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204A -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다층 부직포 천 - Google Patents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다층 부직포 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204A
KR20140048204A KR20147001077A KR20147001077A KR20140048204A KR 20140048204 A KR20140048204 A KR 20140048204A KR 20147001077 A KR20147001077 A KR 20147001077A KR 20147001077 A KR20147001077 A KR 20147001077A KR 20140048204 A KR20140048204 A KR 2014004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lace
melt blown
fibers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동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4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7/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of other substances with subsequent freeing of the treated goods from the treating medium, e.g. swelling, e.g. poly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93Wound bandages anallergic or hypoallerg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92Density or compression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Additional nonwoven fabric is a spun-bonded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대나무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으로 형성된 외부층;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으로 형성된 중간층;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 블로운-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으로 형성된 내부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외부층은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제품이 제공된다. 다층 부직포 천은 양호한 통기성 및 내후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더욱이, 알레르기원을 불활성화함으로써 항-알레르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다층 부직포 천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WITH ANTI-ALLERGIC EFFECT}
알레르기는 유기체에 침입하는 외래 물질(즉, 항원)에 대한 유기체의 방어 시스템의 반응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면역 시스템의 비정상적 반응이다. 일반적으로, 항원이 침입하는 경우, 유기체는 특정 반응을 가진 항체 및 림프구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항원이 다시 침입한다면, 유기체는 자체-보존을 위한 방어 기전으로서 다양한 면역 반응을 촉발시킨다. 이는 알레르기 반응으로서 알려져 있다.
알레르기원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이다. 예시적인 알레르기원은 먼지 좀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털, 피부 단편(skin fragment), 식물 섬유, 배아(germ), 식품, 염료, 화학 물질을 포함한다. 먼지 좀진드기의 분비물은 호흡을 통해 들어가거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이는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공기 중의 꽃가루는 인간의 눈, 코, 및 폐에 들어가서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특히, 꽃가루가 인간의 코 및 목으로 들어올 경우, 이는 꽃가루 알레르기라고 부르는 일련의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한다.
애완동물의 털 및 피부 단편 또한 알레르기원이다. 동물에 대한 알레르기가 호전되기 위해서는 2년 초과가 걸릴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동물과 접촉이 이루어진 후 6개월 초과까지 알레르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
다층 부직포 천은 마스크용 재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알레르기를 조절하는 항-알레르기 가공 다층 부직포 천은 아직도 충분히 개발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다양한 알레르기원에 대한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 및 항생성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제조하기 단순하고 경제적인 다층 부직포 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형의 섬유, 및 이들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spunlaced) 부직포 천을 가진 외부층;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천을 가진 중간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직포 천을 가진 내부층을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외부층은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inactivation agent)를 포함한다.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특히 적합하다.
일부 구현 형태에서는, 외부층이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구현 형태에서는, 중간층을 코로나 정전(corona static)으로 가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중간층 및 내부층의 하나 초과의 천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군으로부터 전형적으로 선택된다.
본 개시는 이전에 언급된 다층 부직포 천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제품을 제공한다. 항-알레르기 제품은, 마스크, 필터, 가스 마스크, 공기 정화기, 및 공조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층 부직포 천은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다. 이는, 마스크, 필터, 가스 마스크, 공기 정화기, 및 공조기와 같은 항-알레르기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개요는 본 발명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또는 모든 구현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기재는 더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예증한다. 본 출원 전체에 걸쳐 여러 곳에서, 예들의 목록을 통하여 지침이 제공되며, 상기 예들은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열거된 목록은 단지 대표적인 군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배타적인 목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대응하는 참조 부호가 여러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다층 부직포 천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다층 부직포 천을 가진 마스크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
도 3은, 실시예 1의 다층 부직포 천 및 비교예 1의 부직포 천을 이용한 다양한 알레르기원(먼지 좀진드기, 꽃가루, 및 애완동물)의 불활성화 작용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도면을 수행하는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다른 형태로 특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수행 실시예에서의 다층 부직포 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 천(100)은 제1 외부층(110), 중간층(120), 및 제2 외부층(130)을 포함하는 3층 부직포 천 층을 포함한다. 제1 외부층(110)은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 천(100)의 제1 외부층(110)은 대나무 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은 유체 조합된(fluid combined) 부직포 천일 수 있다. 소정의 구현 형태에서, 유체 조합된 부직포는 화학적 수단 또는 열적 수단 없이 고압에서 유체를 블라스팅함으로써 섬유들 사이의 마찰 운동에 의해 조합되는 3-차원 섬유 조립체이다.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점 또는 섬유들 사이의 융합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은 텍스타일처럼 보이고 부드러우며 향상된 드레이프 특성(drape property)을 갖는다. 그것은 우수한 흡수성 및 보충 용액(supplementary solution)의 특성을 갖는다.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인간에게 유해하지 않다. 전형적으로,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은 레이온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형의 섬유, 또는 대나무 및 PET의 조합을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한다.
