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738A -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738A
KR20140043738A KR1020137031836A KR20137031836A KR20140043738A KR 20140043738 A KR20140043738 A KR 20140043738A KR 1020137031836 A KR1020137031836 A KR 1020137031836A KR 20137031836 A KR20137031836 A KR 20137031836A KR 20140043738 A KR20140043738 A KR 2014004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recipient device
identifier
receiver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스 디. 이바스코
에두아르도 라몬 지. 조손
윌리엄 에마뉴엘 에스. 유
Original Assignee
스마트 허브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 허브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마트 허브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04M2207/182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wireless circuit-switched

Abstract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목록을 규정하는 관련 데이터베이스; 및,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만약 관련되어 있다면,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소스와 통신하는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identifier)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DENTIFIER OF A SOURCE ON A RECIPIENT DEVICE}
본 발명은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Identifier)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신자의 휴대전화 상에,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신자의 발신자 표시(caller ID)와 같은 식별자의 표시를 하기에 적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하의 논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만을 의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언급된 내용 중의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우선일 당시에 어떠한 관할지역 내에서 간행되거나, 공지되거나 또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통상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임을 인정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공중 스위칭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번호들은 물리적인 전화선에 할당되어 있고 그 번호는 바뀌지 않는다. 유사하게, 휴대전화 번호도 가입자 인식 모듈(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할당되어 있다.
PSTN 번호와 휴대전화 번호를 할당하는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전화번호의 포맷과, PSTN 및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제 공중전화 번호계획을 정의하고 있는 E.164 ITU-T 권고에 근거한 것이다.
하지만, 상이한 수신자에 대하여 소스 발신자에 대한 상이한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이나믹하고도 일시적인 전화번호의 할당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휴대전화의 사용자들이 비록 발신자 식별번호 및 발신목록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이들 특성들은 단순히 정보에 관한 것일 뿐이며, 사용자들이 전화번호부 또는 전자 전화번호내의 각 발신자들의 전화번호를 저장해놓는 등으로 하여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발신자를 업데이트하거나 연계시켜놓아야만 한다. 발신자 식별번호 시스템하에서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어떠한 능동적인 연결 또는 자동적인 연계의 기능이 없다.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알려진 연계방법중 하나는, '사회적 연관' 또는 사회적 링크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들은 신용/보안 문제 때문에 동일한 네트워크내에서의 전화에 대한 발신자 및 수신자들에게 한정되어 있다.
또한, 발신자 표시 기능을 꺼놓거나 전화번호를 차폐하는 것도 가능한 반면, 현재의 많은 전화기 및 전화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가능한 오용에 근거한 전화번호 은폐를 지원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스와 통신하는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identifier)를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목록을 규정하는 관련 데이터베이스와;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만약 그렇다고 하면,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관리자는 소스 및/또는 수신자 장치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 시스템은 소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LBS는 소스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LBS 의 등록된 사용자의 수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는 휴대용 장치이다. 유리하게는, 수신자 장치는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watch-listed)에 들어있는지 또는 주의대상 목록(black-listed)에 들어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 로그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있거나 주의대상 목록에 들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스에 의하여 개시된 통신이 종료되거나 또는 경보가 발령되고 그 후에 통신을 종료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관리자는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 게이트웨이와의 데이터 통신 상태에 있도록 채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관리자는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주소록에 액세스하도록 채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은 그 소스가 공개 목록에 들어있는지,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지 또는 식별자가 차폐되어 있는지에 근거하여 판단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스와 통신하는 수신자 장치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목록을 규정하는 단계; b.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목록으로부터 판단하고; 관련이 되어 있다면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그 소스가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지 또는 식별자가 차폐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방법은 소스가 그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있는지 또는 주의대상 목록에 들어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있지 않고 또한 주의대상 목록에도 들어있지 않으면, 소스의 식별자가 수신자 장치상에 표시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자 장치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점검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 있으면 경보가 발령되고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이 종료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소스가 주의대상 목록에 들어 있으면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이 즉시 종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소스와 수신자 장치 사이에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로설정 단계는 어떻게 식별자가 도출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소스의 속성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식별자의 속성을 점검하는 단계는 식별자가 소스로 전송되었는지, 다운로드 되었는지 또는 손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소스로부터의 통신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스와 사용자 장치 사이에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주소록에 액세스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수신자 장치로서, 상기 처리 관리자는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리스트를 규정하며;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었다고 판단되면 그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고,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수신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술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로의 통화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로의 통화의 전송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택한 동일 네트워크내에 있는 소스로부터 의도된 수신자로의 통화 개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소스로부터 상이한 네트워크내에 있는 의도된 수신자로의 통화 개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어떻게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비상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는, 수신자 장치(14) 상에 소스(12)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1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소스(12)와 수신자(14)들은 휴대용 장치이다. 소스(12)의 식별자는 시스템(10)에 의하여 소스(12)에 할당된 휴대전화번호이거나 또는 소스(12)에 할당된 기타 다른 번호 또는 ID 이다.
