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212A -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212A
KR20140043212A KR1020120106534A KR20120106534A KR20140043212A KR 20140043212 A KR20140043212 A KR 20140043212A KR 1020120106534 A KR1020120106534 A KR 1020120106534A KR 20120106534 A KR20120106534 A KR 20120106534A KR 20140043212 A KR20140043212 A KR 20140043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esin
grain stone
particles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145B1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102012010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1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그리고 그 제조 방법과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수지(310)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과 수지(310)가 혼합된 혼합물(400)을 만드는 단계(100); 상기 단계(100)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400)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에 채워 넣고 다지는 충전(fillers) 및 다짐 단계(110); 상기 단계(110)를 통하여 혼합물(400)의 그레인 스톤(300) 입자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310)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 들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120); 및, 몰드(500)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500)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130);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그리고 그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GRAIN STONE TILE OR OF THE GROUND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STRUCTION WORKING METHOD}
본 발명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그리고 그 제조 방법과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채취한 자연 상태 또는 석재를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그레인 스톤을 이용하여 타일 또는 바닥재를 제조함으로써 실내 바닥 마감재, 구조물 벽면의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각종 인도 및 보행로 그리고 자전거 도로 등의 노면을 덮는 블럭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그레인 스톤 타일과 바닥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벽의 내장과 외장 마감재로 사용하는 재료로는 타일, 페인트, 벽지 등이 사용된다. 타일은 도기, 유리, PVC, 천연대리석 등의 단일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외관이 다른 것에 비해 좋다.
타일은 시공이 간편하고 패턴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장점도 있다. 패널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타일을 제작한 예들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천연소재 타일 패널에 의존하지 않고 자갈, 천연석과 같은 천연소재를 직접 벽면이나 바닥면에 마감재로 시공하는 경우도 있다.
천연 타일 소재는 대표적으로 자갈, 돌, 나무 등이다. 필요에 따라 투명한 고품질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 및 투명소재들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천연소재에 액상 수지를 투입 캐스팅하여 패널화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525호에 공개되어 있다.
자연에서 얻은 천연 소재를 타일로 만들면 소재 자체로서 친환경성을 가지므로 벽면 또는 바닥 미장재로 대부분 사용 가능하고 자연을 관찰하는 시각적 효과 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가물이 함유된 합성수지층에 양면 테잎이 부착되는 천연재료가 함유된 플라스틱 타일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5475호에 공개되어 있다.
알려진 기술들은 천연 소재를 타일로 제조하여 얻을 수 있는 시각적 이득, 그리고 친환경적 소재가 주는 인체 무해성, 안정성 등을 얻는 것이다.
자전거 도로, 보행로, 각종 건물의 건물 주변, 주차장, 수영장, 공원분수대, 사무실, 아파트, 주택, 거실, 발코니, 정원 및 계단 등의 바닥에는 바닥재를 시공한다.
바닥재로는 천연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인조화강석 블록 혹은 시멘트에 알갱이와 같은 종석들을 혼합하여 만든 블록 등이 알려져 있다.
천연 화강석으로 이루어진 블록의 경우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 또한 천연 및 인조 화강석은 대체로 매끄러운 블록 표면을 나타낸다. 밟으면 미끄러지는 특성이 있고 투습성이 거의 없어 물의 자연적 흐름을 방해한다.
콘크리트 소재로 성형된 블록은 화강석 블록에 비해 표면 거칠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화강석 블록에 비해 미끄러짐을 줄이는 것과 대량 생산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색상이나 질감이 나쁘고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7344호에는 표면으로 돌출되는 자갈의 출석률을 고르게 하여 자연미와 아울러 논 슬립(Non slip) 기능을 갖게 한 워시 패턴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표면층과 이 표면층의 일측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과 접하는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층으로 이루어진 소정 모양의 판형상 몸체; 및 상기 판형상 몸체의 표면층으로부터 균일하게 노출되어 자연미를 표출하게 한 자갈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표면층은 백 시멘트 18.8중량%, 돌을 100~300mesh의 고운 입도를 갖게 미분화한 석분22중량%, 자갈 58.7중량% 및 안료0.5중량%를 혼합 조성한 것이고, 후면층은 모래44.4중량%, 돌을 거친 입자상태로 분쇄한 석분29.6중량% 및 흑시멘트 26중량%로 혼합 조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혼합물로서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된다. 백 시멘트, 석분, 자갈, 안료, 모래 등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후 견고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525호 특허문헌(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5475호 특허문헌(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7344호
본 발명은 자연에서 채취한 천연 상태의 자갈 알갱이 또는 석재를 가공한 돌 알갱이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바닥 시공용 마감재 또는 친환경적인 구조물 벽면 미장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에서 채취한 천연 상태의 자갈 알갱이 또는 석재를 가공한 돌 알갱이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바닥 시공용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에서 채취한 천연 상태의 자갈 알갱이 또는 석재를 가공한 돌 알갱이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바닥 시공용 마감재 또는 친환경적인 구조물 벽면 미장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 상태의 자갈 알갱이 또는 석재를 가공한 돌 알갱이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바닥 구조물 표면 시공재 또는 친환경적인 구조물 벽면 시공재로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은,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grain stone) 입자들을 수지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들과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을 갖는 몰드에 채워 넣고 다지는 충전(fillers) 및 다짐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혼합물의 그레인 스톤 입자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들 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 및,
몰드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들을 수지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들과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성형 공간을 갖는 몰드를 준비하고 그 몰드의 바닥에 바닥판을 까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을 갖는 몰드에 채워 넣고 다지는 충전(fillers) 및 다짐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혼합물의 그레인 스톤 입자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들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 및,
