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417A -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가요성 섬유 이송 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 Google Patents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가요성 섬유 이송 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417A
KR20140045417A KR1020137033555A KR20137033555A KR20140045417A KR 20140045417 A KR20140045417 A KR 20140045417A KR 1020137033555 A KR1020137033555 A KR 1020137033555A KR 20137033555 A KR20137033555 A KR 20137033555A KR 20140045417 A KR20140045417 A KR 2014004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lexible tube
blade
tube
attach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131B1 (ko
Inventor
조한 카피아우
올리버 레 보르그네
이반 하디
알렉산더 햄린
Original Assignee
코리오리스 콤포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오리스 콤포지트 filed Critical 코리오리스 콤포지트
Publication of KR2014004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29C70/382Automated fiber placement [AFP]
    • B29C70/384Fiber placement heads, e.g.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29C70/382Automated fiber placement [AF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4Carbon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료로부터 부품(components)을 제조하기 위한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 섬유 저장수단, 및 섬유 저장수단으로부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로 섬유를 이송하는 이송수단(4)을 포함한다. 이송수단은 제1가요성 튜브(41)를 포함하고, 각 제1가요성 튜브는 내부통로(412) 내에서 일 섬유를 수용할 수 있고, 각 가요성 튜브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종방향 가요성 블레이드(42)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고, 각 제1가요성 튜브(41)와 연관 가요성 블레이드(142)가 제2가요성 튜브(44)에 배치되어 제2가요성 튜브가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요성 블레이드를 유지하고, 제1가요성 튜브와 관련하여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가요성 섬유 이송 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FIBRE APPLICATION MACHINE INCLUDING FLEXIBLE FIBRE-CONVEYING TUBES PROVIDED WITH FLEXIBLE PLATES}
본 발명은 복합 재료로부터 부품(components)을 제조하기 위한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종류의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에 특별하게 적용되는 것으로서 섬유 저장수단과 애플리케이션 헤드 사이에서 섬유를 이송하는 섬유 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은 일반적으로 섬유 배치 머신(fiber placement machine)으로 알려진 것으로서, 메일 또는 피메일 금형과 같은 레이업 툴(layup tool)에 접촉하여 넓은 밴드를 부가(application)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여기서 넓은 밴드로는 리본형, 건식, 또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침지된 복수의 평탄형 연속 섬유의 넓은 밴드, 특히 복수의 탄소 필라멘트 또는 탄소섬유사로 구성되는 탄소섬유의 넓은 밴드를 말한다.
이들 머신은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를 이동시키는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금형에 접촉하여 밴드를 부가(또는 도포)하기 위한 용도의 애플리케이션 롤러와, 이 애플리케이션 롤러에 섬유를 안내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헤드로 섬유를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WO 2008122709호에는 이송수단의 이용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 이송수단은 저장수단을 애플리케이션 헤드에 연결하는 가요성 튜브를 포함하고, 각 가요성 튜브는 그 내부통로에 섬유를 수용할 수 있다. 가요성 튜브는 그 단부가 상류부착수단 및 하류부착수단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헤드와 저장수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가요성 튜브는 충분한 길이와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 헤드 변위 시스템의 이동을 억제하지 않는다. 각 가요성 튜브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종방향 가요성 블레이드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가요성 튜브의 내부통로에 수용되는 섬유의 이송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가요성 튜브는 단순한 구조의 이송수단을 형성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비용이 절감되고, 높은 이동속도를 달성할 수 있고, 배치 시스템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저장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고, 섬유 스풀용 모터 구동 복원 시스템을 제거하고, 외부로부터 섬유를 차단(고립)시키고, 섬유 헤드의 배치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특히 6축 로봇형 다관절 암 등의 배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각 튜브와 연관된 가요성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평면에서 튜브의 횡방향 굴곡을 억제 또는 방지하며, 그 결과, 블레이드에 대해 평행한 가요성 튜브의 내부통로에서 섬유 뒤집힘(turnover)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거나 최소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특히 가요성 튜브의 과도한 굴곡 및/또는 가요성 튜브에서 섬유의 과도한 마찰로 인하여 로봇의 특정한 움직임이 발생할 때 유효하다. 가요성 튜브는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굴곡 운동, 그리고 비틀림 운동을 수행하여 섬유 배치 헤드가 전방위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블레이드와 가요성 튜브의 조립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며, 접착 테이프는 튜브와 블레이드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서 가요성 튜브에 대해 평탄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세트는 보호 시드(sheath)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조립체는 길게 형성되고, 작동이 까다로운 것이 증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섬유 이송능력을 확보하면서도 제조하기 단순한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을 제공하며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은:
-애플리케이션 롤러 및 섬유를 안내받는 수단을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
- 바람직하게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
- 섬유 저장수단, 및
- 상기 섬유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로 섬유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섬유 저장수단을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에 연결하는 소위 이송튜브로도 불리우는 제1가요성 튜브를 포함하고, 각 제1가요성 튜브는 그 내부통로 내에서 일(one) 섬유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말단이 부착 시스템에 의해 각각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와 상기 섬유 저장수단에 장착되고, 각 가요성 튜브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종방향 가요성 블레이드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고,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가요성 튜브의 내부통로에 수용되는 섬유의 이송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에 있어서,
각 제1가요성 튜브와 상기 각 가요성 튜브의 연관 가요성 블레이드가 소위 홀딩 또는 안내 튜브라 불리우는 제2가요성 튜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요성 튜브가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제1가요성 튜브와 관련하여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가요성 튜브와 별도의 블레이드의 조립(체)이 제2가요성 튜브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립 시스템은 블레이드를 가요성 튜브와 실질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제1튜브에 관하여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립체를 통해 작동이 단순하게 되는 것을 보증한다. 제2가요성 홀딩 튜브가 제1가요성 이송 튜브와 가요성 블레이드 간의 미끄럼 타입 연결을 확보한다.
