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471A - 곡물 및 채소 분쇄기 - Google Patents

곡물 및 채소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471A
KR20140044471A KR1020120110448A KR20120110448A KR20140044471A KR 20140044471 A KR20140044471 A KR 20140044471A KR 1020120110448 A KR1020120110448 A KR 1020120110448A KR 20120110448 A KR20120110448 A KR 20120110448A KR 20140044471 A KR20140044471 A KR 2014004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pace
grinding rollers
hous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범 filed Critical 이상범
Priority to KR102012011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471A/ko
Publication of KR2014004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02C4/38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in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4Cooling or heating rollers o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쇄공간(110)이 마련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분쇄공간(110)으로 안내하는 경사판(112)과; 상기 경사판(112)의 하측에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판(112)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압착하고 갈아 분쇄하며, 내부에 중공된 냉매순환공간(230)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와; 분쇄롤러(210, 220)의 냉매순환공간(230)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순환유로(240)와; 상기 순환유로(240)를 통해 상기 냉매순환공간(230)의 일측으로 공급되고, 타측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냉각시키는 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롤러를 냉각시켜 열로 인한 피분쇄물의 물성 변질 및 영양소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분쇄물을 갈아 미분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곡물 및 채소 분쇄기{CEREALS AND VEGETABLES GRINDER}
본 발명은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의 내부에 냉매가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롤러를 냉각시켜 열로 인한 피분쇄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밀착되는 곡선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여 미세 분쇄가 가능한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는 보리, 콩, 밀 등과 같은 각종 곡물이나 건고추 등과 같은 각종 채소 등을 필요로 하는 작은 입자 상태로 분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에 피분쇄물을 투입하고, 피분쇄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분쇄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점점 입자가 작게 분쇄된다.
이와 같이 다량의 피분쇄물을 연속적으로 미분쇄하기 위하여 분쇄롤러를 다단으로 배치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66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쇄기에서는, 곡물, 채소 등의 피분쇄물이 분쇄롤러를 통과하여 분쇄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하여 피분쇄물의 물성이 변질되고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분쇄롤러의 톱니는 각을 형성하고 있어, 서로 맞물린 톱니가 원만하게 돌아가도록 하기 위하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최종 분쇄되 입자 크기에 한계가 있었다.
반대로, 분쇄롤러가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형상인 경우, 유입되는 피분쇄물의 양이 적고, 서로 맞닿는 면적이 작아 분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쇄롤러가 매끄러운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형상인 경우에는, 홈의 외측에서만 마찰하여 분쇄되고 홈에 낀 피분쇄물은 마찰되지 않음으로서 분쇄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의 내부 일측으로부터 냉매가 공급되고 타측으로 빠져나면서 냉매가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분쇄시 롤러에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롤러가 공간 없이 서로 밀착되는 곡선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여, 미세 분쇄가 가능한 곡물 및 채소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분쇄롤러가 회전하면서 미끄러짐(slip)이 발생하여 피가공물이 갈아져 분쇄되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곡물 및 채소 분쇄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쇄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분쇄공간으로 안내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판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압착하고 갈아 분쇄하며 내부에 중공된 냉매순환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분쇄롤러와, 분쇄롤러의 냉매순환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순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상기 냉매순환공간의 일측으로 공급되고 타측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분쇄롤러를 냉각시키는 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롤러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곡선형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외주를 따라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가 'S'자 형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분쇄공간으로 온풍을 공급하여, 경사판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건조시키는 온풍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롤러의 하측에는 상기 분쇄롤러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피분쇄물로 바람을 송풍하여 껍질을 포함한 분순물을 날려 분리하는 송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로 인해 날려 분리되는 껍질 및 불순물이 수거되는 껍질수거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쇄롤러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분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극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분쇄공간은 다층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분쇄공간 마다 분쇄롤러가 구비되어, 피분쇄물이 다층의 분쇄롤러를 거쳐 연속적으로 미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롤러의 내부에 냉매순환공간이 형성되며, 냉매가 순환유로를 통해 냉매순환공간의 일측으로 공급되었다가 타측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피분쇄물의 분쇄시에 발생하는 열을 냉각할 수 있어, 열로 인한 피분쇄물의 물성 변질 및 영양소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가 냉매순환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면서 분쇄롤러의 열을 앗아가 냉각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쇄롤러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곡선형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교번하여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한 쌍의 분쇄롤러가 'S'자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분쇄롤러의 맞물림 부분이 틈 없이 완전히 면접하게 되며, 롤러의 회전시에 면접부위가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마찰면적이 증가하여 분쇄효율이 증가하고, 피분쇄물을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공급되는 피분쇄물에 온풍을 송풍하는 온풍기가 하중징 일측에 구비어, 피분쇄물에 남아있는 미세 수분을 건조시킨다. 따라서, 건조한 상태의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수분을 포함하는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것에 비하여 분쇄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및 채소 분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서 분쇄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서 분쇄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곡물 및 채소 분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및 채소 분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및 채소 분쇄기에서 분쇄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와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곡물 및 채소 분쇄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일측에 구비되는 경사판(112), 분쇄롤러(210, 22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분쇄공간(110)이 마련되어 피분쇄물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아래에서 설명할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분쇄공간(110)으로 피분쇄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경사판(112)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판(112)은 하우징(10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분쇄롤러(210, 220) 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룬다. 상기 경사판(112)은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분쇄공간(11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경사판(112)은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이 하측의 분쇄공간(110), 구체적으로는 분쇄롤러(210, 220)의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경사를 통해 안내해 준다.