몰드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몰드에 배열하는 바닥판은, 방수성, 내습성을 갖는 합성수지 비닐 또는 투습성과 통풍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재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합성수지 격자 망 또는 패널, 천 격자 망 또는 면을 갖는 천, 유리패널 또는 격자 망, 부직포, 합성수지 패널, 목재로 짜여진 격자 망 또는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들의 충전 단계에서 그레인 스톤 입자들간 적어도 어느 한 부분 또는 한 부분 이상을 초과하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밀집도를 조절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들;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들 사이에 스며들어 흩어져 있는 낱개의 알갱이들을 뭉쳐서 입자 상호 간 접착력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는 수지 및 그레인 스톤 입자들을 감싸서 형성된 피복층;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들의 입자 상호 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들;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들 사이에 스며들어 흩어져 있는 낱개의 알갱이들을 뭉쳐서 입자 상호 간 접착력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는 수지 및 그레인 스톤 입자들을 감싸서 형성된 피복층;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들의 입자 상호 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상기 수지에 의해 접착된 그레인 스톤 입자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극의 공극율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전체 부피 면적을 기준으로 0.5~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들의 외부 전체는 수지로 감싸져 피복 코팅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합성수지 격자 망 또는 패널, 천 격자 망 또는 면을 갖는 천, 유리패널 또는 격자 망, 부직포, 합성수지 패널, 목재로 짜여진 격자 망 또는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평면 또는 비 평면을 포함하는 벽 구조물, 벽 구조물 표면을 따라 그레인 스톤 타일을 부착하여 구조물 표면을 마감 시공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 구조물의 표면, 또는 그레인 스톤 타일의 표면을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구조물 표면, 또는 그레인 스톤 타일의 표면에 접착된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그레인 스톤 타일을 벽 구조물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시공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시멘트, 레미탈, 액상의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 시트, 그리고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면 또는 비 평면을 포함하는 바닥 구조물, 바닥 구조물 표면을 따라 그레인 스톤 바닥재를 부착하여 바닥 구조물 표면을 마감 시공하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시트재를 까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바닥 구조물 표면에 깔려 있는 시트재 위에 그레인 스톤 바닥재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재는 방수가 되지 않는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닐, 천막천, 수지 또는 아스팔트 액체, 아스팔트 시트, PE, PVC, PP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바닥 구조물의 표면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재는 방수 처리된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닐, 천막천, 수지 또는 아스팔트 액체, 아스팔트 시트, PE, PVC, PP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바닥 구조물의 표면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연에서 채취한 자연 상태 또는 석재를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그레인 스톤을 이용하여 타일 또는 바닥재를 제조함으로써 실내 바닥 마감재, 구조물 벽면의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각종 인도 및 보행로 그리고 자전거 도로 등의 노면을 덮는 블럭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레인 스톤을 타일 또는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닥재로 사용되는 천연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인조화강석 블록 혹은 시멘트에 알갱이와 같은 종석들을 혼합하여 만든 블록 등에 비해 제조가 쉽고 반영구적으로서 수명도 길다.
바닥을 덮는 블록으로 사용할 경우 미끄러지지 않는 논 슬립화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 교체가 용이하고 시각적으로 경계면 상에서의 틈이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아 구조물 시공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구성하는 그레인 스톤 입자들의 외부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보호 피막을 만들고 윤기를 내는 광택 처리 또는 형광 처리가 가능하며 다색 컬러를 구현하고 장기간 동안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들의 원래 표면을 유지 지속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순서 를 나타낸 도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바닥판이 없는 단면, (b)는 바닥판을 구비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표면 상세를 나타낸 확대도.
도 7의 (a)~(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물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간별 하중 분포 및 그에 대한 변위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샘플 표면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샘플 정면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을 벽 구조물에 시공한 시공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바닥재의 시공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바닥재의 시공 상태 참고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석재를 파쇄한 그레인 스톤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그레인 스톤은 수심 2~8mm 정도의 얕은 흐르는 물에서 나오는 자연석(작은돌), 또는 석재를 파쇄하여 얻는다. 자연에서 채취된 자연석은 구르는 돌 알갱이가 대부분으로서 모가 나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가공이 불필요하다.
석재로부터 파쇄하여 얻을 경우에는 모가 나 있으며 거친 면을 줄이는 별도의 연마 가공을 거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사용 용도에 따라 모가 나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되므로 반드시 모가 나 있는 부분을 갈아 내는 연마 가공을 거칠 필요는 없다.
공통적으로 그레인 스톤을 타일 또는 바닥재로 사용하면 환경 친화적인 구조물 표면을 얻는다.
모든 구조물 표면 외장용 마감재, 실내 인테리어 내장재를 포함하여 식당, 천정, 부엌 등에 붙이는 타일 또는 대체용 내장재로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그밖에 액자, 테이블, 데스크 등에 간단히 일반 타일처럼 붙여서 쓸 수도 있다.
그레인 스톤을 통해 천연 소재를 타일로 제조하여 얻을 수 있는 시각적 이득, 그리고 친환경적 소재가 주는 인체 무해성, 안정성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레인 스톤은 바닥재(블록)로 활용하면 자전거 도로, 보행로, 각종 건물의 건물 주변, 주차장, 수영장, 공원분수대, 사무실, 아파트, 주택, 거실, 발코니, 정원 및 계단 등의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레인 스톤 바닥재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닥재로 사용되는 천연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인조화강석 블록 혹은 시멘트에 알갱이와 같은 종석들을 혼합하여 만든 블록 등에 비해 제조가 쉽고 반영구적으로서 수명도 길며, 논 슬립화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 교체가 용이하고 시각적으로 경계면 상에서의 틈이 겉으로 잘 드러나 보이지 않아 시공 외관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그레인 스톤을 이용하여 이를 타일 또는 바닥재로 공용화할 수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그레인 스톤 타일을 벽 구조물에 시공하거나 바닥재를 바닥 구조물에 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는 대표적으로 제1 방법 및 제2 방법이 제시된다.
