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380B1 -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380B1
KR100847380B1 KR1020070092151A KR20070092151A KR100847380B1 KR 100847380 B1 KR100847380 B1 KR 100847380B1 KR 1020070092151 A KR1020070092151 A KR 1020070092151A KR 20070092151 A KR20070092151 A KR 20070092151A KR 100847380 B1 KR100847380 B1 KR 10084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device
information
user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이상학
박정환
정민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07009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380B1/ko
Priority to US11/946,810 priority patent/US2009006556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4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by using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판독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바로 조회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 컨텐츠, 카테고리 정보, 임플리케이션 서버, 컨텐츠 서버

Description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Machine-readable Cod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판독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바로 조회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웹 서버로부터 조회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대표적인 예인 바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코드 값과 연관된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버로부터 제공 받는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근래에 들어,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휴대용 통신 기기의 광범위한 보급으 로 인해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용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고 컨텐츠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도 질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즉, 실생활 속에서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되는 무선 인터넷 컨텐츠의 종류도 점점 다양해져 캐릭터나 전화 벨 소리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 뉴스 기사, 동영상 등 많은 종류의 컨텐츠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하여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먼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다음 관련 주소 및 검색어를 일일이 입력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한 관계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다음, 축구 경기 입장권을 예매하려 하는 경우, 해당 축구 경기의 입장권을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검색하거나 또는 해당 주소를 입력해야 하는 시작 단계부터, 좌석을 지정하고 결제하여 입장권을 예매하게 되는 최종 단계까지 각 단계마다 여러 번의 키 조작이 필요했었다.
이러한 조작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무선 인터넷 접속 시간도 길어 져,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값비싼 무선 인터넷의 이용에 부담감을 느끼게 될 수도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차원 또는 2차원적으로 구성된 바코드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 접근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2001년 6월 30일에 출원되어 2004년 1월 7일에 등록된 바 있는 한국특허출원 제2001-38933호(한국특허등록 제414523호)를 살펴보면, 바코드 패턴으로부터 추출된 코드에 의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발명은, 바코드를 포함하는 패턴으로부터 추출된 코드에 의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특허에는, 코드 관리 서버로부터 코드를 갖는 패턴을 발급 받아 각종 매체(신문, 방송, 광고 등)에 코드를 포함하는 패턴을 삽입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영상 획득 장치(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등)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 패턴을 획득한 다음 이 패턴에 포함된 코드를 추출하여 코드 관리 서버로부터 그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값(URL 등)을 수신하며, 이러한 위치 값에 의해 통신망에 접속된 정보 제공원(웹 사이트)에 자동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2002년 12월 18일 출원되어 2004년 6월 25일에 공개된 바 있는 한국특허출원 제2002-81484호를 살펴보면, 바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관계사의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알 수 있다.
상기 출원에서는, 바코드에 의한 코드 값의 입력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코드 값을 수신 받아 각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플랫폼으로 코드 값에 관한 정보를 분배하는 운영 대행사 플랫폼, 상기 운영 대행사 플랫폼으로부터 코드 값을 전송 받아 각 코드 값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 및 관계사 관련 로그를 기록하는 통신업체 플랫폼, 상기 통신업체 플랫폼에 각종 컨텐츠 등에 관한 리소스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 및 컨텐츠 제공을 위한 바코드 이미지를 운영 대행사로부터 발급 받고, 상기 발급 받은 바코드 이미지를 오프라인 매체에 삽입하여 바코드와 연동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오프라인 관계사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바코드 패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는, 2003년 3월 8일에 출원되어 2004년 9월 16일에 공개된 바 있는, 본 출원인과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의 공동 출원인 한국특허출원 제2003-14598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출원에서는, 바코드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인쇄물에 게재된 컨텐츠와 관련되어 부착된 바코드 패턴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촬상하는 단계, 상기 촬상된 바코드 패턴을 디코딩하여 코드 값 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값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URL 정보에 상응하는 사업자 서버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URL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바코드 패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컨텐츠는 해당 바코드 패턴으로부터 추출되는 코드 값과 일대일 대응되는 컨텐츠 하나로 정해지게 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 받을 기회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인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성인 전용 컨텐츠)에는 사용자에게 해로운 컨텐츠가 바코드 판독 기능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제공되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다른 신규한 컨텐츠에의 접근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채롭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는 컨텐츠만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입력 받기 위한 코드 입력부, 상기 입력된 코드의 값을 추출하기 위한 코드 값 추출부, 상기 추출된 코드 값을 