상기 경사판(112)의 하측에는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가 구비된다. 상기 분쇄롤러(210, 2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판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압착하고 갈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내부에는 중공된 냉매순환공간(23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순환유로(240)가 연결된다. 상기 순환유로(240)는 상기 한 쌍, 또는 다수의 분쇄롤러(210, 220)의 냉매순환공간(230)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순환공간(230)에는 냉매가 순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매순환공간(230)에는 상기 순환유로(240)를 통해 상기 냉매순환공간(230)의 일측(232)으로 냉매가 유입되며, 타측(234)을 통해 냉매가 배출된다. 상기 냉매는 분쇄롤러(210, 220)가 피분쇄물을 분쇄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냉매순환공간(230)의 내벽에는 상기 냉매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냉각유닛(31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유닛(310)은 상기 냉매가 순환유로(240)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여 순환되도록 펌프를 통해 강제한다. 또한, 다수의 분쇄롤러(210, 220)를 순환하고 회수된 냉매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외주에는 굴곡부(212, 214, 222, 22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A)를 기준선으로 하여, 상기 점선(A)의 외측으로 곡선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212, 22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2, 222)와 대응되는 곡선형으로 점선(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입된 요입부(214, 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12, 222)와 요입부(214, 224)가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외주를 따라 교번하여 형성된다.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분쇄롤러(210)의 돌출부(212) 및 요입부(214)는 제2 분쇄롤러(220)의 요입부(224) 및 돌출부(222)와 'S'자 형상으로 맞물린다. 상기 돌출부(212, 222)와 요입부(214, 22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틈 없이 서로 면접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분쇄롤러(210)와 제2 분쇄롤러(2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각의 인접한 돌출부(212, 222)와 요입부(214, 224)가 틈 없이 항상 면접한다.
도 3의 (a)에는 상기 제1 분쇄롤러(210)의 제1 돌출부(212a) 및 제2 요입부(214b)와, 제2 분쇄롤러(220)의 제1 요입부(224a) 및 제2 돌출부(222b)가 각각 맞물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는 도 3의 (a) 상태에서 분쇄롤러(210, 220)가 회전하여, 제1 분쇄롤러(210)의 제2 요입부(214b) 및 제3 돌출부(212c)와, 제2 분쇄롤러(220)의 제2 돌출부(222b) 및 제3 요입부(224c)가 각각 맞물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와 같이, 제3 돌출부(212c)와 제3 요입부(224c)가 맞물리게 되는 때까지는, 상기 제2 요입부(214b)와 제2 돌출부(222b)는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요입부(214b)와 제2 돌출부(222b)는 맞물린 상태를 벗어날 때까지 서로의 곡률을 따라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된다. 따라서, 피분쇄물이 슬라이드되는 접촉면에 의하여 갈리면서 분쇄된다.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표면은 슬라이드 접촉력이 커지도록, 샌드블라스트(sand blast) 공법 등을 통해 거칠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간극조절수단(250)이 구비된다. 상기 간극조절수단(250)은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분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데 이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분쇄공간(110)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12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풍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112)과 분쇄롤러(210, 2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상부로 온풍을 공급한다. 상기 온풍기(120)는 상기 경사판(112)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송풍기(130)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기(1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하부로 바람을 송풍한다. 상기 송풍기(130)는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피분쇄물로부터 껍질 및 불순물을 날려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껍질수거공간(114)이 구비된다. 