을 탄성층에 니들링하기에 앞서 패딩층 재료를 예비 니들링할 필요가 있다. 패딩층이 예비 니들링될 때, 섬유의 대부분은 이미 어떤 방식으로든 기계적으로 걸리게 되어 패브릭을 통해 보내지는 섬유가 과도하게 두꺼운 섬유 플러그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i)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가 되는 단계; 및
(iii)예를 들면, 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i)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이고, 상기 부직포 패딩층은 비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i)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이고, 상기 부직포 패딩층은 비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층에 필라멘트의 고정이 니들링을 통해 단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층의 고정은 니들링에 의해 단독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i)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이고; 상기 부직포 패딩층은 비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층에 필라멘트의 고정과 탄성층에 부직포층의 고정은 필라멘트에 대한 열유도 용융을 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i)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의 니들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i)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이고, 상기 부직포 패딩층은 비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니들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의 니들링에 관한 실예는 미국특허 제4,446,189호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일련의 라인, 일련의 지그재그 라인, 일련의 물결선 라인, 다수의 스팟 그룹으로 니들링이 개시되어 있고, 여기서 각 스팟 세트는 인근 스팟 세트들과는 분리되어 있다.
확실함을 위해, 본 발명의 붕대 니들링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 당 선도부를 니들링 간격과 확실히 다르게 하여 임의 횡선 효과(transverse line effect)를 주의 깊게 회피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니들링은 고정 산출 속도와 연계하여 고정된 속도로 상하 왕복운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일부 반복적인 니들 포인트를 생성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복수의 위치에서 니들링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표현은 니들링으로 인해 사이에 상당한 간격을 가진 특정 니들링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여기서 이러한 상당한 영역(간격)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 446, 189호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이라는 표현은 라인들 사이에 매우 작은 간극을 가진 횡선 효과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라한 간극은 맨눈에는 보일 수도 있고 안보일 수도 있지만, 이들 라인들 간의 상당히 큰 간극은 배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i)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예를 들면 하기 규정된 니들링 밀도를 이용하여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2층형 붕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2층형 붕대는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i)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이고, 상기 부직포 패딩층은 비인장 상태인 단계; 및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예를 들면 하기 규정된 니들링 밀도를 이용하여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추가로 탄성 재료 상에서의 인장을 해제하고 탄성 재료를 비연신 구조로 복귀시키거나 그에 근접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붕대는 탄성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가 있는 부직포측으로부터 니들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층 붕대는 내부 부직포 패딩층과 외부 탄성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부직포'는 화학적, 기계적, 열적, 또는 용매처리에 의해 함께 부착된 긴 섬유로 제조되고, 예를 들면 니들링으로 이루어진 패브릭형 재료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섬유재료는 먼저 얀(yarn)(이것이 스테이플 얀 또는 필라멘트인 경우)으로 변환할 필요없이 부착되며, 이것은 직조 또는 니팅과 같은 전통적 직물제조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 부직포 재료는 용융 블로윙(melt blowing), 스펀 본딩(spun bonding) 공정, 카아딩(carding), 니들 펀치형 웹 제조 공정, 에어 레이드 웹(air laid web) 제조 공정, 웨트 레이드 웹(wet laid web) 제조 공정, 필름 개구 공정, 스테이플 섬유 카아딩 공정, 하이드로-인탱글먼트(hydro-entanglement) 등과 같이, 다양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 재료는 다양한 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섬유로는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및 목화섬유와 같은 정규 타입 섬유로부터 KevarTM, NomexTM,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e: PBI) 또는 에소틱 알지네이트 및 치토산(exotic Alginate and Chitosan) 등과 같은 고성능 타입 섬유에 걸쳐 다양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직포 재료는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아크릭, 폴리프로필렌, 및 목화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다양한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부직포 재료는 약 5 g/m2(gsm) 내지 약 1500 g/m2(gsm) 범위의 다양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5-30 gsm 등급이 납작하고 커버스톡 응용물로서 사용되고, 30-60 gsm은 납작하거나 높고 많은 산업용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60-1500 gsm은 니들 펀치형 제품으로서 역시 많은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 재료는 약 60 gsm 내지 약 100 gsm 범위이며, 예를 들면, 약 70 gsm 내지 약 90 gsm, 예를 들면, 약 80 gsm과 같이 약 75 내지 약 85 gsm의 범위에 있다.