제1 방법을 도 1의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공정도, 그리고 도 3의 제조 공정 도식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방법
(Step 1) 그레인 스톤과 수지를 혼합 믹싱 혼합물 제조(100)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은 자연에서 채취된 것이다. 또는 석재를 알갱이 입자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것을 포함한다. 낱알 알갱이 입도는 통팥(red beans) 정도의 크기를 기준으로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입도 기준이 적당하다. 이렇게 준비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수지(310)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과 수지(310)가 혼합된 혼합물(400)을 만든다.
도 3에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먼저 그릇과 같은 통(520)에 담고 수지(310)를 투입하여 혼합물(400)을 통(520) 속에서 믹싱 하여 반죽을 만드는 예가 나타나 있다.
수지(310)를 통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섞어 혼합 믹싱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와 수지(310)가 섞여진 반죽물 상태의 끈적끈적한 혼합물(400)을 만든다.
수지(310)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점착력으로 묶어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접착제이다. 접착제는 천연 또는 화학제 등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 사이에 잘 스며들어가고 또 경화 후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외부가 피막(보호막) 코팅 처리될 수 있을 정도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충분히 묻힐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 투입하는 것이 적당하다.
실제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외부는 피복층(320)을 형성한다.
광택제를 함유하는 수지(310)를 투입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충분히 에워싸는 정도로 혼합하게 되면 경화 후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표면은 수지(310)에 의한 피복층(320)을 형성하는 동시에 표면 광택을 갖게 되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을 보호하고 장기간 변화가 없다.
수지(310)에 안료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의도하는 색상을 자유롭게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에 대한 색상 구현은 수지(310)에 안료를 넣어서 처리하는 방법 외에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완료한 후 도색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수지(310)는 서로 접촉되어 있지만 흩어진 상태의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을 접착력으로 결속시키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외부에 보호 피막을 만들고 윤기를 내는 광택 처리 또는 형광 처리 그리고 다색 컬러를 구현 하고 장기간 동안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원래 표면을 유지 지속시킨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는 수지(310)에 충분히 담궈질 정도로 혼합하여 혼합물(400)을 만드는 것이 좋다. 수지(310)는 가능한 광택제를 함유하는 투명성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를 사용하면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그대로 볼 수 있고 불투명 수지를 액상 수지(310)로 선택하면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드러나 보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형상은 원래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수지(310)는 순간 접착제 등과 같은 고경도 강화 수지 중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들을 포함한다(고경도 강화 수지를 제외하는 이유는 경화 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는 기능적으로 어느 정도의 굽힘과 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수지의 예를 들면, 요소수지(urea resin adhesives),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adhesives), 알키드 수지(allkyd resin adhesives), 에폭시 수지(epoxide resin adhesives), 아크릴산 수지(acrylic resin adhesives), 합성 고무계 수지(synthetic rubber adhesives),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adhesives), 비닐 수지(vinyl resin adhesives), 자일렌 수지, 부레풀, 아교, 그밖에 여러 가지 접착 수지들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Step 2) 혼합물을 몰드에 충전(fillers) 및 다짐(110)
이 공정은 도 3과 같이 상기 단계(100)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400)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에 혼합물(400)을 채워 넣어 충전하고 다지는 공정이다.
혼합물(400)을 몰드(500)에 넣은 후 얇은 판 및 손칼 흙손 등의 밀대(530) 를 이용하여 표면 고르기를 실시하고 고르게 다진다.
혼합물(400)을 몰드(500)에 투입하기 전에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몰드(500)의 내벽에 이형제를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작업은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몰드(500)의 성형 공간(510)에 낱알 상태의 알갱이들을 서로 접촉 가능한 밀집도를 기준으로 집어넣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몰드 성형 공간(510)을 채우고 적어도 층상으로 널리도록 처리하는 작업이다.
표면 평활도를 얻기 위해 어떤 밀대(530)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표면을 가지런히 고르는 것도 작업에 포함된다. 그리고, 몰드(500) 위에서 아래로 어떤 눌러주는 판을 내려서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이 고른 분포로 성형 공간(510)에 널리고 층상 구조를 띠도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 작업은 눈으로 보면서 수작업으로 할 수 있고 어떤 기계적 장치를 통해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몰드(500)에 채워넣기 할 수도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채워넣는데 있어서 손으로 하는 작업 또는 기계로 하는 작업 등은 의미가 크지 않고, 채우는 양의 계량화나 채워 넣는 시간 등 주로 생산과 관련된다.
(Step 3)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120)
이 공정은 상기 단계(110)를 통하여 혼합물(400)의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310)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 들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을 완료한다.
수지(310)의 경화 시간은 사용하는 수지의 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경화시간은 사용하는 수지의 물성을 파악하여 적당한 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급속 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순간접착제 등)를 제외한 일반적인 수지의 충분한 경화시간은 차이가 크다. 대략 24 시간 범위이다.
(Step 4)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몰드로부터 분리 제조 완료(130)
이 공정은 경화 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이 완료된 것을 확인 한 후 몰드(500)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500)의 제조를 완료하는 공정이다.
몰드(500)로부터 탈형 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실제 외관 형상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여기서, 얻어지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모든 벽 구조물(700), 모든 바닥 구조물(800)의 바닥 표면에 붙여서 쓸 수 있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다른 실시 예의 방법을 통해서도 제조된다.