대나무 섬유는 파쇄한 대나무를 용해시키는 단계로부터 추출된 셀룰로오스를 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대나무 천은 높은 인열 강도, 방추성(crease resistance), 흡수성, 통기성, 및 탈취성을 갖는다. 또한, UV 광선 차단, 음이온 발생, 정전기 방지, 및 내구성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대나무 천은 우수한 항생성을 가지므로,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가진 본 발명의 외부층에 별도의 항생 가공 없이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PET 유형의 섬유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형의 섬유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의 주성분을 가지며 이러한 중량비를 조정하고 방사하는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제1 외부층(110)은 상기 대나무 섬유와 PET 유형의 섬유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할 바와 같이, 형태 유지 및 외부층의 항생성을 고려하여, 혼합비를 통상의 범위 이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천의 강도, 가공, 유연성, 통기성을 고려하여,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외부층(110)의 평량은 20 내지 60 g/㎡일 수 있다.
대나무 천 및/또는 PET 유형의 섬유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제1 외부층(110)은 항-알레르기 가공에 의해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함유한다.
항-알레르기 가공은 본 발명의 외부층(110)을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 또는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의 용액으로 코팅하거나 이에 침지시키는 가공을 의미한다.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의 코팅 방법은 그라비어, 분무, 스크린 인쇄, 또는 기타 공지 가공일 수 있다.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 물질을 흡수하고 변화시켜 알레르기원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물질이다. 그것이 표적 알레르기원을 감소시키거나 불활성화시키는 한 이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의 목적인 알레르기원은 동물 알레르기원 또는 식물 알레르기원일 수 있다. 전형적인 예를 들어, 그것은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소정 유형의 집 먼지 좀진드기, 꽃가루, 및 애완동물)이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는, 이상적으로는 향상된 세정력 및 유화 특성을 가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여야 한다.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의 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층(110)의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의 중량은 2.0 g/㎡ 이상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항-알레르기 가공 중에, 항-알레르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첨가제 또는 결합제 또는 용매에 첨가함으로써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용해시키거나 분배할 수 있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는, 물, 알코올류(메틸알코올,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일종의 탄화수소(톨루엔, 자일렌, 메틸나프탈렌, 케로센, 사이클로헥산), 에테르류(다이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아미드류(N,N-다이메틸포름아미드)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벤조산, 락트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갈산, 알루콘산(aluconic acid), 말레산과 같은 유기산; 에틸렌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테트라소듐과 같은 킬레이트화제; 또는 그의 조합일 수 있다.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는, 알레르기원에 대한 유효성 및 감소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습제, 항산화제, UV 광선 흡수제 또는 진드기 소독제, 기타 소독제, 곰팡이 제거제, 탈취제와 같은 약품 보조제(medicine aid)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외부층(110)은 항균 가공될 수 있다. 별도의 항생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생 가공 방법은, 항생 물질을 분무하고 건조시키거나 침지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항생 물질은 내열성을 가진 무기 또는 유기 살세균제(예를 들어, PHMB)일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본 발명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110)의 한쪽 면과 융합된 중간층(120)은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은 직경 10 ㎛ 이하의 미세한 섬유가 서로 조합된 웨브-유사 구조를 가진 3 차원 섬유 조립체를 포함한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은 스크린 상에 라미네이트된 미세섬유를 가진 높은 여과 작용을 갖는 부직포 천이다. 이는 미세한 먼지 입자 또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은 인장 특성과 더불어 우수한 탄성 및 통기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는 새로운 부재에 있어서 높은 작용을 가진 부직포 천, 여과제, 흡수제, 및 단열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층(120)을 위한 섬유 재료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정 유형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과 혼합된 기타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을 가진 중간층(120)은 필터 또는 여과 매체의 작용을 갖는다. 이러한 필터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하전(plasma charge), 하전된 물거품(water bubble)을 사용하는 물 하전(water charge), 또는 이들과 혼합된 형태를 이용하여 중간층을 추가로 정전 가공(static process)할 수 있다. 소정의 상황에서는 코로나 정전 가공의 방법이 이상적이다.