니들링에 의해 고정될 경우 부직포 재료는 다른 니들링 밀도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5 니들/cm2 만큼 낮은 경성 정형외과용 패딩 등급으로부터 수백 니들/cm2의 니들 밀도를 가질 수 있는 필터 백 등급(filter bag grade) 까지에 걸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패딩층을 예비 니들링하기 위해, 약 50 니들/cm2 보다 작은 니들 밀도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약 10 니들 내지 약 50 니들/cm2,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니들/cm2, 예를 들면 약 15 니들 내지 약 35 니들/cm2, 다른 대안으로 약 20 니들 내지 약 30 니들/cm2, 다른 대안으로 약 25 니들 내지 약 30 니들/cm2, 다른 대안으로 약 25 니들 내지 약 27 니들/cm2, 다른 대안으로 약 26 니들 내지 약 27 니들/cm2, 이를 테면 약 26.5 니들/cm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층을 패딩층에 재 니들링 하기 위해서는, 약 40 니들 내지 약 80 니들/cm2 범위의 니들 밀도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약 50 니들 내지 약 70 니들/cm2, 다른 대안으로서 약 55 내지 65 니들/cm2, 다른 대안으로서 약 60 니들 내지 약 70 니들/cm2, 이를 테면 약 66.9 니들/cm2이 사용될 수 있다.
니들링에 의해 고정될 때 부직포 재료는 여러 다른 미늘형 니들과 관통 깊이를 많이 설계하여 유용화할 수 있다. 적절한 니들로는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해 섬유형 배트의 기계적 얽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임의 니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적절한 니들의 실예로는 15×18×38 RB(그로츠 베케르트 아게:Groz-Beckert AG, 독일 알브탓트 소재)를 들 수 있다.
여러 가지 게이지 니들이 부직포 재료의 정형외과용 등급을 위해 사용될 수있으며, 이러한 게이지로는 조악한 32 게이지로부터 예를 들면 42 게이지와 같은 미세 게이지에 걸쳐 다양하다. 본 발명의 경우, 38 이하의 게이지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32 내지 38 범위의 게이지, 이를테면 33 내지 37, 34 내지 36 또는 36 내지 38 게이지가 사용된다. 38 이하의 게이지는 더욱 심미적으로 즐겁고 피부에 대해 더욱 편안한 플러그를 제공한다. 부직포층을 니들링하기 위한 적절한 관통 깊이는 20-22mm 범위 내에 있으며, 예를 들면 20mm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적절한 관통 깊이는 약 20mm 내지 약 25mm 범위에 있다.
예를 들면, 32-42, 34-42, 36-42, 36-40 또는 38-40 게이지 등과 같이, 42-30 게이지 범위에서, 예를 들면 조악한 니들 등의 여러 다른 게이지 니들이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직포 재료의 니들링을 위해 적절한 니들은 또한 탄성층에 패딩층을 니들링하기에도 적절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탄성층'은 그 종방향으로 스트레치 능력을 가진 임의 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5% 내지 200% 사이의 스트레칭 능력에서, 100% 스트레칭은 100% 내지 160% 사이, 120% 내지 140% 사이 등과 같이 재료의 길이에서의 증배에 관한 것이다. 적절한 탄성층의 실예로는 주로 목화로 이루어지고 일부 작은 부분에서 폴리우레탄-얀을 함유하여 100% 내지 160% 사이의 탄성, 예를 들면 120% 내지 140% 사이의 탄성에 도달하는 패브릭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탄성층은 인장하에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층에 제시(제공)되어 니들링이 될 때까지 이 인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 방식으로, 인장이 해제될 때 스트레칭된 패브릭이 그 초기 길이로 복귀한다. 패브릭이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층과 결합하기에 앞서 예비 스트레칭이 되지 않으면 니들링은 사용에 필요한 스트레칭을 저지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니들링에 앞서 필요한 스트레칭 정도는 붕대를 확대하는데 필요한 힘과 관련이 있으며, 이 힘은 스트레칭 붕대 구조에 따라 다양하다 - 이것은 부여된 압박과 궁국적으로 관련이 있는 힘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설계 또는 구상하는 중에, 일부 관통부분에서 붕대가 기능적이기는 하여도 플러그가 보이지 않고 붕대가 거친 느낌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문제에 대한 종래 접근방식은 플러그의 치수를 감소시켜 플러그가 반대층을 거의 돌출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이 점에 도달하였을 때, 이모생지(fleecy fabric)가 스트레칭된 패브릭으로부터 너무 쉽게 분리될 정도로 불충분한 얽힘이 존재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니들 밀도를 증가시켜 플러그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다. 놀랍게도, 플러그의 치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켜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대적으로 큰 관통깊이를 사용할 경우 섬유 플러그를 돌출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 돌출 섬유 플러그는 강모(stiffer bristle) 형태로 작용하기 보다는 오히려 굴곡할 수 있을 만큼 충분이 길었다.