제1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코드 값 전송부, 상기 제1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코드 값에 연관되어 있는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를 제2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전송부, 및 상기 제2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컨텐츠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 장치로서, 단말 장치로부터,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값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코드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 장치로서, 단말 장치로부터,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추출부, 및 상기 추 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코드의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코드 값을 제1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코드 값에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제2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연산 장치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코드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연산 장치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 값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가 추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하나의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 값을 갖는 캐리어에 대하여 판독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해당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를 다양하게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 값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컨텐츠가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 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바코드 패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코드(10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200),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 컨텐츠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제1 서버(400)(이하에서는, 경우에 따라 임플리케이션 서버로 칭해지기도 한다),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420), 컨텐츠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는 제2 서버(500)(이하에서는, 경우에 따라, 컨텐츠 서버로 칭해지기도 한다)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2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코드(100)란, 문자나 숫자, 특수 문자 등의 데이터(코드 값)를 흑과 백으로 또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 기호의 조합으로 나타내어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한 코드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컴퓨터가 판독하기 쉽고,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끔 패턴화된 코드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원 명세서에서는 2차원 바코드(100a)를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전체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바코드(100)는 단지 2차원 바코드(100a)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판독 가능하도록 패턴화된 다양한 형태의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바코드(100)는 크게 굵기가 서로 다른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1차원 바코드(100b)와 1차원 바코드(100b)를 2차원 공간으로 확장하여 표현한 2차원 바코드(100a)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원 바코드(100b) 및 2차원 바코드(100a)의 용도는 비록 중첩될 수 있지만, 1차원 바코드(100b)는 짧은 길이의 숫자와 영문자의 조합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100a)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2차원 바코드(100a)는 데이터를 횡축과 종축으로 배열하여 평면화시킨 형태인 까닭에, 1차원 바코드(100b)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크고, 인쇄와 판독에도 유리한 점이 있다.
위와 같은 2차원 바코드(100a)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2002년 10월 31일에 출원되어 2004년 1월 7일에 등록된 바 있는 한국특허출원 제 2002-66980호(한국특허등록 제414524호)를 살펴보면, 복호 특성이 우수하며 단계별 에러 레벨 조정이 가능한 2차원 바코드 및 그러한 바코드의 인코딩, 디코딩 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참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공지 기술이 2차원 바코드(100a)의 생성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서 주안점을 두고 있지 않은 부분에 해당하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위에서 본 발명의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대표적인 예로서 바코드(100)가 언급되었지만, 바코드(100) 외에도 다양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가 본 발명의 구현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제품 코드(Universal Product Code) 및 유럽 제품 번호(European Article Number)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또 하나의 잘 알려진 예인 RFID 코드를 본 발명에 이용할 수도 있다. RFID 기술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무선 주파수 영역 내에서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을 이용하여 특정 코드를 인식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RFID 시스템의 장점은 통상 태그의 형태인 RFID 캐리어(carrier)에 대하여 직접 접촉을 하거나 가시 대역 상에서 스캐닝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RFID 시스템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안테나, 트랜시버(transceiver)(흔히 판독 기기에 통합된다), 그리고 트랜스폰더(transponder)가 그것이다. 안테나는 트랜스폰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전파를 사용한다. 트랜스폰더가 활성화되면, 트랜스폰더는 가지고 있던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한다. 이 데이터는 대개 어떠한 전산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넘겨지는데, 이러한 처리에는 문을 통과하는 정도의 단순한 것에서부터,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된 판 매 거래 행위처럼 복잡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 등 광학 기기에 의해 인식 가능한 바코드(100) 대신에 RFID 태그가 컨텐츠와 연관되어 있는 코드 값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에 포함되는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PDA, PMP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바코드(100) 등의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판독하여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인 이상, 그 종류에는 전혀 제한이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바코드 리더, RFID 리더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암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단말 장치가 휴대식이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사용 가능한 비휴대식 단말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코드(100)를 판독하는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으므로,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됨)를 구비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거론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 장치(300)가 바코드(100)로부터의 정보를 입력 받음에 있 어서는, 바코드(100)의 이미지가 아니라 바코드(100)와 함께 병기되어 있는 숫자를 직접 입력 받는 경우를 상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는 숫자 이미지를 숫자로 인식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300)를 직접 조작하여 숫자를 입력하게끔 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휴대용 단말 장치(300)가 바코드(100)로부터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