또한, 이러한 조립체를 통해 제1가요성 튜브와 제2가요성 튜브 간의 종방향 이동 또는 미끄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2개의 반대방향으로 가요성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요성 튜브의 종방향 굴곡을 용이하게 하며, 가요성 블레이드가 일측면에 배치되어도 상기 가요성 튜브가 상기 2개의 반대방향으로 실질적 동일한 강성을 가진다. 가요성 튜브와 가요성 블레이드 간의 조립체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2개의 반대방향으로 종방향 굴곡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가요성 튜브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1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상기 부착 시스템의 단부에 의해 조립되어 상기 제1가요성 튜브에 관하여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블레이드와 제1가요성 튜브 중 제1요소는 고정방식으로 단부에 의해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제2요소는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적어도 일 단부에 의해 일 부착 시스템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요소는 일 단부에 의해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일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타단부에 의해 이동이 자유롭지 않게 타 부착 시스템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이동이 자유롭지 않게 단부에 의해 부착 시스템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이동이 자유롭지않게 소위 상류 말단에 의해 소위 상류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상기 상류 부착 시스템은 저장수단에 조립되며, 그리고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하류단부에 의해 소위 하류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상기 하류 부착 시스템은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종방향 외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면부를 따라서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가 제2가요성 튜브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상기 제1가요성 튜브의 2개의 큰 변 중 일 큰 변을 따라서 상기 제2가요성 튜브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가요성 튜브는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금속성이고/이거나,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전방지형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가요성 튜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가요성 튜브는 주름형이다. 이러한 제2주름형 튜브는 모든 방향으로 높은 가요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서 가요성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제1튜브의 종방향 굴곡을 제한하지 않거나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부착 시스템은 각 제1가요성 튜브를 위한 지지체 또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각 지지체는 상기 제1가요성 튜브가 단부에 의해 장착되는 주류통로와, 일 단부에 의해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부차적 통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부착 시스템은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향하는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작용하고, 그리고 가능하다면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해 작용하는 제2강화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부착 시스템의 출구에서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일방향으로 제1가요성 튜브의 종방향 굴곡을 적어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부차적)강화수단은 적어도 제1가요성 부차적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제1가요성 부차적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부착 시스템에 장착되고,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향하는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접촉한다. 상기 제2(부차적)강화수단은 각 부착 시스템에 대해서 적어도 한 쌍의 제1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부착 시스템에 장착되며, 한 쌍의 제1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 중 하나는 가요성 블레이드에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향하는 제1가요성 튜브에 접촉한다. 한 쌍의 제2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는 제1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해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접촉하는 상기 2개의 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는 중첩하는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의 자유단부는(여기로부터 제1가요성 튜브가 조립을 위해 삽입됨) 상기 제1가요성 튜브와 타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의 자유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며,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접근하는 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가 단일의 연속 가요성 블레이드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부착 시스템들 중 하나에 조립된다.
가요성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 열을 이루면서 그 단부가 애플리케이션 헤드와 저장수단에 부착시스템을 통해 조립되고, 층의 형태로 섬유를 수용하여 전달하며, 카세트들은 지지판 상에서 상호 평탄하게 조립된다.
이송수단은 제1가요성 튜브의 내부통로에서 섬유를 이송할 때 섬유를 유동화할 수 있는 유동화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화수단은 공기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이 공기분사수단은 예를 들면 상류 부착 시스템에 장착되어 상류단부의 레벨에서 각 가요성 튜브의 내부통로에 공기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기체를 분사할 수 있어 섬유의 이송 방향으로 기류를 생성한다. 기체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공조화되며, 즉, 온도 및/또는 습도가 조절되고, 섬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정화된다. 유동화 수단은 상기 가요성 튜브를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화수단은 상류 부착수단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상호 수직한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애플리케이션 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배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배치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로봇을 포함하며, 이 로봇은 손목부 또는 다관절 암을 포함하고, 손목부 또는 다관절 암의 단부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헤드가 장착된다. 배치 시스템은 지면에 배열되거나, 선형축 또는 갱트리(gantry)에 장착되는 표준 6축 로봇형의 다관절 암에 의해 형성된다.
섬유 저장수단은 스풀 형태로 패킹화된 섬유의 경우 크릴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다발형태 또는 카툰(carton)으로 패킹화된 섬유의 경우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저장수단은 예를 들면 고정형 표준 로봇의 경우 지반에 배치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로봇의 선형축에 미끄럼 이동하는 종돌절 캐리지 상에서는 배치 시스템의 구성요소(element)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상세내용, 특성, 및 이점은 다음의 개략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보다 명료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 머신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송 튜브 및 상하류 부착 시스템을 예시하는 이송수단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면 III-III을 따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가요성 이송 튜브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요성 이송 튜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상류 부착 시스템의 레벨에서 그리고 하류 부착 시스템의 레레벨에서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이송수단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가요성 이송 튜브를 도시한 부분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가요성 블레이드와 가요성 이송 튜브를 유지하기 위한 제2가요성 튜브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치 머신(displacement machine)은 선형축(12)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자체로 공지된 6축 로봇 타입 다관절 암(11)으로 형성된 변위 시스템(1)과, 다관절 암의 손목 말단(11a)에 장착된 애플리케이션 헤드(2)와, 섬유 저장수단(3)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헤드로 섬유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다관절 암(11)은 캐리지(13)의 베이스(112)에 고정되고, 캐리지(13)는 선형축(12)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선형축은 지반에 고정된 2개의 평행한 레일(121)로 구성된다. 캐리지에는 이들 레일을 따라서 배치 헤드의 변위를 위해 제어 유닛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예를 들면 모터 구동형 롤러 타입의 구동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섬유 배치 헤드로도 불리우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2)는 공지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롤러(21)를 포함하며, 이 애플리케이션 롤러(21)는 예를 들면 수지로 예비 침지된 다수의 섬유로 형성된 밴드를 부가하기 위해 금형과 접촉할 수 있다.