탄성층에 패딩층을 고정하는 효과는 니들 관통 깊이와 니들링 밀도 모두에 의존한다. 특정 한계 내에서 낮은 니들 관통 깊이를 높은 니들링 밀도로 보상할 수 있다.
탄성층에 대한 패딩층의 니들링을 위해 사용되는 니들의 관통 깊이는 니들링 밀도와 조합될 경우, 탈적층을 방지하는 것, 즉 패딩층과 탄성층의 분리를 방지하는 니들 깊이가 된다. 관통 깊이는 사용되는 특정 니들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며, 예를 들면 15×18×38 RB 니들(그로츠-베케르트 아게, 독일, 알브스탓트 소재)의 경우 15 - 25mm 범위, 예를 들면 20 - 23mm, 이들테면 21.5mm - 이며, 길이 2mm 내지 20mm, 예를 들면, 길이 2mm 내지 15mm 사이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붕대 상의 파일(pile)을 발생시킨다. 일실시예로서, 붕대는 약 2mm 내지 5mm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니들의 구조로 인해 요구 관통 깊이로 충격을 부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정규형의 미늘을 가진 니들은 고밀도 미늘을 가진 바늘보다 깊은 관통 깊이를 필요로 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정규 미늘 간격을 가진 니들은 고밀도의 미늘을 가진 니들 보다는 더 즐거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탄성층에 대한 패딩층의 고정을 위한 니들링 밀도는 관통깊이와 조합할 때 탈적층의 방지, 즉, 패딩층과 탄성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임의 니들링 밀도이다. 적절한 니들링 밀도는 cm2 당 약 40 니들 내지 약 80 니들 사이에 있다.
니들링을 이용하여 탄성층에 패딩층을 고정하는 것 외에도, 선택적으로, 접착층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붕대 재료를 함께 고정하기에 적합한 접착제는 당분야에서 익히 공지되어 있다. 그 실예로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열용융성 접착제[스캐터코트 분말(scattercoat powder), 웹 접착제, 도트 코팅(dot coating), 용융형 분무 접착제 등이 포함됨], 에멀션 접착제, 용해성 접착제, 용매성 접착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종래의 니들링 머신을 변형하였으며, 이러한 변형 머신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품 제조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품은 탄성 재료에 부착되는 패딩 붕대 등급의 부직포 재료와 같은 부직포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를 인장하에 배치하여 상기 부직포 재료를 상기 탄성 재료에 부착하는 한편 탄성 재료를 인장 하에 두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은 붕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직포 재료가 부착될 때 상기 탄성 재료에 대해 인장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부직포 재료가 부착되기 전에 상기 탄성 재료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탄성 재료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부착하는 한편 탄성 재료는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탄성 재료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부착하는 한편 부직포 재료는 실질적으로 비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를 인장 상태로 두되, 상기 탄성 재료는 패딩 재료가 부착될 때 연신된 구조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탄성 재료 웹을 도출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수단이 탄성 재료 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수단이 렛 오프(let off) 스탠드/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공급수단의 하류지점에서 탄성 재료 웹에 인장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웹이 인출됨에 따라서 웹에 인장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웹은 인장되지 않고 공급수단으로부터 도출되어 하류 지점에서 인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웹을 스트레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실질적 이동방향으로 웹을 스트레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웹을 연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적어도 50%, 예를 들면 부직포 재료가 부착될 때 100% 이상으로 스트레칭 하도록 탄성 재료를 스트레칭 한다. 바람직하게는, % 스트레칭은 탄성 재료의 스트레칭 안된 길이의 %로서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에 부직포 재료를 안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 웹에 안착되는 단계에서 탄성 재료 웹을 인장 상태로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이 부직포 재료에 부착되는 단계에서 탄성 재료 웹을 인장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에 부착될 때 부직포 재료가 형성되도록 섬유를 탄성 재료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에 섬유 배트를 부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에 니들링된 섬유 배트를 부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에 이미 형성된 부직포 재료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에 부착될 때 부직포 재료가 형성되도록 탄성 재료에 섬유를 니들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에 이미 형성된 부직포 재료를 니들링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탄성 재료에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재료를 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섬유를 니들링하여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에 부착되는 단계의 상류에서 부직포 재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에 부착되도록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에 부착되는 단계의 상류 단계에서 부직포 재료를 니들링한다. 