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580A -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580A
KR20140036580A KR1020120102853A KR20120102853A KR20140036580A KR 20140036580 A KR20140036580 A KR 20140036580A KR 1020120102853 A KR1020120102853 A KR 1020120102853A KR 20120102853 A KR20120102853 A KR 20120102853A KR 20140036580 A KR20140036580 A KR 20140036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s
automo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539B1 (ko
Inventor
손정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39B1/ko
Priority to US13/727,069 priority patent/US8818628B2/en
Priority to DE102012224495.6A priority patent/DE102012224495A1/de
Priority to CN201310029839.3A priority patent/CN103676816B/zh
Publication of KR2014003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의 이상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슬립(Sleep) 및 웨이크업(Wakeup)을 통합 제어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네트워크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가능한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이더넷;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Integrated network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통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의 이상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슬립(Sleep) 및 웨이크업(Wakeup)을 통합 제어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자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자장치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을 위한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바디 도메인(body domain), 멀티미디어 도메인, 파워트레인 도메인 및 샤시 도메인 별로 각 도메인 특성에 맞게 다른 통신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의 상품성 향상을 위해 해당 도메인에 적용된 각 통신 네트워크는, 다른 도메인에 적용된 통신 네트워크와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동작하는 기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는, 다른 도메인에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상호 연관성에 따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도메인에 적용된 CAN(12)이 웨이크업될 때, 게이트웨이(10)를 통해 다른 도메인에 적용된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CAN(14), 파워트레인/샤시 CAN(16) 등도 웨이크업이 되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바디 도메인에 적용된 통신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하여 바디 도메인 통신 네트워크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도메인, 파워트레인 도메인 및 샤시 도메인에 적용된 통신 네트워크도 슬립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어떤 통신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어 다른 모든 통신 네트워크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다른 모든 통신 네트워크도 슬립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고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장품들의 소모 전류가 증가하여 배터리가 과도하게 방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통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의 이상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슬립(Sleep) 및 웨이크업(Wakeup)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전장품 소모전류의 증가 방지를 통해 배터리가 쓸데없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네트워크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가능한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이더넷;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의 신호들을 분류하여, 상기 분류한 신호들 중에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wakeup) 하도록 하는 신호가 있으면, 상기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통신신호 값을 저장하고, 이후에 상기 해당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통신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통신신호 값과 상기 새로운 통신신호 값을 비교하여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 또는 웨이크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통신신호 값과 상기 새로운 통신신호 값이 같으면,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통신신호 값을 저장한 이후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해당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통신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주정차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자동차가 주정차 상태이면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를 모두 슬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이더넷에 접속되어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는 통신 분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분석 장치는,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중에서 통신 이상 상태에 있는 네트워크에 로그인(login) 및 슬립 진입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에는 해당 전자장치 이름, 슬립모드 또는 웨이크업 모드 명령, 해당 전자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의 이상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슬립(Sleep) 및 웨이크업(Wakeup)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전장품 소모전류의 증가 방지를 통해 배터리가 쓸데없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데이터의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CAN, LIN 및 플렉스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통합 운영될 수 있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네트워크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100); 상기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100)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가능한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210, 220, 230); 상기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210, 220, 230)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100)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이더넷(300); 및 상기 이더넷(300)에 접속되어 상기 게이트웨이(100)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210, 220, 230)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는 통신 분석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210),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220) 및 플렉스레이(flexray)(230);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캔(210), 