머신은 스풀(spool) 형태로 패키지화되고 예를 들면 탄소섬유형(F) 등의 섬유를 부가(피복)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수단은 섬유 스풀을 수용하기 위한 크릴(creel)[대체로 참조부호 3으로 표시됨] 형태로 구성된다. 각 스풀은 크릴의 맨드렐(mandrel)에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허문헌 EP 69799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섬유의 인장 기능으로서 폐쇄루프로 제어되는 자동 차단 시스템이 설치된다. 크릴은 또한 레일(121) 상에 위치하는 종동절 캐리지(31) 위에 장착되고, 로봇을 수반하는 캐리지(1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머신은 프로그램형 시퀀스에 따라서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미도시)과, 섬유 배치 헤드와, 특히 개별 절단 시스템 및 재경로 시스템의 잭(jack)을 포함한다.
로봇 암을 따라서 배치 헤드로부터 제어 유닛으로 연장되는 파이프(미도시)에는 배치 헤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식, 기압식 및/또는 액압식 회로가 배열된다.
이송수단은 이송 튜브라 불리우는 제1가요성 튜브를 포함하는 한편, 가요성 강화 블레이드에 결합된다. 섬유는 개개별로 크릴(3)의 이송 튜브를 통해 배치 헤드(2)로 공급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이송 튜브(41)는 2개의 작은 변(411a)과 2개의 큰 변(411b)과 함께 직사각형 단면으로된 벽(411)을 포함한다. 벽(411)은 실질적 평면인 내면과 외면을 구비한다. 각 이송 튜브에는 외측에서 그 전체길이에 걸쳐 가요성 금속 블레이드(42)(금속 블레이드는 또한 금속박으로도 알려짐)가 결합되어 있다. 금속 블레이드와 이송 튜브는 제2가요성 튜브(44) 내에 배치되며, 여기서 제2가요성 튜브(44)는 소위 홀딩이라 불리우는 것으로서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이송 튜브의 큰 변(411b)의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블레이드를 유지시키는 한편, 이송 튜브에 관하여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블레이드는 큰 변의 폭 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바람직한 것은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이다.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한편 홀딩 튜브에 배치되는 이송 튜브는 참조부호 4로 표시되어 있다. 각 이송 튜브는 직사각형 단면의 내부 통로(412)에서 그 큰 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따라서 금속 블레이드에 대해 평행하게 평탄형 섬유(F)를 수용하는 용도를 가진다.
금속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평면에서 가요성 튜브의 임의 횡방향 굴곡을 방지하지만 블레이드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요성 튜브의 종방향 굴곡 뿐만 아니라 가요성 튜브의 비틀림도 허용한다. 섬유 배치 동작용 로봇의 배치작업 중에, 가요성 튜브는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굴곡되고/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여 변형되며, 그 결과 섬유(F)는 금속 블레이드에 대하여 평행한 완전 평탄형으로 유지된다.
튜브는 도 1에서 참조부호 4A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빔에 조립되며, 특허문헌 WO 2010/04942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요성 시드(5)의 내부통로에 배치된다. 이 시드는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수단은 크릴의 캐비넷에 배열되어 시드의 내부통로에 냉기를 분사(주입)하며, 이에 따라서 섬유가 비접착 상태를 유지하는 낮은 온도로 섬유를 냉각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드는 그 상류 말단과 그 하류 말단을 통해 크릴과 애플리케이션 헤드에 각각 조립된다. 또한, 시드는 다관절 암의 이동을 억제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와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시드가 헤드의 이동을 간섭하고/하거나 금형에 대해 충돌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머신은 슬랙 복원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슬랙 복원 시스템은 상기 시드에 작용하여 헤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시드의 하류부분이, 특히 손목부에서 실질적으로 탱탱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슬랙 복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자동 케이블 와인더를 포함하며, 이 자동 케이블 와인더는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 타입으로서 크릴에 고정되는 단면 지지체에 장착되고, 케이블의 자유말단은 시드에 고정된다.
이송 튜브는 그 말단이 참조부호 6 및 8로 대체로 표시되는 상류 및 하류 부착 시스템에 의해 각각 크릴(3)과 헤드에 각각 고정된다. 각 이송 튜브와 그 블레이드 사이에서의 종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각 이송 튜브는 하류 부착 시스템(6)의 단부에 의해 고정방식, 즉 이동의 자유로움이 없는 고정방식으로 조립되고, 종방향 병진 이동방식으로, 즉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하류 부착 시스템(8)에 조립되는 한편, 그 연관 블레이드는 그 단부에 의해 고정방식으로 상류 부착 시스템과 하류 부착 시스템에 조립된다.
특히,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류 부착 시스템(6)은 각 이송 튜브마다, 상류 지지체(7)와, 상류 에지(72a)와, 하류 에지(72b)와, 상부 에지(72c)와, 하부 에지(72d)를 포함하며, 상류 지지체(7)는 평행육면체 판의 형태이고, 또한 소위 상류 카세트라 호칭되며, 2개의 대향 주류면(main face)(71)을 구비한다. 카세트는 직사각형 단면의 주류 종방향 통로(73)를 구비하며, 이 종방향 통로(73)는 이송 튜브가 그 상류 단부(41a)를 통해 장착되어 있는 상류 에지(72a)와 하류 에지(72b)로 열려 있다. 카세트는 그 하부 에지(72d)에 의해 고정방식으로 열을 이루면서 지지판(61)에 장착된다. 카세트들은 그들의 주류면(71)들 상호간을 서로 평탄하게 마주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지지판(61)은 크릴 상에 장착된다.