바람직하게는, 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재료는 탄성 재료에 니들링되며, 단 부직포 재료는 상기 장치에 의해 2배로 니들링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직포 재료가 탄성 재료에 부착되는 단계의 상류 지점에서 부직포 재료 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부직포 재료 웹이 배트에 부착되는 단계의 상류 지점에서 섬유를 니들링하여 부직포 재료 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장치는 섬유를 니들링하여 부직포 재료 웹을 생성하고 생성된 부직포 재료는 이후 상기 장치를 통과하여 다시 탄성 재료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직포 재료 웹을 형성하기 위한 제1니들링 스테이션과 제1니들링 스테이션의 하류에 위치하며 탄성 재료 웹이 인장상태에 있는 동안 탄성 재료 웹에 부직포 재료 웹을 니들링하는 제2니들링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장치는 부직포 재료 웹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단일 니들링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단일 니들링 스테이션을 통해 상기 부직포 재료가 통과되며, 이어서 탄성 재료 웹이 인장상태에 있는 동안 탄성 재료 웹에 부직포 재료 웹을 니들링 하기 위한 형성공정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니들링 스테이션들 또는 각 니들링 스테인션은 니들직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에 부직포 재료 웹을 안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부직포 재료 웹이 탄성 재료 웹에 안착되는 단계에서 인장하에서 탄성 재료 웹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 웹이 부직포 재료에 부착되는 단계에서 인장하에서 탄성 재료 웹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니들링에 의해 부직포 재료에 탄성 재료를 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니들링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에 부직포 재료가 니들링될 때 인장하에서 탄성 재료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이 부직포 재료에 일단 부착되면, 탄성 재료 웹에 부여된 인장을 이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연속공정으로 패브릭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인장 상태로 탄성 재료 웹을 배치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탄성 재료 웹이 이송되며, 이 경우 탄성 재료 웹은 상기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동안 그 일부분 중에 인장 상태로 배치되며, 부직포 재료가 부착된 경우에 인장 상태로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부착 스테이션의 상류와 하류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웹의 파지수단을 포함하며, 이 경우 탄성 재료 웹은 상기 상류와 하류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편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탄성 재료 웹의 입력속도와 출력속도 간의 차이를 두어 탄성 재료 웹에 인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입력속도 및 출력속도는 탄성 재료 웹에 대해 목표 백분율 스트레칭을 부여하도록 맞춤 설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탄성 재료 웹을 이송 및/또는 도출하기 위한 제1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탄성 재료 웹에 부직포 재료가 부착되는 부착 스테이션으로/또는 부착 스테이션을 통해 탄성 재료 웹을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이송수단과 제2이송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웹 부분이 인장상태에서 스트레칭되어 배치되도록 제2이송수단이 제1이송수단 보다 빠른 속도로 웹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전동 닙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제1이송수단으로서 맹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렛 오프(let off) 스탠드로부터 탄성 재료 웹을 도출하는 종동 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호 편향된 2개의 종동 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상호 가압되는 2개의 종동 롤러를 포함한다. 종동 롤러는 재료에 접촉하는 고무표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출력 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부착 스테이션의 하류에 위치하는 출력 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출력 구동부를 구비한 니들직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구동부가 출력 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종동 롤러를 구비한 전동 닙을 포함하고, 종동 롤러는 탄성 재료의 미끄럼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서 출력 속도로 롤러를 통해 재료를 잡아당기는 니들직기의 출력 구동부를 정지시킨다. 