시스템(10)은 소스(12)로부터 수신자 장치(14)로의 전화와 같은 통신을 처리하도록 채택된 처리 관리자(16)를 포함한다. 처리 관리자(16)는 소스(12) 및/또는 수신자(14)내에 일체로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처리 관리자(16)는 사용되는 휴대장치(12),(14)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관련 데이터베이스(20) 및 번호차폐 데이터베이스(22)를 포함한다. 관련 데이터베이스(20)는 전형적으로는 전화번호 탐색 및 관리 데이터베이스이다. 관련 데이터베이스(20)는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소스들의 목록을 규정한다.
처리 관리자(16)는 소스(12)가 수신자 장치(14)와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20)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데이터베이스(20)는, 번호도출 데이터베이스(24)를 포함한다. 번호도출 데이터베이스(24)는 소스(12)가 수신자(14)의 소셜 네트워크내에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화 소스(12)로부터의 어떠한 호출번호를 도출해낸다. 번호차폐 데이터베이스(22)는 외부 호출을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 게이트웨이(26)에 접속된다. 시스템(10)의 밖으로 전송되는 어떠한 전화번호도 E.164 ITU-T 권고안과 같은 국제표준과 호환되도록 차폐된다.
관련 데이터베이스(20)는 또한 시스템(10)내의 모든 가입자의 네트워크 주소록(27)을 유지한다. 네트워크 주소록(27)은 번호차폐 데이터베이스(22) 및 번호도출 데이터베이스(24)와 연결되어 있다. 네트워크 주소록(27)은 시스템(10)내의 가입자들 사이의 어떠한 사회적인 연관들을 설정/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주소록(27)과 가입자 휴대용 장치의 전화번호부 사이의 정례적인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이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소스(12)로부터의 통화가 시도될 때, 하나의 번호가 의도적으로 차단된 번호영역으로부터 능동적으로 생성된다. 번호의 능동적인 생성은 번호영역의 한도내에서 임의적으로 될 수 있다. 이 생성된 번호는 관련 데이터베이스(20)에 추가된다. 관련 데이터베이스(20)는 원래의 전화번호와 능동적으로 생성된(즉, 차폐된) 전화번호의 매핑(mapping)을 제공한다. 번호도출 데이터베이스(24)가 그 통화의 발신자를 판단하기 위하여 탐색된다. 그러한 구성은 그 통화의 소스(12)로부터 원래의 전화번호가 차폐되고, 서비스 오퍼레이터만이 매칭을 알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수신자 장치(14)로 하여금 제 3 자의 탐색의 시점에서 수신자에게 전화를 하는 것을 막도록 한다.
처리 관리자(16)는 시스템의 매핑, 언매핑(unmapping) 및 할당 또는 관리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소스 휴대용 장치(12)는 공지의 어떠한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수신자 휴대용 장치(14)는 사용자가 주의대상 목록을 경유하여 소스를 차단하도록 선택권을 부여하고, 특정한 소스, 즉 감시대상에 대한 경보 및 플래그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엄격한 소셜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수신자 장치(14)는 또한 수신거부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소스(12)에 의하여 야기된 수신자 장치(14)로의 전화통화[이하 발신자(12)라 하고 병용한다]를 처리하는 단계(스텝 200)의 맥락에서 기술한다. 예를 들어 호출된/다이얼된 번호를 소스 식별자로 한다.