상기 껍질수거공간(114)은 상기 송풍기로 인해 날려 분리되는 껍질 및 불순물이 수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껍질수거공간(114)의 일측에는 필터(116)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116)는 상기 송풍기(130)를 통해 송풍되는 바람을 통과시키면서, 껍질 및 불순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116)는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피분쇄물이 다수의 분쇄롤러(210, 220)를 거쳐 연속적으로 미분쇄 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분쇄공간(110)은 다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분쇄공간(110) 마다 경사판(112), 분쇄롤러(210, 220), 온풍기(120), 송풍기(130)가 구비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풍기(120)는 피분쇄물이 최초로 공급되는 가장 상측의 분쇄공간(110)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130)는 피분쇄물의 탈피가 일어나는 일부 분쇄공간(1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냉매순환공간(230)은 순환유로(240)를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가 상기 다수의 순환유로(240) 및 냉매순환공간(230)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설치 공간에 따라 높이 제한이 있으므로, 도 1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3단계씩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도 1 참조) 하우징(100)의 최하부에 구비되는 분쇄공간(110)과 좌측 하우징(100)의 최상부에 구비되는 분쇄공간(110) 사이에는 분체이송로(4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체이송로(410)의 일측에는 이송팬(420)이 구비되어, 상기 우측 하우징(100)에서 분쇄된 피분쇄물을 좌측 하우징(100)으로 이송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 및 채소 분쇄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0) 내부에는 다수의 분쇄공간(110) 및 분쇄롤러(210, 220)가 구비되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분쇄공간(110a, 110b, 110c, 110d, 110e, 110f)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 상부의 투입구를 통해 건조된 곡물 또는 채소와 같은 피분쇄물이 하우징(100) 내측으로 투입된다. 여기서, 피분쇄물은 작업자가 직접 투입구를 통해 투입할 수 있으며, 또는 투입구로 연결된 스크류나 밸트 등과 같은 이송장치를 통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투입된 피분쇄물은 경사판(112)에 의해 제1 분쇄공간(110a)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1 분쇄공간(110a)의 일측에 구비되는 온풍기(120)에서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피분쇄물에 남아있는 미세 수분이 건조된다.
상기 제1 분쇄공간(110a)으로 안내된 피분쇄물은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피분쇄물을 분쇄한다.
상기 분쇄롤러(210, 220)에는 굴곡진 돌출부(212, 222)와 요입부(214, 224)가 교번된 굴곡부(212, 214, 222, 224)가 형성되어,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가 'S'자 형상으로 맞물린다. 그리고, 맞물린 요입부(214, 224)와 돌출부(212, 222)는 맞물린 상태로 각자 회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의 맞물린 요입부(214, 224)와 돌출부(212, 222)는 맞물린 상태를 벗어날 때까지 서로의 곡률을 따라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된다. 따라서, 피분쇄물이 슬라이드되는 접촉면에 의하여 갈리게 된다.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통해 분쇄된 피분쇄물은 분쇄롤러(210, 220)의 회전에 의해 분쇄롤러(210, 22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낙하한다. 즉,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피분쇄물이 제2 분쇄공간(110b)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2 분쇄공간(110b)의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기(130)가 낙하하는 피분쇄물로 바람을 송풍하여, 껍질 및 불순물을 날려보낸다. 상기 날려진 껍질 및 불순물은 송풍기(130)의 반대편에 구비된 껍질수거공간(114)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30)를 통해 송풍된 바람은 상기 필터(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 분쇄공간(110b)에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분쇄물이 분쇄롤러(210, 220)를 통과하면서 분쇄되면서 하측의 제3 분쇄공간(110c)으로 낙하하고, 제3 분쇄공간(110c)에 구비된 송풍기(130)를 통해 껍질 및 불순물이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3 분쇄공간(110c)으로 낙하한 피분쇄물은 이송팬(420)에 의해 날려, 분체이송로(410)를 따라 제4 분쇄공간(110d)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이송팬(420)에 의해 작용하는 분체이송로(410) 내부 공기압은 하측의 피분쇄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고기압인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4 분쇄공간(110d)으로 이동하는 피분쇄물은 미분쇄를 위하여, 제4 분쇄공간(110d)에 구비되는 온풍기(120)에 의해 한번 더 건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피분쇄물은 분쇄롤러(210, 22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제5 분쇄공간(110e), 제6 분쇄공간(110f)으로 이동되면서 점차 미분쇄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는 분쇄단계에 따라 간극조절수단(250)을 통해 사이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피분쇄물은 여러 단계의 분쇄를 거치면서 점차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 사이의 간격은 분쇄단계가 높아질 수 록 점차 좁아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분쇄물이 분쇄롤러(210, 220)를 통과하며 분쇄될 때에는, 마찰로 인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분쇄시에 열이 발생하여 피분쇄물에 열이 가해지면, 피분쇄물 물성이 변질되고 영양소가 파괴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쇄롤러(210, 220) 내측의 냉매순환공간(230)으로 냉매가 공급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냉매순환공간(230)과 연결된 순환유로(240)를 따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환되면서, 분쇄롤러(210, 220)를 냉각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분쇄롤러(210, 220) 각각에 별도로 공급될 수 있으며, 또는 다수의 분쇄롤러(210, 220)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각각의 분쇄롤러(210, 220)를 차례로 지나면서 순환될 수 있다.
