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234A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234A
KR20140044234A KR1020120110335A KR20120110335A KR20140044234A KR 20140044234 A KR20140044234 A KR 20140044234A KR 1020120110335 A KR1020120110335 A KR 1020120110335A KR 20120110335 A KR20120110335 A KR 20120110335A KR 20140044234 A KR20140044234 A KR 2014004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onent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보석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234A/ko
Priority to US14/046,392 priority patent/US20140101561A1/en
Priority to EP13843434.5A priority patent/EP2904710A4/en
Priority to CN201380052298.4A priority patent/CN104704860B/zh
Priority to PCT/KR2013/008917 priority patent/WO2014054926A1/en
Publication of KR2014004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 ME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에 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보다 손쉽게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가령, 사용자들은 인터넷 등을 통해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 제공 소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은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13.56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 기술을 응용해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도록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는 UI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U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UI 스펙에 상기 수신된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UI 스펙에 상기 수신된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객체는, 구매 가능한 상품 및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의 태깅에 의해 획득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UI 처리부,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UI 스펙에 상기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UI 스펙에 상기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객체는, 구매 가능한 상품 및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의 태깅에 의해 획득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B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스펙 및 UI 구성요소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객체(1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소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객체(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에 위치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외부 객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객체(10)가 특정 장소, 특정 장소에 대한 광고 전단지 또는 지도상에 특정 장소의 위치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인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특정 장소의 주소, 지명, 상호명, 운영 시간, 전화 번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역사, 입장료, 행사 일정, 특정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 URL 링크 주소, 주변 부대 시설(가령, 주변 주차장, 주변 맛집, 주변 관광지)에 대한 각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소는 마트, 주유소, 놀이공원, 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박물관, 유적지, 병원, 백화점, 회사, 아파트, 건물 등과 같이 사용자가 도보 또는 차량으로 갈 수 있는 모든 곳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객체(10)가 특정 제품, 특정 제품에 대한 광고 전단지, 특정 제품의 진열대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인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제품명, 제조일자, 유통기한, 제조사, 제품과 관련된 URL 링크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에는 식료품, 의류, 가전 제품, 자동차 등 특정 재료를 가공하여 생산할 수 있는 모든 물품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의 데이터 수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객체(1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가 부착된 외부 객체(10)와의 근거리 액세싱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액세싱이란 태깅을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및 리더가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 측으로 이동하여,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reading)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예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NFC란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다. NFC 기술을 이용하면, 복수의 단말기가 약 10 cm 이내와 같이 근거리로 접근하였을 때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다른 예로 바코드 방식, QR 코드 방식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수집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통신하는 외부 객체(1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특정 장소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집되는 데이터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제품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집되는 데이터는 특정 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외부 객체(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객체(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외부 저장 매체 또는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휴대폰, 네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연결하여, 외부 저장 매체 또는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특정 제품 및 특정 장소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각종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10)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10)가 속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외부 객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화면으로 외부 객체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데이터 검색을 수행하거나, 수신된 정보를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서버(미도시)로부터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미도시)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도 1: 1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획득한 정보는 외부 객체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와의 태깅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그대로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획득한 정보에서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 망 등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객체(1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전송한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외부 객체(10)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UI 정보, 예를 들어, UI 구성요소, UI 구성요소에 대한 컨텐츠, UI 스펙 등이 될 수 있다.