처리 관리자(16)는, 번호도출 데이터베이스(24)를 통하여, 다이얼된 번호가 발신자(12)의 소셜 네트워크내에 있는지를 점검한다(스텝 202). 이 점검은, 발신자(12)와 수신자(14)가 사회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주소록(27)상의 발신자(12)와 수신자(14)의 접속 목록 또는 전자 전화번호부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스텝 204). 또한 이 검증은 발신자(12)와 수신자(14)가 과거에 통신경험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만약, 스텝 204에 근거하여 발신자(12)와 수신자(14)가 사회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출이 성립되고 연결된다 (스텝 206). 한편, 만약 발신자(12)와 수신자(14)가 사회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다면, 발신자(12)와 수신자(14) 사이에 사전 통신이력이 없었으며, 전화번호 다운로드, 명함전송 또는 수작업 입력에 의하여 다이얼된 번호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신자(12)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점검된다(스텝 208). 이 점검은, 소스(12)가 목록에 없는 것인지(스텝 210), 또는 프라이버시 설정이 발신자의 번호가 드러나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신자의 번호가 목록에 없으면, 그 번호는 적어도 그 번호가 차폐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시스템 할당 정보로 차폐된다 (스텝 212). 그 차폐된 번호는 수신자 장치(14)상에 표시될 발신자(12)의 번호가 된다.
한편, 만약 소스(12)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익명성을 요하지 않으면, 발신자(12)에 대하여 설정된 선취적인 발신자의 신상정보가 그 통화와 관련지워진다(스텝 214). 선취된 신상정보가 수신자 장치(14)상에 표시된다.
스텝(212) 또는 스텝(214)의 후에, 시스템(10)은 발신자(12)와 수신자(14)가 동일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내에 있는지를 점검한다(스텝 216). 이들이 동일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내에 있는 것이 아니면, 그 호출은 외부게이트(26)를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될 필요가 있으며, 이 외부 네트워크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없는 독립적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그 호출은 그 호출과 관련된 발신자의 신상정보(스텝 218)와 함께 전송된다(스텝 222). 이러한 전송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의 PSTN, ISDN 과 호환되는 시스템(10)의 내부신호 프로토콜의 번역을 포함하는 외부 게이트웨이(26)를 통과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만약 발신자(12)와 수신자(14)가 동일 이동통신 네트워크내에 있으면, 시스템 로그가 점검된다(스텝 220). 시스템 로그는 수신자 장치(14) 또는 외부 서버에 있을 수 있다.
시스템 로그는 이하의 내용을 점검한다.
a. 발신자(12)가 감시대상 목록 내에 있는지의 여부(스텝 224). 만약 발신
자(12)가 감시대상 목록 내에 있으면, 호출 추적 또는 유사한 선택사양을 개
시하도록 경보 또는 메시지가 행해져서 호출 추적을 요하 는 당사자에게 알
려진다(스텝 226). 그 후, 그 호출이 종료된다(스텝 228).
b. 만약 발신자(12)가 감시대상 목록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발신자(12)
가 주의대상 목록에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시스템 로그가 점검된다(스텝
230). 그렇다고 한다면, 발신자(12)가 차단되고 호출이 즉시 종료된다(스텝
232). 그러나, 만약 발신자(12)가 주의대상 목록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
면, 익명의 호출 또는 수신자의 소셜 네트워크 외부로부터의 호출을 허용하
는지(스텝 234)에 대하여 수신자 장치(14)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점검된다(스
텝 232). 만약 프라이버시 설정이 익명의 호출 또는 수신자의 소셜 네트워크
외부로부터의 호출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호출은 종료된다(스텝 228). 한편,
만약 수신자가 익명의 호출 또는 수신자의 소셜 네트워크 외부로부터의 호출
을 허용하고 있으면, 전송이 시작되고(스텝 236) 호출이 연결된다(스텝
206).
호출의 전송(스텝 236)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는, 눌러진 번호의 속성을 점검하는 것(스텝 302)으로 시작되고, 이는 그 눌러진 번호가, 예를 들면 전자 명함을 공유하고 있는 친구(스텝 304)로부터 온 것인지, 예를 들면 중앙 전화번호 서비스에서 다운로드 된것인지(스텝 306), 또는 손으로 입력된 것인지(스텝 308)를 점검하는 것을 포함한다.
만약 스텝 304로부터 눌러진 번호가 친구로부터 보내진 것이라고 시스템(10)에 의하여 판단되면, 이 시스템(10)은 네트워크 주소록(27)내의 친구의 전화번호부로부터 공유 정보를 송신한다. 그 후에, 양 당사자간에 소셜 네트워크가 생성된다(스텝 312).
만약 스텝 304 에서 시스템(10)이 눌러진 번호가 친구로부터 보내진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시스템(10)은 그 눌러진 번호가 다운로드된 것인지의 여부를 점검한다(스텝 306).
만약 스텝 306에서 그 눌러진 번호가 다운로드된 것이라고 여겨지면, 중앙 전화번호 서비스 내의 현재의 발신자의 신상정보 입력치이 사용된다(스텝 314). 그 후, 양 당사자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가 생성된다(스텝 312).
