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988A -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988A
KR20140042988A KR1020120109289A KR20120109289A KR20140042988A KR 20140042988 A KR20140042988 A KR 20140042988A KR 1020120109289 A KR1020120109289 A KR 1020120109289A KR 20120109289 A KR20120109289 A KR 20120109289A KR 20140042988 A KR20140042988 A KR 2014004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oad
island
guide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718B1 (ko
Inventor
이정운
안춘희
Original Assignee
(주)서린건설
안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린건설, 안춘희 filed Critical (주)서린건설
Priority to KR102012010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7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업소로 진입하는 도로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아일랜드부, 아일랜드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차단부에 설치되어 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에게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CUTOFF DEVICE OF ROAD ENTERANCE}
본 발명은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진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동시에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에게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등의 도로 진입부에는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가 마련된다.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는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고 도로의 상황을 안내함으로써, 도로의 상황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16757호(1999.03.15 공개, 발명의 명칭: 고속도로의 차량 진입 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차단부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도로의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안내부재가 구비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는: 영업소로 진입하는 도로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아일랜드부; 상기 아일랜드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에게 상기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안내부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안내부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안내부재; 및 상기 제1안내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안내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안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안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안내부재 또는 제2안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태양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쳐짐을 방지하는 쳐짐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일랜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구속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구속부재는, 상기 아일랜드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 의해 구속된 상기 차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구속부재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부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제1구속부재; 및 상기 제1구속부재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가 상기 도로와 인접한 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부의 타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제2구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를 상기 아일랜드부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아일랜드구속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아일랜드구속부는, 상기 아일랜드부에 고정되는 아일랜드고정부재; 및 상기 아일랜드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차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차단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차단고정부재는, 상기 아일랜드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일랜드힌지부; 및 상기 아일랜드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차단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차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도로를 하나의 차단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안내부재가 마련되어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재를 회전하여 도로 상황에 따라 안내되는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재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시계가 불량한 경우에도 정보를 정확하게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쳐짐방지부를 두어 본체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구속부재를 두어 차단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로를 차단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회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도로를 차단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안내부재 및 제2안내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속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속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구속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구속부가 본체부를 구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와 아일랜드구속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로를 차단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1)는 아일랜드부(10), 지지부(20), 차단부(30) 및 안내부(50)를 포함한다.
아일랜드부(10)는 영업소로 진입하는 도로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아일랜드부(10)는 영업소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로를 구분시키며, 지지부(20)가 고정되는 곳이다.
아일랜드부(10)는 도로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일랜드부(10)가 도로보다 높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일랜드부(10)는 제1도로(100)와 제2도로(101) 사이에 위치하여 제1도로(100)와 제2도로(101)를 구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회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도로를 차단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지부(20)는 아일랜드부(10)에 구비되어 차단부(30)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0)는 하측이 아일랜드부(10)에 다수 개의 볼트로 고정된다. 지지부(20)는 차단부(30) 및 안내부(50) 등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단부(30)는 지지부(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30)는 지지부(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부(31) 및 본체부(33)를 포함한다.
회전부(31)는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31)는 지지부(20)의 상측을 덮는 형태이며, 지지부(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장착된다.
본체부(33)는 안내부(50)가 설치되며, 회전부(31)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본체부(33)는 회전부(31)와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회전부(31)와 함께 지지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6은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30)는 본체부(33)의 쳐짐을 방지하는 쳐짐방지부(40)를 더 포함한다. 쳐짐방지부(40)는 길이조절부(41), 길이조절부와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쳐짐방지고리부(43) 및 각 단부가 쳐짐방지고리부(43)에 고정되고, 타측은 각각 본체부(33)의 상측 및 회전부(31)의 상측에 연결되는 쳐짐방지와이어부(45)를 포함한다.
쳐짐방지부(40)는 길이조절부(41) 및 쳐짐방지고리부(43)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서, 장기간 사용에 따라 본체부(33)의 일측이 아래로 쳐지는 경우, 길이조절부(41)를 회전시킴으로써 쳐짐방지부(40)의 길이를 조절하여, 본체부(3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안내부재 및 제2안내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안내부(50)는 본체부(33)에 설치되어 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에게 도로의 상황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로의 상황의 기술적 의미를 도로로 진입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입하는 도로면의 상황이나, 기타 다양한 안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안내부(5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측이 비어있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50)는 제1안내부재(51) 및 제2안내부재(57)를 포함한다.
제1안내부재(51)는 본체부(3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안내부재(51)는 본체부(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안내부재(51)는 회전안내부(52) 및 힌지결합부(54)를 포함한다.