서버(200)는 각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 서버로 구현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부의 임베디드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200)는 별도의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달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서버(200)는 각 제품 또는 장소를 구분하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 각 구성요소에 대한 컨텐츠, 각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관련 서버 정보 등을 카테고리 별 또는 제품/장소 별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 각 UI 구성요소에 대한 컨텐츠, 또는, UI 스펙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UI 처리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후술하는 UI 처리부(120)에서 생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I 처리부(120)는 다양한 형태의 G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120)는 이미지, 텍스트,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UI 화면을 2D 또는 3D 형태로 처리/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UI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객체(10)와의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정보와 관련된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120)는 UI 요소의 2D/3D 전환, 투명도, 색상, 크기, 형태 및 위치 조정, 하이라이트, 애니메이션 효과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객체들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부착된 외부 객체들과 근거리 액세스되면 그 태그 내에 기록된 정보를 리딩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무선 주파수 모듈 및 안테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안테나 코일을 통해 전자파를 발산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기준으로 전자파 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미도시)에서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전류가 유도된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내의 집적회로가 구동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전송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 내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안테나 코일을 통해서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대해 복조 및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RF 신호에 실린 데이터를 검출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까지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필요에 따라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30)는 외부 객체 들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별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해당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XML-RPC (XML Remote Procedure Call)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서버(200)에 객체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U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을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5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다양한 UI 스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UI 스펙이란 UI 윈도우 및 UI 윈도우 내에 배치되는 버튼 크기, 위치, 색상, 타입(이미지, 텍스트 등)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저장부(140)는 기설정된 제품 또는 장소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UI 구성요소란 UI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항목, 텍스트 항목, 링크 항목 등 다양한 UI 메뉴가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태깅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자체에 구비된 태그를 그대로 외부 객체에 구비된 태그에 태깅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UI 메뉴를 통해 태그 읽기 모드에 진입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진입한 상태에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객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 가능한 상품 및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객체 정보란 외부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객체가 상품인 경우, 객체 정보는 상품 명, 상품 코드, 상품 종류, 상품 사이즈, 상품 색상, 관련 서버의 주소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객체가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인 경우, 장소 명, 장소 코드, 위치, 영업 시간, 대체 장소, 관련 서버의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명" 또는 "냉장고 코드"에 대한 객체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객체가 가전제품 카테고리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기저장된 정보 또는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가 "냉장고 명" 또는 "냉장고 코드"에 해당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에 "지펠 600"이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가 "냉장고"라는 상품에 해당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각 상표명 별 상품의 일반적 명칭을 매핑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품 명 또는 상품 코드와 별도로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 등의 정보가 별도로 객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에 "1010"이라는 플래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가 "가전 제품 카테고리"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정보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플래그가 "가전 제품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카테고리 별 플래그 값을 매핑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가전 제품 카테고리"의 경우, 상품 이미지, 상품명, 가격, 제품 스펙, 최저가 검색, 사은품 정보, 장바구니 담기, maintenance 정보 등이 관련된 UI 구성요소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외부 객체와의 태깅을 통해 수신되는 객체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외에 추가적인 메뉴 만을 UI 구성요소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전 제품 카테고리"의 경우, 최저가 검색, 장바구니 담기 등이 해당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제품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상품 이미지, 상품명, 가격, 제품 스펙, 최저가 검색, 사은품 정보, 장바구니 담기, maintenance 정보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50)는 수신된 객체 정보,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UI 구성요소의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가전 제품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최저가 검색, 장바구니 담기인 경우, 해당 UI 구성요소의 컨텐츠만을 결정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객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예를 들어, 가격, 상품명 등..)