린(220) 및 플렉스레이(230) 뿐만 아니라 상기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로서, 캔(210), 린(220) 및 플렉스레이(230)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로서, 캔(210), 린(220) 및 플렉스레이(230)가 각각 1개씩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각 네트워크가 한 개씩만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각 네트워크를 한 개씩만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한 것은 도면의 간단화를 위해 그렇게 한 것일 뿐이며, 게이트웨이(100)에는 필요에 따라 각 네트워크가 복수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캔(210)에는 캔(210)과 관련된 전자장치(212), 예를 들면 BCM(body control module), 도어록 모터 등 바디 도메인에 속하는 전자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린(220)에는 린(210)과 관련된 전자장치(222), 예를 들면 시트, 윈도우 등 자동차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전자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렉스레이(230)에는 플렉스레이(210)와 관련된 전자장치(232), 예를 들면 엔진 등 동력계통의 전자장치와 브레이크, 조향장치 등 섀시를 제어하는 전자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 전자장치(212, 222, 232)에는 주정차와 관련된 신호를 입력하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502)와 차속센서(50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일반적인 게이트웨이의 동작은 물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으로 형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더넷(300)은 상기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캔(210), 린(220) 및 플렉스레이(230)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100)에서 처리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100)를 경유하는 신호를 통신 분석 장치(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더넷(300)은 일반적인 이더넷으로 할 수 있고, 이러한 이더넷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명세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통신 분석 장치(400)는 통신 분선 단말로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다른 것이라도 실질적으로 이더넷(300)을 통해 게이트웨이(10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분석 장치(400)는,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중에서 통신 이상 상태에 있는 네트워크에 로그인(login) 및 슬립 진입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분석 장치(400)는 통신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것이라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00)는 연결된 캔(210), 린(220) 및 플렉스레이(2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분류한다. 이때 게이트웨이(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데이터의 식별코드(ID) 또는 목적지 바이트, 네트워크 관리 명령코드(NM(network management command code)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S110).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데이터의 구조는 식별코드 필드와 데이터 필드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필드의 바이트1(byte1)에는 목적지가 기록될 수 있고, 바이트2(byte2)에는 NMcommandCode 및 NMSleepFlag가 기록될 수 있고, 바이트3 내지 바이트8에는 제어기능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2에는 구체적으로 NMcommand로서 Sleep 또는 Wakeup 명령이 기록될 수 있고, NMSleepFlag로서 현재 전자장치의 상태, 예를 들면 Wakeup 또는 Sleep 대기가 기록될 수 있다. 제어기능이 기록된 바이트3 내지 바이트8에는, 예를 들어 통신 Wakeup의 원인을 제공한 기능명이 기록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통신 이상의 원인 분석이 용이해질 수 있다.
S110 단계 이후에, 상기 게이트웨이(100)가 분류한 신호 중에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S120).
상기 게이트웨이(100)가 분류한 신호 중에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신호가 있으면,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해당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하는 신호를 상기 해당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웨이크업시킨다(S130).
상기 게이트웨이(100)가 분류한 신호 중에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신호가 없으면,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다른 네트워크와 상관없이 자신의 네트워크 내에서만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네트워크는 현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슬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S140).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슬립 및 웨이크업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00)는 연결된 다수의 네트워크, 즉 캔(210), 린(220) 및 플렉스레이(230)에서 수신되는 각 네트워크의 통신 신호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S210).
상기 통신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새로운 통신신호가 수신(발생)했는지 확인한다(S220).
S220 단계에서 새로운 통신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앞서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 신호와 상기 새로운 통신 신호를 비교한다(S230).
S230 단계에서 비교 결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 신호와 상기 새로운 통신 신호가 일치하면,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시키고(S240), 그렇지 않으면 해당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한다(S250).
S220 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통신 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S260),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시킨다(S240).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개별적으로 슬립 및 웨이크업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00)는 다수의 네트워크(210, 220, 230)를 통해 통신되는 주차브레이크 스위치(502)의 신호 및 차속 센서(504)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502)의 신호 및 차속 센서(504)의 신호를 기초로 자동차가 주차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10).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502)의 신호가 온이고, 차속센서(504)의 신호가 0일 때,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자동차가 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면, 게이트웨이(100)는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210, 220, 230)를 슬립시켜, 주차시 필요없이 소모될 수 있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정차시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해결하지 못한 통신 이상시 네트워크들이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과방전 문제가 있었던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제어 프로세스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 게이트웨이(100)가 기동(start up) 된다. 게이트웨이(100)가 기동된 이후에, 게이트웨이(100)는 이벤트(event)가 발생했는지 체크한다(S420).
