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244A -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244A
KR20140046244A KR1020120112472A KR20120112472A KR20140046244A KR 20140046244 A KR20140046244 A KR 20140046244A KR 1020120112472 A KR1020120112472 A KR 1020120112472A KR 20120112472 A KR20120112472 A KR 20120112472A KR 20140046244 A KR20140046244 A KR 2014004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oins
coin
collect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홍
Original Assignee
박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홍 filed Critical 박민홍
Priority to KR102012011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244A/ko
Publication of KR2014004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는 코인들이 쌓여 있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코인들을 수집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을 상기 코인들이 쌓여 있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니트와; 상기 전자석에 의해 수집된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와; 수집하여야 하는 코인 개수의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코인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코인의 개수가 지정된 범위 내 인가를 판단하는 제어기구와; 상기 제어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석 전원부와; 지정된 상기 코인 개수의 범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코인계수 게임장치와,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 범위를 지정하고; 지정된 개수의 코인을 수집하기 위해 전자석을 코인이 쌓여있는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코인 근처로 상기 전자석을 하강시켜 상기 전자석에 코인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들어 올린 다,음 코인이 부착된 상기 전자석을 계수기구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코인이 코인 계수기로 집어넣어 코인을 계수하고; 계수된 코인이 수집하여야 할 개수 범위 내인가를 판단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A Coin Counting Game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 for a coin counting Game}
본 발명은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코인을 지시된 개수 내로 수집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가질 수 있는 면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더욱 상세히는 코인을 지시된 개수 내로 수집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가지면서 경품을 획득할 수 있는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캐릭터 인형 등의 상품을 투명한 본체 내에 수용한 다음,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부의 조작기구를 조작하여 경품을 집어내는 소위 크레인 게임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크레인 게임장치에서는, 플레이어가 조작부의 조작기구를 조작하여 획득하려고 하는 경품에 대해서 크레인 기구를 동작시켜 파지부가 목표로 하는 경품의 바로 위에 되었다고 생각될 때 조작기구의 조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파지부가 자동적으로 강하하여 본체 저부에 도착하고, 강하한 파지부가 경품을 잡는다. 파지부가 경품을 잡으면, 플레이어는 경품을 잡은 파지부를 상승시켜 경품 배출구의 윗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경품을 낙하시켜 취득한다.
그런데, 이러한 크레인 게임기는, 경품을 획득하기 위한 조작이 조이스틱과 버튼으로 하기 때문에, 초심자에게는 좋지만, 조작에 익숙한 플레이어에게는 따분하고 지루한 것이 되었다. 게다가 플레이어는 소망하는 경품 위에까지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뿐이고, 그 뒤는 크레인이 자동으로 경품을 잡는 것이므로 단계에 따르는 난이도가 없어, 게임에 익숙한 플레이어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러한 크레인 게임장치는, 목표로 하는 경품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매력이 있는 경품으로 손님의 인기를 얻어 왔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경품을 획득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게임 요소가 없어, 쉽게 싫증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플레이어에 따라 취미의 폭은 넓은 것인 반면, 사용할 수 있는 경품의 종류에는 한계가 있어, 플레이어의 기호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었다.
일본실용신안공보 평 03-42949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3-15899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3-158989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3-15898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6217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2977
본 발명은, 미션 수행이라고 하는 단계별 목표를 가지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갖게 함과 동시에, 플레이어가 원하는 경품을 갖고 게임을 종료하거나, 경품 대신 좀 더 난이도가 높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코인 계수 게임 장치와 코인계수 게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션"이라 함은 코인을 지시된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수집하는 것을 의미하고, "미션의 성공"이라 함은 플레이어가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지시된 허용 상한값과 허용 하한값 내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는 코인들이 쌓여 있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코인들을 수집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을 상기 코인들이 쌓여 있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니트와; 상기 전자석에 의해 수집된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와; 수집하여야 하는 코인 개수의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코인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코인의 개수가 지정된 범위 내 인가를 판단하는 제어기구와; 상기 제어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석 전원부와; 지정된 상기 코인 개수의 범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이동 유니트는 상기 전자석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기구와; 상기 전자석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기구와; 상기 전자석을 승하강시키는 전자석 승하강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디스플레이에는 기준 값과 편차가 표시되고, 상기 코인의 개수 범위는 상기 기준 값에서 가감되는 편차로 정해진다. 이는 플레이어가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가 일정 범위가 아니고 특정된 하나의 수라면 숙련된 플레이어에게도 지시된 수에 맞게 코인을 수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코인의 개수 범위는 난이도에 따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전자석 전원부는 전자석에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고, 또 디스플레이에는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상기 전류에 의한 전자석의 세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플레이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자석의 세기에 따라 순발력 있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좀더 재미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경품이 걸려있는 진열대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고정되고 화폐 투입구와 조작부가 형성되는 전면 도어와; 상기 본체에 내에 설치되고 제1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기구와; 상기 제1 이동기구에 장착되고 제2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기구와; 상기 제2 이동기구에 장착되는 전자석 승하강기구와; 상기 전자석 승강기구에 의해 승하강되고, 바닥면에 흩어져 있는 코인을 수집하는 전자석과; 수집된 상기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와; 수집하여야 하는 상기 코인의 개수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코인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상기 코인의 개수가 지정된 범위 내 인가를 판단하는 제어기구와; 수집하여야 하는 상기 코인의 개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석 전원부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위 구성에서, 본체 내에는 경품을 걸어놓는 진열대가 설치되어 미션의 성공에 따라 진열대에 걸어놓은 경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션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상품을 제공하도록 진열대를 몇 단계로 나누어 미션의 레벨에 따른 다른 상품을 걸어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제어기구는 플레이가 미션을 성공하였을 때, 성공된 미션에 맞는 레벨의 상기 진열대에 걸려있는 경품을 추출하여 가져갈 수 있거나 좀더 높은 레벨의 게임을 다시 할 수도 있다.