탄성 재료는 따라서 직기 출력 롤러와 전동 닙 롤러 사이에서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인장 상태로 탄성 재료를 배치하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렛 오프(let off) 롤러 상에서의 토크 제어 브레이크, 예를 들면 자기입자 브레이크, 하중 제어 클러치 렛 오프 시스템 또는 속도 차동 시스템 등의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토크 힘은 하중 연신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부착 스테이션과 렛 오프(let off) 롤러 사이에서 인장이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중 제어 클러치는 자기 클러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자기 클러치는 특정 하중력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하중 힘은 탄성 패브릭의 하중 연신 특성에 의해 기결정되어 목표 스트레칭 량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이 컨베이어는 탄성 재료 웹과 부직포 재료 웹이 부착 스테인션으로 이송될 때 이들 탄성 재료 웹과 부직포 재료 웹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배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배트를 형성하기 위한 카아딩 크로스 폴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스테이플 섬유의 에어레이드(airlaid) 배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부직포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배트를 니들링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부착 스테이션에 니들링된 배트를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도퍼(doffer)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크로스 폴더(cross fold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느리게 이동하는 래티스 컨베이어 상에 다수회에 걸쳐 웹을 하강 안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착스테이션에서 다층 배트가 단층 탄성 재료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층 배트를 상호 니들링하여 배트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 배트를 부착 스테이션에서 단층 탄성 재료에 부착한다.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예시하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패딩층을 예비 니들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예비 니들링된 패딩층을 탄성층에 니들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기기의 변형예로서, 스탠드(8)를 포함하는 렛 오프(let off) 유닛이 전환되어 니들 직기 입력 롤러에 직접 통과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정수 부호는 다음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1) 다층의 카아드 비스코스 웹(carded viscose web)을 포함하는 섬유 배트;
(2)니들직기 입력 래티스(niddleloom input lattice)/컨베이어;
(3)니들직기 입력 롤러;
(4)다공형 베드플레이트(bedplate) 위에서 왕복운동하는 니들보드를 포함하는 니들직기;
(5)니들직기 출력 롤러;
(6)표면 종동 와인드업(surface driven wind-up) 롤러;
(7)예비 니들링형 배트의 롤;
(8)렛 오프(let off) 스탠드;
(9)공압식 닙을 가진 가변속 맹글(mangle);
(10)본 발명의 2층형 붕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붕대 패브릭 제조장치는 탄성 재료의 공급을 수행하는 렛 오프(let off) 롤러(8)를 포함한다. 이 제조장치는 탄성 재료 웹(100)을 렛 오프 롤러(8)로부터 니들직기가 포함된 니들링 스테이션(부착 스테이션)(101)으로 이송한다. 또한 배트(batt)(102)도 니들링 스테이션(101)으로 이송된다. 제조장치는 탄성 재료 웹(100)이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니들링 스테이션(101)에서 부직포 재료를 탄성 재료에 니들링 한다. 니들링 스테이션(101)에서 형성된 붕대는 이후 제조장치의 출력 구동부(출력 구동 롤러)(103)에 이송된다. 렛 오프 롤러(8)와 출력 구동부(103) 사이에는 공압식 닙(nip)을 갖춘 가변속 맹글(mangle)(9)이 위치한다. 맹글(9)은 니들링 스테이션(101)의 하류에 위치하고, 전동 맹글을 포함하며, 이 전동 맹글은 출력 구동부(103)가 탄성 재료 웹을 니들링 스테이션(101)에 공급하는 속도 보다 느린 속도로 렛 오프 롤러(8)로부터 탄성 재료 웹을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속도비 또는 속도차동(speed differential)은 따라서 맹글(9)과 출력 구동부(103) 간의 탄성 재료 웹이 인장력 하에 배치되어 스트레칭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트레칭된 탄성 재료 웹(100)은 컨베이어(104)에 의해 이송되며, 이 컨베이어(104)는 탄성 재료 웹과 이 탄성 재료 웹 위에 안착되는 부직포 재료 배트를 지지한다. 변형예로서, 탄성 재료 웹이 직접적으로 입력 롤러에 이송될 수도 있다. 부직포 재료 배트가 탄성 재료 웹 위에 안착될 때 또한 부직포 재료 웹이 탄성 재료 웹 위에 부착될 때, 탄성 재료 웹은 연신된 구조로 유지된다. 패브릭이 출력 구동부(103)를 통과할 때, 탄성을 회복하는데 있어 다소의 지연으로 인해 인장이 크게 이완되고, 탄성 재료 웹이 원래의 비신장 구조로 복귀한다. 따라서, 출력 구동부(103) 이후의 붕대의 단위 길이 당 부직포 재료의 밀도는 니들링 스테이션(101)에 부착되었을 때 탄성 재료 웹의 단위 길이 당 부직포 재료의 밀도 보다 크다.
상기 방법 및/또는 상기 변형 머신에 의해 제조되는 2층형 붕대는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머신에 의해 제조되는 2층형 붕대를 제공한다.