S420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해당 네트워크를 셧다운(shut down)하거나 슬립시킨다(S422, S424).
S420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지 했으면, 상기 이벤트가 로컬(local)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체크한다(S430).
상기 이벤트가 로컬에서 발생했으면, 게이트웨이(100)는 통신이 필요한지를 체크하여(S432), 통신이 필요하면 통신을 요청하고(S434), 통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S420 단계로 회귀한다.
상기 통신 요청시, 게이트웨이(100)는 통신 데이터(도 7)에서 동작 기능을 참조하며 수신이 필요한 네트워크만 송신(tx), 수신(rx)을 인에이블(enable)한다.
S434 단계에서, 통신을 요청한 후, 게이트웨이(100)는 통신을 모니터링하여(S436), 통신이 액티브(active)이면 S434 단계에서 필요한 통신을 요청하고, 통신이 액티브가 아니면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 준비(ready sleep)시킨다(S438).
상기 통신 모니터링 단계(S436)에 있어서, 천이 조건(transition condition)은 낮은 우선순위(low priority)와 높은 우선순위(high priority)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낮은 우선순위의 천이 조건과 관련해서는, 아래 두 조건이 모두 만족해야만 해당 네트워크는 슬립 준비(ready sleep) 단계(S438)로 천이된다.
첫째 조건: 각 네트워크 별로 애플리케이션 수신 신호(Rx)가 초기 값을 설정시간(예; 5.5 초) 동안 유지하면 슬립 준비(ready sleep)으로 천이한다.
둘째 조건: 소스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신호 값(gateway signal value)이 시작 값(start value)과 설정시간(예; 1.5초) 동안 동일하거나 또는 설정시간(예; 1.5초) 동안 메시지(message)가 미 존재하면, 목적지 네트워크(Destination network)을 슬립 준비(ready sleep)로 천이한다.
다음, 높은 우선순위의 천이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이그니션 전원(IGN)에서 배터리 전원(B+) 조건으로 천이 후 NMShutdownTime(도 7 참조) 경과 시에도 임의의 네트워크가 통신 액티브 상태이면, 모든 네트워크의 송신(tx)을 오프한다.
둘째; 이그니션 전원(IGN)에서 배터리 전원(B+) 조건으로 천이하고 NMShutdownTime 경과 후 특정 전자장치가 통신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전자장치의 노드 명, 웨이크업 횟수, 마지막 NM(network management) 상태를 EEPROM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이더넷(300)을 통해 통신 분석 장치(400)에 전송되어 상기 통신 분석 장치(400)에 표시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셧다운 타임(NMShutdownTime)은 상기 통신 분석 장치(400)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가 로컬에서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게이트웨이(100)는 다른 네트워크에 통신을 요청한다(S440).
S440 단계에서 통신을 요청한 후, 게이트웨이(100)의 신호를 분석하여(S442),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목적지 네트워크를 슬립 상태로 유지시키고(S450), 신호가 검출되면 목적지 네트워크에 통신을 요청하고(S444),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에 통신을 요청한 다음 통신을 모니터링한다(S436).
상기 S442 단계의 게이트웨이(100)의 신호 분석에서,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일 수 있다.