제2 방법을 도 2의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공정도, 그리고 도 3의 제조 공정 도식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방법
(Step 1) 그레인 스톤과 수지를 혼합 믹싱 혼합물 제조(200)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은 자연에서 채취된 것이다. 또는 석재를 알갱이 입자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것을 포함한다. 낱알 알갱이 입도는 통팥(red beans) 정도의 크기를 기준으로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입도 기준이 적당하다. 이렇게 준비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수지(310)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과 수지(310)가 혼합된 혼합물(400)을 만든다.
도 3에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먼저 그릇과 같은 통(520)에 담고 수지(310)를 투입하여 혼합물(400)을 통(520) 속에서 믹싱 하여 반죽을 만드는 예가 나타나 있다.
수지(310)를 통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섞어 혼합 믹싱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와 수지(310)가 섞여진 반죽물 상태의 끈적끈적한 혼합물(400)을 만든다.
수지(310)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점착력으로 묶어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접착제이다. 접착제는 천연 또는 화학제 등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 사이에 잘 스며들어가고 또 경화 후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외부가 피막(보호막) 코팅 처리될 수 있을 정도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충분히 묻힐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 투입하는 것이 적당하다.
실제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외부는 피복층(320)을 형성한다.
광택제를 함유하는 수지(310)를 투입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충분히 에워싸는 정도로 혼합하게 되면 경화 후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표면은 수지(310)에 의한 피복층(320)을 형성하는 동시에 표면 광택을 갖게 되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을 보호하고 장기간 변화가 없다.
수지(310)에 안료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의도하는 색상을 자유롭게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에 대한 색상 구현은 수지(310)에 안료를 넣어서 처리하는 방법 외에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완료한 후 도색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수지(310)는 서로 접촉되어 있지만 흩어진 상태의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을 접착력으로 결속시키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외부에 보호 피막을 만들고 윤기를 내는 광택 처리 또는 형광 처리 그리고 다색 컬러를 구현 하고 장기간 동안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원래 표면을 유지 지속시킨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는 수지(310)에 충분히 담궈질 정도로 혼합하여 혼합물(400)을 만드는 것이 좋다. 수지(310)는 가능한 광택제를 함유하는 투명성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를 사용하면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그대로 볼 수 있고 불투명 수지를 액상 수지(310)로 선택하면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드러나 보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형상은 원래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수지(310)는 순간 접착제 등과 같은 고경도 강화 수지 중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들을 포함한다(고경도 강화 수지를 제외하는 이유는 경화 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는 기능적으로 어느 정도의 굽힘과 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수지의 예를 들면, 요소수지(urea resin adhesives),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adhesives), 알키드 수지(allkyd resin adhesives), 에폭시 수지(epoxide resin adhesives), 아크릴산 수지(acrylic resin adhesives), 합성 고무계 수지(synthetic rubber adhesives),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adhesives), 비닐 수지(vinyl resin adhesives), 자일렌 수지, 부레풀, 아교, 그밖에 여러 가지 접착 수지들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Step 2) 몰드의 바닥에 바닥판 배열(210)
이 공정은 상기 단계(200)에서 제조된 혼합물(400)을 채워 넣을 수 있는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를 준비하고 그 몰드(500)의 바닥에 바닥판(410)을 까는 공정이다.
몰드(500)는 선택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결속 구조로 접착시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한 수단이다. 도 3과 같이 일종의 성형틀 또는 금형으로서 성형 공간(510)을 갖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몰드(500)의 성형 공간(510) 바닥에는 바닥판(410)을 넣어서 성형 공간(510)의 바닥에 깔리도록 배열한다.
바닥판(410)은 연성과 연신 그리고 굽힘 등의 물성을 갖는 소재들에서부터 연성과 연신 그리고 굽힘 등이 거의 없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다양한 소재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Step 3) 혼합물을 몰드에 충전(fillers) 및 다짐(220)
이 공정은 도 3과 같이 상기 단계(200)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400)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에 혼합물(400)을 채워 넣어 충전하고 다지는 공정이다.
혼합물(400)을 몰드(500)에 넣은 후 얇은 판 및 손칼 흙손 등의 밀대(530) 를 이용하여 표면 고르기를 실시하고 고르게 다진다.
혼합물(400)을 몰드(500)에 투입하기 전에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몰드(500)의 내벽에 이형제를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작업은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몰드(500)의 성형 공간(510)에 낱알 상태의 알갱이들을 서로 접촉 가능한 밀집도를 기준으로 집어넣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몰드 성형 공간(510)을 채우고 바닥판(410) 표면상에서 적어도 층상으로 널리도록 처리하는 작업이다.
표면 평활도를 얻기 위해 어떤 밀대(530)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표면을 가지런히 고르는 것도 작업에 포함된다. 그리고, 몰드(500) 위에서 아래로 어떤 눌러주는 판을 내려서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이 고른 분포로 바닥판(410) 위에 널리고 층상 구조를 띠도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 작업은 눈으로 보면서 수작업으로 할 수 있고 어떤 기계적 장치를 통해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몰드(500)에 채워넣기 할 수도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채워넣는데 있어서 손으로 하는 작업 또는 기계로 하는 작업 등은 의미가 크지 않고, 채우는 양의 계량화나 채워 넣는 시간 등 주로 생산과 관련된다.
(Step 4)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230)
이 공정은 상기 단계(220)를 통하여 혼합물(400)의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310)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 들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을 완료한다.
수지(310)의 경화 시간은 사용하는 수지의 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경화시간은 사용하는 수지의 물성을 파악하여 적당한 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급속 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순간접착제 등)를 제외한 일반적인 수지의 충분한 경화시간은 차이가 크다. 대략 24 시간 범위이다.
(Step 5)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를 몰드로부터 분리 제조 완료(240)
이 공정은 경화 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이 완료된 것을 확인 한 후 몰드(500)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500)의 제조를 완료하는 공정이다.