주류통로(73)의 섹션부는 이송 튜브가 상기 주류 통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배열된다. 주류통로에서의 종방향 이동 금지를 위해서, 튜브의 상류단부(41a)는 카세트의 상류 에지(72a)에 대해 접촉결합하는 플랜지(413)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플랜지는 상기 상류 에지의 리세스에 유지되고, 지지판(61)에 고정된 아일릿 판(62)은 카세트(7)의 상류 에지에 대해 접촉결합한다. 아일릿 플레이트에는 예를 들면 테플론(Teflon)의 아일릿이 형성되어 이송 튜브에서의 섬유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카세트에는 주류통로에 대해 평행하고 카세트의 하류 에지(72b)로 열려있는 제1종방향 부차적 통로가 형성되며, 카세트의 하류 에지(72b)에는 이송 튜브의 큰 변과 평행하게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류 단부(42a)가 장착된다. 가요성 블레이드는 스크류(75a)에 의해 이 제1종방향 부차적 통로에서 종방향 병진운동이 방지되며, 여기서 스크류(75a)는 카세트의 하부 에지(72d)로부터 나사결합되어 블레이드의 상류 단부의 홀(421a)을 통과한다.
카세트의 출력에서 가요성 블레이드(42)의 강성(stiffness)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서 카세트의 출력에서 블레이드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요성 튜브의 종방향 굴곡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송 튜브의 양측으로 카세트 상에 제2가요성 블레이드가 장착되며, 이 제2가요성 블레이드는 이송 튜브에 대항하면서 일측상에 접촉하고,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항하면서 타측상에 접촉한다. 상호 평탄하게 배열된 2개의 가요성 부차적 블레이드가 가요성 블레이드(42)를 수용하는 제1 부차적 통로에 장착된다: 이송 튜브와 대향하는 가요성 블레이드의 주류면에 대해 제1부차적 블레이드(76a)가 평탄하게 배열되고, 제1부차적 블레이드보다 짧은 제2부차적 블레이드(76b)가 제1부차적 블레이드에 대해 평탄하게 배열된다. 가요성 블레이드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의 부차적 블레이드(76a, 76b)에는 제1부차적통로(74a)에서 차단을 위해 상기 스크류(75a)가 통과하는 홀(761a, 761b)이 형성된다. 카세트의 하부 에지로부터 나사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스크류(미도시)는 부가적으로 제2부차적 블레이드(76b)에 압박 접촉을 위해 제공되어 부차적 통로(74a)에서 3개의 블레이드(42, 76a, 76b)의 차단을 완료할 수 있다.
유사하게, 2개의 다른 부차적 블레이드, 제1부차적 블레이드(77a) 및 제2부차적 블레이드(77b)가 가요성 블레이드(42)에 대향하는 이송 튜브의 측면에서의 주류방향 통로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부차적 통로(74b)에 장착된다. 제2부차적통로에서의 부차적 블레이드(77a, 77b)의 차단은 상부 에지로부터 나사결합되고 부차적 블레이드의 홀(771a, 771b)을 통과하는 스크류(75b)에 의해, 그리고 가능하다면 제2부차적 블레이드(77b)에 대해 압박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스크류에 의해 수행된다. 카세트의 출력부에서, 제1부차적 블레이드(77a)는 가요성 블레이드(42)에 반대되는(대향하는) 이송 튜브의 큰 변에 대해 평탄하게 위치하고, 제1부차적 블레이드보다 짧은 제2부차적 블레이드는 제1부차적 블레이드에 대해 평탄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카세트는 상판(70a), 하판(70b), 및 2개의 플랜지(70e) 사이에 장착된 2개의 막대형상부(70c, 70d)들 사이에 주류 통로(73) 및 2개의 부차적통로(74a, 74b)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랜지들 중 하나가 제거되어 있고, 주류통로(73)의 상류부분이 상판(70a)과 하판(70b) 사이에 형성되고, 그 하류부분이 2개의 막대형상부(70c, 70d) 사이에 형성된다. 하판(70b)과 막대형상부(70d) 사이에는 부차적 통로(74a)가 형성되고, 상판(70a)과 다른 막대형상부(70c) 사이에는 다른 부차적 통로(74b)가 형성된다. 막대형상부에는 블레이드를 차단하기 위해 스크류(75a, 75b)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 헤드의 측면에서, 상류 부착 시스템(8)은 각 이송 튜브에 대해 하류 카세트라고도 불리우는 하류 지지체(9)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 하류 카세트는 2개의 대향 주류면(91), 상류 에지(92a), 하류 에지(92b), 상부 에지(92c) 및 하부 에지(92d)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류 카세트는 상류 에지(92a)와 하류 에지(92b)에 도달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주류종방향 통로(93)를 구비하며, 이 하류 카세트에는 하류단부(41b)를 통해 이송튜브가 장착되어 있다. 하류 카세트는 섬유 배치 헤드의 지지 구조체 상에서 하부 에지(92d)에 의해 고정방식으로 장착되며, 열을 형성하고, 하류 카세트는 주류면(91)에 의해 상호 평탄하게 배열되어 있다.
튜브의 하류 단부(41b)는 주류통로(93)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류 통로(93)의 섹션부는 주류통로에서의 이송 튜브의 회전을 차단하는 한편, 튜브의 하류단부는 주류통로의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다.