첫째: 소스 네트워크(source network)의 게이트웨이 신호 값(gateway signal value)이 시작 값(start value)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둘째: 타당성(validity) 미만 조건에서는 상기 첫째 조건의 반대 조건 발생지에도 무시. 즉, 변화 미감지로 판단.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불필요하게 네트워크가 웨이크업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주정차 조건에서의 통신 이상 현상 발생 시 이상 동작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 동작 전자장치의 내부 원인이 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이상동작에 대한 원인 분석이 용이하며, 슬립/웨이크업의 통합 제어를 통해 종래기술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자동차의 암전류 과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캔 통신 이외에도 린(LIN), 플렉스(FlexRay) 등 여러 통신 방식에 적용 가능하며 암전류 저감을 위해 추가 하드웨어 구성이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은, 종래기술에서 전자장치 및 네트워크 별 단순 슬립/웨이크업 방식이나 암전류 차단 장치가 해결하지 못한 통신 이상 시 배터리 방전 문제 현상을 해결하고 통신 이상 원인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게이트웨이
210: CAN(controller area network)
220: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230: 플렉스레이
300: 이더넷
400: 통신 분석 장치

Claims (10)

  1.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네트워크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가능한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이더넷;
    를 포함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
    를 포함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의 신호들을 분류하여, 상기 분류한 신호들 중에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wakeup) 하도록 하는 신호가 있으면, 상기 다른 네트워크를 웨이크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통신신호 값을 저장하고, 이후에 상기 해당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통신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통신신호 값과 상기 새로운 통신신호 값을 비교하여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 또는 웨이크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저장된 통신신호 값과 상기 새로운 통신신호 값이 같으면,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웨이크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통신신호 값을 저장한 이후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해당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통신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해당 네트워크를 슬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7. 제2항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주정차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자동차가 주정차 상태이면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를 모두 슬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이더넷에 접속되어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는 통신 분석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통신분석 장치는,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중에서 통신 이상 상태에 있는 네트워크에 로그인(login) 및 슬립 진입 시간을 설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에는 해당 전자장치 이름, 슬립모드 또는 웨이크업 모드 명령, 해당 전자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20102853A 2012-09-17 2012-09-17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KR10139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53A KR101393539B1 (ko) 2012-09-17 2012-09-17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US13/727,069 US8818628B2 (en) 2012-09-17 2012-12-2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grated network of a vehicle
DE102012224495.6A DE102012224495A1 (de) 2012-09-17 2012-12-28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integrierten netzwerkes eines fahrzeugs
CN201310029839.3A CN103676816B (zh) 2012-09-17 2013-01-25 用于控制车辆的集成网络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53A KR101393539B1 (ko) 2012-09-17 2012-09-17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80A true KR20140036580A (ko) 2014-03-26
KR101393539B1 KR101393539B1 (ko) 2014-05-09

Family

ID=5018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853A KR101393539B1 (ko) 2012-09-17 2012-09-17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8628B2 (ko)
KR (1) KR101393539B1 (ko)
CN (1) CN103676816B (ko)
DE (1) DE1020122244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274A (ko) * 2017-03-27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nm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20180130661A (ko) * 2017-05-30 201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송수신 방법
KR20190077795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더넷 스위치, 차량 내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차량
CN112511615A (zh) * 2020-11-23 2021-03-16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实时监测整车网络休眠状况的网关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453A (zh) * 2014-07-18 2016-08-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诊断网络的方法和装置
CN104378272B (zh) * 2014-10-28 2019-01-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消息传输方法及装置
WO2017114503A1 (en) * 2015-12-31 2017-07-06 Wellen Sham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FR3051576B1 (fr) * 2016-05-20 2019-06-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Reseau multiplexe avec gestion de perte de trame d’etat.