를 그대로 UI 화면 상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 UI 구성요소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가전 제품 카테고리"의 경우, 상품 이미지는 이미지 형태로, 상품명, 가격, 제품 스펙, 사은품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최저가 검색, 장바구니 담기 등은 링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각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는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지만, 해당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정된 카테고리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고,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UI 구성요소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200)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상품을 제공하는 상품 제공자가 별도로 운영하는 서버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관련 서버(미도시)로부터 UI 구성요소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관련 서버(미도시)에 주기적인 폴링을 통해 각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서버도 외부 서버(200)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품 제공자가 운영하는 별도의 서버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결정된 UI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기 저장된 UI 스펙에 결정된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UI 스펙이란 UI 윈도우 및 UI 윈도우 내에 배치되는 버튼 크기, 위치, 색상, 타입(이미지, 텍스트 등) 등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UI 스펙 또한 외부 서(2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 수집하여 UI 메뉴를 생성하거나, 수신된 객체 정보에는 없지만, 카테고리 별로 기설정된 UI 메뉴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UI 메뉴를 생성하거나, 수신된 객체 정보와 관계없이 기설정된 위시 리스트 담기, 최저가 검색 등과 같은 UI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UI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수신된 객체 정보 중 이미지, 텍스트 등은 UI 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추가로 수집된 기능, 카테고리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기능 등 각종 추가 기능 제공을 위한 링크는 버튼을 생성하여 버튼 상에 기능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UI를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웹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이미지 정보는 다운로드하고, 홈페이지 링크 정보는 해당 정보에 링크되는 버튼 또는 아이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다운로드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등 대응되는 UI 스펙에 부합하도록 UI 구성요소의 컨텐츠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UI 처리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스피커(190),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은 출력 장치 이외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30)는 NFC 칩(131), 와이파이 칩(132), 블루투스 칩(13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
NFC 칩(131), 와이파이 칩(132), 블루투스 칩(133)은 각각 NFC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NFC 칩(131)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 밖에 통신부(130)는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5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서비스가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하기 위한 UI 스펙, 각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된 외부 객체에 대한 UI 화면 상에 제공된 특정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하는 방식이 특정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90)는 오디오 처리부(18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9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충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3)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서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RAM(151), ROM(152), 메인 CPU(153), 그래픽 처리부(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버스(156)를 포함한다.
RAM(151), ROM(152), 메인 CPU(153), 그래픽 처리부(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등은 버스(1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내지 1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5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53)는 ROM(1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5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51)에 복사하고, RAM(1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5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 장치(154)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미도시)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감지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가속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UI 화면 상에 제공되는 특정 버튼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세로 모드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가로 모드에 적합하도록 리스케일링 또는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리스케일링을 통해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UI 구성요소 및 그 크기, 위치 등에 관한 정보가 별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어부(150)는 가로 모드에서 UI 윈도우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로 모드에서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UI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UI 윈도우 상의 특정 기능 버튼(예를 들어, 위시 리스트 담기)이 선택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회전되는 경우, UI 윈도우의 크기를 리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특정 기능 버튼과 관련된 윈도우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서비스 모듈(14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4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6)은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프로그램 외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통신부(13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다양한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특히, 저장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될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는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 별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를 저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저장부(220)는 다양한 UI 스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UI 스펙이란 UI 윈도우 및 UI 윈도우 내에 배치되는 버튼 크기, 위치, 색상, 타입(이미지, 텍스트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220)에는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UI 스펙 정보가 카테고리 별로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서버(200)는 UI 스펙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만을 제공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UI 스펙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만을 결정할 수 있지만, 수신된 객체 정보에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객체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각 