카세트에는 주류통로에 평행하고, 카세트의 상류 에지(92a)로 열려 있는 제1부차적 종방향 통로(94a)가 설치되며, 또한, 이 통로(94a)에는 이송 튜브의 큰 변에 대해 평행하게 가요성 블레이드의 하류단부(42b)가 장착된다. 가요성 블레이드는 스크류(95a)에 의해 제1부차적 통로에서의 종방향 병진운동이 차단되며, 한편 스크류(95a)는 카세트의 하부 에지(92d)로부터 나사결합되고 블레이드의 상류단부의 홀(421b)을 통과한다. 상호 평탄하게 배열되는 2개의 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가 가요성 블레이드(42)를 수용하는 제1부차적 통로(94a)에 장착된다: 제1부차적 블레이드(96a)는 이송튜브에 대향하는 가요성 블레이드의 주류면에 대해 평탄하게 배열되고, 제1부차적 블레이드보다 짧은 제2부차적 블레이드(96b)는 제1부차적 블레이드에 대해 평탄하게 배열된다. 가요성 블레이드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의 부차적 블레이드는 홀(961a, 961b)을 구비하며, 이 홀(961a, 961b)을 통해 제1부차적 통로(94a)에서 이들 부차적 블레이드를 차단하기 위한 상기 스크류(95a)가 통과한다. 카세트의 하부 에지로부터 나사결합된 하나 이상의 가압 스크류가 또한 제2부차적 블레이드(96b)에 대해 충돌 접촉하여 부차적 통로(94a)에서의 3개의 블레이드(42, 96a, 96b)의 차단을 완료한다. 이와 유사하게, 2개의 다른 부차적 블레이드, 즉, 제1부차적 블레이드(97a) 및 제2부차적 블레이드(97b)가 가요성 블레이드(42)에 대향하는 이송 튜브의 측면에서 주류통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2통로에서 부차적 블레이드(97a, 97b)의 차단은 스크류(95b)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스크류(95b)는 상부 에지로부터 나사결합되고 부차적 블레이드의 홀(971a, 971b)을 통과하고, 가능하다면 제2부차적 블레이드(97b)에 대해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 스크류를 통과한다. 카세트의 출력부에서, 제1부차적 블레이드(97a)는 가요성 블레이드(42)에 대향하는 이송 튜브의 큰 변에 대해 평탄하게 위치하고 제1부차적 블레이드 보다 짧은 제2부차적 블레이드는 제1부차적 블레이드에 대해 평탄하게 배열된다.
말단에서, 홀딩 튜브(44)는 제1부차적 블레이드(76a, 77a, 96a, 97a)에 정합결합하고 제2부차적 블레이드의 말단 앞에서 정지한다. 슬리브(45)는 홀딩 튜브의 말단에서 그리고 제2부차적 블레이드(76b, 77b, 96b, 97b)에서 정합 결합하고 예를 들면 열수축하여, 홀딩 튜브를 종방향으로 차단하고 제1부차적 블레이드에 대항하면서 제2부차적 블레이드를 유지한다.
하류 카세트는 또한 상판(90a), 하판(90b), 및 2개의 플랜지(90e) 사이에 장착되는 2개의 막대형상부(90c, 90d)에 의해 이루어져 함께 주류통로(93) 및 2개의 부차적 통로(94a, 94b)를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랜지들 중 하나가 수축되고, 주류통로의 상류부는 상판(90a)과 하판(90b) 사이에 형성되고,그 하류부분은 2개의 막대형상부(90c, 90d) 사이에 형성되고, 부차적 통로는 하판(90b)과 막대형상부(90d) 사이에 형성되고, 타 부차적 통로는 상판(90a)과 타 막대형상부(90c) 사이에 형성된다. 막대형상부에는 블레이드를 차단하기 위한 스크류(95a, 95b)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폭 6.35mm의 섬유를 이송하기 위해, 이송 튜브는 8×2mm의 직사각형 내부 단면과, 1mm의 벽두께, 즉 10×4mm 외부 단면을 가진다. 가요성 튜브는 섬유 이송을 위해 채용되는 가요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며, 이 재료는 섬유를 파손하지 않고 정전기를 섬유에 일으키지 않으며, 마찰이 적고 내마모성, 내파열성을 가지며, 피로 및 반복 굴절에 대해 양호한 내력을 가진다. 가요성 이송 튜브는 예를 들면 정전방지 첨가제를 함유하는 천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금속 블레이드가 없는 경우, 이들 이송 튜브는 횡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금속 블레이드는 약 5mm의 폭과 약 0.5mm의 두께를 구비한다. 홀딩 튜브는 예를 들면 7×11mm의 직사각형 내부단면을 가지고, 0.5mm의 벽두께, 즉 10×14mm의 외부단면을 구비한다. 가요성 홀딩 튜브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미드 등의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이송 튜브는 예를 들면 약 20mm의 공차로 하류 카세트의 주류통로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류 부착 시스템은 일렬로된 16개의 이송 튜브가 크릴을 떠나는 16개 섬유로된 층의 섬유를 수용하기 위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부착 시스템은 지지판(61)을 통해 크릴에 장착되어 이송 튜브의 말단이 크릴의 출력 풀리(31) 앞에 배열되도록 한다. 하류 부착 시스템은 이송 튜브를 부착하기 위한 일렬로된 16개의 하류 카세트를 포함한다.
튜브에서 섬유의 미끄럼 동작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서 양호한 이송을 확보하기 위해, 하류 부착 시스템에는 튜브에서 이송 중에 섬유를 유동화하기 위한 유동화 수단이 설치된다. 각 카세트는 채널(79)을 포함하며, 이 채널(79)은 블록으로부터의 상류, 예를 들면 블레이드로부터의 상류에서 주류통로(73)로 열려 있다. 이송 튜브가 상류 카세트에 고정 장착될 경우 이송 튜브의 단부에서 채널의 앞에는 개구(414)가 배열되어 튜브의 각 내부통로(412)가 채널에 열려있다. 카세트의 채널에는 개별적으로 압축 공기 소스(미도시)에 연결된 도관에 의해 공조된 압축공기가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각 채널은 튜브의 내부통로에서 하류 공기흐름에 대해 상류를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온도에 따라서 고착성이 감소하는 예비침지형 섬유를 운송하는 경우, 냉각 및 건조 공기가 이송 튜브에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류를 완성하기 위해, 공지된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이 지지판에 장착되어 섬유의 이송 중에 모든 이송 튜브를 진동시킬 수도 있다. 상류 부착 시스템은 이후 지지판을 경유하여 사일런트블록형(silentbloc type) 가요성 접속에 의해 크릴에 조립되어 크릴에 대한 진동의 전달을 회피한다. 그러나, 공기 분사 채널을 포함하지않고 바이브레이터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 하류 카세트는 가요성 접속을 통해 섬유 배치 헤드에 조립된다.