만약 스텝 306에서, 시스템(10)이 그 눌러진 번호가 다운로드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시스템(10)은 그 눌러진 번호가 손으로 입력된 것인지를 점검한다(스텝 308).
만약 스텝 308에서, 그 눌러진 번호가 손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10)은 통상의 노드, 즉 네트워크 전화번호부(27)내의 식별된 공통의 친구를 점검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그 눌러진 번호가 공통의 노드가운데에서 특유의 것인지를 검증한다(스텝 318), 만약 그렇다고 하면, 그 번호와 연관된 호출정보가 사용된다(스텝 320). 한편, 만약 눌러진 번호가 특유의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즉 번호에 중복되는 것이 있으면; 시스템은 현재의 중앙 전화번호 호출정보를 사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접속을 설립하게 된다(스텝 314).
만약 스텝 308에서 눌러진 번호가 손으로 입력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다면, 시스템은 논리적으로 그 데이터가 수신자 장치(14)내에 내재하는 것이며, 따라서 수신자(14)와의 앞서의 소셜 네트워크접속의 결과로서 가정한다. 스텝 304, 306 및 308에 의한 점검된 범주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것은, 수신자(14)가 그 호출 전의 어느 시기에 발신자(12)와의 소셜 네트워크 접속을 단절하였음을 나타낸다(322). 이는, 다음의 이유 중의 하나 이상에 근거한 것이다:-주의대상 목록에 올라있거나, 감시대상 목록에 올라있거나, 사회적인 관계의 철회, 또는 전자 전화번호부 내의 공간을 비울 필요성과 같은 단순한 비상시에 근거하는 것이거나, 또는 수신자가 발신자와의 사회적인 연관을 유지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등과 같은 일상적인 어떤 이유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추론에 근거하여, 시스템(10)은 발신자(12)가 주의대상 목록(스텝 324) 또는 감시대상 목록(스텝 328)에 올라있는 것인지를 점검한다. 만약 주의대상 목록 또는 감시대상 목록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출이 종료(스텝 326)되거나 또는 경보가 발령(스텝 330)되고 그 후에 호출을 종료한다.
발신자(12)가 동일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을 때에는, 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의 내용을 수행하여 그 호출을 설립하거나 전송한다.
그러한 호출이 이루어졌을 때(스텝 402), 그 호출된 번호가 의도된 수신지(14)의 소셜네트워크내의 노드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의도된 수신자 장치(14)와 관련된 소셜네트워크가 점검된다(스텝 404). 디폴트에 의하여, 그 호출은 소셜네트워크내의 식별된 노드로 전송된다. 만약 의도된 수신자(14) 번호가 소스의 소셜네트워크내에 있지 않으면, 전화 네트워크는 그 의도된 수신자(14)가 동일한 네트워크내에 있는지에 대하여 점검한다(스텝 406). 만약 의도된 수신자(14)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 소스(12)에 의하여 특정된 바에 따라서 소스(12)의 전화번호가 차폐되고(스텝 408), 호출이 연결된다(스텝 410).
만약 의도된 수신자(14)가 다른 네트워크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10)은 수신자(14)가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 번호인지를 점검하고(스텝 410), 만약 수신자(14)가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 번호일 때에는, 시스템(10)은 네트워크 ID 정보(스텝 416)를 보내고 그 호출을 전송한다(스텝 418). 만약 수신자(14)가 목록에 들어있는 번호일 때에는 네트워크 ID 정보의 대신에 발신자 ID 정보가 보내지고(스텝 420) 호출이 전송된다(스텝 418).
발신자(12)가 그의 번호에 대하여 차폐를 특정하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만약 그 발신자가 전에 의도된 수신자(14)와 연결된 적이 있으면, 그 특정된 차폐는 예전에 설립된 접속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무시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발신자(12)가 수신자(14)와 예전에 접촉한 적이 있고(즉, 사회적 연관이 설정되었고), 발신자(12)가 번호 n을 사용하였으며; 발신자(12)가 수신자(14)와의 접속을 그 후에 단절하였다면, 발신자(12)는 다른 특정한 번호 x 를 사용하여 수신자(14)와의 재접속을 시도할 것이고, 이 번호 x 는 번호 n 에 의하여 무시될 것이며, 수신자(14)는 새로운 번호 x 의 대신에 발신자(12)의 번호를 n 으로 보게된다. 발신자(12)의 번호는 사회적 모임 AC 내의 다른 수신자 C 와는 다르게 되어 이들의 사회적인 그룹설정이 달라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발신자(12)가 외부 네트워크에 있고 수신자 장치(14)가 그 네트워크내에 있는 경우, 시스템(10)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일을 수행하고, 그 호출에 적용되는 어떠한 선택적인 행위를 종료하거나 또는 수행하게 된다.