2층형 붕대는 또한 본 발명의 제4양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제4양태에 따라서 제공되는 2층형 붕대는:
(i)부직포 재료를 포함하는 패딩층; 및
(ii)탄성층;
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약 20mm 길이까지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파일(pil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공되는 2층형 붕대는:
(i)부직포 재료를 포함하는 패딩층; 및
(ii)탄성층;
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파일을 포함하며, 이 파일은 탄성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약 3mm 및/또는 부직포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약 5-8mm에 이르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제공되는 상기와 같이 규정된 2층형 붕대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부직포층에서 필라멘트의 고정이 니들링을 통해서만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층의 고정은 니들링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b)부직포층에서 필라멘트의 고정과,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층의 고정은 필라멘트의 열유도 용융을 통하지 않는다;
(c)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니들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d)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예를 들면 여기서 규정하는 니들링 밀도를 이용하여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공되는 2층형 붕대는:
(i)부직포 재료를 포함하는 패딩층; 및
(ii)탄성층;
을 포함하며,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부직포층에서 필라멘트의 고정이 니들링을 통해서만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층의 고정은 니들링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b)부직포층에서 필라멘트의 고정과, 탄성층에 대한 부직포층의 고정은 필라멘트의 열유도 용융을 통하지 않는다;
(c)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위치들에서 니들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d)탄성층에 대한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예를 들면 여기서 규정하는 니들링 밀도를 이용하여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층형 붕대는 내부 부직포 패딩층과 외부 탄성층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부직포 재료는 약 25 니들 내지 약 28 니들/cm2의 고유 니들링 밀도, 이를테면 약 26 니들 내지 약 27 니들/cm2, 예를 들면 약 26.5 니들/cm2의 니들링 밀도를 가진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패딩층 및 탄성층은 약 60 니들 내지 약 70 니들/cm2의 니들링 밀도, 이를테면 약 66.9 니들/cm2 의 니들링 밀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상기 규정된 2층형 붕대는 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은 약 2mm 내지 15mm 길이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상기 규정된 2층형 붕대는 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은 약 15mm 길이까지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상기 규정된 2층형 붕대는 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은 부직포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약 6mm 길이까지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상기 규정된 2층형 붕대는 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은 약 20mm 길이까지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상기 규정된 2층형 붕대는 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은 부직포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약 8mm 길이까지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약"은 밀리미터에서 측정된 거리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2mm, ±1mm 또는 ±0.5mm에 해당된다. 니들링 밀도 등과 같이 기타 다른 파라메터에 대하여 사용될 때 용어 "약"은 값의 ±10% 또는 값의 ±5% 또는 값의 ±2% 또는 값의 ±1%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붕대는 많은 응용에 적합하며, 특히 정형외과용 붕대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또 다른 양태로서 치료요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붕대의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양태는 요법, 예를 들면, 압박요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붕대의 용도를 제공한다.
압박요법은, 부종, 그리고 예를 들면, 하지(下肢)의 기타 정맥 및 림프의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사용영역은 정맥 다리 궤양 등의 만성 창상의 관리 및/또는 치료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만성 창상의 관리 및 치료를 위해 본 발명의 붕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만성 창상의 관리 및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본 발명에 따른 붕대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붕대를 이용하여 만성 창상의 관리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원위치에서 압박 결속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의 경우, 본 발명의 붕대는 환자의 신체 둘레, 이를테면, 정맥류성 궤양을 가진 다리 둘레에 감겨서 그 부위에서 압박 하에 적절한 위치로 유지된다. 압박은 감긴 후 다리가 반듯하게 누워진 상태에서 20-60mm Hg 압력 범위가 될 수 있으며, 특히 ABPI(Ankle Brachial Pressure Index) > 0.8에서 40-60mm Hg 사이가 될 수 있다.
실시예1
종래 호퍼 이송형 카아드 크로스 폴딩 라인(hopper fed card cross-folding line)을 이용하여, 100% 3.1 데시텍스(decitex) 40mm 비스코스의 80gsm 크로스 폴딩 배트(렌징 파이버스 그림스비 주식회사, 영국, 그림스비 소재)를 200cm 폭으로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이후 딜로(Dilo) 0-11/40 니들직기(1971 모델)(오스카 딜로 마쉬넨파브릭 카게, 독일 에베르바흐 소재)를 이용하여 니들링하였다. 사용된 니들 밀도는 26.54 니들/cm2 이었고 이때 7.2m/min의 스루풋 속도와 함께 490 RPM의 직기 속도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니들은 그로츠 베케르트(Groz Becker) 3인치 롱(long) 니들:15×18×38 RB(그로츠-베케르트 아게, 독일 알브스탓트) 이었다. 사용된 관통은 20mm 였다(도 1 참조).
이러한 예비 니들링형 배트의 200m 롤을 제조하였다.
크로스폴더를 정지시키고, 이들 롤을 이후 니들직기를 통해 후방으로 방출(let off)하였고, 니들직기에서 이들 롤은 예비 스트레칭된 탄성 붕대 패브릭에 니들링 되었다. 스루풋 속도는 이 때 3.4m/min으로 하강하여 높은 니들 밀도를 제공하였다. 사용된 니들 밀도는 66.8 니들/cm2 였고 이때 583 RPM의 직기 속도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그로츠 베케르트(Groz Becker) 니들이 예비 니들링형 롤 스테이지로서 사용되었고, 그러나 사용된 관통은 21.5mm였다(도 2 참조).