한편,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비단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인식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디코딩하여 바코드(100)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값을 추출할 것도 요구되므로,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것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을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호균에 의해 2000년 3월 3일에 출원되어 2002년 1월 25일에 등록된 바 있는 한국특허출원 제2000-10833호(한국특허등록 제323759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발명에서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바코드 패턴으로부터 특정 코드를 추출하여 그 코드에 따라 단말기에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술이 바코드(100)의 이미지의 디코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에 관하여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이로써 바코드(100)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공지의 바코드 분석 용 프로그램 모듈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바코드(100)가 갖고 있는 코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1 서버(400)는 바코드(100)에 인코딩된 코드 값을 제2 서버(500)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 컨텐츠와 연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1 서버(400)에는, 데이터베이스(420)가 포함되어 있고[물론, 데이터베이스(420)는 제1 서버(400)와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대분류로부터 시작하여 보다 상세하게 분류되는 여러 단계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바코드(1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코드 값과 이에 각각 대응하는 카테고리가 연관지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각 카테고리는 제2 서버(500)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서로 다른 다수의 컨텐츠 각각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2 서버(500)에는 다수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520)가 포함되어 있고[물론, 데이터베이스(520)는 제2 서버(500)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520)에는 대분류로부터 상세하게 분류되어 카테고리화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며, 결론적으로 바코드별로 포함되어 있는 각 코드 값과 이에 각각 대응하는 각 카테고리들이 연관지어져 있을 수 있다.
이렇듯 코드 값과 연관지어져 있는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는 다시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이를 이용하여 제2 서버(500)에서 카테고리를 선별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특정 컨텐츠들을 추 출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 컨텐츠를 조회하기 위해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만 가능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또는 컨텐츠 자체의 속성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크게 조회 및 다운로드의 두 가지로 나누어 무선 인터넷 컨텐츠의 이용 태양을 예시하지만, 이 외에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다른 태양[예를 들면, 컨텐츠의 전달(forwarding)이나 사용자에 의한 메타데이터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서버(500)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서버(500)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제2 서버(5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 받은 메시지에 의해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선별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
위에서 간략히 설명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바코드(100) 분석 후 추출된 코드 값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제공 받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의 구성요소 중 통상의 휴대용 단말 장치와 동일한 구성은 일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바코드 이미지 촬상 및 인식부(302), 바코드 이미지 분석 및 디코딩부(304),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306), 통신부(308) 및 제어부(310)로 구성된다[도면부호 302 내지 310의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용 단말장치(300)와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바코드 이미지 촬상 및 인식부(302)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연결되어 있거나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등 촬상 수단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코드 이미지 분석 및 디코딩부(304)는 바코드 이미지 촬상 및 인식부(302)에서 인식되어 입력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코드 값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306)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300)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 컨텐츠를 편리하게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 장치(300)와 제1 서버(400) 및/또는 제2 서버(500) 사이의 접속 및 접속 후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부(308)는 제1 서버(400)로 추출된 코드 값을 송신하고, 제1 서버(40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제1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제2 서버(500)로 송신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웹 사이트,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종류 등)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관한 정보(단말 장치의 기종,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 단말 장치의 가격대 등)가 제2 서버(500)로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특히, 사용자의 나이의 경우 미성년자에게 성인 전용 컨텐츠가 노출되는 것을 막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2 서버(500)에서의 컨텐츠의 선택 시에 컨텐츠에 관한 부가정보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도면부호 302 내지 308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연산 장치이다.