호출을 시작하게 되면(스텝 502), 발신자(12)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점검된다(스텝 504). 발신자(12)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점검하는 한 방법의 예는, 그 발신자(12)가 공개된 목록에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스텝 506). 만약 발신자(12)가 발신자 표시를 보여주고 있거나 또는 공개된 목록상에 있다고 하면, 그 호출은 연결된다(스텝 522). 그러나, 만약 발신자(12)가 발신자 표시를 유보함으로써, 공개된 목록상에 있지 않다고 한다면, 그 발신자(12)가 주의대상 목록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스텝 510)하기 위하여 시스템 로그가 점검된다(스텝 508). 만약 발신자(12)의 번호가 주의대상 목록에 올라 있으면, 그 호출은 종료되고(스텝 512) 시스템(10)은 호출추적을 시작하거나 또는 어떠한 지정된 비상연락처 또는 사회적인 접촉처로 경보를 발하는 것(스텝 514)과 같은 더 이상의 행동을 수행하도록 선택사양을 가질 수 있다.
발신자(12)의 번호가 주의대상 목록에 올라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수신자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점검된다( 스텝 516). 호출된 당사자(14)가 점검되고 익명의 호출이 허용된다면(스텝 518), 그 호출은 시스템에 의하여 로그되고(스텝 520) 계속하여 접속된다(스텝 522). 한편, 만약 호출된 당사자가 익명의 호출을 허용하지 않을 때에는 그 호출은 즉시 종료된다(스텝 512). 다시, 시스템은 호출추적 또는 경보발령과 같은 추후의 행동을 수행하는 선택사양을 가진다(스텝 514).
호출이 로그되면(스텝 520), 시스템(10)은 발신번호와 호출된 번호를 짝지운다. 이러한 짝짓기는, 동일한 발신자(12)로부터의 후속되는 호출에 있어서, 또한 로그의 점검에 의하여 찾아낸 경시대상 정보, 즉 주의대상인 것에 대한 정보가 없을 때, 그 호출은 이미 호출된 당사자에게 접속된 바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상적인 소셜 네트워크 접속으로 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의도된 수신자(14)는, 언제든지 소스(12)를 주의대상 목록에 올려놓거나, 접속을 끊거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접속을 단절하는 등의 선택사양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비상사태(In the Case of Energency: ICE) 대처수단의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LBS)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어떤 사용자들이 비상 구원 서비스에 대한 자원봉사자로서 서명한 것을 가정한다. 이에 대한 업무수칙은 긴급구조 서비스 전화번호 또는 HELP전화를 감독하는 기관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HELP전화 처리는 곤경에 처해있는 사용자에 의하여 시작된다. 지정된 HELP전화 번호를 호출하는 이 사용자는 발신자 또는 소스(12)가 되며, 이 경우 번호는 4357 이며, 일반전화 자판에 있어서 HELP 에 해당된다(스텝 602). 만약 이것이 911 호출(국내의 119에 해당)이라고 한다면, 이 호출은 119 콜센터로 전송된다. 그러면 비상구호 서비스 시스템은 LBS 를 이용하여 소스(12)의 위치를 판단한다(스텝 604).
처리 관리자(16)는 그의 자원봉사자 데이터베이스(HELP 그룹으로 알려짐)를 점검하고 이들의 위치를 획득한다(스텝 606). 폐쇄된 HELP 그룹인 경우, 즉 사용자들이 어떠한 번호가 HELP 호출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규정한 경우에는, 시스템과 LBS 가 자원봉사 인력자원의 위치를 점검한다. 시스템은 소스(1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자원봉사자를 찾아낸다(스텝 608). 소스(12)가 자원봉사 인력자원의 일부인 타인과 동반하여 있을 수도 있고, 그 동반자도 곤경에 처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만약 구조 호출이 이들에게 전송된다면 구조호출의 목적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구조 서비스 시스템은 소스의 관련 위치 및, LBS 와 관련된 오차의 범위내에 있을 정도로 동일하지는 않은 자원봉사자를 판단하게 된다.
최근 거리의 자원봉사자를 판단해내면, 시스템(10)은 그 최근 거리의 자원봉사자에게 호출을 전송한다(스텝 610). 자원봉사자가 그 호출을 수신하면(스텝 612), 대화가 이루어진다(스텝 614).