탄성 패브릭은 93% 목화, 5% 폴리아미드, 및 2% 폴리우레탄의 섬유조성을 가지고, 150% ± 20%의 탄성율을 가진, 중량 115 gsm의 직조 패브릭으로 구성된다.
탄성 패브릭은 스크림(scrim)에 공통인 니들직기의 입력 래티스 하에서 렛 오프 스탠드에 배치되었다. 스크림과는 달리, 이 탄성 패브릭은 이후 가변속 전동 맹글 또는 닙 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렛 오프 스탠드로부터 동력을 부여 받았다. 이 설비는 이 공정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어 구축되었으며, 니들직기의 입력 속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렛오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2 참조), 이 경우, 렛 오프 속도는 입력 속도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100% 스트레칭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비 스트레칭을 통해 니들링된 복합물이 이 복합물에 니들링된 섬유에 의해 스트레칭의 방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패브릭의 에지 상에 인쇄된 설정 마크들 사이를 측정하여 스트레칭의 정도를 입력 래티스 상에서 체크할 수 있다.
일단 니들링이되면, "복합" 재료는 2개의 표면 종동 롤러 상에 감긴다. 이들 롤러의 속도는 입력부의 속도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서 다음 궤도 이탈 때까지 패브릭이 이전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24)

  1.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포함하는 2층형 붕대를 제조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i)예비 니들링된 부직포 패딩층과 탄성층을 마련하되, 상기 탄성층은 인장 상태이고 상기 부직포 패딩층은 비인장 상태인 단계와,
    (iii)니들링에 의해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 패딩층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상호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니들링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층에서 필라멘트의 고정은 니들링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니들링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은 접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은 접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약 50% 내지 약 120% 사이의 스트레칭으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층을 고정하기 위한 니들 관통 깊이가 약 20mm 내지 약 2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들 관통 깊이로 인해 상기 부직포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측정할 때 길이 약 8mm 까지의 플러그를 가진 파일(pi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들 관통 깊이로 인해 상기 탄성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측정할 때 길이 약 3mm 까지의 플러그를 가진 파일(pi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붕대 제조방법.
  11.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패딩층; 및
    탄성층;
    을 포함하는 2층형 탄성 붕대에 있어서,
    니들링을 통해서만 상기 부직포층에 필라멘트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니들링에 의해서만 상기 탄성층에 상기 부직포층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니들링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에 부직포 재료의 고정은 붕대를 교차하는 연속 니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는 상기 부직포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측정할 때 길이 약 8mm 까지의 플러그를 가진 파일(pi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는 상기 탄성층의 외표면으로부터 측정할 때 길이 약 3mm 까지의 플러그를 가진 파일(pi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층에 상기 패딩층을 고정하기 위한 니들링 밀도가 cm2 당 40 니들 내지 80 니들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의 예비 니들링이 약 15 니들 내지 약 35 니들/cm2의 니들링 밀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18.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붕대에 있어서,
    상기 패딩층은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목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붕대.
  1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붕대에 있어서,
    상기 패딩층은 비스코스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붕대.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붕대에 있어서,
    상기 패딩층은 약 60 gsm 내지 약 100 gsm 사이의 중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붕대.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붕대에 있어서,
    상기 패딩층은 약 10 니들 내지 약 50 니들/cm2의 예비 니들링 밀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붕대.
  2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11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붕대에 있어서,
    상기 패딩층은 약 50 니들 내지 약 70 니들/cm2의 니들링 밀도를 가진 탄성층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붕대.
  23.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박 요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형 탄성 붕대.
  24. 제품 제조용 장치로서,
    상기 제품은 탄성 재료에 부착되는 부직포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인장 상태로 상기 탄성 재료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 재료가 인장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탄성 재료에 상기 부직포 재료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제조용 장치.