위 구성에서 전자석은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류가 공급되어 자력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변동되도록 하고, 전자석의 세기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플레이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자석의 세기에 따라 순발력 있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좀더 재미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 전자석에 부착되는 코인을 수집하여 계수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은,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 범위를 지정하고; 지정된 개수의 코인을 수집하기 위해 전자석을 코인이 쌓여있는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코인 근처로 상기 전자석을 하강시켜 전자석에 코인이 부착되도록 하고;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들어 올린 다음, 코인이 부착된 상기 전자석을 계수기구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코인이 상기 계수기구로 집어넣어 코인을 계수하고; 계수된 코인이 수집하여야 할 개수 범위 내인가를 판단하여 계수된 코인이 수집하여야 할 개수 범위 내일 때 경품이 제공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위 방법에서, 상기 본체 내에는 경품을 걸어놓는 진열대가 설치되어 미션의 성공에 따라 진열대에 걸어놓은 경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션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상품을 제공하도록 진열대를 몇 단계로 나누어 미션의 레벨에 따른 다른 상품을 걸어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플레이어가 미션을 성공하였을 때, 성공된 미션에 맞는 레벨의 상기 진열대에 걸려있는 경품을 추출하여 가져갈 수 있거나 좀더 높은 레벨의 게임을 다시 하게 할 수도 있다.
지정된 시간 내에 조이스틱 및 버튼의 조작으로 전자석을 이동시켜 코인을 카운터에 집어넣고 맞출 경우 경품을 제공받을 수 있어, 새로운 게임방식 적용으로 사용자들의 호기심 및 흥미를 적극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정면 도어를 열고 내부를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에서 전자석을 X축, Y축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 유니트에서 전자석을 Y축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기구 및 전자석 승강기구를 앞쪽에서 본 사시도 이고, 도 6은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Y축 이동기구 및 전자석 승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전자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수집된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의 한 실시예이고, 도 10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걸린 경품을 낙하시키는 경품 낙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장치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장치에서 제어기구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코인 계수기의 코인 계수동작을 나타내는 서브루틴이다.
도 17 및 도 18은 전자석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브루틴이다.
도 19는 계수된 미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이다.
도 20은 미션 성공시 행거유니트를 구동하는 서브루틴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정면 도어를 열고 내부를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코인 계수 게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코인 계수게임 장치(100)는 전면 도어(101), 좌측 및 우측 판넬(102, 104), 뒤쪽 판넬(103) 그리고 상부판넬(105)로 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인 계수 게임장치의 내부는 수직 파티션 판넬(161)에 의해 분할되는데, 한쪽은 경품영역(S)이 되고, 다른 한쪽은 다시 수평 파티션 판넬(165)에 의해 분할되어 게임영역(G)과 제어영역(C)이 된다. 수평 파티션 판넬(165) 상에는 코인이 쌓이게 되고, 제어영역(C) 내에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구가 위치한다.
코인은 전자석에 부착되는 재질, 예를 들면 철과 같은 재질로 되어 있다. 코인은 전자석에 부착될 수 있다면 미관상 또는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면 도어(101)는 열고 닫을 수 있게 되어 있어, 점원이 본체 내부에 접근하여 경품영역(S)에 위치하는 경품 행거에 경품을 걸어놓던가, 필요에 따라 내부의 게임 영역(G)의 코인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전면 도어(101)의 위쪽은 투명창(111)으로 되어 있어, 플레이어가 장치의 내부를 들어다 보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또 경품영역(S)에 걸려있는 경품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전면 도어(101)의 투명 창(111) 아래쪽에는 조작기구 설치부재(120)가 돌출되어 있다. 조작기구 설치부재(120) 상에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데 사용하는 조이스틱(123)과 조작버튼(1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도어의 전면에서 조작기구 설치부재(120) 아래에는 동전투입구(1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면 도어의 좌측 하부에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여 획득한 경품을 꺼낼 수 있는 경품 추출 도어(131)가 설치되어 있다. 경품 추출 도어(131)는 그 위쪽이 힌지 형태로 고정되어 안쪽으로 밀어 올리면서 여는 푸쉬도어 형태로 되어 있다. 경품 추출 도어(131)의 안쪽은, 경품 추출 도어(131)를 밀 때 너무 높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규제판(133)이 설치되어 있다.