또한, 중간층(120)은 20 내지 40 g/㎡의 평량을 가진 정전 가공 부직포 천 필터이다. 80 내지 99.9% 범위의 먼지 포집 효율이 바람직하다.
이전에 언급된 외부층(110) 및 중간층(120)과 결합된 본 발명의 내부층(130)은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부층(130)의 섬유 재료는 중간층(120)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섬유 재료는 소정의 섬유 유형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과 혼합된 기타 섬유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외부층과 마찬가지로, 20 내지 60 g/㎡의 평량을 가진 부직포 천이 내부층(130)에 있어서 전형적이다.
본 개시의 다층 부직포 천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제조 방법의 일 수행 실시예는, (1)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형의 섬유,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순서대로 라미네이트하고 융합시켜 다층 부직포 천을 제조하는 단계, (2) 제조된 다층 부직포 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방법의 다른 수행 실시예는, (1)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형의 섬유,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로 코팅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순서대로 라미네이트하고 융합시켜 다층 부직포 천을 제조하는 단계, (2)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코팅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한쪽 면 상에 순서대로 라미네이트하고 융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단계는 그라비어 또는 분무 코팅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열적 결합제, 또는 초음파 결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3 층 부직포 천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물리적 방법으로 이를 조합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나무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형의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을 라미네이트하는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이 순서대로 라미네이트된 부직포 적층체로 구조화된다.
이러한 유형의 라미네이팅을 이용하여 외부층 상에 위치시킨 대나무 섬유 또는 PET 유형의 부직포 천에 의해 다층 부직포 천의 강도가 증가한다. 또한, 큰 기공을 가진 부직포 천을 외부층 상에 위치시키고 작은 기공을 가진 부직포 천을 내부층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기공을 가진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작용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약한 부직포 천을 최대 외부각(maximum outer angle)에 위치시키지 않음으로써, 다층 부직포 천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표면층 상에 위치시키고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을 중간층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다층 부직포 천은 높은 작용을 가진 필터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최대 외부각 층 상에 포함된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이용하여 병원체가 내부로 투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알레르기, 항-바이러스, 및 항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투과 속도에 있어서 3 층을 가진 다층 부직포 천 상의 안면부의 흡입 저항은, 이상적으로는 101.0 Pa(10.3 mmH2O) 이하여야 한다. 그것은 이러한 범위를 가진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다.
3 층의 라미네이션을 가진 다층 부직포 천은 본 개시의 예이다. 다층 부직포 천 내의 부직포 천의 수 및 라미네이팅 위치는 용도에 따라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층 부직포 천은 다양한 항-알레르기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항-알레르기 제품의 비제한적인 예는 마스크, 필터, 공기 정화기, 공조기, 및 가스 마스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 천을 가진 마스크 본체(210) 및 귀고리(220)를 가진 마스크를 나타낸다. 항-알레르기 가공을 가진 외부층은, 이상적으로는 마스크 본체(210) 상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층에 면하여 위치해야 한다.