KR1020147001299A 2011-06-29 2012-06-29 압박붕대 및 압박붕대 제조방법 KR20140048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11059.0 2011-06-29
GBGB1111059.0A GB201111059D0 (en) 2011-06-29 2011-06-29 Compression bandages
PCT/GB2012/051528 WO2013001312A1 (en) 2011-06-29 2012-06-29 Compression bandag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206A true KR20140048206A (ko) 2014-04-23

Family

ID=4448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299A KR20140048206A (ko) 2011-06-29 2012-06-29 압박붕대 및 압박붕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40121581A1 (ko)
EP (1) EP2726036B1 (ko)
JP (1) JP2014518114A (ko)
KR (1) KR20140048206A (ko)
CN (1) CN103648454A (ko)
AU (1) AU2012277532B2 (ko)
BR (1) BR112013033757A2 (ko)
GB (1) GB201111059D0 (ko)
RU (1) RU2014101466A (ko)
WO (1) WO20130013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706A (ko) *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포윈 실리콘 테이핑 압박 밴드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5621A1 (en) * 2015-04-10 2017-02-09 First Quality Hygienic, Inc. Tampon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DE102015226706A1 (de) * 2015-12-23 2017-06-29 Karl Otto Braun Gmbh & Co. Kg Kompressionsverband
CN108113800B (zh) * 2017-12-20 2021-08-10 健尔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弹力绷带
FR3096256B1 (fr) * 2019-05-22 2021-05-21 Thuasne Bande de compression comprenant une couche de capitonage
CN113288322B (zh) * 2021-05-25 2022-07-01 江苏华西村股份有限公司 一种非织造医用止血绷带制备方法及其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17171A1 (de) * 1966-01-22 1971-07-29 Verbandstoff Und Verbandwattef Textile Wundauflag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ZA815051B (en) * 1980-07-30 1982-09-29 Smith & Nephew Ass Elastic bandages
NZ197782A (en) * 1980-07-30 1985-07-31 Smith & Nephew Ass A moisture vapour transmitting elastic bandage
US4446189A (en) * 1983-05-12 1984-05-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Textured nonwoven textile fabric laminate and process of making said
JPH0670298B2 (ja) * 1985-02-28 1994-09-07 東洋紡績株式会社 パップ剤用伸縮性を有する不織布
US4720415A (en)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GB8909800D0 (en) 1989-04-28 1989-06-14 Unilever Plc Absorbent cloth
WO1994002090A1 (en) 1992-07-22 1994-02-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sorbent, self-adhering elastic bandage
US5765256A (en) 1993-08-19 1998-06-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nwoven cleaning brush
DE69812759D1 (de) 1997-05-16 2003-05-08 Ethicon Inc Mehrschichtige Kompressionsbandage
JP2004149933A (ja) * 2002-10-29 2004-05-27 Mitsubishi Paper Mills Ltd 伸縮性不織布
EP1709947A1 (en) 2005-04-08 2006-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ression bandage system
ZA200600686B (en) * 2006-01-24 2006-04-26 Jacobus F Mouton A wound dressing
FR2898806B1 (fr) 2006-03-24 2008-07-04 Urgo Soc Par Actions Simplifie Nouveau systeme de contention pour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pathologies des maladies veineuses
CA2613898A1 (en) 2006-12-12 2008-06-12 Freudenberg Nonwovens, L.P. Highloft needlepunched nonwovens
DE102007043566B4 (de) * 2007-06-04 2011-07-21 VERMOP Salmon GmbH, 82205 Strukturierter mehrschichtiger Vlies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7845055B1 (en) * 2009-10-29 2010-12-07 Mcneil-Ppc, Inc. Tampon formed from a selectively needled nonwoven fabric we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706A (ko) *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포윈 실리콘 테이핑 압박 밴드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77532B2 (en) 2016-11-03
GB201111059D0 (en) 2011-08-10
EP2726036B1 (en) 2015-06-10
CN103648454A (zh) 2014-03-19
JP2014518114A (ja) 2014-07-28
AU2012277532A1 (en) 2014-01-23
WO2013001312A1 (en) 2013-01-03
BR112013033757A2 (pt) 2017-02-07
RU2014101466A (ru) 2015-08-10
US20140121581A1 (en) 2014-05-01
EP2726036A1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7099B2 (en) Nonwoven from bulked filament tow
JP5717602B2 (ja) 積層不織布、及び当該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EP2726036B1 (en) Compression bandag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4869955B (zh) 弹性层压件及弹性层压件的制造方法
EP1066961B1 (en) Process for making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EP1066957B2 (en) Process for making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CA2895677C (en) A combined compression and absorption dressing/bandage
JP2009523591A (ja) 創傷被覆材
WO2013011384A1 (en) Elastic strand for use in kinesiology tape
CA2814885C (en) Bandage for applying to a human or animal body
US20110276040A1 (en) Elastic strand for use in kinesiology tape
Chellamani et al. Medical Textiles: The Spunlace process and its application possibilities for hygiene textiles
CN111107760A (zh) 具有选择性通风的隔热的构造
JPWO2020049747A1 (ja) 吸収性物品用エアスルー不織布
WO2016018341A1 (en) Soft and strong low cost nonwovens
JP4845597B2 (ja) 伸縮性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