섬유의 2개의 층을 수용하는 것이 예상되는 배치 헤드의 경우, 이송 튜브는 물론 예를 들면 2개의 중첩형 부착 시스템에 의해 2개의 열로 말단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송 튜브의 길이와 섬유의 타입에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WO2006/092514호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인장제한 시스템은 일조의 모터 구동형 병렬 실린더를 포함하며, 이 실린더들을 통해 섬유들을 둘레에 직접 감기지않고 통과하며, 인장 제한 시스템은 크릴과 애플리케이션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에서 섬유의 인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로봇의 다관절 암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섬유는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이송 튜브의 제1섹션을 통과하여 홀딩 튜브에 도달하고, 말단이 제1상류 및 하류 부착 시스템을 통해 각각 크릴(3) 및 제1제한 시스템에 고정되고, 이후 가요성 블레이드 및 홀딩 튜브가 설치된 이송 튜브의 제2섹션을 통과하여 제2상류 및 하류 부착 시스템을 통해 각각 리미터 시스템과 섬유 배치 헤드에 고정되며, 상기 상류 및 하류 부착 시스템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인장 제한 시스템은 크릴의 출력부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헤드의 입력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예시한 것으로서, 홀딩 튜브가 주름형이라는 점에서 상기 설명한 것과 주로 차이점이 있다. 앞에서와 같이, 각 섬유는 직사각형 단면의 이송 튜브(141)의 내부 통로에서 개별적으로 이송된다. 각 이송 튜브에는 가요성 블레이드(142)가 설치되고, 이송 튜브와 가요성 블레이드는 홀딩 튜브(144)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상호 평탄하게 유지되면서 상호 간에 미끄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각 이송 튜브의 부착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류 카세트(7)와 하류 카세트(9)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송 튜브는 상류 카세트의 주류통로에서 이동의 자유없이 조립되고, 하류 카세트의 주류통로에서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조립된다. 가요성 블레이드는 상류 카세트와 하류 카세트의 부차적 통로에서 이동의 자유없이 고정방식으로 조립된다. 각 카세트에는 또한 상기 설명한 부차적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카세트의 출력으로 가요성 블레이드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홀딩 튜브는 여기서는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의 주름형 가요성 튜브이다. 주름형 튜브(144)는 주름형 튜브의 외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외부 링(144a)과 주름형 튜브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내부 링(144b)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튜브는 이송 튜브에 관하여 가요성 블레이드의 미소한 상대적 횡방향 이동과, 이송 튜브에 관하여 블레이드의 상대적 회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어느 정도 제한을 두며, 블레이드는 이송 튜브의 큰 변과 홀딩 튜브의 큰 변 사이에 위치결정되어 유지된다.
홀딩 튜브는 이송 튜브의 대부분에 걸쳐 확장되고, 이송 튜브에서의 종방향 위치의 유지가 주름형 튜브의 (큰 단면의) 2개의 섹션부(145, 146)에 의해 실현된다. 각 섹션부는 일측에서 홀딩 튜브의 단부에 정합 결합되고 가능하다면 접착되며, 타측에서 카세트의 부차적 블레이드에 정합 결합되어 홀딩 튜브를 종방향으로 차단하고 또한 계속하여 가요성 블레이드 및 부차적 블레이드를 포개어 이송 튜브에 대향하면서 이들 가요성 블레이드 및 부차적 블레이드를 이동시킨다.
도 14 및 도 15는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송튜브에 대해 압박 배치되는 상류 카세트와 하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들이 중첩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6 및 도 8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송 수단은 이전 실시예와 같이 각 섬유에 대해 이송 튜브(41) 및 가요성 블레이드(42)를 포함하며, 홀딩 튜브(44) 내에 배치되고 상류 카세트(7)와 하류 카세트(9) 사이에 장착된다. 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는 이전 실시예와 같이 상류 카세트와 하류 카세트에서, 이송 튜브의 양측에 장착되고, 일측에는 이송 튜브(41)에 대해 접촉하고 타측에서는 가요성 블레이드(42)에 접촉한다.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해 평탄하게 배치되는 제1부차적 블레이드(76a, 96a)와, 제1부차적 블레이드(76a, 96a)에 대해 평탄하게 배치되는 제2부차적 블레이드(76b, 96b)는 도 6의 것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송 튜브에 대해 접촉하는 상류 카세트(7)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177a)는 하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197a)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자유단부(1177a)는 하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197a)의 자유단부(1197a) 아래에서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조립에 따라서 상류 카세트(7)로부터 이송 튜브(41)의 용이한 대체가 가능하고, 특히 상류 카세트로부터 홀딩 튜브에 나사결합될 경우 하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197a)의 자유단부에 대해 이송튜브가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가요성 튜브의 종방향 굴곡 중에, 자유단부(1177a)의 단부는 자유단부(1197a)와 이송 튜브 간에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2개의 부차적 블레이드(77b, 97b)는 도 6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제1부차적 블레이드(177a, 179a)에 대해 접촉한다. 서로 중첩하는 이들 제1부차적 블레이드(177a, 197a)는, 물론, 블레이드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그 길이에 걸쳐 가요성 튜브의 종방향 굴곡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변형예로서, 이송 튜브가 애플리케이션 헤드의 하류 카세트로부터 나사결합되고, 하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의 단부가 이후 이송 튜브와 상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이송 튜브에 대해 접근하는 상류 카세트 및 하류 카세트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가 일 카세트로부터 타 카세트로 연장되는 동일 가요성 블레이드에 의해 대체되고,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그 말단이 카세트에 부착되고 타 카세트의 통로에서 종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여러 가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설명된 수단들의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들 등가물들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2),
    -섬유 저장수단(3), 및
    - 상기 섬유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로 섬유를 이송하는 이송수단(4),
    을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으로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섬유 저장수단을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에 연결하는 제1가요성 튜브(41, 141)를 포함하고, 각 제1가요성 튜브는 내부통로(412) 내에서 일 섬유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요성 튜브는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의 말단에서 부착 시스템(6, 8)에 의해 각각 상기 섬유 저장수단에 장착되고, 각 가요성 튜브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종방향 가요성 블레이드(42, 142)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에 있어서,
    각 제1가요성 튜브(41, 141)와 상기 각 제1가요성 튜브의 연관 가요성 블레이드(42, 142)가 제2가요성 튜브(44, 144)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요성 튜브가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제1가요성 튜브와 관련하여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42, 14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 14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1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는 상기 부착 시스템(6, 8)의 단부(42a, 42b, 41a, 41b)에 의해 조립되어 상기 제1가요성 튜브에 관하여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의 상대적 종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3. 제2항에 있어서,