몰드(500)로부터 탈형 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실제 외관 형상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여기서, 얻어지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모든 벽 구조물(700), 모든 바닥 구조물(800)의 바닥 표면에 붙여서 쓸 수 있다.
제1 방법 및 제2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 3의 순서도에는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의 제조 과정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어떤 통(520) 안에서 수지(310)와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사전 혼합하여 혼합물(400)를 만들고 그 혼합물(400)을 몰드(500)에 투입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몰드(500)를 통해 혼합물(400)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로 성형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몰드(500)는 수작업 처리 가능한 것부터 자동 생산 가능한 것 등을 포함한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도 4와 같이 제조된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제조 방법에 따라 바닥판(410)이 없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410)을 구비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바닥재(600)로 제조될 수 있다. 전자는 제1 방법을 통해서 얻는다. 후자는 제2 방법을 통해서 얻는다.
몰드(500)의 성형 공간(510) 바닥에 배열하는 바닥판(410)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격자형 망, 평면 표면 또는 구멍 뚫린 면을 갖는 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닥판(410)의 부재로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합성수지 격자 망 또는 패널, 천 격자 망 또는 면을 갖는 천, 유리패널 또는 격자 망, 부직포, 합성수지 패널, 목재로 짜여진 격자 망 또는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하여 몰드(500)의 성형 공간(510) 바닥에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몰드(500)의 성형 공간(510)에 충전하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층상 구조는 채우는 방법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 구조화할 수 있다.
몰드(500)에 충전하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간 적어도 어느 한 부분 또는 한 부분 이상을 초과 하는 공극(420)이 형성 되도록 밀집도를 조절하여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극(420)은 경화 시 통풍성을 부여하여 수지(310) 또는 접착제 잔류 휘발 성분의 비산을 유도하고 경화 후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대한 적절한 유동공기의 접촉을 유도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끼인 수분의 부패나 세균 번식을 억제하거나 방지한다.
그리고, 공극(420)의 공극율을 조절하면 새로운 기능에도 관여한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전체 부피 면적을 기준으로 0.5~1.5% 정도는 도 7과 같이 스트레스(W)에 대한 변형을 갖는다.
도 7은 굽힘을 허용하는 구조로 적용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가 구조적을 공극율을 갖는 조건, 그리고, 바닥판(410)이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들로 예상되는 천, 면, 또는 연성 수지판, 저밀도 합성수지 판 부재 등이 적용되는 조건, 그리고, 사용 경화 수지로서 연질성 수지를 사용한 조건에서의 변형을 가정한다.
굽힘이 허용되게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물성은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평면적 밸런스 그리고 어느 정도 낮은 직진도를 나타내지만 하중(W)을 가할 때 자체 유연성으로 흡수하여 파쇄되지 않는다. 즉, 취성을 낮춰 깨지거나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이 분리지고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굽힘이 허용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특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a)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에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이다.
(b)는 위에서 아래로 중심 부분에 하중 'W'을 가한 상태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아래로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굽힘이 생기는 예이다.
(c)는 위에서 아래로 양단에 동일한 하중 'W'을 가한 상태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위로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굽힘이 생기는 예이다.
(d)는 밑에서 위로 중심 부분에 하중 'W'을 가한 상태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위로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굽힘이 생기는 예이다.
(e)는 밑에서 위로 양단에 동일한 하중 'W'을 가한 상태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이 위로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굽힘이 생기는 예이다.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600)는 사용하는 수지의 물성과 바닥판(410)의 선택에 따라 굽힘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굽혀지지 않게 할 수도 있으나 물성적으로 굽힘을 두는 것이 유리하다.
굽힘이 있으면 낮은 취성을 나타내고 하중이 주어지는 방향에 따라 굽혀지지만 다시 바로 펴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인 경우 정도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깨지게 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여기서, 굽힘이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600)을 구성하는 수지(310)는 연성이 있는 수지를 사용하는 조건이다. 연성이 있는 수지(310)를 사용하여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떨어지지 않게 접착하는 것에서는 문제가 없다.
공극율이 1.5% 이상이면 변형력에 대한 변위량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반면, 지나친 공극률로 인해 강도가 약화 된다.
공극율이 0.5% 이하이면 변형력에 대한 변위량이 적어 강도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지만 고밀도로 인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깨지거나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 바람직한 공극율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부피 면적을 기준으로 0.5~1.5%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구조는 도 4 내지 도 9와 같다.
도 5의 (a)와 같이 바닥판(410)을 구비하지 않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로 구성된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선택과 수득과 관련되는 사항은 전술된 제조방법과 같다.
그리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스며들어 흩어져 있는 낱개의 알갱이들을 뭉쳐서 입자 상호 간 접착력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는 수지(310) 및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감싸서 형성된 피복층(320)이 구성된다.
피복층(320)을 형성하는 수지(310)의 성분 및 사용 가능한 유효 수지들은 전술된 제조방법에 설명된 바와 같다.
그리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입자 상호 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420)을 포함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구조는, 도 5의 (b)와 같이 바닥재(41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주요 부분은,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스며들어 흩어져 있는 낱개의 알갱이들을 뭉쳐서 입자 상호 간 접착력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는 수지(310) 및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감싸서 형성된 피복층(3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입자 상호 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4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지(310)에 의해 접착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41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구성하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는 자연석과 자연석을 가공한 것을 알갱이 상태로 가공한 것이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층(320)은, 광택제를 함유하는 수지(310)의 경화에 의해 별도의 공정 없이 얻는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은 수지(310)에 의해 결속력을 얻는다. 수지(310)가 충분히 에워싸는 정도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이 잠기도록 혼합하게 되면 수지(310)의 경화 후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표면은 수지(310)에 의한 피복층(320)을 형성한다.