UI 구성요소에 대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저가 검색"이라는 UI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UI 구성요소에 최저가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링크 정보(예를 들어, 웹 페이지 주소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안내도"라는 UI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UI 구성요소에 매장 안내를 위한 맵 이미지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UI 스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이미지, 상품 가격, 위시 리스트"의 UI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경우, 기저장된 UI 스펙 정보 중 "이미지, 텍스트 및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UI 스펙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적합한 UI 스펙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230)는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웹 검색을 수행하고, 웹 검색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각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관련 서버(미도시)로부터 UI 구성요소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관련 서버(미도시)에 주기적인 폴링을 통해 각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서버(미도시)는 각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수신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또는 구동하기 전에 외부 객체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태깅하게 되면, 태깅에 의해 수신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스펙 및 UI 구성요소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스펙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스펙은 이미지 항목(811), 일반 항목(812 내지 815) 블럭의 크기, 위치, 색상 등의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스펙은 이미지 항목(821), 텍스트 항목(822, 824, 826), 링크 항목(823, 825, 827) 블럭의 크기, 위치, 색상 등의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UI 스펙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결정된 UI 구성요소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구성요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식료품류(831)의 경우, 상품명, 가격, 조리법, 칼로리 정보, 장바구니 담기 등의 UI 메뉴가 UI 구성요소로, 가전제품류(832)의 경우, UI 구성요소에는 상품명, 가격, 최저가 검색, 제품 스펙, 사은품 정보, 장바구니 담기 등의 UI 메뉴가 UI 구성요소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서적류(833)의 경우, UI 구성요소에는 제목, 저자, 요약, 관련 도서 추천 등의 UI 메뉴가, 의류(834)의 경우, UI 구성요소에는 가격, 최저가 검색, 매장 검색, 할인 정보 등의 UI 메뉴가 UI 구성요소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서점(835)의 경우, UI 구성요소에는 도서 검색, 매장 안내도, 인기/추천 서적 안내 등의 UI 메뉴가, 관광지(836)의 경우, UI 구성요소에는 관광지 안내도, 주변 맛집 정보, 주변 교통 정보 등의 UI 메뉴가 UI 구성요소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은 외부 객체의 일 종류에 따른 예를 설명한 것이며 그 밖에 다양한 외부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다양한 UI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각 외부 객체의 종류에 따른 UI 메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상술한 예에서 일부 UI 메뉴가 생략되거나, 다른 UI 메뉴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료품류(831)의 경우 조리법이 생략되고, 유사 제품 추천 등의 메뉴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구성요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구성 요소는 기본적으로 태깅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추가로 제공 가능한 기능에 대해서만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료품류(841)의 경우, 장바구니 담기 등의 UI 메뉴가, 가전제품류(832)의 경우, 최저가 검색, 장바구니 담기 등의 UI 메뉴가, 서적류(833)의 경우, 관련 도서 추천 등의 UI 메뉴가 UI 구성요소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의류(834)의 경우, 최저가 검색, 매장 검색 등의 UI 메뉴가, 서점(835)의 경우, 인기/추천 서적 안내 등의 UI 메뉴가, 관광지(836)의 경우, 주변 맛집 정보, 주변 교통 정보 등의 UI 메뉴가 UI 구성요소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객체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와 같은 정보들은 UI 화면에 그대로 제공되고, 카테고리 별로 추가로 제공되는 메뉴는 명칭을 포함하는 버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일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고, 다른 일부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는 경우에 따라 웹 검색을 통해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외부 객체인 "새우깡" 봉지(10-1)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21-1)에 대한 태깅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를 통해 "새우깡" 봉지(10-1)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21-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과자"가 속한 카테고리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음식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는 일 예에 따른 것이며, 카테고리가 세부적으로 구분된 경우, "과자류"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결정된 "과자류"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된 정보 또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과자류"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결정될 수 있다.
"과자류"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제품 이미지, 제조사, 제품 타입, 가격, 칼로리 정보, 위시 리스트 담기"로 결정되는 경우, 해당 UI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UI 스펙과 결합하여 UI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UI 스펙은 디폴트로 저장되어 있거나, 결정된 UI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UI 스펙 중 선택되거나, 결정된 UI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각 UI 구성요소의 컨텐츠는 태깅을 통해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되어 있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912), 제품 타입(913), 가격(914), 칼로리 정보(915)" 등에 대한 컨텐츠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제품 이미지(911)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통해 관련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시 리스트 담기"에 대응되는 컨텐츠 즉, 위시 리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과의 링크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UI 윈도우(900) 내에 "위시 리스트 버튼" 생성시 해당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위시 리스트 버튼(916)"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외부 객체인 서점 내 단말(10-2)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21-2)에 대한 태깅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를 통해 서점 내 단말(10-2)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21-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점"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결정된 "서점"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된 정보 또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점"과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결정될 수 있다.