    가요성 블레이드(42,142)와 제1가요성 튜브(41, 141) 중 제1요소는 고정방식으로 단부(42a, 42b ; 41a, 41b)에 의해 부착 시스템(6, 8)에 조립되고, 제2요소는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적어도 일 단부에 의해 일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소는 일 단부에 의해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일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타단부에 의해 이동이 자유롭지 않게 타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42, 142)는 이동이 자유롭지 않게 단부에 의해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 141)는 이동이 자유롭지않게 소위 상류 말단에 의해 소위 상류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상기 상류 부착 시스템은 저장수단(3)에 조립되며,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141)는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하류단부에 의해 소위 하류 부착 시스템에 조립되고, 상기 하류 부착 시스템은 상기 섬유 애플리케이션 헤드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 141)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종방향 외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면부를 따라서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42, 142)가 제2가요성 튜브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141)는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42,142)는 상기 제1가요성 튜브의 2개의 큰 변(411b) 중 일 큰 변을 따라서 상기 제2가요성 튜브(44, 144)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요성 튜브(44, 144)는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42)는 금속성이고,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요성 튜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요성 튜브(44, 144)는 주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부착 시스템은 각 제1가요성 튜브를 위한 지지체 또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각 지지체는 상기 제1가요성 튜브가 단부에 의해 장착되는 주류통로와, 단부에 의해 상기 가요성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부차적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부착 시스템은 적어도 제1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77a, 97a, 177a, 197a)를 포함하는 부차적 강화수단(76a, 76b, 96a, 96b, 77a, 77b, 97a, 97b, 177a, 197a)을 포함하고, 상기 부차적 가요성 블레이드는 부착 시스템(6,8)에서 가요성 블레이드에 대향하는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접촉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에 대해 접촉하는 상기 2개의 부착 시스템(6, 8)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177a, 197a)는 중첩하는 자유단부(1177a, 1197a)를 구비하고, 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의 자유단부(1777a)는 상기 제1가요성 튜브(41)와 타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의 자유단부(1197a)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가요성 튜브에 대해 접근하는 부착 시스템의 제1부차적 블레이드가 단일의 연속 가요성 블레이드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종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부착 시스템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KR1020137033555A 2011-05-20 2012-05-15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가요성 섬유 이송 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KR101944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4449A FR2975335B1 (fr) 2011-05-20 2011-05-20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ubes flexibles d'acheminement de fibres munis de lames flexibles
FR1154449 2011-05-20
PCT/FR2012/000195 WO2012160270A1 (fr) 2011-05-20 2012-05-15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ubes flexibles d'acheminement de fibres munis de lames flexi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417A true KR20140045417A (ko) 2014-04-16
KR101944131B1 KR101944131B1 (ko) 2019-01-30

Family

ID=4632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555A KR101944131B1 (ko) 2011-05-20 2012-05-15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가요성 섬유 이송 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44945B2 (ko)
EP (1) EP2709832B1 (ko)
JP (1) JP6046705B2 (ko)
KR (1) KR101944131B1 (ko)
CN (1) CN103561941B (ko)
CA (1) CA2836345C (ko)
ES (1) ES2707299T3 (ko)
FR (1) FR2975335B1 (ko)
WO (1) WO2012160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27693T3 (pl) * 2012-11-05 2015-05-29 Toho Tenax Europe Gmbh Sposób wytwarzania tabletek z włókien
FR2999973B1 (fr) 2012-12-21 2015-04-10 Coriolis Composites Procede de realisation de preformes a partir de fibres munies d'un liant et machine correspondante
DE102014201060A1 (de) * 2014-01-22 2015-07-23 Broetje-Automation Gmbh Faserlege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gelegen
FR3016827B1 (fr) 2014-01-24 2016-02-05 Coriolis Composites Procede de realisation de preformes a partir de fibres avec application en ligne d'un liant, et machine correspondante
WO2015145407A1 (en) 2014-03-28 2015-10-01 Composite Cluster Singapore Pte. Ltd. Freespace composite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ice
FR3037330B1 (fr) 2015-06-09 2017-06-16 Coriolis Composites Cantre pour bobine de fibre
FR3043011B1 (fr) 2015-10-28 2017-10-27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ete d'application comprenant des modules fonctionnels
FR3043009B1 (fr) 2015-10-28 2018-05-18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ete d'application particuliere
FR3043012B1 (fr) 2015-10-28 2017-10-27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e placement de fibres avec tete d'application bidirectionnelle
FR3043010B1 (fr) 2015-10-28 2017-10-27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systemes de coupe particuliers
FR3048373B1 (fr) 2016-03-07 2018-05-18 Coriolis Group Procede de realisation de preformes avec application d'un liant sur fibre seche et machine correspondante
FR3051710B1 (fr) 2016-05-26 2019-04-05 Coriolis Group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continues comprenant un dispositif de freinage dispose dans la tete d’application et procede mettant en œuvre une telle machine
JP6378266B2 (ja) * 2016-08-08 2018-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FR3056438B1 (fr) 2016-09-27 2019-11-01 Coriolis Group Procede de realisation de pieces en materiau composite par impregnation d'une preforme particuliere.