한편, 자원봉사자가 그 호출을 받는 것을 실패하여 부재중 호출로 되거나(스텝 615), 자원봉사자가 곤경호출에 응답하는 것에 관심이 없거나 하여 호출을 받지 못할 수 있다. 만약 자원봉사자가 무의식적으로 호출을 놓친 경우라면, 시스템(10)에 의하여 호출이 재시도된다(스텝 616). 한편, 만약 호출이 의도적으로 거절되면, 거절하는 당사자의 전화번호가 자원봉사 인력자원 명단에서 삭제된다(스텝 618). 그리고 시스템은 곤경에 처해진 당사자와 가장 가까운 인력자원 내의 다른 사람들 중에서 선정하고, 배제된 자원봉사자와도 호출을 재시도한다 (스텝 616). 스텝 610 내지 618 들은 반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호출이 동일한 번호로 전달되고 호출들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시간종료가 있을 수 있으며, 그 호출은 설정에 의하여 중앙 HELP 전화로 전달되어 119와 유사한 기관 또는 지방자치체에 의하여 선택된 기타의 단체, 이동전화 네트워크 교환원 또는 기타 관련 당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자원봉사자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즉 곤경에 처해있는 사용자에 의하여 규정된 것일 수 있다. 이는 또한 현존하는 전화번호 서비스에 의하여 시스템이 생성할 수도 있으며, 모든 가입자에 대한 중앙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온라인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인명록과 연계된 것이다. 이것은 또한 발신자의 접속자 명단 또는 전화번호부내에 들어있는 명단에 근거한 것이거나 또는 접속자 명단, 전화번호부, 호출 또는 메시지 로그파일내에서 발신자와 빈번히 또는 어느 정도의 상호관계를 가지는 대상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은폐나 위장 또는 소스 식별자를 넘어서는 번호차폐 특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다양한 예 및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호출의 처리를 통하여, 본 발명의 번호차폐 특성은 사기를 예방하는 안전망(즉 통신 네트워크 내의)을 사용하는 당사자들과 전화번호를 관련지우는 의도적인 효과를 가진다.
신뢰성 있는 서버의 네트워크가 진정한 사용자들의 신원을 밝혀야 하고, 그 사용자들이 신뢰되는 네트워크 내에 있어야만 하는 RFC 3325 와 같은 종래기술 표준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한 당사자가 신뢰받는 네트워크의 외부에 있을 수 있는 RFC 3325의 규정밖에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장점은, 소스 및 수신자 장치의 양자의 프라이버시 설정 상에서 수행되는 점검에 기인하여, 이동전화 식별 번호(MIN)와 같은 식별자가 노출되지 않고 제어가능한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내에서 유지되는 소셜 네트워크 주소록(27)에 의하여, 휴대전화 발신자의 번호위장이 불가능하고, 수신자만이 항상 식별을 위한 매핑의 지식을 가질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아래에서와 같은, 또는 기타의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넓은 범위내에 있는 것임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 소스 장치(12) 및 수신자 장치(14)는 휴대전화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성을 가지는 어떠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 발신자 및 수신자 장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즉 3G, EDGE, GSM, 무선등을 통하거나; Wi-Fi, WiMax, IrDA, Bluetooth, NFC를 통한 무선접속 또는 유선접속을 통한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 본 발명은 상호 음성 응답 시스템(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IVR) 또는 웹사이트와 같은 기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개별적인 실시예들이 기술되긴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논의된 실시예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임을 의도하는 것이다.

Claims (21)

  1.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목록을 규정하는 관련 데이터베이스; 및,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만약 관련되어 있다면,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관리자
    를 포함하는, 소스와 통신하는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identifier)를 표시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 관리자는 소스 및/또는 수신자 장치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인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자 장치는 휴대용 장치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LBS 는 소스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LBS 의 등록된 사용자의 수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자 장치는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watch-listed)에 들어있는지 또는 주의대상 목록(black-listed)에 들어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 로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있거나 주의대상 목록에 들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스에 의하여 개시된 통신이 종료되거나 또는 경보가 발령되고 그 후에 통신을 종료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 관리자는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 게이트웨이와의 데이터 통신 상태에 있도록 채택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 관리자는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주소록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은 그 소스가 공개 목록에 들어있는지,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지 또는 식별자가 차폐되어 있는지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시스템.