회전안내부(52)는 일면에 도로상황이 표시되어 영업소에 진입하는 차량에 도로상황을 전달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안내부(52)는 힌지결합부(54)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회전안내부(52)의 양면에 있는 정보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54)는 본체부(33)에 설치되어 회전안내부(52)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결합부(54)는 제1안내부재(51)의 상하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결합부(54)는 제1안내부재(51)의 상하측에 한쌍이 구비되어, 일측이 본체부(33)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1안내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하나의 회전축으로 구성되어 제1안내부재(5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형상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안내부재(51)는 회전안내부(52)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안내부고정홀부(5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52)는 양측면 하단에 위치한 안내부고정홀부(56)에 본체부(33)에 장착된 안내부고정핀부(36)를 끼우는 방식으로 회전이 구속된다.
안내부고정핀부(36)는 본체부(33)에 제1안내부재(5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부(33)에 끈, 체인 등으로 연결된다.
제2안내부재(57)는 제1안내부재(51)와 이격되게 본체부(33)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안내부재(57)는 본체부(33)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2안내부재(57)는 제1안내부재(51)에서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추가정보를 동시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차단부(30)가 제1도로(100)를 차단한 상태에서 제1안내부(50)가 제2도로(101)를 이용할 것을 나타낼 때, 제2안내부재(57)는 원거리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X" 표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안내부재(51) 또는 제2안내부재(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태양광에 의하여 작동된다. 제1안내부재(51) 또는 제2안내부재(57)는 원거리에서 또는 야간에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필요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얻을 수 있다.
태양전지(58)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2안내부재(57) 또는 차단부(30)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1안내부재(51) 또는 제2안내부재(57)에 장착된 램프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9는 도 3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속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속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1)는 아일랜드부(10)에 구비되어 차단부(30)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구속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차단구속부재(70)는 베이스부(71), 구속부(73) 및 고정부(7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71)는 아일랜드부(10)에 고정된다. 베이스부(71)는 아일랜드부(10)와 접하는 면에 홀이 구비되어 볼팅 결합 등에 의하여 아일랜드부(10)에 고정된다.
구속부(73)는 베이스부(71)에서 연장되어 차단부(30)의 이동을 구속한다. 구속부(73)는 차단부(3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구속부(74)가 구비되어 차단부(30)의 회전 정도를 조정한다. 또한, 구속부는 차단부(30)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측에서 차단부를 지지하는 쳐짐구속부(75)가 구비된다.
고정부(77)는 구속부(73)에 의해 구속된 차단부(30)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77)는 차단부(30)에 구비된 고정부진입부(79)를 통하여 구속부(73)에 마련된 홀에 진입하여 차단부(30)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구속부재(70)는 제1구속부재(70a) 및 제2구속부재(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속부재(70a)는 차단부(30)가 제1도로(100)를 차단하도록 차단부(30)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한다.
제2구속부재(70b)는 제1구속부재(70a)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차단부(30)가 제1도로(100)와 인접한 도로인 제2도로(101)를 차단하도록 차단부(30)의 타방향 회전을 구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속부재(70a)와 제2구속부재(70b)는 지지부(20)를 기준으로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제1도로(100)를 차단할 때에는 제1구속부재(70a)가 차단부(30)를 고정하고, 제2도로(101)를 차단할 때에는 제2구속부재(70b)가 차단부(30)를 고정하여 인접한 2개의 도로를 하나의 차단부(30)로 선택적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구속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일랜드구속부가 본체부를 구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와 아일랜드구속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1)는 아일랜드구속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일랜드구속부(80)는 지지부(20)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차단부(30)를 아일랜드부(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아일랜드구속부(80)는 아일랜드고정부재(81) 및 차단고정부재(85)를 포함한다.
아일랜드고정부재(81)는 아일랜드부(10)에 위치하여 볼팅 결합 등으로 아일랜드부(10)에 고정되는 아일랜드고정부(83) 및 일측이 아일랜드고정부(83)에 연결되어 아일랜드부(1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타측에 차단고정부재(85)가 결합되는 아일랜드몸체부(82)가 마련된다.
차단고정부재(85)는 아일랜드몸체부(82)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단부(30)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며, 차단부(3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고정부재(85)는 아일랜드힌지부(88) 및 차단고정부(86)를 포함한다.
아일랜드힌지부(88)는 차단고정부(86)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금속 재질의 핀 형상으로, 아일랜드몸체부(82)에 결합된다.
차단고정부(86)는 아일랜드힌지부(8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단고정부(86)는 차단부(30)를 아일랜드구속부(80)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예를 들어 차단부(30)를 아일랜드구속부(80)의 전방에 위치시킨 후 차단고정부(86)에 장착된 차단고정부손잡이부(87)를 이용하여 차단고정부(86)를 회전시켜 차단부(3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1)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1)는 영업소로 진입하는 복수 차선 도로의 사이에 위치한 아일랜드부(10) 또는 단일 차선 도로의 일측에 위치한다.
도로를 차단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차단부(30)는 아일랜드구속부(80)에 의하여 아일랜드부(10)에 고정된다.