수지(310)에 광택제를 투입하는 경우 고 광택 표면을 갖게 되고 또한 사용하는 수지(310)의 성분 및 품질에 의해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을 미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고 장기간 변화없이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수지(310)에 안료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의도하는 색상을 자유롭게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에 대한 색상 구현은 수지(310)에 안료를 넣어서 처리할 수 있고,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표면에 도색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수지(310)는 서로 접촉되어 있지만 흩어진 상태의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을 접착력으로 결속시키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외부에 피복층(320)을 형성하여 보호 피막을 만들고 윤기를 내는 광택 처리 또는 형광 처리 그리고 다색 컬러를 구현하고 장기간 동안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원래 표면을 유지 지속시킨다.
수지(310)는 가능한 광택제를 함유하는 투명성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를 사용하면 그레인 스톤 입자(300)를 외부에서 그대로 관찰할 수 있고 불투명 수지를 선택하면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가 드러나 보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형상은 원래대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수지(310)는 순간 접착제 등과 같은 고경도 강화 수지 중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들을 포함한다(고경도 강화 수지를 제외하는 이유는 경화 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는 기능적으로 어느 정도의 굽힘과 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수지의 예를 들면, 요소수지(urea resin adhesives),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adhesives), 알키드 수지(allkyd resin adhesives), 에폭시 수지(epoxide resin adhesives), 아크릴산 수지(acrylic resin adhesives), 합성 고무계 수지(synthetic rubber adhesives), 폴리스티렌 수지(polystyrene resin adhesives), 비닐 수지(vinyl resin adhesives), 자일렌 수지, 부레풀, 아교, 그밖에 여러 가지 접착 수지들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극(420)은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상에 공기 순환을 통한 적절한 통풍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경화 과정에서 수지(310) 또는 접착제 잔류 휘발 성분의 비산을 유도하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대한 적절한 유동공기의 접촉을 유도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간 사이 수분 건조를 촉진하거나 수분의 부패와 세균 번식과 변질을 방지한다.
서로 이웃하는 그레인 스톤 입자(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인 스톤 입자(300) 알갱이들간 적어도 어느 한 부분 또는 한 부분 이상을 초과하는 공극(420)이 형성 되도록 밀집도가 조절되어 있다.
공극(420)은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상에 공기 순환을 통한 적절한 통풍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경화 과정에서 수지(310) 또는 접착제 잔류 휘발 성분의 비산을 유도하고 그레인 스톤 입자(300) 표면에 대한 적절한 유동공기의 접촉을 유도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간 사이 수분 건조를 촉진하거나 수분의 부패와 세균 번식과 변질을 방지한다.
그리고, 공극(420)의 공극율을 조절함으로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안정적인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기능적으로 잘 깨지지 않고 떨어지지 않는 물성적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공극율은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600)의 전체 부피 면적을 기준으로 0.5~1.5%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구조는 도 7과 같이 스트레스(W)에 대한 변형을 갖는다.
도 7은 굽힘을 허용하는 구조로 적용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가 구조적으로 공극을 갖는 조건, 그리고, 바닥판(410)이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들로 예상되는 천, 면, 또는 연성 수지판, 저밀도 합성수지 판 부재 등이 적용되는 조건, 그리고, 사용 경화 수지로서 연질성 수지를 사용한 조건에서의 변형 예이다.
굽힘이 허용되게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물성은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평면적 밸런스 그리고 어느 정도 낮은 직진도를 나타내지만 하중(W)을 가할 때 자체 유연성으로 흡수하여 파쇄되지 않는다. 즉, 취성을 낮춰 깨지거나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이 분리지고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굽힘이 허용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도 7의 (a)~(e)처럼 하중(W) 분포에 따라 변형된다.
그레인 스톤 타일 및 바닥재(600)는 사용하는 수지의 물성과 바닥판(410)의 선택에 따라 굽힘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굽혀지지 않게 할 수도 있으나 물성적으로 굽힘을 두는 것이 유리하다.
굽힘이 있으면 낮은 취성을 나타내고 하중이 주어지는 방향에 따라 굽혀지지만 다시 바로 펴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인 경우 정도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깨지게 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여기서, 굽힘이 있는 그레인 스톤 타일(600)을 구성하는 수지(310)는 연성이 있는 수지이다. 연성이 있는 수지(310)를 사용하여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떨어지지 않게 접착하는 것은 가능하다.
공극율이 1.5% 이상이면 변형력에 대한 변위량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반면, 지나친 공극률로 인해 강도가 약화 된다. 공극율이 0.5% 이하이면 변형력에 대한 변위량이 적어 강도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고밀도로 인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깨지거나 부서진다. 바람직한 공극율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부피 면적을 기준으로 0.5~1.5%가 적당하고, 공극(420)의 위치는 가능하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레인 스톤 입자(350)들을 도색제로 표면 처리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층상 구조는, 단층형 층상 구조, 또는 단층 이상 복수형 층상 구조를 포함한다. 층상 구조는 전체 부피 단면적과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맞게 결정하여 만들 수 있다. 그레인 스톤 입자(300)의 적층 구조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사용 조건에 따라 두께와 재료 량을 조절하여 선택된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410)은, 격자형 망, 평면 표면 또는 구멍 뚫린 면을 갖는 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재 중에서 선택된다.
바닥판(410) 부재로는 합성수지 격자 망 또는 패널, 천 격자 망 또는 면을 갖는 천, 유리패널 또는 격자 망, 부직포, 합성수지 패널, 목재로 짜여진 격자 망 또는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닥판(410)의 소재 선택 그리고 형상 조건은 전체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연성과 연신 그리고 굽힘 강도 등과 직접 관련된다.