경품영역(S)의 상부에는 경품을 걸어놓는 행거 기구(170)가 설치되어 있다. 행거 기구(170)는 행거 지지판넬(171)과 행거 지지판넬(171)에 설치된 행거구동모터와 구동모터로부터 돌출된 행거(177)로 구성된다. 행거(177)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경품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행거 기구(170) 아래에는 행거(177)로부터 떨어지는 경품을 경품 추출 도어(131) 쪽으로 안내하는 경품 안내기구(180)가 설치되어 있다. 경품 안내기구(180)는 행거(177)로부터 떨어지는 경품이 바닥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185)가 형성되는 안내 부재(181)로부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안내 경사판(183, 187, 189)으로 되어 있다.
게임 영역(G)의 뒤쪽에는 플레이어에게 수집할 코인의 개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703)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지지판넬(720)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게임 영역(G)에서 디스플레이 지지 판넬(720)의 바로 앞쪽의 수평 파티션 판넬(16) 상부에는 코인 계수기가 설치되어 있다. 수집할 수 많은 코인들은 수평 파티션 판넬(165) 위에 흩어져 있다. 코인 계수기의 호퍼는 플레이어가 수집한 코인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위쪽은 개방되어 있다. 코인 계수기가 계수한 코인이 다시 코인 계수기 주위의 수평 파티션 판넬(165) 위에 쌓이도록 코인 배출구는 전방을 향하고 있다.
게임영역(G) 상부에는 코인계수기 주위의 수평 파티션 판넬(165) 위에 쌓여 있는 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코인을 코인 계수기의 호퍼로 집어넣는 코인 수집 유니트(300)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 수집 유니트(300)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 수집 유니트(300)의 구조는 도 4에 나타나 있다. 수평 파티션 판넬(165) 위에 흩어져 있는 코인은 전자석에 의해 부착되어 수집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치의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장치의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이라고 한다.
코인 수집 유니트(300)는 전자석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 X축 방향 이동기구(330)와 전자석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 와 전자석을 승하강 시키는 전자석 승하강 기구(370) 그리고 전자석(480)으로 구성된다.
X축 방향 이동기구(330)는 장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X축 방향 가이드 로드(307, 327)에 각각 끼워져 가이드 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331, 341)를 포함한다. 제1 X축 방향 가이드 로드(307)는 장치의 후방에서 제1 후방 고정부재(305)와 제1 전방 고정부재(309) 사이에 고정되고, 제2 X축 방향 가이드 로드(327)는 제2 후방 고정부재(325)와 제2 전방 고정부재(327) 사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슬라이더(331, 341)의 아래에는 제1 및 제2 Y축 방향 가이드 로드 설치부재(335, 345)가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Y축 방향 가이드 로드 설치부재(335, 345) 사이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Y축 방향 가이드 로드(361, 363)가 설치된다.
제1 후방 고정부재(305)에는 제1 후방 고정부재(305)에는 제1 구동모터(303)와, 제1 구동모터(303)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풀리(311)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전방 고정부재(309)에는 종동 풀리(31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311)와 종동 풀리(313) 사이에는 구동로프(315)가 장착된다. 구동로프(315)는 제1 구동모터(303)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풀리(311)와 종동풀리(313) 사이를 회전한다. 제1 슬라이더(331)의 한쪽은 구동로프(315)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로프(315)가 구동풀리(311)와 종동풀리(309)를 돌면서 회전함에 따라 제1 슬라이더(331)는 제1 X축 가이드 로드(307)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제1 구동모터(30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슬라이더(331)는 제1 X축 가이드 로드(307)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전진하고, 제1 구동모터(30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슬라이더(331)는 제1 X축 가이드 로드(307)는 따라 X축 방향으로 후퇴한다.