실시예
하기 수행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수행 실시예 및 실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수행 실시예 1
대나무 섬유로 제조된 텍스타일로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제조하였다. 유효 성분으로서의 화학물질 다이소듐 헥사데실다이페닐옥사이드 다이설포네이트 20 중량%, 시트르산 2 중량%, 폴리헥사메틸렌 바이구아나이드 2 중량%, 및 물 76 중량%를 이용하여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 상에 40 g/㎡의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 중량으로 그라비어 코팅을 실행하였다. 이를 건조시킨 후에, 항-알레르기 가공을 제공하였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 및 멜트-블로운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이러한 항-알레르기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한쪽 면 상에 순서대로 라미네이트하였다. 초음파 융합을 이용하여 3 층 부직포 천을 제조하였다. 중간층으로 사용된 멜트-블로운 부직포 천은 G100 등급의 코로나 가공 부직포 천이었다.
제조된 다층 부직포 천으로 마스크 본체를 제조하였다. 마스크 본체의 한쪽 면 상에 귀고리를 위치시켰다. 귀고리는 면 원사로 제조하였다. 그들을 마스크 본체의 한쪽 면 상에 융합시켜 부착하였다(도 2).
수행 실시예 2
수행 실시예 1로부터의 마스크 본체의 외부층 상에 항생 가공을 실행하였다. PHMB를 살세균제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항-알레르기 가공하지 않은 단층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천으로 마스크 본체를 제조하였다. 그 위에 귀고리를 설치하여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항-알레르기 평가 시험
ELISA - 효소 LISA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알레르기원에 대한 불활성화 작용을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색 변화를 확인하여 알레르기원 농도를 측정한다.
제조 방법 및 샘플의 시험 결과를 측정하는 방법 및 본 개시의 수행 실시예에 사용되는 반응 시약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각각의 수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시험에는 다양한 특정 유효 성분, 알레르기원의 유형, 유효 성분이 커버하는 양이 주어졌다.
1. 반응 시약의 제조
사용되는 알레르기원
집 먼지 좀진드기: Der p 1, Der f 1, Der p 2, Der f 2
꽃가루: Bet v 1(자작나무)
애완동물: Can f 1(애완동물 비듬)
각각의 항원에 대한 ELISA 시험 키트로 인바이오 코포레이션(Inbio Corporation)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항원을 PBS에 용해시켰다. 250 ng/m1의 시험 알레르기원 용액을 제조하였다. 기타 시약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ELISA 키트 공급자의 지침을 따랐다.
2. 샘플 및 각각의 항원의 반응
각각의 샘플을 5 × 5 ㎜로 절단하였다. 이를 항원 용액(250 ng/㎖) 300 ㎕에 넣고 25 ℃에서 1 시간 동안 두었다. 1 시간 후에, 항체로서 이 용액(균등한 용액) 100 ㎕를 덮개가 있는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넣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의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샘플에서 알레르기원 농도를 측정하였다.
3. 시험 결과의 측정
샘플을 가진 반응 용액 내에서 405 ㎚의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항원의 농도를 측정하여 알레르기원 불활성화 효율을 계산하였다.
효율(%)(즉,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율(%)) = (250 - 각각의 샘플의 측정된 농도) / 250
수행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각각의 시험 알레르기원으로서 4개 유형의 집 먼지 좀진드기(Der p 1, Der f 1, Der p 2, Der f 2), 꽃가루(Bet v 1), 및 애완동물(Can f 1)의 알레르기원을 사용하였다. 꽃가루(Bet v 1) 및 애완동물(Can f 1)의 경우에 알레르기원의 단백질 농도는 250 ng/㎖이었다. 샘플 중의 총 유효 성분의 커버하는 양을 1 g/㎡로 만든 후에 유효 성분으로서 다이소듐 헥사데실 다이페닐 옥사이드 다이설포네이트를 가진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에 대한 각각의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본 개시의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Der p 1, Der f 1, Der p 2, Der f 2, Bet v 1, Can f 1에 대해 사용한 경우, 표 2 및 도 3을 참조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의 효율은 비-가공 샘플보다 훨씬 더 양호했다.