  11. a.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목록을 규정하는 단계;
    b.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목록으로부터 판단하고; 관련이 되어 있다면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스와 통신하는 수신자 장치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그 소스가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지 또는 식별자가 차폐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만약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소스가 그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있는지 또는 주의대상 목록에 들어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만약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있지 않고 또한 주의대상 목록에도 들어있지 않으면, 소스의 식별자가 수신자 장치상에 표시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자 장치의 프라이버시 설정이 점검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만약 소스가 감시대상 목록에 들어 있으면 경보가 발령되고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이 종료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만약 소스가 주의대상 목록에 들어 있으면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이 즉시 종료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소스와 수신자 장치 사이에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로설정 단계는 어떻게 식별자가 도출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소스의 속성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식별자의 속성을 점검하는 단계는, 식별자가 소스로 전송되었는지, 다운로드 되었는지 또는 수작업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소스와 수신자 장치가 동일 통신 네트워크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소스로부터의 통신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소스와 사용자 장치 사이에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주소록에 액세스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 소스로부터 수신자 장치로의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관리자를 포함하는 수신자 장치로서;
    상기 처리 관리자는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수신자 장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리스트를 규정하도록 구성되며;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었다고 판단되면 그 소스의 설정된 식별자를 표시하고, 소스가 수신자 장치와 관련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소스의 프라이버시 설정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수신자 장치상에 또 다른 식별자를 표시하는 수신자 장치.
KR1020137031836A 2011-05-12 2012-05-09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37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11033966A SG185836A1 (en) 2011-05-12 2011-05-12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dentifier of a source on a recipient device
SG201103396-6 2011-05-12
PCT/SG2012/000163 WO2012154128A1 (en) 2011-05-12 2012-05-0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dentifier of a source on a recipi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738A true KR20140043738A (ko) 2014-04-10

Family

ID=4713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836A KR20140043738A (ko) 2011-05-12 2012-05-09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521230B2 (ko)
EP (1) EP2708015A4 (ko)
JP (1) JP6081990B2 (ko)
KR (1) KR20140043738A (ko)
CN (1) CN103703750B (ko)
AR (1) AR086393A1 (ko)
AU (1) AU2012254220B2 (ko)
BR (1) BR112013028411A2 (ko)
CA (1) CA2833444A1 (ko)
CO (1) CO6801655A2 (ko)
MX (1) MX2013012667A (ko)
MY (1) MY164982A (ko)
RU (1) RU2577844C2 (ko)
SG (2) SG185836A1 (ko)
TW (1) TWI565292B (ko)
UA (1) UA111969C2 (ko)
WO (1) WO2012154128A1 (ko)
ZA (1) ZA2013081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0640B (zh) * 2014-09-30 2019-02-22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通信控制的方法和装置
TWI611683B (zh) * 2015-09-01 2018-01-11 走著瞧股份有限公司 與電信伺服器協作之電話號碼資訊伺服器及其資訊提供方法
CN109218460B (zh) * 2018-06-27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搜索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184A (en) * 1995-03-03 1996-12-31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s privacy protection system by replacing calling party number with non-assigned number
US6662014B1 (en) * 2000-02-04 2003-12-09 Sbc Properties, L.P. Location privacy manag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7333820B2 (en) * 2001-07-17 2008-02-19 Networks In Mo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ing, mapping, and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to users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6583716B2 (en) * 2001-08-15 2003-06-24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relevant services using stored location information
US6771742B2 (en) * 2001-11-05 2004-08-03 Intrado Inc. Geographic routing of emergency service call center emergency calls
US6829340B2 (en) * 2002-04-18 2004-12-07 Tsung-Hsing Wei Masked phone service with mask phone number
JP2004240624A (ja) * 2003-02-05 2004-08-26 Omega Techno Modeling:Kk 地域内自動連絡システム
CN1571440A (zh) * 2003-07-25 2005-0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跨越私网实现多媒体呼叫的系统和方法