제2 전방 고정부재(327)와 제2 후방 고정부재(325)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X축 리미트 스위치(391, 392)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391, 392)는 제2 슬라이더(341)가 제2 X축 방향 가이드 로드(327)를 벗어나는 검출한다. 제2 전방 고정부재(327)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391)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331, 341)가 전진하더라도 제1 및 제2 X축 가이드 로드(307, 327)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제2 후방 고정부재(325)에 설치된 후방 X축 리미트 스위치(392)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331, 341)가 후퇴하더라도 제1 및 제2 X축 가이드 로드(307, 327)를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제2 슬라이더(341)가 전방 및 후방 X축 리미트 스위치(391, 392)에 접촉될 때, 전원을 차단하여 제1 구동모터(303)가 정지되도록 하여 구동로프(315)의 회전을 멈춤으로써 제1 및 제2 슬라이더(331, 341)가 제1 및 제2 X축 가이드 로드(307, 327)를 벗어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Y축 가이드 로드(361, 363)에는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의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는 뒤쪽이 개방된 형태의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을 포함한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 내에는 제2 구동모터(353), 제3 구동모터(371), Y축 슬라이더(375) 그리고 좌측 및 우측 리미트 스위치(393, 39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구동모터(353)는 실질적으로 전자석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 구동모터(371)는 전자석을 승하강 시킨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의 측면에는 제1 Y축 가이드 로드(361)가 통과하는 구멍(351H)이 형성되어 있다. 제1 Y축 가이드 로드(361)는 제1 Y축 지지부재(335)로부터 승강기구 본체(351)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351H)를 지나 Y축 슬라이더(365)를 통과하고 반대쪽 측면에 형성된 구멍(351H)을 지나 제2 Y축 지지부재(343)까지 연장된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 내에 설치된 제2 구동모터(353)의 축은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의 전면을 지나 연장되고, 그 끝에는 Y축 구동풀리(375)가 부착되어 있다.
Y축 구동풀리(375)는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를 따라 움직인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의 전면 아래쪽에는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가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 상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아이들 롤러(357, 359)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는 제1 및 제2 아이들 롤러(357, 359)와 Y축 구동풀리(355) 사이에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가 위치하여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 상에 안정되게 지지되며 또 Y축 구동풀리(355)와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 사이에 마찰력이 부여되어 Y축 구동풀리(355)가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 위에서 헛돌지 않고 정확히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를 따라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 위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Y축 구동풀리(355)가 제2 Y축 가이드 로드(363) 위에서 이동함에 따라, 전자석 승하강 기구(370)는 Y축 방향을 따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좌측 및 우측 리미트 스위치(393, 394)는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가 제1 및 제2 Y축 지지부재(335, 343)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그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350)가 제1 및 제2 Y축 지지부재(335, 343)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좌측 및 우측 리미트 스위치(393, 394)가 제1 및 제2 Y축 지지부재(335, 343)와 접촉하게 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제2 구동모터(353)가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본체(351)의 전면 아래쪽에는 제3 구동모터(371)의 구동축에 연결된 전자석 유니트를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끌어당기는 와인딩 드럼(37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기구 본체(351)의 아래에는 전자석 유니트를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끌어당기거나 전자석 유니트 승하강 로프(461)를 안내하는 와인딩 로프 가이드(377)가 설치되는 와인딩 로프 가이드 설치부재(375)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 유니트 승하강 로프(461)는 와인딩 드럼(373)에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린다. 전자석 유니트는, 제3 구동모터(371)가 구동되어 와인딩 드럼(373)에 전자석 유니트 승하강 로프가 감기게 되면 위로 올라오게 되고, 와인딩 드럼(373)으로부터 전자석 유니트 승하강 로프가 풀리게 되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전자석의 구조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석 유니트(480)는 코일(487)이 감겨진 전자석 보빈(485)이 수용되는 전자석 본체(489)와 본체(489)를 덮는 커버(481)를 포함한다. 커버(481)의 위쪽에는 전자석 유니트 승하강 로프(461)가 연결된다. 전자석 본체(489) 내에 수용되는 전자석 보빈(485) 위쪽에는 코일(487)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회로기판(483)이 위치한다. 회로기판(483)에는 전자석 유니트(480)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면서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491)가 복수개 부착되어 있다. 전자석 유니트(480)의 자력의 세기는 코일(487)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변화하여 전자석 유니트에 부착되는 코인의 개수를 달리하도록 한다. 전자석 유니트(480)의 자력의 세기는 다음에 설명되는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수평 파티션 판넬(165)의 뒤쪽으로는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500)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 계수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코인 계수기는 바와 같이 호퍼(513)와 호퍼(513)를 감싸고 뒤쪽 디스플레이 판넬에 고정시키는 호퍼 보조부재(511)를 포함한다. 호퍼 보조부재(511)는 코인이 호퍼(513) 내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그 상부가 나팔모양의 벌어져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호퍼(513)의 바닥은 개구되어 있고, 개구부는 회전디스크(525)를 감싸고 있다. 회전 디스크(525)는 디스크 구동모터(527)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데, 회전디스크에는 코인이 들어갈 수 있도록 코인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코인 수용홈에 들어간 코인은 회전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위로 올라가게 되고 배출부재(529)를 걸쳐 호퍼 보조부재(511)에 형성된 배출홈(515)을 통해 빠져 나와 수평 판넬(165) 위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코인 계수기는 흔히 슬로트 게임장치에 사용되는 공지된 구조이다.