Figure pct00002
본 명세서에 인용된 특허, 특허 문헌, 및 공보의 전체 개시 내용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포함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주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 실시 형태 및 실시예로 부당하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그러한 실시예 및 실시 형태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고, 본 발명의 범주는 이하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허청구범위로만 제한하고자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1)

  1. 대나무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으로 형성된 외부층;
    멜트 블로운(melt-blown) 부직포 천으로 형성된 중간층;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 블로운-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으로 형성된 내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층은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천(multi-layered nonwoven fabri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다층 부직포 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이 항균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코로나 정전기 처리(corona electrostatic treatment)된, 다층 부직포 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및 내부층의 각각의 부직포 천이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 및 내부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직포 천이 20 내지 60 g/㎡ 범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며,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부직포 천은 20 내지 40 g/㎡ 범위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80 내지 99.9% 범위의 집진 효율을 갖는, 다층 부직포 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부직포 천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마스크, 필터, 항-가스 마스크, 공기 정화기, 및 공조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알레르기 제품.
  9. (i) (a) 대나무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 (b)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 및 (c)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 블로운-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순차적으로 적층(stacking)하여 다층 부직포 천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 상기 다층 부직포 천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표면을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다층 부직포 천의 제조 방법.
  10. (i) 대나무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알레르기원 불활성화제로 코팅하는 단계; 및
    (ii) (a)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 및 (b) 멜트 블로운 부직포 천 또는 멜트 블로운-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을 스펀레이스 부직포 천의 표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라미네이션(lamination) 및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다층 부직포 천의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그라비어 코팅 또는 분무 코팅을 포함하는, 방법.
KR20147001077A 2011-06-20 2012-06-19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다층 부직포 천 KR20140048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88 2011-06-20
KR1020110059588A KR20120140003A (ko) 2011-06-20 2011-06-20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다층 부직포
PCT/US2012/043162 WO2012177648A2 (en) 2011-06-20 2012-06-19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with anti-allergic eff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204A true KR20140048204A (ko) 2014-04-23

Family

ID=474231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88A KR20120140003A (ko) 2011-06-20 2011-06-20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다층 부직포
KR20147001077A KR20140048204A (ko) 2011-06-20 2012-06-19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다층 부직포 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88A KR20120140003A (ko) 2011-06-20 2011-06-20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다층 부직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216478A1 (ko)
EP (1) EP2721208A4 (ko)
JP (1) JP2014520216A (ko)
KR (2) KR20120140003A (ko)
CN (1) CN104302473A (ko)
TW (1) TW201305401A (ko)
WO (1) WO201217764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27B1 (ko) 2016-09-21 2017-03-24 (주) 클푸 항-알레르겐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4007A (zh) * 2013-01-25 2013-05-08 福建建州竹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竹原纤维汽车空调过滤滤芯及其制备方法