냉각유닛(310)은 상기 냉매를 순환유로(240)를 통해 분쇄롤러(210, 220)로 공급한 후, 회수되는 냉매를 냉각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하우징 110 : 분쇄공간
112 : 경사판 114 : 껍질수거공간
116 : 필터 120 : 온풍기
130 : 송풍기 210, 220 : 분쇄롤러
230 : 냉매순환공간 240 : 순환유로
250 : 간극조절수단 310 : 냉각유닛
410 : 분체이송로 420 : 이송팬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쇄공간(110)이 마련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분쇄공간(110)으로 안내하는 경사판(112)과;
    상기 경사판(112)의 하측에 구비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판(112)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압착하고 갈아 분쇄하며, 내부에 중공된 냉매순환공간(230)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와;
    분쇄롤러(210, 220)의 냉매순환공간(230)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순환유로(240)와;
    상기 순환유로(240)를 통해 상기 냉매순환공간(230)의 일측으로 공급되고, 타측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냉각시키는 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210, 220)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돌출부(212, 222)와, 상기 돌출부(212, 222)와 대응되는 곡선형으로 요입된 요입부(214, 224)가 외주를 따라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가 'S'자 형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분쇄공간(110)으로 온풍을 공급하여, 경사판(112)을 통해 공급되는 피분쇄물을 건조시키는 온풍기(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210, 220)의 하측에는, 상기 분쇄롤러(210, 22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피분쇄물로 바람을 송풍하여 껍질을 포함한 분순물을 날려 분리하는 송풍기(13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130)로 인해 날려 분리되는 껍질 및 불순물이 수거되는 껍질수거공간(1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쇄롤러(21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쇄롤러(210, 220)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분쇄롤러(210, 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극조절수단(250)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분쇄공간(110)은 다층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분쇄공간(110) 마다 분쇄롤러(210, 220)가 구비되어, 피분쇄물이 다층의 분쇄롤러(210, 220)를 거쳐 연속적으로 미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및 채소 분쇄기.
KR1020120110448A 2012-10-05 2012-10-05 곡물 및 채소 분쇄기 KR20140044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48A KR20140044471A (ko) 2012-10-05 2012-10-05 곡물 및 채소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48A KR20140044471A (ko) 2012-10-05 2012-10-05 곡물 및 채소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471A true KR20140044471A (ko) 2014-04-15

Family

ID=5065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448A KR20140044471A (ko) 2012-10-05 2012-10-05 곡물 및 채소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4804A (zh) * 2015-10-16 2016-01-06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烘干粉碎机
CN114570463A (zh) * 2022-04-06 2022-06-03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五地质大队(山东省第五地质矿产勘查院) 一种适用于矿产勘查的矿石破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4804A (zh) * 2015-10-16 2016-01-06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烘干粉碎机
CN114570463A (zh) * 2022-04-06 2022-06-03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五地质大队(山东省第五地质矿产勘查院) 一种适用于矿产勘查的矿石破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712B2 (en) Device for sifting granular material
US5353997A (en) Process for crushing raw lignite
CN107175151A (zh) 一种风冷式谷物脱壳研磨机
KR100210890B1 (ko) 수직형 로울러 밀을 이용한 시멘트 클링커 분쇄 장치 및 방법
KR20150141878A (ko) 초미세 기류 분급 밀
JPS59109253A (ja) 少なくとも1つの垂直または斜めに延びる円筒粉砕室を有するビ−タ粉砕機
JP6739449B2 (ja) バルク材を冷却するための冷却装置
KR20140044471A (ko) 곡물 및 채소 분쇄기
JP2006061811A (ja) 製粉方法及び製粉機
US6032887A (en) Circuit grinding apparatus with high-pressure roll press and sifter
JP6158856B2 (ja) アルファ化穀粉製造装置
JP2017523026A (ja) 高温の湿潤原料を粉砕する方法および掃気式竪型ミル、ならびにチャネル状セグメント
CN112041082B (zh) 粉碎系统
KR101065460B1 (ko) 분쇄장치
JP6993795B2 (ja) 粉砕システム
JP2556414B2 (ja) 竪形ローラミル
JPH075338B2 (ja) 予備粉砕装置を備えたセメント製造装置
KR101907137B1 (ko) 곡물분쇄기의 내부분쇄망 및 분쇄칼날 구조
JPS6216693B2 (ko)
CN105013554A (zh) 一种碾米辊
US5918823A (en) High-pressure roller press for pressure comminution of granular product
KR101654234B1 (ko) 마찰 충격 및 열을 감소시킨 곡물분쇄기
KR100586849B1 (ko) 분쇄기
KR200452016Y1 (ko) 곡물 분쇄장치용 분쇄롤러
JP2884515B1 (ja) 微粉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