도 11은 상품을 추출하기 위한 행거 유니트의 구성이다. 행거 유니트(170)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배면 판넬(103) 앞쪽에 위치하는 행거 프레임(171)과 행거 프레임(171)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행거 로드(177)와 각각의 행거 로드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행거 로드 구동모터(173)로 구성된다. 행거 프레임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행거 로드(177)에는 나선형태의 홈(179)이 형성되어 있다. 경품은 행거 로드(177)의 나선형태의 홈(179)에 걸리게 되어, 행거 로드 구동모터(173)에 의해 행거 로드(177)가 회전하면, 경품은 행거로드(177)의 나선형태의 홈(179)을 따라 앞쪽으로 전진하여, 행거 로드(177)의 끝단을 벗어나게 되면 아래로 떨어져 경품 안내 유니트(180)로 들어가게 된다.
경품 안내 유니트(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모양의 안내부재(181)와 안내부재(181)에 부착된 제1 경사판(183)과 제1 경사판(183)의 반대쪽에서 안내부재(81)에 부착된 제2 경사판(187)과 제2 경사판(187)의 아래 끝단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3 경사판(189)으로 구성된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기구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기구의 화면(703)은 아래 가운데에 게임을 할 수 있는 크레딧을 나타내는 영역(703c), 게임 시간을 나타내는 영역(703t),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영역(703n) 그리고 그 편차를 나타내는 영역(703v)과, 화면 양쪽에 전자석의 세기를 나타내는 대쉬 바가 표시되는 영역(703b)으로 구분된다. 크레딧을 나타내는 영역(703c)의 수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회수에 관계되고, 게임 시간을 나타내는 영역(703t)의 수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낸다.
게임장치에서 플레이어가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코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영역(703n)의 수에서 편차를 나타내는 영역(703v)의 수를 뺀 하한값과 영역(703n)의 수에서 편차를 나타내는 영역(703v)의 수를 더한 상한값 사이가 될 때 미션을 성공하였다고 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도 11에서 지정된 수 217에서 편차 6을 뺀 하한값 201과 지정된 수 217에 6을 더한 상한값 223 사이에 있는 개수의 코인을 수집하면 미션을 성공하였다고 한다.
도 13는 코인계수 게임장치(100)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계수 게임장치(100)는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각종 연산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구(200)는 CPU(201)와 CPU(201)의 동작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ROM(203)과 제어기구(200)의 연산 및 동작 수행과정에서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203)을 포함한다. 제어기구(200)는 데이터 버스(211)와 I/O 인터페이스(213)를 걸쳐 외부 장치로부터 연산 및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들이거나, 외부 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 외부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I/O 인터페이스(213)에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기려고 할 때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는 주화관리기구(220)와 플레이어가 게임을 할 때 조작하는 조작 버튼(231) 및 조이스틱(233)의 구동방향을 감지하는 X 방향 구동 포인터(235)와 Y 방향 구동포인터(237)가 연결되어 있다. I/O 인터페이스(213)에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할 때 조작하는 조작 버튼(231) 및 조이스틱(233)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어기구(20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드라이버(301), 전자석 승하강 드라어버(401), 전자석 파워드라이버(451)가 연결되어 있으며, I/O 인터페이스(213)에는 리미트 스위치 감지부(239)와 코인 계수기(300)가 연결되어 있다. 전자석 전원 드라이버(451)에는 전자석 전원부(453)이 연결되어 있다. 또, I/O 인터페이스(213)에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501)와 상품추출모터 드라이버(601)가 연결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코인 계수 게임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초기상태에서는 전자석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고, 플레이어가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하면 계수 게임장치는 게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제어기구(200)는 버튼이 푸쉬되면 게임을 할 수 있는 크레딧이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S105). 스텝 S105에서 게임을 할 있는 크레딧이 없으면 종료하고, 게임을 할 있는 크레딧이 있으면, 한 번의 게임을 할 수 있는 시간, 수집하여야 할 코인 개수의 기준값 그리고 편차를 설정한다.(스텝 S107). 플레이어가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 범위는 기준값에서 편차를 뺀 하한값과 기준값에서 편차를 더한 상한값의 범위로 정해진다. 이 개수의 범위는 편차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게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 번의 게임은 스텝 S107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구(200)는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스텝 S107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가를 항상 감시한다. 스텝 S107에서 설정된 시간 내라면 전자석 전원을 ON으로 하여 가변적인 전원이 전자석에 인가되도록 하고(스텝 S111),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석 전원을 OFF로 한다.(스텝 S141).
전자석 전원을 ON으로 한 다음(스텝 S111)에는, 제어기구(200)는 조이스틱이 구동되는가를 감시한다.(스텝 S113). 스텝 S113에서 조이스틱이 구동되면 서브루틴 S160으로 진행하고, 스텝 S113에서 조이스틱이 구동되지 않으면, 버튼이 다시 눌러지는가를 감시한다.(스텝 S115).