도로의 상황에 따라 양측 차선 중 하나의 차선을 차단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차단을 필요로하는 차선으로 차단부(30)를 회전시키고 차단구속부재(70)로 차단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로의 상황에 맞추어 제1안내부재(51)를 본체부(33)에 대하여 힌지결합부(54)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제1안내부재(51)는 본체부(33)에 있는 제1안내부재고정부(77)에 의하여 회전이 구속된다.
제1안내부재(51) 또는 제2안내부재(57)는 태양전지(58)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 또는 안개 등의 이유로 시계가 불량한 경우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램프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도로상황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1)는, 지지부(20)를 기준으로 차단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도로를 하나의 차단부(3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안내부재가 마련되어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재를 회전하여 도로 상황에 따라 안내되는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재에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시계가 불량한 경우에도 정보를 정확하게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쳐짐방지부(40)를 두어 본체부(33)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구속부재(70)를 두어 차단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10: 아일랜드부
20: 지지부 30: 차단부
31: 회전부 33: 본체부
36: 안내부고정핀부 40: 쳐짐방지부
41: 길이조절부 43: 쳐짐방지고리부
45: 쳐짐방지와이어부 50: 안내부
51: 제1안내부재 52: 회전안내부
54: 힌지결합부 56: 안내부고정홀부
57: 제2안내부재 58: 태양전지
70: 차단구속부재 70a: 제1구속부재 70b: 제2구속부재 71: 베이스부
73: 구속부 74: 회전구속부
75: 쳐짐구속부 77: 고정부
79: 고정부진입부 80: 아일랜드구속부
81: 아일랜드고정부재 82: 아일랜드몸체부
83: 아일랜드고정부 85: 차단고정부재
86: 차단고정부 87: 차단고정부손잡이부
88: 아일랜드힌지부 100: 제1도로
101: 제2도로

Claims (12)

  1. 영업소로 진입하는 도로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아일랜드부;
    상기 아일랜드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에게 상기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안내부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안내부재; 및
    상기 제1안내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제2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안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안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 또는 상기 제2안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태양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쳐짐을 방지하는 쳐짐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구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속부재는,
    상기 아일랜드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 의해 구속된 상기 차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속부재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부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제1구속부재; 및
    상기 제1구속부재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가 상기 도로와 인접한 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부의 타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제2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를 상기 아일랜드부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아일랜드구속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구속부는,
    상기 아일랜드부에 고정되는 아일랜드고정부재; 및
    상기 아일랜드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차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차단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고정부재는,
    상기 아일랜드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일랜드힌지부; 및
    상기 아일랜드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차단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KR1020120109289A 2012-09-28 2012-09-28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KR101402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289A KR101402718B1 (ko) 2012-09-28 2012-09-28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289A KR101402718B1 (ko) 2012-09-28 2012-09-28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88A true KR20140042988A (ko) 2014-04-08
KR101402718B1 KR101402718B1 (ko) 2014-06-11

Family

ID=5065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289A KR101402718B1 (ko) 2012-09-28 2012-09-28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83B1 (ko) * 2022-03-18 2022-09-14 (주)에스알디코리아 차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47793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834B1 (ko) 2015-04-29 2017-04-10 박영남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4Y1 (ko) 2001-12-26 2002-04-13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공사용 도로표시판
KR200359954Y1 (ko) * 2004-05-14 2004-08-27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성지지구조를 갖는 도로용 통합표지판
KR200405254Y1 (ko) * 2005-10-25 2006-01-10 야베스텍 주식회사 복수차량 처리형 통행요금 수납장치
KR100838618B1 (ko) * 2008-01-04 2008-06-16 주식회사 에스티일공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경사로의 차로변경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83B1 (ko) * 2022-03-18 2022-09-14 (주)에스알디코리아 차단장치를 이용한 도로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47793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718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769B1 (ko) 개선된 구조의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
KR101402718B1 (ko)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JP3208674U (ja) 工事規制標識装置
KR20180128318A (ko) 임시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JP3224688U (ja) 車線規制装置
KR100843306B1 (ko)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10083992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상의 운전차량 표시 시스템
KR10155271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표시장치
KR101963254B1 (ko) 높이조절식 가로등
KR102116948B1 (ko) 역주행 및 과속 방지턱
KR101799917B1 (ko)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장치 및 방법
US20090278014A1 (en) Overhead track system for roadways
CN211776464U (zh) 一种公路桥梁施工用防护栏
KR20120085449A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101222077B1 (ko) 가드레일 부착형 시선유도장치
KR102057335B1 (ko) 스마트 안전휀스
KR101111723B1 (ko) 도로 표지판의 각도 조절장치
JP2016211322A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KR101732779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KR200442438Y1 (ko) 다용도 안전 펜스
KR101183030B1 (ko)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CN220059161U (zh) 一种施工安全围栏
KR20200014058A (ko) 안전 휀스
KR101537782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비상 표시장치
KR102505191B1 (ko) 방호책용 가설 작업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