JP6962697B2 (ja) * 2016-05-27 2021-11-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ネットワークハブ、転送方法及び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3258652B1 (en) 2016-06-14 2019-11-27 Melexis Technologies NV Local interconnect network bus architecture
CN106161222A (zh) * 2016-07-27 2016-11-2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sopc的车载网关系统
JP6500875B2 (ja) * 2016-10-25 2019-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
CN106533746B (zh) * 2016-11-02 2019-08-27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多网络融合的方法和装置
KR102646295B1 (ko) 2016-12-06 2024-03-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309438B1 (ko) * 2017-06-23 2021-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검사 시스템,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FR3078461B1 (fr) * 2018-02-27 2020-01-3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et passerelle de routage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2589373B1 (ko) * 2018-05-15 2023-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KR20190134337A (ko) * 2018-05-25 2019-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선택적 웨이크업 방법 및 장치
KR20200073448A (ko) * 2018-12-14 202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게이트웨이 프로세서, 그 제어 로직,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690565A1 (de) 2019-02-04 2020-08-05 VEGA Grieshaber KG Gateway mit niedriger leistung
US11598254B2 (en) 2019-04-29 2023-03-07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onnecting service packs including auxiliary power sources to vehicle data and vehicle systems
JP7352166B2 (ja) * 2019-10-31 2023-09-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通信装置及び車両用通信方法
CN114253182A (zh) * 2021-11-24 2022-03-29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769B2 (ja) 1992-07-09 2002-11-20 マツダ株式会社 多重伝送装置
JP3354070B2 (ja) 1997-04-01 2002-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多重通信装置
JP4055605B2 (ja) * 2003-02-21 2008-03-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通信接続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装置
US7529955B2 (en) * 2005-06-30 2009-05-05 Intel Corporation Dynamic bus parking
US7539888B2 (en) * 2006-03-31 2009-05-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ssage buffer for a receiver apparatus on a communications bus
CN101364740B (zh) * 2007-08-07 2013-05-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汽车的控制方法
JP2009124480A (ja) * 2007-11-15 2009-06-04 Toyota Motor Corp 車載ゲートウェイ及び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5326897B2 (ja) * 2009-07-17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システム
CN102107632B (zh) * 2009-12-29 2012-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在can网络中作为网络节点的车辆电控单元的状态控制方法
JP5522072B2 (ja) * 2010-03-04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装置および車両用通信システム
CN201833973U (zh) * 2010-09-27 2011-05-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can总线拓扑结构
KR101131526B1 (ko) 2010-10-25 2012-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US8929198B2 (en) * 2010-11-03 2015-01-06 Broadcom Corporation Vehicle network link module
US20130044008A1 (en) * 2011-08-19 2013-02-21 Gpsi, Llc Enhanced emergency system using a hazard light device
US8995956B2 (en) * 2011-09-23 2015-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sed cellular offload
KR101283213B1 (ko) * 2011-12-15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이더넷 통신 네트워크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274A (ko) * 2017-03-27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nm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20180130661A (ko) * 2017-05-30 201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송수신 방법
KR20190077795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더넷 스위치, 차량 내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차량
CN112511615A (zh) * 2020-11-23 2021-03-16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实时监测整车网络休眠状况的网关控制方法
CN112511615B (zh) * 2020-11-23 2021-11-0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实时监测整车网络休眠状况的网关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76816A (zh) 2014-03-26
DE102012224495A1 (de) 2014-03-20
US20140081518A1 (en) 2014-03-20
CN103676816B (zh) 2017-12-15
KR101393539B1 (ko) 2014-05-09
US8818628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539B1 (ko)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US2020034153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ke-up signal in vehicle network
US20190361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wake-up of communication node in vehicle network
US11246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e-up of communication node in vehicle network
EP1879326B1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wakeup method for un-wakeup node
US10497189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control device
US20190118736A1 (en) Onboard re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re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326255A1 (en) Communication system
CN105313719B (zh) 一种整车控制器及其唤醒过程监控方法
JP2015199444A (ja) 電子制御装置
WO2014034345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20120030341A (ko)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
JP2013106200A (ja) 車両用通信中継装置、スリープ制御方法
US9411609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JPH11187050A (ja) 多重通信方法
KR101693885B1 (ko) 캔통신을 이용한 암전류 발생 유닛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09105828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用通信装置
KR101618118B1 (ko) 외부장치를 이용한 차체제어모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98916A (ja) 中継システム、及び、当該中継システムを構成する中継装置
JP5614365B2 (ja) データ中継装置、車載ネットワーク
Yi et al. Power saving using Partial Networking in automotive system
US20160364245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automotive network
Schmutzler et al. Energy efficient automotive networks: state of the art and challenges ahead
JP2008222051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電子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5028973B2 (ja)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