스텝 115에서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스텝 S11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15에서 버튼이 눌러지는 것이 감지되면, 전자석에 공급되는 가변적인 전원을 버튼이 눌러지는 순간의 전원으로 고정시킨다.(스텝 S117).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이 고정한 다음(스텝 S117), 승하강 모터를 구동하여 전자석을 코인이 쌓여있는 바닥으로 하강시켜 전자석에 코인이 부착되도록 하고(스텝 S119),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끌어올린다.(스텝 S121).
제어기구(200)는,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끌어올린 다음(스텝 S121), 다시 조이스틱이 구동되는가를 감시한다.(스텝 S123). 스텝 S123에서 조이스틱이 구동되면 서브루틴 S170으로 진행하고, 스텝 S123에서 조이스틱이 구동되지 않으면, 버튼이 다시 눌러지는가를 감시한다.(스텝 S125).
스텝 125에서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스텝 S12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25에서 버튼이 눌러지는 것이 감지되면,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OFF시켜 전자석에 부착된 코인을 코인계수기의 호퍼로 떨어뜨린다.
전자석에 부착된 코인을 코인계수기의 호퍼로 떨어뜨린 다음, 스텝 S109로 되돌아간다. 제어기구(200)는 스텝 S109에서 한 번의 게임을 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석 및 계수기의 전원을 OFF시킨다.(스텝 S141). 그리고 제어기구(200)는 메인루틴에서 S190으로 진행하면 서브루틴으로 들어가 미션의 성공여부를 판단한다.
제어기구(200)는 도 19에서 설명되는 서브루틴에 따라, 플레이어가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설정된 범위 내인가를 판단하여 미션의 성공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제어기구(200)는 설정된 기준값과 편차를 읽어온 다음(스텝 S192), 기준값에서 편차를 뺀 값을 하한값으로, 기준값에서 편차를 더한 값을 상한값으로 설정한 다음(스텝 S193, 스텝 S194), 이를 RAM(20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수집한 코인 개수와 하한값을 비교한다.(스텝 S195).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하한값보다 적으면 미션 실패로 판단한다. 스텝 S195에서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하한값 보다 많으면 스텝 S196으로 진행하여, 수집한 코인 개수와 상한값을 비교한다.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상한값보다 많으면 미션 실패로 판단한다. 스텝 S196에서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상한값 보다 적으면 미션 성공으로 판단하고, 이를 RAM(203)에 기억시킨 다음, 메인루틴 S190으로 복귀한다.
미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도 19)에서 수집한 코인의 개수를 판단한 결과 그 개수가 설정된 범위 내로 스텝 S145으로 진행한다. 제어기구(200)는 스텝 S145에서 플레이어가 게임의 계속을 선택했는가 아니면 상품을 선택했는가를 하는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게임의 계속이 선택되면 스텝 S147로 진행하여 한 번의 게임을 할 수 있는 시간, 코인 개수, 편차를 재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편차는 앞서 진행된 게임에서 설정된 편차를 고려하여 편차를 좀더 적게 하여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범위를 작게 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난이도를 점차 높여 게임의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또, 난이도에 맞추어 좀더 값 비싼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텝 S145에서 플레이어가 상품을 선택하면. 제어기구(200)는 게임 레벨에 맞는 상품을 추출하고(스텝 S151) 게임을 종료한다.
다음은 도 16을 참조하면서 코인의 계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기구(200)는 메인루틴에서 스텝 S160으로 진행하면 서브루틴으로 들어가 호퍼 내에 코인이 들어왔는가를 감시하고(스텝 S163), 코인이 들어오면 코인 카운터를 ON으로 하고(스텝 S164), 호퍼 내의 코인을 계수한다. 코인 카운터가 코인을 계수하는 동안 계수되는 코인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는 플레이어가 호퍼에 얼마만큼의 코인을 더 넣어야 하는가를 알 수 있게 한다. 스텝 S163에서 호퍼 내에 코인이 없으면 메인루틴 S160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부착하려는 코인이 쌓여 있는 곳으로 전자석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기구(200)는 조이스틱이 구동되면 메인루틴에서 스텝 S170으로 진행하여 서브루틴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라 제1 구동모터 또는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전자석을 X축 또는 Y축으로 움직이게 한다. 조이스틱의 움직임은 X축 이동포인터 또는 Y축 이동포인터에 의해 감지된다. 스텝 S173에서 X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1 모터를 구동시키고(스텝 S174),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75). 제어기구(200)는 제1 모터를 구동시킨 후, 스텝 S176으로 진행하여,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가를 감시한다. 스텝 176에서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75).