굽힘을 허용하는 구조가 적용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예는 도 7과 같다. 이 구조에 적용되는 바닥판(410)은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들로 예상되는 천, 면, 또는 연성 수지판, 저밀도 합성수지 판 부재 등이다.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는 바닥판(410)의 선택에 따라 굽힘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굽혀지지 않게 할 수도 있으나 물성적으로 굽힘을 두는 것이 유리하다. 굽힘이 있으면 낮은 취성을 나타내고 하중이 주어지는 방향에 따라 굽혀지지만 다시 바로 펴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인 경우 정도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깨지게 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의 시공 방법을 각각 타일 시공과 바닥재 시공으로 구분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을 벽 구조물에 시공한 시공 상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스톤 타일 시공 방법은, 평면 또는 비 평면을 포함하는 벽 구조물(700), 벽 구조물(700) 표면을 따라 그레인 스톤 타일(600)을 부착하여 구조물(700) 표면을 마감 시공하는 방법이다.
먼저, 벽 구조물(700)의 표면, 또는 그레인 스톤 타일(600)의 표면을 따라 접착제(710)를 도포한다.
접착제(710)를 도포하고 난 후 구조물(700) 표면, 또는 그레인 스톤 타일(600)의 표면에 접착된 접착제(710)의 접착력으로 그레인 스톤 타일(600)을 벽 구조물(700) 표면에 접착한다.
상기 접착제(710)는 시멘트, 레미탈, 액상의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 시트, 그리고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레인 스톤 타일(600)은 구조적으로 수지(310)를 통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결속시키고 있으므로 다른 접착제(710)에 의한 접착이 다른 어떠한 구조물 접착에 비해 친화력이 큰 접착상태를 나타내고 견고한 접착상태를 나타낸다.
그레인 스톤 타일(600)은 시공 후 벽 구조물(700)로부터의 들뜸이나 박리 이탈 분리 등과 같은 떨어지는 현상이 거의 발생 되지 않는다.
그레인 스톤 타일(600)로 벽 구조물(600) 표면을 시공하면 환경 친화적인 벽 구조물(700)로 표면 처리가 가능하고, 장기간 동안 변형과 변질이 없이 벽 구조물(700) 표면의 반영구적 보존 처리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바닥재의 시공 설명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인 스톤 바닥재의 시공 상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인 스톤 바닥재(600)의 시공 방법은, 평면 또는 비 평면을 포함하는 바닥 구조물(800), 바닥 구조물(800) 표면을 따라 그레인 스톤 바닥재(600)를 부착하여 바닥 구조물(800) 표면을 마감 시공하는 방법이다.
먼저, 바닥 구조물(800)의 표면을 따라 시트재(810)를 깔아 준다. 그리고, 바닥 구조물(800) 표면에 깔려 있는 시트재(810) 위에 그레인 스톤 바닥재(600)를 안착시켜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시트재(810)는 방수가 되지 않는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닐, 천막천, 수지 또는 아스팔트 액체, 아스팔트 시트, PE, PVC, PP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바닥 구조물(800)의 표면을 시공한다.
그리고, 시트재(810)는 방수 처리된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닐, 천막천, 수지 또는 아스팔트 액체, 아스팔트 시트, PE, PVC, PP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바닥 구조물(800)의 표면을 시공한다.
방수성이 있는 시트재(810)의 사용을 통해 원래 기초 바닥에 손상이 가지 않게 한다. 방수성이 있는 시트재(810)의 사용은 바닥을 따라 흐르는 물이나 다른 물질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로 흐르지 않도록 물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구조물(800) 표면을 따라 상승하는 습기를 차단하거나 또는 수분 동결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수명 단축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제한적으로 수영장 바닥 구조물(800) 등과 같이 물의 신속한 배출이 필요한 곳에서는 방수성이 없는 투습성 시트재(810)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300: 그레인 스톤 입자(grain stone)
310: 수지
320: 피복층
400: 혼합물
410: 바닥판
420: 공극(space)
500: 몰드
510: 성형공간
600: 그레인 스톤 타일/바닥재
700: 벽 구조물
710: 접착제
800: 바닥 구조물
810: 시트재

Claims (15)

  1.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수지(310)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과 수지(310)가 혼합된 혼합물(400)을 만드는 단계(100);
    상기 단계(100)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400)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에 채워 넣고 다지는 충전(fillers) 및 다짐 단계(110);
    상기 단계(110)를 통하여 혼합물(400)의 그레인 스톤(300) 입자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310)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 들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120); 및,
    몰드(500)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500)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130);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
  2.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수지(310)와 섞어 혼합 믹싱 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과 수지(310)가 혼합된 혼합물(400)을 만드는 단계(200);
    상기 혼합물(400)을 채워 넣을 수 있는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를 준비하고 그 몰드(500)의 바닥에 바닥판(410)을 까는 단계(210);
    상기 단계(200)를 통하여 만들어진 혼합물(400)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구조로 뭉치고 단위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성형 공간(510)을 갖는 몰드(500)에 채워 넣고 다지는 충전(fillers) 및 다짐 단계(220);
    상기 단계(220)를 통하여 혼합물(400)의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침투된 수지(310)가 경화되어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간 접착 구조의 완성, 그리고 형상 보존이 가능한 정도로 경화 점착 상태에 이르도록 하여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성형을 완료하는 단계(230); 및,
    몰드(500)로부터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를 분리시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500)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240);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몰드(500)에 배열하는 바닥판(410)은, 방수성, 내습성을 갖는 합성수지 비닐 또는 투습성과 통풍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재 중에서 선택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410)은 합성수지 격자 망 또는 패널, 천 격자 망 또는 면을 갖는 천, 유리패널 또는 격자 망, 부직포, 합성수지 패널, 목재로 짜여진 격자 망 또는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충전 단계(110)(220)에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간 적어도 어느 한 부분 또는 한 부분 이상을 초과하는 공극(420)이 형성되도록 밀집도를 조절하여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충전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제조 방법.