각종 바코드(100)를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상한 후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바코드(100)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이 2000년 12월 29일자로 출원하여 2003년 10월 22일에 등록된 한국특허출원 제2000-85811호(한국특허등록 제404306호)의 "코드화된 패턴 및 이의 코드 추출 방법"을 통하여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바코드(100)의 패턴으로부터 코드 값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출원인 또는 다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발명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수용 가능한 공지 기술의 한 예로서 상기 개시 발명들을 언급한 것에 지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서버( 임플리케이션 서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서버(4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버(400)는 코드 인식 및 식별부(402), 카테고리 정보 추출부(404), 통신부(406), 및 제어부(408)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코드 값을 수신하고, 코드 값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카테고리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도면부호 402 내지 408의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서버(400)에 포함되거나 제1 서버(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제1 서버(4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제1 서버(4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위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서버(400)는 바코드(100)로부터 획득되는 코드 값과 제2 서버(500)로부터 제공될 컨텐츠가 속하고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제1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우선, 코드 인식 및 식별부(402)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코드 값을 수신하여 인식한 후 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처리에는 코드 값의/코드 값에 대한 절단, 연결(concatenation), 에러 정정, 체크섬(checksum) 확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테고리 정보 추출부(404)는 위에서 전처리된 코드 값을 사용하여 이에 대응되는 세부적인 카테고리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코드 값은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어 제1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카테고리 정보 추출부(404)는 상기 코드 값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대한 질의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카테고리의 분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카테고리는, 바람직하게는 동영상, 웹문서 등의 대분류로부터 시작되고 상기 동영상 카테고리의 경우 다시 뉴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 쇼핑, 인물, 사람들, 게임 등으로 중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중분류의 카테고리 중 뉴스, 미디어의 경우는 또다시 스포츠, 연예, 증권, 취업, 경제, 날씨 등으로 소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소분류된 카테고리 중 스포츠의 경우는 다시 축구, 야구, 농구, 테니스, 수영, 골프 등으로 세분류될 수 있고, 상기 세분류된 카테고리 중 축구의 경우 다시 하이라이트, 유소년 축구경기, 청소년 축구경기, K-리그, 해외 친선 경기 등 더욱 상세하게 더 분류될 수 있다. 더욱더 상세히 분류된 카테고리일수록 차후에 제2 서버(500)부터 보다 한정적으로 선택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406)는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코드 값을 수신하여, 이에 기초하여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406)는 제1 서버(400)로부터의/로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08)는 도면부호 402 내지 406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연산 장치이다.
제2 서버( 컨텐츠 서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서버(5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버(500)는 컨텐츠 관리부(502), 컨텐츠 부가정보 관리부(504), 카테고리 정보 인식 및 식별부(506), 컨텐츠 추출부(508), 통신부(510), 및 제어부(512)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서버(5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 별하며,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제2 서버(5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부호 502 내지 512의 구성요소들은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서버(500)에 포함되거나 제2 서버(5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속성은 제1 서버(400)에 속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의 속성과 유사하다.
먼저, 컨텐츠 관리부(502)는 제2 서버(500)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제공하는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컨텐츠 부가정보 관리부(504)는 각 컨텐츠의 등록일, 사용자의 이용 권한의 제한에 관한 정보, 조회 횟수,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판독을 통한 조회 횟수, 다운로드 횟수,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판독을 통한 다운로드 횟수 등 컨텐츠에 관하여 부가되어 있는 각종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에서 관리되는 컨텐츠의 부가정보는 각 컨텐츠에 원래부터 내재하는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것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조회 및/또는 다운로드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후자에는, 예를 들면, 컨텐츠에 대한 조회 횟수나 다운로드 횟수가 포함될 수 있다.
카테고리 정보 인식 및 식별부(506)는 제2 서버(500)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 받은 카테고리 정보를 인식, 식별하여 해당 카테고리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추출부(508)는 전송 받은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선별 후,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가 다수인 경우 이 중 하나의 또는 일부의 컨텐츠를 임의로 선택하거나 다른 보조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물론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다수의 컨텐츠 또는 그 일부가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응용예에 불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임의로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다수의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각 컨텐츠가 균등하거나 불균등한 확률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조적인 정보에 기초한 선택을 하는 경우에는,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서버(500) 내의 컨텐츠의 인기도, 조회 횟수, 다운로드 횟수, 컨텐츠의 종류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정해지는 컨텐츠의 수가 하나인 경우 또는 다수의 컨텐츠가 모두 제공되어도 무관한 경우는 컨텐츠의 선택은 생략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만이 제2 서버(50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20)로부터 추출되어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에 의하여 제2 서버(500)의 카테고리를 식별한 후 해당 카테고리로부터 추출된 컨텐츠를 제2 서버(500)로부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즉, 통신부(510)는 제2 서버(500)로부터/로의 데이터의 송수 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12)는 도면부호 502 내지 5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연산 장치이다.