"서점"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장소 이미지, 장소명, 장소 타입, 가격, 서점명(지점), 도서 검색, 매장 안내도, 인기/추천 도서"로 결정되는 경우, 해당 UI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UI 스펙과 결합하여 UI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UI 스펙은 디폴트로 저장되어 있거나, 결정된 UI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UI 스펙 중 선택되거나, 결정된 UI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각 UI 구성요소의 컨텐츠는 태깅을 통해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되어 있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 이미지(1011), 장소명/장소 타입(1012), 서점명(지점)(1013)" 등에 대한 컨텐츠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도서 검색(1014), 매장 안내도(1015), 인기/추천 도서(1016)"에 대응되는 컨텐츠 즉, 도서 검색 서비스에 대한 링크 정보, 매장 안내 맵 이미지 정보, 인기/추천 도서와 관련된 링크 정보 등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10에서는 UI 윈도우(900, 1000) 상에 제공되는 모든 UI 메뉴가 카테고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태깅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는 그대로 디스플레이하여 UI 윈도우를 구성하되, 해당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 별로 별도로 마련된 UI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UI 윈도우를 구성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외부 객체인 냉장고(10-3)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21-3)에 대한 태깅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를 통해 냉장고(10-3)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21-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는 서버(20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전제품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결정된 "가전제품류"와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된 정보 또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제품류"과 관련된 UI 구성요소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류"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는 "최저가 검색, 제품 스펙, 위시 리스트 담기"로 결정될 수 있고, 제품 이미지, 제조사, 제품류, 제품명은 객체 정보를 통해 수신되는 것이며, 카테고리 별로 기설정된 UI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신된 객체 정보에 포함된 제품 이미지(1111), 제조사(1112), 제품류(1113), 제품명(1114) 등은 UI 화면(1000)에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추가로 수집된 UI 메뉴 즉, "최저가 검색(1114), 제품 스펙(1115), 위시 리스트(1116)" 등은 대응되는 기능 명칭과 함께 버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UI 화면 상에 제공된 특정 기능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냉장고 제품에 대응되는 UI 화면(11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UI 화면 상에 제공된 "최저가 검색" 버튼(1114)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버튼에 링크된 웹페이지(12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해당 "냉장고" 제품에 대한 최저가 검색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모드인 상태에서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UI 화면(11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UI 화면 상에 제공된 특정 기능 버튼이 선택되고,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가로 모드에서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대응되는 새로운 윈도우가 기존 UI 윈도우와 별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모드인 상태에서 가전제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냉장고 제품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UI 화면 상에 제공된 "위시 리스트"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가로 모드에서는 선택된 "위시 리스트"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해당 제품이 위시 리스트에 추가된 형태의 위시 리스트 페이지를 포함하는 윈도우(1300)가 UI 화면과 별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UI 화면(1100')은 가로 모드에서의 화면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리스케일링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따르면, 우선 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S1410). 여기서, 외부 객체는, 구매 가능한 상품 및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한다(S1420).
이어서,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한다(S143O).
이 후,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1440).
한편, UI를 생성하는 S143O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UI를 생성하는 S143O 단계에서는,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I 구성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하고, 판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I를 생성하는 S143O 단계에서는, 기 저장된 UI 스펙에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를 생성하는 S143O 단계에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UI 스펙에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UI 구성요소는,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UI 구성요소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의 태깅에 의해 획득한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S1510).
이어서,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한다(S1520).