KR101537446B1 (ko) * 2013-09-23 2015-07-1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다공성 복합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KR102211659B1 (ko) * 2013-12-16 2021-02-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항바이러스 및 제균이 우수한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3021071A1 (de) 2013-12-18 2015-06-18 Mann + Hummel Gmbh Filtermedium, Filterelement und Filteranordnung
CN103948188B (zh) * 2014-04-30 2015-09-02 李甲亮 净化pm2.5的中药防护型口罩滤芯
CN104055246B (zh) * 2014-07-06 2015-07-15 陶健 环保竹炭口罩及其制备方法
CN104401051A (zh) * 2014-11-19 2015-03-11 常熟市钟杰针织有限公司 一种蕾丝复合绒面料
CN104621784B (zh) * 2015-03-07 2016-08-24 黄学亮 一种防汽车尾气防雾霾口罩
CN105058875B (zh) * 2015-07-31 2017-12-05 张政 一种装修用地面保护膜及其应用
DE102016212056A1 (de) 2016-07-01 2018-01-04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medi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Filtermediums
CN106400317A (zh) * 2016-11-23 2017-02-15 桐城市钰锦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抗菌驱虫无纺布及其制备方法
JP7050531B6 (ja) * 2017-03-17 2022-06-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用シート及びマスク
KR101972808B1 (ko) * 2017-06-20 2019-04-30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7442770B2 (ja) * 2019-07-12 2024-03-05 住江織物株式会社 消臭、抗菌、抗アレルゲン、抗ウイルス、防ダニ性能を有する繊維布帛
CN110484985A (zh) * 2019-08-09 2019-11-22 上海锦湾实业有限公司 一种抗菌型再生产涤纶短纤维的生产工艺
US20210307428A1 (en) * 2020-04-03 2021-10-07 Nanotek Instruments Group, Llc Antiviral filtration element and filtration devices containing same
DE202020102306U1 (de) 2020-04-24 2021-08-02 Wolf Pvg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temschutzmaske
DE202021001980U1 (de) * 2021-06-08 2021-06-24 Gauss Psa Gmbh Mehrschichtige Mundschutzmaske
KR102599732B1 (ko) 2023-04-19 2023-11-08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신축성 다층 부직포 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112A (ja) * 2003-08-19 2005-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ウイルス不活化剤およびウイルス不活化方法、該不活化剤を備えたフィルター、並びに該フィルターを具備する空気調和機
US7549281B2 (en) * 2003-10-31 2009-06-23 Toray Industries, Inc. Fiber yarn and cloth using the same
EP1813338B1 (en) * 2004-07-29 2011-10-12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Use of an air filter with ginkgo extract
US20060135026A1 (en) * 2004-12-22 2006-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cleaning products having shape resilient layer
JP4822704B2 (ja) * 2004-12-28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27B1 (ko) 2016-09-21 2017-03-24 (주) 클푸 항-알레르겐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20216A (ja) 2014-08-21
US20140216478A1 (en) 2014-08-07
WO2012177648A3 (en) 2014-05-08
EP2721208A4 (en) 2015-06-03
KR20120140003A (ko) 2012-12-28
EP2721208A2 (en) 2014-04-23
CN104302473A (zh) 2015-01-21
TW201305401A (zh) 2013-02-01
WO2012177648A2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204A (ko)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다층 부직포 천
Chua et al. Face masks in the new COVID-19 normal: materials, testing, and perspectives
US20050079379A1 (en) Enhancement of barrier fabrics with breathable films and of face masks and filters with novel fluorochemical electret reinforcing treatment
US20160113336A1 (en) Face mask
US20110232653A1 (en) Antimicrobial, dustproof fabric and mask
JP5155884B2 (ja) 多層式マスク
US8501644B2 (en) Activated protective fabric
JP2008188082A (ja) マスク
WO2013078094A1 (en) Mask pack
KR20060076194A (ko) 청소 용구
US20210322907A1 (en) Multilayer filter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use thereof in industrial filtration applications and protective masks
KR20180033760A (ko) 황사 마스크
JP2011234910A (ja) マスク用シート
RU2529829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 полиамидными нановолокнами
JP5995880B2 (ja) マスク
KR20120007137U (ko) 여과기능을 갖는 한지부직포를 사용한 호흡기용 기능성 마스크
WO2021231695A1 (en) Filtration media
JP2021183752A (ja) 多成分フィラメントのフィルター材を有するフェイスマスク
JP2016014215A (ja) マスク
KR20150032809A (ko) 에어 필터 여재 및 에어 필터
US20230135711A1 (en) Article for infection prevention for fomite materials
WO2023190318A1 (ja) 濾材
JP2019119967A5 (ko)
CN115867159A (zh) 防护口罩、空气过滤元件和空气处理元件
KR20220015605A (ko) 부직포를 이용한 나노섬유필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