전체 시스템의 동작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인쇄물(신문, 잡지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바코드(100)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의 촬상 기기를 조작하여 촬상한다(S602).
다음으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구비된 바코드 이미지 분석 및 디코딩부(304)에서 촬상된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그 흑백 표시에 따라 분석하고(S604), 디코딩하여 바코드(100)에 기록되어 있는 코드 값을 추출한다(S606).
이어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추출된 코드 값을 제1 서버(400)로 전송한다(S608).
제1 서버(400)의 코드 인식 및 식별부(402)에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코드 값을 인식하고 전송된 상기 코드 값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식별한다(S610).
다음으로, 카테고리 정보 추출부(404)는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송 받은 코드 값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제1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42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S612).
위에서 추출된 카테고리의 정보는 제1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고(S614),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를 인식한(S616)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제2 서버(500)로 상기 카테고리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다(S618). 이때에,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상기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시킨다.
제2 서버(5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송신된 카테고리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식별한다(S620). 다음,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S622).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컨텐츠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S624).
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전송 받은 컨텐츠를 인식(S626)한 후 디스플레이하거나 다운로드한다(S628).
본 발명의 활용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활용예에 대하여 언급하여 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문 등의 오프라인 인쇄 매체에 표시된 오늘의 스포츠 기사를 읽다가 자신의 이동 전화기로 오늘의 축구경기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시청하려 한다고 가정하자.
이때에, 사용자는 신문지의 한 쪽에 인쇄되어 있는 오늘의 축구경기 하이라 이트 기사에 해당하는 바코드(100)의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상한다. 촬상된 바코드(100)의 이미지는 사용자의 판독 기능 선택에 따라 휴대용 단말 장치(300) 내에서 디코딩된다.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는 디코딩된 코드 값을 제1 서버(400)로 전송하여 상기 코드 값과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정보를 요청한다.
이어서, 제1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코드 값과 대응되는, 오늘의 축구 하이라이트 카테고리가 추출된다.
이때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버(400)의 데이터 베이스(420)에는 세부 카테고리까지 분류되어 있으며, 각 카테고리는 바코드(100)의 이미지로부터 디코딩된 코드 값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세부 카테고리 중 하나로 컨텐츠 요청 날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늘의 축구 하이라이트 동영상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뉴스>스포츠>축구>하이라이트>오늘 날짜'와 같은 세부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세부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는 별도의 선택 과정 없이 제1 서버(400)로부터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전송된다. 그리고 이는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서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다시 제2 서버(500)로 전송된다. 이후, 제2 서버(500)는 전송된 카테고리의 정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선별하고, 상기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는 여러 컨텐츠, 즉, 오늘의 축구 하이라이트 동영상들을 사용자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에, 오늘의 스포츠 하이라이트 동영상들은 다수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동영상 컨텐츠가 사 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여러 컨텐츠 중 인기도(예를 들면, 다운로드 횟수)가 높은 동영상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선택되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300)에 선별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바코드 패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바코드의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카테고리의 분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0: 바코드
200: 무선 인터넷
300: 휴대용 단말 장치
400: 제1 서버
420: 제1 서버 데이터베이스
500: 제2 서버
520: 제2 서버 데이터베이스

Claims (24)

  1.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입력 받기 위한 코드 입력부,
    상기 입력된 코드의 값을 추출하기 위한 코드 값 추출부,
    상기 추출된 코드 값을 제1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코드 값 전송부,
    상기 제1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코드 값에 연관되어 있는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를 제2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전송부, 및
    상기 제2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컨텐츠 수신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 전송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전송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웹 사이트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종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기종,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단말 장치의 가격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5.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 장치로서,
    단말 장치로부터,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값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코드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6.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 산 장치로서,
    단말 장치로부터,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부가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연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는 컨텐츠의 등록일,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권한의 제한에 관한 정보, 컨텐츠에 대한 조회 횟수, 및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연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일부를 임의로 선택하는 연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일부를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연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컨텐츠의 인기도, 컨텐츠에 대한 조회 횟수,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및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13. 