스텝 S173에서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75). 제어기구(200)는 제2 모터를 구동시킨 후, 스텝 S177로 진행하여, X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가를 감시한다. 스텝 177에서 X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1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74). 이러한 과정은 X축 이동포인터와 Y축 이동포인터에 의해 조이스틱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되고, 조이스틱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메인루틴의 스텝 S170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호퍼 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기구(200)는 조이스틱이 구동되면 메인루틴에서 스텝 S180으로 진행하여 서브루틴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라 제1 구동모터 또는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전자석을 X축 또는 Y축으로 움직이게 한다. 조이스틱의 움직임은 X축 이동포인터 또는 Y축 이동포인터에 의해 감지된다. 스텝 S183에서 X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1 모터를 구동시키고(스텝 S184),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85). 제어기구(200)는 제1 모터를 구동시킨 후, 스텝 S186으로 진행하여,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가를 감시한다. 스텝 186에서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85).
스텝 S183에서 Y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85). 제어기구(200)는 제2 모터를 구동시킨 후, 스텝 S187로 진행하여, X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가를 감시한다. 스텝 177에서 X축 이동포인터가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1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스텝 S184). 이러한 과정은 X축 이동포인터와 Y축 이동포인터에 의해 조이스틱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되고, 조이스틱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메인루틴의 스텝 S180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설정된 범위 내인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기구(200)는 메인루틴에서 스텝 S190으로 진행하여 서브루틴으로 들어가 수집한 코인의 개수가 설정된 범위 내인가를 판단한다. 제어기구(200)는 메인 루틴의 스텝 S107 또는 S147에서 설정된 기준값과 편차를 근거로 설정된 기준값에서 편차를 뺀 값과 기준값에서 편차를 더한 값을 수집하여야 할 코인 개수의 범위로 한다.(스텝 S193). 그리고 코인 계수기로부터 계수된 코인 개수가 스텝 S193에서 계산된 범위 내인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RAM(205)에 저장하고 메인루틴 S190으로 복귀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코인 계수 게임장치에서 코인을 수집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은 코인 계수 게임장치는 게임이 종료되어 코인 수집 유니트(300)를 구성하는 X축 방향 이동기구(330)과 Y축 방향 이동기구(350) 그리고 승하강 기구(370)는 홈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게임을 기다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코인 수집 유니트(300)를 구성하는 X축 방향 이동기구(330)과 Y축 방향 이동기구(350) 그리고 승하강 기구(370)는 홈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게임을 기다리다가,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려고 동전의 투입을 투입하면 제어기구는 이를 감지하고 게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들어간다. 먼저 제어기구(200)는 화면(703)에 게임을 할 수 있는 크래딧,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시간,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 그리고 그 편차를 표시하고, 본격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들어간다.
플레이어가 코인을 부착할 수 있는 전자석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이스틱을 조작하면 제어기구(200)는 X 방향구동 포인터(235)와 Y 방향 구동포인터(237)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1 구동모터 또는 제2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도 22는 플레이어가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코인을 부착할 수 있는 전자석을 앞쪽으로 이동시킨 모양을 나타낸다.
플레이어가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전자석을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푸쉬 버튼을 누르면, 제어기구(200)는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고정시킨 다음 전자석 승하강 드라이버(401)에 전자석 승하강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보내 전자석 승하강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전자석을 코인이 쌓여 있는 바닥면으로 내려뜨린다. 그리고 전자석에 코인이 부착되게 한다. 도 23은 푸쉬버튼을 눌러 전자석을 나래로 떨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
다시, 플레이어가 푸쉬버튼을 누르면, 제어기구(200)는 전자석 승하강 드라어버(401)에 전자석 승하강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보내 전자석 승하강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들어올린다. 도 24는 코인이 전자석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레이어는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코인 카운터 위로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이동킨다. 조이스틱을 조작하면 제어기구(200)는 X 방향구동 포인터(235)와 Y방향 구동포인터(237)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1 구동모터 또는 제2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이 호퍼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25는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이 호퍼 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이 호퍼 위에 위치하게 되면, 플레이어는 푸쉬버튼을 누른다. 플레이어가 푸쉬버튼을 누르면 제어기구(200)는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OFF하여 전자석에 부착된 코인이 호퍼 내로 떨어지게 한다.