이어서,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530).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S1530 단계에서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하고, 판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UI 구성요소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UI 처리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UI 스펙에 상기 수신된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UI 스펙에 상기 수신된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객체는,
    구매 가능한 상품 및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8.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의 태깅에 의해 획득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저장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UI 처리부;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UI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UI 스펙에 상기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UI 스펙에 상기 UI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객체는,
    구매 가능한 상품 및 특정 장소 내 구비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8.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구비된 외부 객체와의 태깅에 의해 획득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속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테고리 별 UI 구성요소가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UI 구성요소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UI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상기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20110335A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4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35A KR20140044234A (ko)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4/046,392 US20140101561A1 (en) 2012-10-04 2013-10-04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843434.5A EP2904710A4 (en) 2012-10-04 2013-10-04 US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AND SERVER AND CONTROL PROCEDURES THEREFOR
CN201380052298.4A CN104704860B (zh) 2012-10-04 2013-10-04 用户终端设备及其ui提供方法以及服务器及其控制方法
PCT/KR2013/008917 WO2014054926A1 (en) 2012-10-04 2013-10-04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35A KR20140044234A (ko)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234A true KR20140044234A (ko) 2014-04-14

Family

ID=5043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35A KR20140044234A (ko)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01561A1 (ko)
EP (1) EP2904710A4 (ko)
KR (1) KR20140044234A (ko)
CN (1) CN104704860B (ko)
WO (1) WO20140549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13B1 (ko) * 2014-08-06 2015-01-27 오일환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129421A (ko) 2018-05-11 2019-11-20 고권석 물품 위치 추적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8335B2 (en) * 2013-01-18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CN105469281A (zh) * 2015-11-30 2016-04-0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站台广告显示方法、装置及服务器
JP7060910B2 (ja) * 2018-02-27 2022-04-2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559A (ja) * 2001-03-30 2002-10-11 Sony Corp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FI20022288A0 (fi) * 2002-12-31 2002-12-31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elektroniseen laitteeseen tallennetun tiedon tuomiseksi laitteen käyttäjälle
EP1803228B1 (en) * 2004-10-01 2019-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vent in wireless terminal
JP4650422B2 (ja) * 2004-10-15 2011-03-16 富士通株式会社 Rfidタグ、及び、そのrfidタグを利用する物品に関する情報取得方法
KR20060094176A (ko) * 2005-02-23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 정보와 작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휴대용 장치
WO2008042302A2 (en) * 2006-09-29 2008-04-10 Narian Technologies Corp. Apparatus and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EP1914631A1 (en) 2006-10-20 2008-04-23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web service
KR101031887B1 (ko) * 2007-08-06 2011-05-02 (주)호크마시스템 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47380B1 (ko) * 2007-09-11 2008-07-21 주식회사 아이콘랩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9268856B2 (en) * 2007-09-28 2016-02-2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lusion of interactive elements on a search results page
KR101029362B1 (ko) * 2008-03-18 2011-04-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음식 특성 콘텐츠정보 제공 방법
US8850052B2 (en) * 2008-09-30 2014-09-3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US20110238590A1 (en) * 2010-03-26 2011-09-29 Thinglink Llc Registr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nd authenticity certification
US20120295542A1 (en) * 2011-05-17 2012-11-22 Edvin Telemi System for creating web based applications linked to rfid tags
EP2667641B1 (en) * 2012-05-24 2021-02-17 BlackBerry Limited Creation And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Ta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13B1 (ko) * 2014-08-06 2015-01-27 오일환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129421A (ko) 2018-05-11 2019-11-20 고권석 물품 위치 추적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4710A1 (en) 2015-08-12
CN104704860A (zh) 2015-06-10
US20140101561A1 (en) 2014-04-10
CN104704860B (zh) 2018-06-15
WO2014054926A1 (en) 2014-04-10
EP2904710A4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96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0514B1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TWI485614B (zh) 行動電子裝置及使用者介面顯示方法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9241242B2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8605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CN105191330A (zh) 显示装置及其图形用户界面屏幕提供方法
KR102037465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04225A (ko) 알림 장치 및 알림 장치가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
CN104685460A (zh) 透明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20170220215A1 (en) Contextually changing omni-directional navigation mechanism
US103539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US201401735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20140147329A (ko) 락 스크린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26026B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KR20140051012A (ko)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KR20150133989A (ko)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931807B1 (ko)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KR2014004423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N110430022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0795007A (zh) 一种获取截图信息的方法及装置
CN102655689A (zh) 基于WiFi的移动设备与展项交互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15014138A1 (zh)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KR2014004632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미션 제공 서버 및 그들의 미션 제공 방법
KR102464911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