FR3070625B1 (fr) 2017-09-07 2020-10-09 Coriolis Composites Procede de realisation de preformes avec application d’un liant sur fibre seche formee de plusieurs fibres initiales
US10926490B2 (en) * 2018-04-09 2021-02-23 The Boeing Company Composite laminat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FR3084278B1 (fr) 2018-07-25 2020-07-17 Coriolis Group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ubes flexibles d'acheminement de fibres munis de lames flexibles particulieres
DE102019118159A1 (de) * 2019-07-04 2021-01-07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und Anlage zum automatisierten Legen von Fasermaterial
US11135787B1 (en) 2020-09-17 2021-10-05 Fives Machining Systems, Inc. Automatically-threading fiber placement head
CN114407352A (zh) * 2022-01-30 2022-04-29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复合材料构件制造的连续纤维3d打印机及方法
FR3135009B1 (fr) 2022-05-02 2024-04-12 Coriolis Group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ête d’application équipée d’un système limiteur de tension
FR3140574A1 (fr) 2022-10-05 2024-04-12 Coriolis Group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moyens d’acheminement de fibres particuli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2514A2 (fr) * 2005-03-03 2006-09-08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WO2009081805A1 (ja) * 2007-12-25 2009-07-02 Sumitomo Light Metal Industries, Ltd.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巻解方法
KR20090127297A (ko) * 2007-02-28 2009-12-10 코리오리스 콤포지트 연성 섬유 이송 튜브를 가진 섬유 적용 기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2601A (en) * 1970-07-27 1972-09-19 Goldworthy Eng Inc Method for making a storage tank by applying continuous filaments to the interior surface of a rotating mold
GB9309305D0 (en) 1993-05-06 1993-06-16 Smith Colin P Creel
US6251185B1 (en) * 1999-04-02 2001-06-26 Molded Fiber Glass Companies System for delivering chopped fiberglass strands to a preform screen
AU2000265409B2 (en) * 2000-06-13 2006-01-05 Isogrid Composites Canada, Inc. Method of placing fibers into channels of a mold and fiber placement head for accomplishing same
DE10037773C1 (de) * 2000-08-03 2002-08-22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mit Langfasern verstärkten Kunststoff-Formteilen
US6527533B2 (en) * 2000-12-29 2003-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ing systems for automated manufacture of preforms
US7105071B2 (en) * 2001-04-06 2006-09-12 Ebert Composites Corporation Method of inserting z-axis reinforcing fibers into a composite laminate
US20100276087A1 (en) * 2007-10-16 2010-11-04 Cincinnati Machine, Llc Rotary clamp mechanism for a fiber placement head
FR2937582B1 (fr) 2008-10-28 2010-12-17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avec tubes flexibles d'acheminement de fibres places dans une gaine fro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2514A2 (fr) * 2005-03-03 2006-09-08 Coriolis Composites Machine d'application de fibres
KR20090127297A (ko) * 2007-02-28 2009-12-10 코리오리스 콤포지트 연성 섬유 이송 튜브를 가진 섬유 적용 기계
JP2010520379A (ja) * 2007-02-28 2010-06-10 コリオリ コンポジテ 繊維の搬送可撓菅を備える繊維貼付機械
WO2009081805A1 (ja) * 2007-12-25 2009-07-02 Sumitomo Light Metal Industries, Ltd.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巻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2787A1 (en) 2014-07-03
FR2975335B1 (fr) 2013-05-17
CA2836345A1 (fr) 2012-11-29
KR101944131B1 (ko) 2019-01-30
JP6046705B2 (ja) 2016-12-21
EP2709832A1 (fr) 2014-03-26
EP2709832B1 (fr) 2018-10-24
ES2707299T3 (es) 2019-04-03
WO2012160270A1 (fr) 2012-11-29
FR2975335A1 (fr) 2012-11-23
CN103561941B (zh) 2016-03-30
JP2014519998A (ja) 2014-08-21
CA2836345C (fr) 2019-07-09
US9144945B2 (en) 2015-09-29
CN103561941A (zh)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131B1 (ko) 가요성 블레이드가 설치된 가요성 섬유 이송 튜브를 포함하는 섬유 애플리케이션 머신
US7819160B2 (en) Device for using fibers with flexible fiber-routing tubes
US10207465B2 (en) Fiber application machine with safety system
CA2739025C (en) A fiber application machine provided with flexible fiber conveying tubes arranged within a cold sheath
US5110395A (en) Fiber placement head
US20190077094A1 (en) Fiber-application machine comprising specific cutting systems
BRPI0607520B1 (pt) máquina de aplicação de fibras compreendendo meios de encaminhamento particulares de fibras
CN108290356A (zh) 用于铺放纤维带的制造设备
KR102479232B1 (ko) 상이한 폭들을 갖는 테이프들을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층하기 위한 테이프 적층 장치 및 테이프 적층 방법
US11541615B2 (en) Fiber application head comprising heating means associated with functional modules
ES2353626T3 (es) Dispositivo de montaje de una correa provista de un sistema de fijación por bolas.
US11701841B2 (en) Fiber application head comprising multiple compaction rollers
US20230294372A1 (en) Fiber application head with retractable flap
WO20191518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heets of fiber reinforc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