JP3787134B2 (ja) * 2003-09-11 2006-06-21 株式会社ランドスケイプ 電話受信制御装置、電話受信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130009A (ja) * 2003-10-21 2005-05-19 Suntacs Co Ltd アドレス帳同期方法
JP3811158B2 (ja) * 2003-12-26 2006-08-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知装置、端末装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CN1832493A (zh) * 2005-03-11 2006-09-13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来电处理方法
JP4638756B2 (ja) * 2005-03-28 2011-02-2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7123959A (ja) * 2005-10-24 2007-05-17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携帯電話帳管理システム
US8077849B2 (en) * 2006-01-10 2011-12-13 Utbk, Inc. Systems and methods to block communication calls
WO2008083087A2 (en) * 2006-12-26 2008-07-10 Kent Carl E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to telecommunications devices
JP2008172619A (ja) * 2007-01-12 2008-07-24 Ntt Docomo Inc 着信制御装置および着信制御方法
JP2008236441A (ja) * 2007-03-21 2008-10-02 Systems Engineering Constructions Co Ltd Gps緊急通報システム
US8274968B2 (en) * 2007-07-20 2012-09-25 Cisco Technology, Inc. Restriction of communication in VoIP address discovery system
KR100919042B1 (ko) 2007-08-21 2009-09-24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136013A1 (en) * 2007-11-19 2009-05-28 Kuykendall Peter A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elephone calls
US8565780B2 (en) * 2008-01-17 2013-10-22 At&T Mobility Ii Llc Caller identification with caller geographical location
JP2009177719A (ja) * 2008-01-28 2009-08-06 Nec Corp 緊急事態発生時連絡実行システムおよび緊急事態発生時連絡実行方法
CN101729704A (zh) * 2008-10-29 201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技术的报警信息推送系统、装置及方法
US8521122B2 (en) * 2009-01-28 2013-08-27 Blackberry Limited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mergency information
WO2010105663A1 (en) * 2009-03-16 2010-09-23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control for preventing unsolicitated communication
US9232040B2 (en) * 2009-11-13 2016-01-05 Zoll Medical Corporation Community-based response system
US8775535B2 (en) * 2011-01-18 2014-07-08 Voxilate,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and management of short voice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86393A1 (es) 2013-12-11
TWI565292B (zh) 2017-01-01
RU2013155193A (ru) 2015-06-20
CN103703750B (zh) 2017-07-18
WO2012154128A1 (en) 2012-11-15
JP2014519254A (ja) 2014-08-07
AU2012254220B2 (en) 2014-10-16
EP2708015A4 (en) 2014-11-19
TW201304495A (zh) 2013-01-16
CN103703750A (zh) 2014-04-02
ZA201308172B (en) 2014-09-25
US9521230B2 (en) 2016-12-13
SG185836A1 (en) 2012-12-28
RU2577844C2 (ru) 2016-03-20
JP6081990B2 (ja) 2017-02-22
BR112013028411A2 (pt) 2017-03-14
US20140357245A1 (en) 2014-12-04
EP2708015A1 (en) 2014-03-19
CA2833444A1 (en) 2012-11-15
AU2012254220A1 (en) 2013-04-11
CO6801655A2 (es) 2013-11-29
SG194814A1 (en) 2013-12-30
UA111969C2 (uk) 2016-07-11
MY164982A (en) 2018-02-28
MX2013012667A (es)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1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l time display of caller location, profile, and trust relationship
JP2013005205A (ja) 悪質電話防止装置、悪質電話防止システム
WO2011163087A2 (en) Automated mobile intelligent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RU272182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связи по множеству платформ связи
WO2015198136A1 (en) A method to authenticate cal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8483367B1 (en) Messaging in a hosted private branch exchange
US102441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using display of a reputation indicator associated with a called party
CN104184871B (zh) 一种提示骚扰电话号码的方法和装置
KR20140043738A (ko) 수신자 장치 상에 소스의 식별자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52570A1 (en) Urgent call management system
KR102384868B1 (ko) 인바운드형 양방향 전화 연결 시스템
CA2962311C (en) Improved automatic caller identification translation
US11259341B2 (en) Method of assigning a communication
WO2015098131A1 (ja) 個人情報付加システムおよび個人情報付加方法ならびに個人情報付加プログラム
KR101756432B1 (ko) 통화 목적을 제공하는 통화 목적 제공 장치, 통화 목적 제공 시스템 및 통화 목적 제공 방법
KR20150031503A (ko) 그룹정보를 이용한 발신번호 유효성 확인 방법
KR20190006672A (ko) 이전 명의자와 관련된 통화 또는 문자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KR20210133820A (ko) 분산형 인터넷전화 시스템
JP2011035671A (ja) サーバ装置及び匿名発信方法
GB2488332A (en) A social networking website is used as a proxy terminal to allow linked members contact each other via SMS/telephone without exchanging numbers.
JPWO2016140047A1 (ja) 特定情報送信サーバー、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
GB2478589A (en) Screening call requests for anonymous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a community
KR20100060313A (ko) 음성 메시지를 이용한 발신자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60099813A (ko) 전화 통화 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