  6.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스며들어 흩어져 있는 낱개의 알갱이들을 뭉쳐서 입자 상호 간 접착력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는 수지(310) 및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감싸서 형성된 피복층(320);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입자 상호 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420);을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7. 자연에서 채취되거나 또는 석재를 가는 알갱이로 파쇄하여 만들어진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 사이에 스며들어 흩어져 있는 낱개의 알갱이들을 뭉쳐서 입자 상호 간 접착력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는 수지(310) 및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을 감싸서 형성된 피복층(320);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입자 상호 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420);
    상기 수지(310)에 의해 접착된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410)을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420)의 공극율은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600)의 전체 부피 면적을 기준으로 0.5~1.5% 인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스톤 입자(300)들의 외부 전체는 수지(310)로 감싸져 피복 코팅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410)은 합성수지 격자 망 또는 패널, 천 격자 망 또는 면을 갖는 천, 유리패널 또는 격자 망, 부직포, 합성수지 패널, 목재로 짜여진 격자 망 또는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그레인 스톤 타일 또는 바닥재.
  11. 평면 또는 비 평면을 포함하는 벽 구조물(700), 벽 구조물(700) 표면을 따라 그레인 스톤 타일(600)을 부착하여 구조물(700) 표면을 마감 시공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 구조물(700)의 표면, 또는 그레인 스톤 타일(600)의 표면을 따라 접착제(71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구조물(700) 표면, 또는 그레인 스톤 타일(600)의 표면에 접착된 접착제(710)의 접착력으로 그레인 스톤 타일(600)을 벽 구조물(700)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710)는 시멘트, 레미탈, 액상의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 시트, 그리고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그레인 스톤 타일 시공 방법.
  13. 평면 또는 비 평면을 포함하는 바닥 구조물(800), 바닥 구조물(800) 표면을 따라 그레인 스톤 바닥재(600)를 부착하여 바닥 구조물(800) 표면을 마감 시공하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물(800)의 표면을 따라 시트재(810)를 까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바닥 구조물(800) 표면에 깔려 있는 시트재(810) 위에 그레인 스톤 바닥재(600)를 안착시키고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810)는 방수가 되지 않는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닐, 천막천, 수지 또는 아스팔트 액체, 아스팔트 시트, PE, PVC, PP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바닥 구조물(800)의 표면을 시공하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810)는 방수 처리된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닐, 천막천, 수지 또는 아스팔트 액체, 아스팔트 시트, PE, PVC, PP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바닥 구조물(800)의 표면을 시공하는 그레인 스톤 바닥재 시공 방법.
KR1020120106534A 2012-09-25 2012-09-25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34A KR101458145B1 (ko) 2012-09-25 2012-09-25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34A KR101458145B1 (ko) 2012-09-25 2012-09-25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212A true KR20140043212A (ko) 2014-04-08
KR101458145B1 KR101458145B1 (ko) 2014-11-12

Family

ID=5065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34A KR101458145B1 (ko) 2012-09-25 2012-09-25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66B1 (ko) * 2018-07-25 2019-08-21 김재철 타이어 마찰음이 적은 불연성 방수용 바닥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144518A (ko) * 2021-04-20 2022-10-27 이강석 천연 세립 잔자갈을 이용한 내, 외벽 시공용 친환경 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748B1 (ko) * 2018-12-20 2021-02-04 김미자 현무암을 이용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4142A (ko) 2022-04-06 2023-10-16 류문선 피라미드형 정자 바닥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9509A (ja) * 1992-04-02 1993-10-26 Masaharu Tomae 透光性材料
KR100472016B1 (ko) * 2002-06-26 2005-03-08 전재석 인조석을 접착, 경화하여 제조한 건축용 타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66B1 (ko) * 2018-07-25 2019-08-21 김재철 타이어 마찰음이 적은 불연성 방수용 바닥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144518A (ko) * 2021-04-20 2022-10-27 이강석 천연 세립 잔자갈을 이용한 내, 외벽 시공용 친환경 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145B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732B2 (en) Litho-mosaic
US5927034A (en) Flexible cement textured building tile and tile manufacturing process
US20140000214A1 (en) Decorative aggregate concrete surface preparation process
KR101458145B1 (ko)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0496B1 (ko) 모자이크형 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2458802B (zh) 用于制造贴面薄片的方法
KR100502726B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및 제조 방법
JP2018048546A (ja) 面材
KR101097120B1 (ko) 투수형 현무암 인조 판석과 그 제조방법
KR200385757Y1 (ko) 현무암 단입도 골재를 사용한 다공성 레진 바닥포장 및 타일
KR101416530B1 (ko) 로스팅 커피 원두를 이용한 향 방사형 캐스팅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64941A (ko) 토양바닥포장방법
RU115384U1 (ru)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с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JP6964535B2 (ja) 面材
RU100758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накрывной элемент
KR100763654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JP5386278B2 (ja) 化粧舗装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214995418U (zh) 一种仿真石漆涂层结构
KR200383809Y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제품
RU79305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накрывной элемент
KR100756431B1 (ko) 천연 광택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DK179444B1 (en) METHOD OF PREPARING A CONCRETE PAVEMENT WITH A VISUAL AND TEXTURAL PATTERN
KR100763655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JP2009235789A (ja) 安くて強度が強く、汚れにくい樹脂表面材及びその形成方法。
KR20170121494A (ko) 나뭇결무늬 연출용 고무금형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