단말 장치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코드의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코드 값을 제1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코드 값에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제2 외부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외부 연산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웹 사이트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종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기종,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단말 장치의 가격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연산 장치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코드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연산 장치에서,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의 값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부가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는 컨텐츠의 등록일,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권한의 제한에 관한 정보, 컨텐츠에 대한 조회 횟수, 및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일부를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일부를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컨텐츠의 인기도, 컨텐츠에 대한 조회 횟수,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및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70092151A 2007-09-11 2007-09-11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4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151A KR100847380B1 (ko) 2007-09-11 2007-09-11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946,810 US20090065566A1 (en) 2007-09-11 2007-11-2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machine-readable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151A KR100847380B1 (ko) 2007-09-11 2007-09-11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380B1 true KR100847380B1 (ko) 2008-07-21

Family

ID=3982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151A KR100847380B1 (ko) 2007-09-11 2007-09-11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5566A1 (ko)
KR (1) KR100847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4279B2 (ja) * 2008-03-04 2013-06-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端末選択システム
JP5790255B2 (ja) 2011-07-29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04047A1 (en) * 2011-10-19 2013-04-25 Dana E. Laursen System for delivery of random novel content
US8485430B2 (en) 2011-12-06 2013-07-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and held bar code readers or mobile computers with cloud computing services
KR20140044234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FR3042890B1 (fr) * 2015-10-21 2018-05-11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ocede de gestion des ressources web d'une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389A (ja) * 1996-01-26 1997-08-0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印刷物
KR20020011281A (ko) * 2000-08-01 2002-02-08 한기균 바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30711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바코드 인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20500A (ko) * 2005-05-20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인식 데이터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6729A2 (en) * 1995-12-27 1997-07-24 Robinson Gary B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in world wide web advertising
US6381635B1 (en) * 1998-11-19 2002-04-30 Ncr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performance measurements of a web site using a platform independent program
DE60037511T2 (de) * 1999-02-01 2008-12-24 Neomedia Technologies, Inc., Fort Myers Interaktives system um produkte in einem netzwerk zu suchen
EP1183613A4 (en) * 1999-04-05 2006-06-21 Neomedia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ACHINE-LIKE OR MACHINE-READABLE LINK CODES TO ACCESS NETWORK DATA RESOURCES
US6523919B1 (en) * 1999-07-21 2003-02-25 Switchboard Filing cabinet having vertically extensible drawers
US20050203854A1 (en) * 2004-02-23 2005-09-15 Pitney Bowe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camera cell phone in transactions
US20070289023A1 (en) * 2004-03-01 2007-12-13 Bjorn Bunte Mobile Game Download to a Cellular Phone Via a Down Load Module by an Internet Acc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389A (ja) * 1996-01-26 1997-08-0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印刷物
KR20020011281A (ko) * 2000-08-01 2002-02-08 한기균 바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30711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바코드 인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20500A (ko) * 2005-05-20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인식 데이터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5566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350B1 (ko) 코드정보를 사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US7908272B2 (en) Universal information code format for two dimensional bar code and interactiv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using the same
US7613443B2 (en) Contents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for using a cod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agency platform, operating agency platform, on-line relation member module, and the method from the same
US9111304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said program
KR100847380B1 (ko)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8002229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KR100738686B1 (ko) 모바일 쿠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1944282B (zh) 遥控器及其遥控方法和系统
CN103430565A (zh) 将一个或一个以上矩阵码同步到与多媒体呈现有关的内容
CN102395966A (zh) 用于使用移动装置进行图像辨识的系统和方法
JP2002501644A (ja) スキャナ強化遠隔制御ユニットおよびオンライン資源に自動的にリン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070239848A1 (en) Uniform resource locator vectors
US20100025470A1 (en) Bar code reader, optical mouse, and bar code reading method
US11397976B2 (en) Durable memento method
US200900413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event attendee information
KR20110136499A (ko) Qr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17137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1243991B1 (ko) 방송연계 큐알코드를 이용한 식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847381B1 (ko)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064371A (ja) 名刺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40079625A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
KR20040081890A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0692661B1 (ko)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접속 코드 실시간 발급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4997A (ko) 단기보험상품 가입 방법과 그 장치
KR20100012541A (ko)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