지정된 시간 내에 조이스틱 및 버튼의 조작으로 전자석을 이동시켜 코인을 카운터에 집어넣고 맞출 경우 경품을 제공받을 수 있어, 새로운 게임방식 적용으로 사용자들의 호기심 및 흥미를 적극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따르는 코인 계수 게임장치를 운용하는 사람에게 그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100 코인계수 게임장치
170 행거 기구 180 경품 안내 기구
200 제어기구
300 코인 수집 유니트
330 전자석 X축 방향 이동기구 350 전자석 Y축 방향 이동기구
370 전자석 승하강 기구
480 전자석
703 디스플레이

Claims (14)

  1. 내부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는 코인들이 쌓여 있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코인들을 수집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을 상기 코인들이 쌓여 있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니트와;
    상기 전자석에 의해 수집된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와;
    수집하여야 하는 코인 개수의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코인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코인의 개수가 지정된 범위 내 인가를 판단하는 제어기구와;
    상기 제어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석 전원부와;
    지정된 상기 코인 개수의 범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코인계수 게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니트는 상기 전자석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기구와; 상기 전자석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기구와; 상기 전자석을 승하강시키는 전자석 승하강기구로 구성된 코인계수 게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기준 값과 편차가 표시되고, 상기 코인 개수의 범위는 상기 기준 값에서 가감되는 편차로 정해지는 코인계수 게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전원부는 전자석에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류를 공급하는 코인계수 게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상기 전류에 의한 전자석의 세기가 표시되는 코인계수 게임장치.
  6. 경품이 걸려있는 진열대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고정되고 화폐 투입구와 조작부가 형성되는 전면 도어와;
    상기 본체에 내에 설치되고 제1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기구와;
    상기 제1 이동기구에 장착되고 제2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기구와;
    상기 제2 이동기구에 장착되는 전자석 승하강기구와;
    상기 전자석 승강기구에 의해 승하강되고, 바닥면에 흩어져 있는 코인을 수집하는 전자석과;
    수집된 상기 코인을 계수하는 코인 계수기와;
    수집하여야 하는 상기 코인의 개수 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코인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 상기 코인의 개수가 지정된 범위 내 인가를 판단하는 제어기구와;
    수집하여야 하는 상기 코인의 개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석 전원부를 구비한 코인계수 게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집된 상기 코인 개수가 지정된 범위 내가 되었을 때,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진열대에 걸려있는 경품을 추출하도록 하는 코인계수 게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전원부는 전자석에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류를 공급하는 코인계수 게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상기 전류에 의한 전자석의 세기가 표시되는 코인계수 게임장치.
  10. 코인을 수집하여 계수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은
    수집하여야 할 코인의 개수 범위를 지정하고;
    지정된 개수의 코인을 수집하기 위해 전자석을 코인이 쌓여있는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코인 근처로 상기 전자석을 하강시켜 상기 전자석에 코인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코인이 부착된 전자석을 들어 올린 다,음 코인이 부착된 상기 전자석을 계수기구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코인이 코인 계수기로 집어넣어 코인을 계수하고;
    계수된 코인이 수집하여야 할 개수 범위 내인가를 판단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계수된 코인이 수집하여야 할 개수 범위 내 일 때 경품이 제공되도록 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계수된 코인이 수집하여야 할 개수 범위 내 일 때 난이도가 높은 게임을 다시 할 수 있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자력의 세기는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상기 전자석의 세기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KR1020120112472A 2012-10-10 2012-10-10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KR20140046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72A KR20140046244A (ko) 2012-10-10 2012-10-10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72A KR20140046244A (ko) 2012-10-10 2012-10-10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44A true KR20140046244A (ko) 2014-04-18

Family

ID=5065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472A KR20140046244A (ko) 2012-10-10 2012-10-10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274A (ko) * 2020-02-24 2021-09-01 남상길 팔면체 주사위를 이용한 게임장치 및 그 게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274A (ko) * 2020-02-24 2021-09-01 남상길 팔면체 주사위를 이용한 게임장치 및 그 게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318B1 (en) Crane game with random motion crane actuation
US7604238B2 (en) Grabb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force
US7731587B2 (en) Prize game apparatus
US20040140612A1 (en) Slot-type gaming machine with variable drop zone symbols
US9186574B2 (en) Amusement machine including a crane game in combination with a win every time game and a game of chance
KR101335568B1 (ko) 경품 획득 게임기 및 그 게임 제어방법
AU2018203406A1 (en) Arcade game with RFID reader and option to redeem points for additional plays
KR20140046244A (ko) 코인 계수 게임장치 및 코인 계수 게임 제어방법
US20180330577A1 (en) Vacuum crane game with perforated targets
US10109159B1 (en) Arcade game with priz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JP4719827B2 (ja) 景品取得ゲーム機のプレイ回数設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398509B1 (ko)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US9802116B2 (en) Machine learning controller for prize dispensing entertainment machines
KR100886080B1 (ko) 경품 게임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070542A (ja) クレーン式物品獲得遊戯装置
JP4335795B2 (ja) パチンコ遊技機
US20180096559A1 (en) Machine Learning Controller for Prize Dispensing Entertainment Machines
JPH07246282A (ja) プライズゲームマシン
KR101976825B1 (ko)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
JP2015092885A (ja) 遊技機
JP2004097528A (ja) ゲーム機
JP7221573B1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KR101165578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JP2021069525A (ja) 景品取得ゲーム機
JP4919989B2 (ja) ゲームの移動体移動装置及び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